KR101239449B1 - 유리커버 내부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리커버 내부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449B1
KR101239449B1 KR1020100088145A KR20100088145A KR101239449B1 KR 101239449 B1 KR101239449 B1 KR 101239449B1 KR 1020100088145 A KR1020100088145 A KR 1020100088145A KR 20100088145 A KR20100088145 A KR 20100088145A KR 101239449 B1 KR101239449 B1 KR 101239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sealant
liquid crystal
glass cover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939A (ko
Inventor
권순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08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4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커버 내부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부, 상기 액정패널의 외주부를 커버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백라이트부의 측면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보호하는 유리커버,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밀봉하는 제1 실란트,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유리커버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유리커버을 밀봉하는 제2 실란트를 포함하며,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유리커버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건조가스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평판표시장치 모듈과 유리커버 사이의 공간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유리커버와 액정표시장치 모듈이 접착되어 고정되므로 고정을 위한 별도의 지그가 필요치 않은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리커버 내부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FLAT DISPLAY APPARATUS FOR PREVENTING OF DEW PHENOMENON INSIDE GLASS COV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별도의 유리커버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판표시장치 모듈과 유리커버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분야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 전력화의 장점을 지닌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FPD)가 보급되어 기존의 브라운관표시장치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렇게 평판표시장치의 박형화 및 경량화에 따라 평판표시장치의 모듈을 구성하는 액정패널의 두께는 점점 더 얇아지고, 평판표시장치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외부충격에 평판표시장치 기판의 파손 위험도 높아진다.
이런 안전상의 이유뿐만 아니라 최근 미학적인 외형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유리나 프라스틱 소재의 커버가 추가적으로 평판표시장치 모듈의 보호 또는 미학적인 외형 디자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대형 표시장치에서는 평평도 및 내변형률이 상대적으로 좋고 외부 마찰에 대한 스크래치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유리커버가 선호된다.
그러나, 유리커버를 사용하는 경우 열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분위기 온도의 변화가 있는 곳에서는 특히, 분위기 온도가 저온에서 고온으로 변하는 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상태로 유지하기 쉽고, 유리커버 표면의 온도가 분위기 공기의 이슬점 이하인 경우 유리커버 표면에 수분 응축현상, 즉, 결로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어떤 분위기 온도 및 습도 조건하에서는 육안으로 판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미세한 응축수가 밀폐되지 않은 분위기에 노출된 유리 및 각 부품 소자의 표면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도 평판표시장치의 전원이 인가되어 가동되는 초기에 일부 부품에는 열이 발생되어 상대적으로 먼저 온도가 높아진 부품 소자의 표면에서는 증발 현상이 상대적으로 우세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증발된 수증기 입자들은 온도가 높은 표면보다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표면에 다시 응축되어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물체의 표면에 결로현상이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로 가중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시간이 지나면 발열되는 부품소자를 가열원으로 주변의 모든 물체의 표면이 분위기 공기의 이슬점보다 높아지면 결로 현상이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평판표시장치 모듈과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유리커버가 별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리커버의 표면온도는 평판표시장치 모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 육안으로 확인될 만큼 결로 현상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특정 분위기 조건 하에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결로가 발생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평판표시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동되기 시작한 초기에 유리커버의 배면에 결로가 심하게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이렇게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의 결로(D)가 발생하는 경우, 응축된 물방울이 빛을 난반사하여 평판표시장치 화면의 영상을 왜곡하게 되고, 이런 현상이 장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유리의 구성성분 중의 하나인 Na+ 또는 Ca2 +등의 알칼리 이온들이 공기중의 CO2나 SO2와 같은 기체와 반응하여 착염을 형성하는 부식현상이 심화되어 유리표면에 빛의 투과를 방해하는 영구적인 얼룩 및 결점을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위기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서 유리커버와 평판표시장치 모듈 사이의 공간에 발생하는 결로에 의한 화면 영상 왜곡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판표시장치의 화면 표시영역을 침해하지 않고 외형적인 두께의 증가나 변형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유리커버와 평판표시장치 모듈 사이의 공간이 외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부와 상기 액정패널의 외주부를 커버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백라이트부의 측면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보호하는 유리커버와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밀봉하는 제1 실란트와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유리커버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유리커버을 밀봉하는 제2 실란트;를 포함하며,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유리커버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건조가스로 