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439B1 - 막걸리 용기 - Google Patents

막걸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439B1
KR101237439B1 KR1020110003004A KR20110003004A KR101237439B1 KR 101237439 B1 KR101237439 B1 KR 101237439B1 KR 1020110003004 A KR1020110003004 A KR 1020110003004A KR 20110003004 A KR20110003004 A KR 20110003004A KR 101237439 B1 KR101237439 B1 KR 10123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kgeolli
container
container body
layer
rice w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1725A (ko
Inventor
최귀종
박제영
Original Assignee
박제영
최귀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제영, 최귀종 filed Critical 박제영
Priority to KR102011000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4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걸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PET 소재에 의한 PET층과 산소 차단성이 우수한 EVOH 소재에 의한 EVOH층으로 구성되거나 유리 또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기체 차단성을 갖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최내층에 형성되며, 용기몸체 내에 수용된 막걸리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착 처리하기 위한 흡착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착층은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와 같은 다공성 흡착물질 또는 다공성 흡착물질에 탄산나트륨을 첨가한 혼합물로 형성되는 막걸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막걸리 용기{BOTTLE FOR RAW RICE WINE}
본 발명은 막걸리를 내부에 담아 시중에 유통시키기 위한 막걸리 전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기체 차단성을 높이면서 용기 내에 수용되는 막걸리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용기측 폭발 가능성을 없앨 수 있도록 하며, 용기에 수용되는 막걸리 내 초산균의 활동을 억제시키고 막걸리의 산화 촉진에 의한 변질을 막을 수 있도록 하며, 생막걸리 등 막걸리의 유통기한을 늘릴 수 있도록 한 막걸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걸리(makgeolli; raw[unrefined, crude] rice wine)는 찹쌀, 멥쌀, 보리 또는 밀가루를 찐 다음 누룩과 물을 섞고 발효시킨 것을 걸러서 짜낸 발효주로서, 탁주(濁酒)나 농주(農酒), 재주(滓酒), 회주(灰酒)라고도 하는데, 이 막걸리는 다른 주류와는 달리 단백질과 아미노산, 탄수화물, 유산균, 비타민 등이 풍부해 고른 영양소를 가지고 있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며, 알코올 함량은 6~8% 정도로 비교적 낮다.
이와 같이, 막걸리는 쌀을 발효시켜 만든 알코올 음료로서, 탄수화물이 다량 들어 있는 쌀에 효모가 들어 있는 누룩을 첨가해 발효시키면, 탄수화물(포도당)이 알코올로 바뀌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잡균이 들어가게 되는데, 대부분의 잡균은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알코올로 인해 곧 죽기 때문에 염려할 필요가 없으나, 알코올에도 견뎌낼 수 있는 초산균이 문제이다.
이 초산균은 아세토박터라고도 하는데, 공기가 풍부한 액면(液面)에서 잘 번식하고, 대개 짧은 막대모양이지만, 사슬모양으로 연결된 경우도 있으며,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알코올을 아세트산으로 변화시키는 아세트산발효를 일으키는 것으로서, 술을 포함하는 발효식품을 시게 만드는 원인균이다.
일 예로, 유통된 막걸리가 며칠 지나면 시큼한 맛이 나는 것은 이 초산균의 활동에 의한 작용 때문이며, 막걸리의 산화에 따른 변질을 촉진하는 원인으로 생 막걸리의 유통기한이 짧을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초산균은 호기성 균으로 산소를 소비하면서 활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초산균의 활동을 막기 위해 막걸리 용기 내 산소를 없애면 되지 않겠나 하는 원리적 이론이 도출될 수 있으나, 현재 막걸리 용기는 내부에 수용되는 막걸리가 발효식품인 특성상 막걸리 용기의 기체 차단성을 높일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 외부에서 용기측으로 산소가 다시 유입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초산균의 활동을 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부연하여, 막걸리 용기의 기체 차단성이 낮을 수밖에 없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막걸리는 발효식품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되는데, 막걸리 용기의 기체 차단성을 높이게 되면 막걸리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해 용기 내부의 압력을 높이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용기의 변형이 이루어지거나 폭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막걸리의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해 막걸리 용기 내 산소를 차단하는 방식은 상당한 어려움 및 상술한 단점들을 모두 해결하여야 한다.
