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382B1 -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382B1
KR101239382B1 KR1020100118618A KR20100118618A KR101239382B1 KR 101239382 B1 KR101239382 B1 KR 101239382B1 KR 1020100118618 A KR1020100118618 A KR 1020100118618A KR 20100118618 A KR20100118618 A KR 20100118618A KR 101239382 B1 KR101239382 B1 KR 101239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ception sensitivity
remote controller
safety tripod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060A (ko
Inventor
김대식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이커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커스텍(주) filed Critical 이커스텍(주)
Priority to KR102010011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3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및 그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안전 삼각대는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부; 리모트 컨트롤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수신감도 측정부; 및 수신감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수신감도와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할 때까지 모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삼각대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로 이동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안전 삼각대를 가지고 이동하여 설치하는데 따른 위험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및 그 구동 방법{Warning triangle controlled by wireles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무선으로 제어되는 안전 삼각대 및 그 안전 삼각대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서 차량을 운행하는 도중 사고가 발생하거나 고장 등에 의한 비상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차량을 도로 또는 도로의 우측 갓길에 정차하게 된다. 이 때, 정차된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다른 차량에게 차량이 정차 되어 있음을 주지시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여야 한다.
최근 들어 도로 상에 정차된 차량에 의해 발생한 여러 교통사고에 의해 자동차 안전 삼각대에 대한 운전자들의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다. 안전 삼각대라는 용어 조차도 생소하게 느껴질 정도로 자주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근래에는 만약의 사고에 대비하지 않으면 엄청난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도로교통법 제61조 및 제62조 제2항에 운전자는 안전 삼각대를 의무적으로 휴대하여야 하며, 고장 등의 이유로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주, 정차시 반드시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를 어기는 경우 범칙금을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이 도로 상에 갑자기 멈추어 섰을 경우에는 안전 삼각대를 반드시 설치하여 지나가는 차량과 부딪치지 않도록 하고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차량 운행이 어려울 경우 차량의 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지점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고 손을 흔들어 멀리에서 오는 차량이 확인하고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안전 삼각대는 사용자(즉, 차량 소유자)가 직접 차량의 후방으로 약 50~200m를 이동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뒤따르는 차들로 인해 사용자에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소지가 있으며, 더욱이 어두운 밤일 경우에는 그 문제점이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비상 상황이나 고장 등으로 갓길에 차량을 주차한 다음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자가 느끼는 심리적인 거리는 실제적인 거리보다 더욱 멀게 느껴지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설치되는 안전 삼각대는 설치 기준 거리보다 휠씬 가까운 거리에 설치되는 경향이 자주 발생하며, 이와 같은 이유로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고서도 기준 거리의 미만으로 인하여 각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로상에 차량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소방서, 경찰서 등에 신속한 신고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갑작스런 사고에 의해 운전자는 당황하게 되어 이에 대한 조치가 미흡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옮길 필요가 없이 리모트 컨트롤러로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안전 삼각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기준거리를 만족하는 지점에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며 또한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안전 삼각대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 현장의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는 안전 삼각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안전 삼각대에 있어서,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부; 리모트 컨트롤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수신감도 측정부; 및 상기 수신감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수신감도와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할 때까지 상기 모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 삼각대는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GPS 수신부에 의해 측정된 최초 출발지 위치와 일정 거리 이상 이동 후에 측정된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최종 목적지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최종 목적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새로운 목적지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목적지 위치 정보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삼각대는 온도, 습도, 바람 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GPS 수신부에 의해 측정된 위치 정보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삼각대는 가시광선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가시광선의 광량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를 이동시키는 모터 구동부가 구비된 안전 삼각대에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이동목표거리를 입력받는 단계; 이동을 시작한 이후, 리모트 컨트롤러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수신감도와 상기 이동목표거리에 따른 설정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할 때까지 상기 모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 삼각대 구동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출발 이전에 구비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출발 위치, 이동 시작 후 일정 거리를 이동한 이후 측정한 중간 위치 및 상기 이동목표거리를 이용하여 최종 목적지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목적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새로운 목적지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목적지 위치 정보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 구동부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삼각대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로 이동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안전 삼각대를 가지고 이동하여 설치하는데 따른 위험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설정한 위치에 보다 정확히 안전 삼각대를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해 기준거리를 보다 정확히 만족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삼각대에 의하면, 사고 현장의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함에 따라, 소방서, 경찰서 등으로 사고소식뿐 아니라 사고현장 주변의 상황정보를 손쉽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안전 삼각대를 제어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삼각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컨트롤러를 예시한 전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삼각대가 설정된 이동목표거리만큼 이동하기 위한 구동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종 목적지 위치의 산출 방식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안전 삼각대를 제어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전 삼각대(30)는 무선으로 통신되는 리모트컨트롤러(10)에 의해 제어된다.