채워져 내부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실란트는 상기 액정패널의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 외측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수평부 사이에 게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부틸고무(Butyl rubber) 또는 폴리이소부틸렌-부틸고무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실란트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수평부와 상기 유리커버 사이에 게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수평부 외주부에 도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실란트는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 폴리머 또는 폴리머캅탄(Polymercaptan) 폴리머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이거나 열가소성 수지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2 실란트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유리커버 사이에 밀폐된 공간으로부터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착제는 제2 실란트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유리커버를 밀봉하고 내부공간의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프레임과 액정패널을 밀봉하되,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제1 실란트를 도포한 후, 서로 압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액정패널을 밀봉하는 제1 밀봉단계, 유리커버와 상기 상부프레임을 밀봉하되,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제2 실란트를 도포한 후, 서로 압착하여 상기 유리커버와 상기 상부프레임을 밀봉하는 제2 밀봉단계 및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유리커버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건조가스를 주입하는 건조가스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밀봉단계는 상기 제1 실란트를 상기 상부프레임의 배면에 도포하여,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액정패널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실란트는 폴리이소부틸렌, 부틸고무 또는 폴리이소부틸렌-부틸고무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실란트는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폴리머캅탄 폴리머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이거나 열가소성 수지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가스는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또는 질소-아르곤 혼합가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제2 실란트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흡착제를 배치하는 흡착제 배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상기 유리커버 사이의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상기 평판표시장치가 사용되는 공간의 분위기 조건의 변화가 있더라도 밀폐된 공간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아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화면 영상을 왜곡시키지 않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제2 실란트에 의해 유리커버와 액정표시장치 모듈이 접착되어 고정되므로 유리커버와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고정하는 별도의 지그가 필요치 않은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특정 분위기 조건 하에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결로가 발생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2은 평판표시장치 전원이 인가되어 가동되기 시작한 초기에 유리커버 배면에 결로가 심하게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이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엔 상기 어떤 구성요소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3의 수단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평판표시장치 모듈(100), 유리커버(200), 제1 실란트(310) 및 제2 실란트(330)를 포함한다.
먼저 평판표시장치 모듈(100) 및 유리커버(200)에 대해 살펴본다.
평판표시장치 모듈(100)은 액정패널(110), 백라이트부(120), 상부프레임(130)로 구성된다.
액정패널(110)은 상부기판(111), 하부기판(112) 및 양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미도시)을 포함한다.
백라이트부(120)는 상기 액정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패널(110)에 광을 공급한다. 여기서 백라이트부(120)는 비록 도면상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광원, 도광판, 반사판, 이들을 수납하는 몰딩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으로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등의 원통형 형광램프나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소자, EL(Electro Luminescence)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 광원이 배치되는 방식으로 에지형(Edge-lighting)과 직하형(Direct-lighting)이 사용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30)은 수평부(131)와 결합부(13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수평부(131)는 상기 액정패널(110)의 외주부를 커버하며, 상기 결합부(132)는 상기 백라이트부(120)의 측면과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부(120)와 상기 상부프레임(13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백라이트부(120) 측면과 상부 프레임의 결합부(132)는 클립결합이나, 볼트결합 등 기계적 결합에 의해서 결합된다.
유리커버(200)는 상부프레임(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110)을 보호한다. 상기 유리커버(200)는 평평도 및 내변형률이 상대적으로 좋고 외부 마찰에 대한 스크래치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유리를 주성분으로 하며, 특히 외부충격으로부터 액정패널(110)을 보호하기 위하여 강화유리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실란트(310)를 살펴보면, 제1 실란트(310)는 액정패널(110)과 상기 상부프레임(13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액정패널(110)과 상기 상부프레임(130)을 밀봉한다. 이는, 상기와 같이 백라이트부(120)와 상부프레임(130)의 결합은 기계적 결합으로 공기의 소통을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1 실란트(310)를 이용하여 액정패널의 전면으로 외부공기가 소통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실란트(310)는 액정패널(110)의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110a) 외측(표시부를 벗어나는 영역)과 상기 상부프레임(130)의 수평부(131) 사이에 게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제1 실란트(310)가 표시부(110a)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제1 실란트(310)로 인한 영상의 왜곡을 방지한다.