한편, 막걸리 용기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재질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막걸리의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통상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막걸리 용기 내 산소를 차단하는 방식보다는 막걸리 자체를 열처리하여 살균 처리하는 방식과, 멸균환경에서 오직 효모만을 첨가해 발효시켜 술을 담그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통상의 기술들은 열처리시설 또는 멸균시설을 구축하여야 함에 따라 많은 설비비용이 소요되고, 누룩을 쓸 수 없어 막걸리 고유의 미묘한 맛을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 등 제대로 된 생막걸리의 맛을 표출 및 소비자에게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 내부로의 산소 유입을 차단하는 등 용기의 기체 차단성을 높이면서 막걸리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용기측 폭발 가능성을 없앨 수 있도록 한 막걸리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에 수용되는 막걸리 내 초산균의 활동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막걸리의 산화 촉진에 의한 변질을 막을 수 있도록 하며, 생막걸리 등 막걸리의 유통기한을 늘릴 수 있도록 한 막걸리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개선을 통해 생막걸리 고유의 미묘한 맛을 재현 및 제대로 된 생막걸리의 맛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하며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막걸리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막걸리 용기는, 기체 차단성을 갖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최내층에 형성되며, 용기몸체 내에 수용된 막걸리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착 처리하기 위한 흡착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몸체는 최외층에 위치되며, PET 소재에 의한 PET층; 상기 PET층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산소 차단성이 우수한 EVOH 소재에 의한 EVOH층;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몸체는 유리 또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층은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 활성탄, 제올라이트, 숯, 벤토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다공성 흡착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층은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 활성탄, 제올라이트, 숯, 벤토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다공성 흡착물질에 탄산나트륨을 첨가한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층은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 활성탄, 제올라이트, 숯, 벤토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다공성 흡착물질 50~80중량%; 탄산나트륨 20~50중량%; 의 조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층은 용기몸체의 바닥면 안쪽 또는 용기몸체에 결합되는 뚜껑 안쪽에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몸체를 기체 차단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막걸리 내 초산균의 활동 원인이 되는 산소의 용기 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막걸리 내 초산균의 활동을 억제하게 되므로 막걸리의 산화와 초산의 발효 촉진을 방지 및 막걸리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를 흡착할 수 있는 다공성 흡착물질로 용기몸체의 내측에 흡착층을 구성함에 따라 막걸리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를 다공성 기공 내로 흡착하여 채우므로 막걸리 용기 내 이산화탄소에 의한 기압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막걸리 용기가 팽창되어 변형되거나 또는 폭발하는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
궁극적으로, 생막걸리를 포함하는 막걸리의 유통기한을 크게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막걸리의 제대로 된 맛을 살릴 수 있게 하면서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단면 구성의 일 예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용기에 있어 용기몸체와 흡착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단면 구성의 일 예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용기에 있어 용기몸체와 흡착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 구조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용기(100)는, 도 1에 나타낸 예시에서와 같이, 내부에 막걸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형체로서 산소와 같은 기체의 유입과 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기체 차단성을 갖는 소재로 구비되는 용기몸체(110)와, 상기 용기몸체(110)의 최내층에 형성되며, 용기몸체(110) 내에 수용된 막걸리에서 발생되어지는 이산화탄소를 흡착 처리하기 위한 흡착층(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몸체(110)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때로는 유리 소재 또는 알루미늄 캔과 같은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몸체(110)의 형체는 병이나 캔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몸체(110)는 플라스틱 소재의 구성을 갖는 경우, 도 2a 및 도 2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최외층에 위치되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소재에 의한 PET층(111)과, 상기 PET층(111)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산소 차단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Ethylene Vinyl Alcohol) 소재에 의한 EVOH층(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2a에서와 같은 PET층(111)과 EVOH층(112)의 연속 구성은 공지의 공압출 방식을 이용하였을 경우 접착제의 사용 없이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며, 도 2b에서와 