사용자(즉 차량 소유주)는 사고 또는 차량 고장 등에 의한 이유로 차량을 도로 또는 갓길에 주차 또는 정차하게 되면, 차량의 후방으로 50~200m 정도의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 안전 삼각대(30)를 설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안전 삼각대(30)를 설치하고자 하는 도로 상에 내려 놓은 후, 리모트컨트롤러(10)로 제어하여 안전 삼각대(30)를 이동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원하는 위치에 안전 삼각대(3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리모트컨트롤러(10)로 안전 삼각대(30)의 구동 거리, 방향 등을 조종할 수 있어 편리하게 안전 삼각대(30)의 설치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삼각대(30)는 이동목표거리를 설정해 놓으면 리모트컨트롤러(10)와의 무선 통신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목표거리만큼만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는 이동목표거리만 설정하면 별다른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안전 삼각대(30)의 이동 방향 등의 조종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이동목표거리만을 설정해 놓으면 안전 삼각대(30)가 자동으로 해당 거리만큼 이동한 이후 정지하여 원하는 위치에 안전 삼각대(3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보다 정확한 위치에 안전 삼각대(30)를 설치하기 위해, 목적지의 좌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안전 삼각대(30)에 구비된 GPS 수신기에 의해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가 인식되고, 이를 수신한 리모트컨트롤러(10)는 해당 좌표에 따른 지도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는 그 지도 정보에서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기만 하면, 그 선택된 지점이 최종 목적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최종 목적지에 대한 좌표 정보가 리모트컨트롤러(10)로부터 안전 삼각대(30)로 전달됨으로써, 안전 삼각대(30)는 그 최종 목적지로 곧바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삼각대(30)는 단순히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안전 표시수단으로써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온도, 습도, 바람세기 등을 센싱(sensing)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사고 발생 현장의 상황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 기능으로 외부의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통신 장치라 하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예를 들어, 일반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등) 또는 인터넷망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소방서의 긴급출동 센터 또는 경찰서 등의 관공서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무선 통신 기능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뿐 아니라, 와이파이(wifi)와 같이 인터넷망 등의 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근거리 통신 기술 및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기술은 현재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어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한 기능 이외의 다양한 기능을 가진 안전 삼각대(3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삼각대(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컨트롤러(10)를 예시한 전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삼각대(30)는 GPS 수신부(32), 무선 통신부(34), 수신감도 측정부(36), 모터 구동부(38), 전원부(40), 센서부(42), 발광부(44) 및 메인 제어부(46)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구성부(예를 들어, 수신감도 측정부(36) 등)는 반드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메인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전 삼각대(30)는 삼각형 모양의 형상을 갖는 삼각대 본체, 삼각대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와 같은 이동부 등의 구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GPS 수신부(32)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GPS 수신기는 현재에도 네비게이션 단말기, 아이폰(I-Phone) 등의 전자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 통신부(34)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거나 발송하여 리모트컨트롤러(10)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34)는 단순히 리모트컨트롤러(10)와의 통신뿐 아니라,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타 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안전 삼각대(30)는 와이파이 기능을 이용하여 주변 AP(access pointer) 장치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소방서, 경찰서 등의 서버로 상기한 바와 같은 사고 발생 현장의 상황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수신감도 측정부(36)는 리모트컨트롤러(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인 수신감도(RSSI)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수신감도는 수신기의 측정회로로 인해 생성된 수신기 입력에서의 평균 신호강도 지수를 말하는 것으로, 현재에도 이동통신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모터 구동부(38)는 삼각대 