또한, 액정패널(110)이 상부기판(111)과 상부기판보다 큰 하부기판(112)이 적층된 구조일 경우, 제1 실란트(310)는 상부기판(111)과 중첩되지 않는 하부기판(112)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프레임(130)과 액정패널(110)의 압착시 제1 실란트(310)가 표시부(110a)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커버(200)의 재질이 유리이며, 상부프레임(130)의 재질이 일반적으로 금속이므로 제1 실란트(310)는 유리 및 금속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수증기에 대한 침투 저항력이 우수한 접착제를 사용한다. 이는, 높은 수증기 저항성을 가지는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부틸고무(Butyl rubber), 또는 폴리이소부틸렌-부틸고무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 실란트(330)를 살펴보면, 제2 실란트(330)는 상부프레임(130)과 상기 유리커버(20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30)과 상기 유리커버(200)를 밀봉한다. 이는, 유리커버(200)와 상부프레임(130) 사이로 침투하는 외부공기의 주입을 차단하여 외부 온도 변화시 또는 평판표시장치에 전원 인가시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 실란트(330)는 상기 유리커버(200)와 상기 상부프레임(130)이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부프레임(130)의 수평부(131) 외주부에 도포되어 상부프레임(130)과 유리커버(200)의 압착시 제2 실란트(330)가 표시부(110a)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영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커버(200)의 재질이 유리이며 상부프레임(130)의 재질이 일반적으로 금속이므로, 제2 실란트(330)는 유리 및 금속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수증기에 대한 침투저항력이 우수한 접착제를 사용한다.
유리커버(200)와 상부프레임(130)의 간격이 1mm 이하인 경우, 제2 실란트(330)는 제1 실란트(310)와 동일하게 높은 수증기 저항성을 가지는 폴리이소부틸렌, 부틸고무, 또는 폴리이소부틸렌-부틸고무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커버(200)와 상부프레임(130)의 간격이 1mm 초과하는 경우, 제2 실란트(330)는 유리커버(20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가지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란트(330)는 상온에서 접착가능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는 접착제로서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 폴리머, 폴리머캅탄(Polymercaptan) 폴리머을 기제로 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경우(3mm 이하)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두께가 두꺼운 경우(3mm 초과)에는 별도의 스페이서(spacer)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란트(330)는 고온에서 접착가능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20℃ 이상의 고온에서 유리커버(200)와 상부프레임(130)을 밀봉하며, 유리커버(200)와 상부프레임(130)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1 실란트(310)와 제2 실란트(330)에 의해서 결과적으로 액정패널(110)과 유리커버(200) 사이의 공간이 밀폐된다.
다음으로, 액정패널(110)과 유리커버(200) 사이에 밀폐된 공간에 채워지는 건조가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실란트(310)와 제2 실란트(330)에 의해서 액정패널(110)과 유리커버(200) 사이의 공간이 밀폐된다 하더라도, 밀폐된 공간 내에 잔류 수증기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잔류수증기는 평판표시장치의 전원 인가시 불균일한 가열로 인해 유리커버(200) 배면에 응축되는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영상을 왜곡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장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유리의 구성성분 중의 하나인 Na+ 또는 Ca2+ 등의 알칼리 이온들이 공기중의 CO2나 SO2와 같은 기체와 반응하여 착염을 형성하는 부식현상이 심화되어 유리표면에 빛을 투과를 방해하는 영구적인 얼룩 및 결점을 만들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가스를 밀폐된 공간에 주입함으로써, 밀폐된 공간의 수증기 함량을 낮춰 평판표시장치에 전원 인가시 불균일한 가열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가스는 수증기를 포함하지 않는 건조공기 및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건조가스는 질소, 아르곤 가스 또는 질소-아르곤 혼합가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다른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흡착제(350)를 더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흡착제(350)는 액정패널(110)과 유리커버(200) 사이에 밀폐된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된 공간에 주입된 건조가스와 함께 수분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흡착제(350)는 CaO, BaO 및 Al2O3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제(350)는 제2 실란트(330)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부프레임(130)의 수평부(131)와 유리커버(200)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2 실란트(330)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수분을 흡착하고, 액정패널(110)의 표시부(110a)로 돌출되어 영상을 왜곡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제(350)는 제2 실란트(330)와 더불어, 상부프레임(130)과 유리커버(200)를 밀봉하기 위하여 수분을 흡착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부프레임(130)과 유리커버(200)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프레임과 액정패널을 밀봉하되,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제1 실란트를 도포한 후, 일정한 압력으로 서로 압착하여 상부프레임과 액정패널을 밀봉한다(제1 밀봉단계)
여기서, 제1 실란트를 상부프레임의 배면에 도포하여, 상부프레임과 액정패널을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란트를 상부프레임의 배면에 먼저 도포함으로써, 압착과정에서 액정패널의 표시부로 돌출되거나, 액정패널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실란트는 액정패널의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 외측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수평부 사이에 게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제1 실란트가 표시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제1 실란트로 인한 영상의 왜곡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실란트로서 폴리이소부틸렌, 부틸고무 또는 폴리이소부틸렌-부틸고무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제1 밀봉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유리커버와 상부프레임을 밀봉하되,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제2 실란트를 도포한 후, 일정한 압력으로 서로 압착하여 유리커버와 상부프레임을 밀봉한다(제2 밀봉단계).