같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각 층을 접착하는 방식으로 PET층(111)과 EVOH층(112) 사이에 접착층(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ET층(111)은 쉽게 파손되지 않는 우수한 강도를 지닌 PET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막걸리 용기(100)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EVOH층(112)은 막걸리 용기(100)의 외부에서 막걸리가 수용된 내부로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막걸리의 산화 촉진을 방지함은 물론 호기성 균인 초산균의 활동 원인을 원초적으로 제거하여 초산균의 활동을 억제 및 막걸리가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2c는 상기 용기몸체(110)를 유리 소재 또는 알루미늄 캔과 같은 금속 소재로 구성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흡착층(120)은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층(B)을 통하여 용기몸체(110)측에 결합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층(120)은 용기몸체(110)의 최내층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막걸리 용기(100) 내에 수용되는 막걸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구조층으로, 막걸리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CO2)의 흡착 용이성을 위해 다공성 조직을 갖는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는 알루미나를 나노입자의 다공성 물질로 만든 것으로서, 5.6nm의 기공과 375m2/g의 넓은 표면적을 지니고 있어서 아주 우수한 이산화탄소(CO2) 흡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부연하면,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는 막걸리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착 처리하되, 나노 크기의 다공성 기공 내에 이산화탄소를 채우게 되므로 막걸리 용기(100) 내 기압의 변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하고, 이를 통해 막걸리 용기(100)의 팽창에 의한 폭발위험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층(120)은 수분이 있는 조건에서의 이산화탄소(CO2) 흡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에 이산화탄소(CO2) 흡착력이 좋은 탄산나트륨(Na2CO3)을 첨가한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 50~80중량%와 탄산나트륨 20~50중량%로 이루어진 조성의 혼합형태로 흡착층(12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산나트륨(Na2CO3)은 하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서, 가격이 저렴하면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를 흡착하기 위한 주재료인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효과는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수학식 1)
Na2CO3 + CO2 + H2 --> 2NaHCO3
덧붙여, 상기 흡착층(120)은 용기몸체(110)의 바닥면 안쪽 또는 용기몸체(110)의 뚜껑(101) 안쪽에도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흡착층(120)의 구성에 적용되는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는 자체적으로 무수한 다공성을 갖는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흡착성이 우수한 활성탄, 제올라이트, 숯, 벤토나이트 등의 다공성 흡착물질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때, 다공성 흡착물질 중에서 활성탄은 미세공이 잘 발달되고 무수한 미세공 간의 통로로 연결되어 넓은 내부 표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뛰어난 다공성 흡착물질이며, 마이크로 크기에서 나노 크기에 이르는 미세한 세공을 가질 뿐만 아니라 통상 500~1500m2/g의 매우 넓은 내부 표면적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이산화탄소(CO2) 흡착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다공성 흡착물질 중에서 제올라이트와 숯, 벤토나이트 등은 흡착기능과 더불어 살균 및 항균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막걸리 용기(100) 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의 흡착은 물론 살균과 항균 작용을 통해 막걸리 내 초산균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초산균의 활동을 억제하는데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흡착층(120)은 접착제의 사용에 따른 접착층(B)의 형성으로 용기몸체(110)의 최내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때로는, 용기몸체(110)의 내측면에 분무건 등을 활용한 코팅작업으로 상기 흡착층(1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접착층(B)은 접착성 수지에 의한 접착제의 사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에틸렌 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 등과 같은 접착성 수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층(B)을 위한 접착성 수지로 비닐 방향족계 탄화수소와 공액 디엔계 탄화수소의 공중합체,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올레핀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층(B)을 위한 접착제는 상기한 예시에 의해 특별히 한정된다 할 수 없으며, 쉽게 박리되지 않고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접착성 수지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용기(100)는, 용기몸체(110)를 기체 차단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함에 의해 기존에 비해 용기의 차단성을 높일 수 있어 막걸리 내 초산균의 활동 원인이 되는 산소의 용기 내 유입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막걸리 내에서 호기성 균인 초산균의 활동을 억제하게 되므로 막걸리의 산화와 초산의 발효를 촉진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막걸리가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몸체(110)를 통해 산소와 같은 기체가 미세하게 유입된다 하더라도 용기몸체(110)의 내측에 다공성 흡착물질에 의한 흡착층(120)이 구비됨에 따라 이 흡착층(120)으로 흡착되어지므로 막걸리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막걸리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게 된다.