본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바퀴 등의 이동수단을 움직이게 하기 위한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전원부(40)는 안전 삼각대(30)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충전식 배터리(battery)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원부(40)는 솔라셀을 구비하여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삼각대(30)의 삼각형 모양의 안전판에 솔라셀이 부착되거나, 안전판 자체가 솔라셀로 구현됨으로써, 태양광 발전이 구동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센서부(42)는 주변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가시광선에 따른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광량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발광부(44)는 야간에 빛을 발광하기 위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42)의 광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외부의 광량에 따라 발광부(44)의 구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발광부(44)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46)는 리모트컨트롤러(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 구동부(38)를 제어하여 삼각대 본체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센서부(42)에 의해 측정된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발광부(44)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GPS 수신부(32)에 의한 위치 정보와 함께 주변 상황(온도, 습도, 바람세기 등)을 인식하여 주변 상황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34)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도록 기능한다.
특히, 메인 제어부(46)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거나, 버튼방식과 같은 구비된 입력수단(미도시)을 통해 이동목표거리가 입력되면, 수신감도 측정부(36)에 의해 측정되는 리모트컨트롤러(10)로부터 발송된 신호의 수신감도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목표거리만큼만 이동되도록 모터 구동부(38)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 방법을 차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리모트컨트롤러(10)를 예시한 도 3을 참조하면, 리모트컨트롤러(10)는 디스플레이 모듈(12), 방향조절버튼(14), 이동거리 설정버튼(1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안전 삼각대(3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 상기한 디스플레이 모듈(12)의 출력을 제어하고, 방향조절버튼(14) 및 이동거리 설정버튼(16)에 의한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제어 수단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방향조절버튼(14)은 안전 삼각대(3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방향조절버튼(14)의 상하좌우 버튼을 이용하여 안전 삼각대(30)의 이동 방향 및 이동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동거리 설정버튼(16)은 안전 삼각대(30)의 이동목표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50m, 100m, 150m, 200m 등 다양한 거리를 한번의 조작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거리 및 조작 방식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거리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버튼 방식이 아닌 휠(wheel) 방식 또는 수치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방법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동목표거리가 설정되면, 이에 대한 정보가 안전 삼각대(30)로 전송되어, 안전 삼각대(30)는 해당 이동목표거리만큼만 이동되는 것이며, 안전 삼각대(30)가 설정된 이동목표거리만큼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2)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다양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주변 상황정보(온도, 습도, 바람세기, 광량 등) 등 안전 삼각대(3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안전 삼각대(30)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2)이 터치스크린(touch-screen)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한 방향조절버튼(14) 및 이동거리 설정버튼(16)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여기서, 리모트컨트롤러(10)는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개인휴대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한 리모트컨트롤러(10)의 기능은 상기한 스마트폰 등의 개인휴대전자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이하, 안전 삼각대(30)가 상기한 바와 같은 수신감도를 이용하여 설정된 이동목표거리만큼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삼각대(30)가 설정된 이동목표거리만큼 이동하기 위한 구동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안전 삼각대(30)는 이동목표거리를 입력 받는다(S410). 이동목표거리의 입력은 안전 삼각대(30) 자체에 구비된 입력 수단(예를 들어 버튼, 휠, 스위치 등으로 구현)에 의해 입력되거나, 리모트컨트롤러(10)부터 수신될 수 있다. 하나의 예를 들자면,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모트컨트롤러(10)의 이동거리 설정버튼(16)을 조작하여 이동목표거리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이동목표거리에 대한 정보가 무선으로 안전 삼각대(30)로 전달된다.