여기서, 제2 실란트는 상부프레임의 상면 또는 유리커버의 하면에 도포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유리커버와 상기 상부프레임이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프레임의 수평부 외주부에 도포하여 상부프레임과 유리커버의 압착시 제2 실란트가 표시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영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밀봉단계에서 유리커버와 상부프레임의 간격을 1mm 이하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실란트를 높은 수증기 저항성을 가지는 폴리이소부틸렌, 부틸고무, 또는 폴리이소부틸렌-부틸고무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밀봉단계에서 유리커버와 상부프레임의 간격을 1mm 초과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실란트는 유리커버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가지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밀봉단계는 상온 또는 120℃이상의 고온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온에서 밀봉하고자 하는 경우,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는 접착제로서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폴리머캅탄 폴리머을 기제로 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경우(3mm 이하)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두께가 두꺼운 경우(3mm 초과)에는 별도의 스페이서(spacer)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0℃이상에서 밀봉하고자 하는 경우,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20℃ 이상의 고온에서 유리커버와 상부프레임을 밀봉하며, 유리커버와 상부프레임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액정패널과 유리커버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건조가스를 주입한다(건조가스 주입단계).
상기 건조가스 주입단계는 액정패널과 유리커버 사이에 밀폐된 공간에 일반 공기를 주입할 수 있으나, 유리커버와 평판표시장치 모듈을 조립하는 공정 구간을 별도의 공간으로 만들고, 별도의 공간 내에 제습장치 또는 제습기능을 가진 공조장치를 설치하여 일반 분위기 공기에 수분이 상당부분 제거된 건조공기를 주입하거나, 수분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질소나 아르곤 혹은 그 혼합가스 등 불활성가스를 상기 별도의 공간에 주입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건조가스는 수증기를 포함하지 않는 건조공기 및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건조가스는 질소, 아르곤 가스 또는 질소-아르곤 혼합가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다른 단계를 모두 포함하며, 흡착제를 제2 실란트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흡착제를 배치하는 흡착제 배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착제는 액정패널과 유리커버 사이에 밀폐된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된 공간에 주입된 건조가스와 함께 수분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흡착제는 CaO, BaO 및 Al2O3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제는 상부프레임의 수평부와 유리커버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2 실란트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수분을 흡착하고, 액정패널의 표시부로 돌출되어 영상을 왜곡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평판표시장치 모듈 110 : 액정패널
110a : 표시부 111 : 상부기판
112 : 하부기판 120 : 백라이트부
130 : 상부프레임 131 : 수평부
132 : 결합부 200 : 유리커버
310 : 제1 실란트 330 : 제2 실란트
350 : 흡착제

Claims (18)

  1.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부;
    상기 액정패널의 외주부를 커버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백라이트부의 측면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보호하는 유리커버;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밀봉하는 제1 실란트;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유리커버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유리커버을 밀봉하는 제2 실란트;를 포함하며,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유리커버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건조가스로 채워져 내부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트는,
    상기 액정패널의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 외측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수평부 사이에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트는,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부틸고무(Butyl rubber) 또는 폴리이소부틸렌-부틸고무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트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수평부와 상기 유리커버 사이에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트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수평부 외주부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트는,
    폴리이소부틸렌, 부틸고무 또는 폴리이소부틸렌-부틸고무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트는,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 폴리머 또는 폴리머캅탄(Polymercaptan) 폴리머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트는,