안전 삼각대(30)는 놓여진 방향대로 이동을 시작하고(S420), 리모트컨트롤러(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측정한다(S430).
안전 삼각대(30)는 측정된 수신감도와 설정된 이동목표거리에 따른 설정값이 동일한지 서로 비교한다(S440). 여기서, 상기한 설정값이란, 설정된 이동목표거리만큼 안전 삼각대(30)와 리모트컨트롤러(10)가 서로 이격되는 경우에 측정되는 수신감도의 값을 의미하는 것이다. 안전 삼각대(30)는 50m, 100m, 150m, 200m, 250m, 300m 등 각 거리에 대한 설정값을 미리 유지하고 있어, 설정된 이동목표거리에 따른 설정값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쉽게 말해, 리모트컨트롤러(10)와 안전 삼각대(30)가 100m 이격되는 경우 안전 삼각대(30)에서 평균적으로 측정되는 수신감도가 -40dBm이라 가정하면, 이동목표거리 100m의 설정값은 -40dBm 이 되는 것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값을 예시한 아래의 표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목표거리 설정값
50m '1단계' (-30dBm)
100m '2단계' (-40dBm)
150m '3단계' (-50dBm)
200m '4단계' (-60dBm)
250m '5단계' (-70dBm)
300m '6단계' (-80dBm)
위와 같이, 안전 삼각대(30)는 각 이동목표거리마다의 설정값을 미리 보유하고 있어 입력된 이동목표거리에 따른 설정값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 삼각대(30)는 현재 측정된 수신감도와 설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입력된 이동목표거리만큼 현재 이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측정된 수신감도와 설정값이 동일하지 않다면, 아직 입력된 이동목표거리만큼 이동을 하지 않은 것이므로, 더 이동을 수행하고 차후 다시 수신감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아직 목적지에 안전 삼각대(30)가 도착하지 않았다면, 리모트컨트롤러(10)와 안전 삼각대(30)간의 거리가 이동목표거리 보다 가까워 수신율이 좋아 측정된 수신감도가 설정값보다 큰 값을 가질 것이다.
S440에서의 판단 결과 만일, 측정된 수신감도와 설정값이 동일하면, 안전 삼각대(30)는 입력된 이동목표거리만큼 이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동을 정지한다(S450).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만일 안전 삼각대(30)가 입력된 이동목표거리보다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된 수신감도와 설정값을 비교하여, 수신감도가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원래의 방향대로 이동이 유지되고, 수신감도가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 더 멀리 이동된 것으로 판단되어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런 방식으로 수신감도와 설정값이 동일(또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로 유사)할 때까지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삼각대(30)는 최초 놓여진 방향대로만 상하로 이동을 수행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최초에 정확한 방향을 향하도록 안전 삼각대(30)를 바닥에 놓아야만 한다. 만일 좌우로 방향이 틀어지게 되면 잘못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리모트컨트롤러(10)의 방향조절버튼(14)을 이용하여 안전 삼각대(30)의 이동 방향을 조작해야 한다.
상기한 방향이 틀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안전 삼각대(30)는 이동목표거리가 입력되면(S510), 출발전에 현재 위치인 출발 위치를 구비된 GPS 수신부(32)를 이용하여 측정한다(S515).
이후, 안전 삼각대(30)는 이동을 시작하고(S520), 이동 이후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예를 들어, 10m)만큼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하여(S525), 상기한 일정 거리만큼의 이동이 완료되면 현재 위치를 다시 측정한다(S530).
안전 삼각대(30)는 상기한 출발 위치 및 현재 위치와 입력된 이동목표거리를 이용하여 최종 목적지 위치를 산출한다(S53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종 목적지 위치의 산출 방식을 예시한 도면인 도 6을 참조하면, 출발 위치와 현재 위치간의 거리가 상기한 일정 거리이므로, 출발 위치에서 현재 위치 방향으로 입력된 이동목표 거리(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m)만큼 확장하면 최종 목적지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안전 삼각대(30)는 산출된 최종 목적지 위치에 대한 정보를 리모트컨트롤러(10)로 전송한다(S540). 리모트컨트롤러(10)는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2)을 통해 최종 목적지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리모트컨트롤러(10)는 안전 삼각대(30)로부터 해당 최종 목적지 위치에 따른 GPS 좌표값을 수신하고 이를 지도에 매핑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안전 삼각대(30)로부터 최종 목적지 위치가 표시되는 지도 자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전 삼각대(30)가 이동하여 최종 설치된 최종 목적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최종 목적지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면 방향조절버튼(14)을 조작하거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최종 목적지 위치가 표시된 지도 내에서 원하는 새로운 최종 목적지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새로운 최종 목적지 위치가 설정되면 이에 대한 정보는 리모트컨트롤러(10)에서 안전 삼각대(30)로 제공될 수 있다.
안전 삼각대(30)는 수신감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S545), 측정된 수신감도가 이동목표거리에 따른 설정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최종 목적지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인식되면 이동을 정지한다(S570).
만일, 측정된 수신감도와 이동목표거리에 따른 설정값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아직 목적지에 도착하지 않은 것이므로, 안전 삼각대(30)는 계속 이동을 유지하고, 다시 S545로 이동한다. 그리고,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새로운 최종 목적지 위치에 대한 정보가 리모트컨트롤러(10)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55). 새로운 최종 목적지 위치 정보가 리모트컨트롤러(1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안전 삼각대(30)는 해당 최종 목적지 위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 방향을 변경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최초 이동목표거리만을 입력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트컨트롤러(10)에 GPS 수신기가 구비되는 경우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그 위치에 따른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삼각대(30)가 최종적으로 위치한 목적지에 대한 정보도 함께 설정하여 안전 삼각대(3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안전 삼각대(30)는 수신된 최종 목적지에 대한 좌표값과 이동목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최종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삼각대의 구동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리모트컨트롤러
12 : 디스플레이 모듈
14 : 방향조절버튼
16 : 이동거리 설정버튼
30 : 안전 삼각대
32 : GPS 수신부
34 : 무선 통신부
36 : 수신감도 측정부
38 : 모터 구동부
40 : 전원부
42 ; 센서부
44 : 발광부
46 : 메인 제어부

Claims (9)

  1. 안전 삼각대에 있어서,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부;
    리모트 컨트롤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수신감도 측정부;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수신부: 및
    상기 수신감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수신감도와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할 때까지 상기 모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GPS 수신부에 의해 측정된 최초 출발지 위치와 일정 거리 이상 이동 후에 측정된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최종 목적지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최종 목적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새로운 목적지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목적지 위치 정보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4. 제 1항에 있어서,
    온도, 습도, 바람 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GPS 수신부에 의해 측정된 위치 정보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5. 안전 삼각대에 있어서,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부;
    리모트 컨트롤로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수신감도 측정부;
    가시광선을 센싱하는 센싱부;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수신감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수신감도와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할 때까지 상기 모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가시광선의 광량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6. 본체를 이동시키는 모터 구동부가 구비된 안전 삼각대에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이동목표거리를 입력받는 단계;
    이동을 시작한 이후, 리모트 컨트롤러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수신감도와 상기 이동목표거리에 따른 설정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할 때까지 상기 모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 삼각대 구동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출발 이전에 구비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출발 위치, 이동 시작 후 일정 거리를 이동한 이후 측정한 중간 위치 및 상기 이동목표거리를 이용하여 최종 목적지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목적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 삼각대 구동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새로운 목적지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목적지 위치 정보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안전 삼각대 구동 방법.