    열가소성 수지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트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유리커버 사이에 밀폐된 공간으로부터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제2 실란트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유리커버를 밀봉하고 내부공간의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1. 상부프레임과 액정패널을 밀봉하되,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제1 실란트를 도포한 후, 서로 압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액정패널을 밀봉하는 제1 밀봉단계;
    유리커버와 상기 상부프레임을 밀봉하되,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제2 실란트를 도포한 후, 서로 압착하여 상기 유리커버와 상기 상부프레임을 밀봉하는 제2 밀봉단계; 및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유리커버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건조가스를 주입하는 건조가스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단계는,
    상기 제1 실란트를 상기 상부프레임의 배면에 도포하여,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액정패널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트는,
    폴리이소부틸렌, 부틸고무 또는 폴리이소부틸렌-부틸고무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트는,
    폴리이소부틸렌, 부틸고무 또는 폴리이소부틸렌-부틸고무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트는,
    폴리설파이드 폴리머 또는 폴리머캅탄 폴리머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트는,
    열가소성 수지를 기제로 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스는,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또는 질소-아르곤 혼합가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트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흡착제를 배치하는 흡착제 배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100088145A 2010-09-08 2010-09-08 유리커버 내부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39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145A KR101239449B1 (ko) 2010-09-08 2010-09-08 유리커버 내부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145A KR101239449B1 (ko) 2010-09-08 2010-09-08 유리커버 내부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939A KR20120025939A (ko) 2012-03-16
KR101239449B1 true KR101239449B1 (ko) 2013-03-06

Family

ID=4613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145A KR101239449B1 (ko) 2010-09-08 2010-09-08 유리커버 내부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918B1 (ko) 2012-09-10 2019-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TWI588791B (zh) * 2012-09-28 2017-06-21 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3882A (ja) * 1992-10-13 1994-05-0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H11219121A (ja) 1998-02-03 1999-08-10 Anritsu Corp 表示機の結露防止構造
KR20070082673A (ko) * 2006-02-17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3882A (ja) * 1992-10-13 1994-05-0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H11219121A (ja) 1998-02-03 1999-08-10 Anritsu Corp 表示機の結露防止構造
KR20070082673A (ko) * 2006-02-17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939A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5116B2 (en) Bezel packaging for sealed glass assemblies and a glass assembly therefor
US20080120946A1 (en) Bezel packaging of frit-sealed OLED devices
WO2016086537A1 (zh) Oled封装结构及其封装方法
US7999467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or minimizing inflow of oxygen and moisture from the outside
WO2016086535A1 (zh) Oled封装结构及其封装方法
CN112282593A (zh) 多层玻璃和多层玻璃的制备方法
US9947891B2 (en) OLED packaging method and OLED packaging structure
CN211826839U (zh) 显示组件及显示设备
TWI366416B (en) Hermetically seale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aling
TW200420181A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074445A1 (en) Vacuum insulating glass (vig) unit pump-out tube protecting techniques, and/or vig units incorporating the same
WO2016086533A1 (zh) Oled封装方法及oled封装结构
CN102983279A (zh) 一种有机发光二极管封装结构
TWI617732B (zh) 玻璃平板單元及玻璃窗
KR101239449B1 (ko) 유리커버 내부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159128B2 (en) Sealed thick film dielectr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TW2007347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N100561639C (zh) 一种冷阴极平面光源的制造方法
JP2006085920A (ja) 有機el背面キャップ
WO2016119307A1 (zh) Oled封装结构及oled封装方法
JP2014240333A (ja) スペーサ付きガラス板及び複層ガラス窓の組立方法
KR2013007660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8896269U (zh) 一种具有隔热结构的miniLED面板
US9063375B2 (en) LCD panel, LCD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
CN220841748U (zh) 耐磨防水塑料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