  9.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00118618A 2010-11-26 2010-11-26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및 그 구동 방법 KR101239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618A KR101239382B1 (ko) 2010-11-26 2010-11-26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618A KR101239382B1 (ko) 2010-11-26 2010-11-26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060A KR20120057060A (ko) 2012-06-05
KR101239382B1 true KR101239382B1 (ko) 2013-03-05

Family

ID=4660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618A KR101239382B1 (ko) 2010-11-26 2010-11-26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3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751B1 (ko) 2015-10-22 2016-12-30 장성수 Iot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스마트 사고 접수 시스템 및 사고 접수 방법
KR20190117278A (ko) * 2018-04-06 2019-10-16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캐리어형 비상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782B1 (ko) * 2014-04-16 2015-07-22 김형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비상 표시장치
DE102016221085A1 (de) * 2016-10-26 2018-04-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bsicherung eines Fortbewegungsmittels
CN111376828A (zh) * 2018-12-27 2020-07-07 大陆汽车电子(连云港)有限公司 警示牌
KR102358844B1 (ko) * 2020-04-09 2022-02-04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사고 알림 장치, 차량사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4936U (ko) * 1979-09-14 1981-04-22
JP2006264526A (ja) 2005-03-24 2006-10-05 Yamaha Motor Co Ltd 無人ヘリコプタの重量物配置構造
KR100778895B1 (ko) * 2006-08-03 2007-11-22 윤근수 무선 조종이 가능한 승용완구
JP2008506926A (ja) 2004-01-29 2008-03-06 ノースロップ グラマン コーポレイション 自動地上走行管理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4936U (ko) * 1979-09-14 1981-04-22
JP2008506926A (ja) 2004-01-29 2008-03-06 ノースロップ グラマン コーポレイション 自動地上走行管理
JP2006264526A (ja) 2005-03-24 2006-10-05 Yamaha Motor Co Ltd 無人ヘリコプタの重量物配置構造
KR100778895B1 (ko) * 2006-08-03 2007-11-22 윤근수 무선 조종이 가능한 승용완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751B1 (ko) 2015-10-22 2016-12-30 장성수 Iot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스마트 사고 접수 시스템 및 사고 접수 방법
KR20190117278A (ko) * 2018-04-06 2019-10-16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캐리어형 비상표시장치
KR102036629B1 (ko) * 2018-04-06 2019-10-25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캐리어형 비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060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382B1 (ko)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및 그 구동 방법
KR102325049B1 (ko) 보행자의 안전과 연관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4778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object height for overhead clearance detection
KR200468124Y1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CN105788321B (zh) 车辆通信方法、装置及系统
KR101586706B1 (ko) 카스토퍼 지자기 무선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US20170316685A1 (en) Vehicle accid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538544B1 (ko) 지오-펜스 기반 차량 과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8994557B2 (en) Modular collision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347666B1 (ko) 지능형 교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방법
JP2018146560A (ja) 入出庫検知装置及び駐車管理システム
KR101471755B1 (ko) 리모컨 키를 이용한 차량 주차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888145A (zh) 一种激光雷达及其使用方法、以及一种激光雷达系统
US20150002311A1 (en) Active beacon for vulnerable road users
JP6706406B2 (ja) 携帯機器、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5966245B (zh) 一种智能提示系统
KR101878205B1 (ko)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23952A (ko) 근접 차량의 운행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06394301A (zh) 电动汽车无线充电的发射与接收装置的瞄准系统及方法
KR101500207B1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전기 차량의 잔존거리 예측 방법 및 장치
CN209842070U (zh) 一种基于智能设备的室内定位系统
KR102122552B1 (ko) 차량으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는 보행자 경고 시스템
KR102517113B1 (ko) 지오-펜스 기반 차량의 음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027684B1 (ko) 차량 높이 단속용 전광판
KR102435542B1 (ko) 도로관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