나아가, 흡착층(120)에서는 막걸리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착 처리하게 되는데, 다공성 기공 내로 흡착되면서 이산화탄소가 채워지기 때문에 막걸리 용기(100) 내에 기압의 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막걸리 용기(100)가 팽창되어 변형되거나 또는 폭발하는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막걸리 용기(100)는, 용기의 차단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다공성 흡착물질을 이용함에 따라 이산화탄소로 인한 용기의 폭발 가능성을 없앨 수 있으며, 막걸리의 유통기한을 기존 최장 10일에서 3개월~4개월 정도까지 크게 늘릴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0 : 막걸리 용기 110 : 용기몸체
111 : PET층 112 : EVOH층
120 : 흡착층 B : 접착층

Claims (7)

  1. 막걸리를 내부에 수용하여 유통시키기 위한 막걸리 용기에 있어서,
    기체 차단성을 갖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최내층에 형성되며, 용기몸체 내에 수용된 막걸리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착 처리하기 위한 흡착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몸체는,
    최외층에 위치되며, PET 소재에 의한 PET층;
    상기 PET층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산소 차단성이 우수한 EVOH 소재에 의한 EVOH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층은,
    다공성 흡착물질인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 50~80중량%;
    탄산나트륨 20~50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층은,
    용기몸체의 바닥면 안쪽 또는 용기몸체에 결합되는 뚜껑 안쪽에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 용기.
KR1020110003004A 2011-01-12 2011-01-12 막걸리 용기 KR10123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004A KR101237439B1 (ko) 2011-01-12 2011-01-12 막걸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004A KR101237439B1 (ko) 2011-01-12 2011-01-12 막걸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725A KR20120081725A (ko) 2012-07-20
KR101237439B1 true KR101237439B1 (ko) 2013-02-26

Family

ID=4671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004A KR101237439B1 (ko) 2011-01-12 2011-01-12 막걸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4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9825A (en) * 1978-10-26 1980-05-06 Dainippon Printing Co Ltd Carbon dioxide gas absorbing sheet
JP2002051697A (ja) * 2000-08-07 2002-02-19 Mitsubishi Gas Chem Co Inc 発酵漬け物の保存方法
KR20060118594A (ko) * 2004-02-19 2006-11-23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 다층 구조체
KR20100110914A (ko) * 2009-04-06 2010-10-14 정용진 캔주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9825A (en) * 1978-10-26 1980-05-06 Dainippon Printing Co Ltd Carbon dioxide gas absorbing sheet
JP2002051697A (ja) * 2000-08-07 2002-02-19 Mitsubishi Gas Chem Co Inc 発酵漬け物の保存方法
KR20060118594A (ko) * 2004-02-19 2006-11-23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 다층 구조체
KR20100110914A (ko) * 2009-04-06 2010-10-14 정용진 캔주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725A (ko) 201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08823B2 (en) Novel bioactive packages and the closures thereof
CA2354727A1 (en) Selective degassing valve for containers of aromatic or odorous products, such as coffee and the like
ES2708935T3 (es) Cierre para un recipiente de retención de producto
WO2006042222A3 (en) Carbonated protein drink and method of making
KR960013212A (ko) 김치의 저장방법 및 그 저장용기
JP2016193763A (ja) 乳酸菌及び乾燥剤を含む産物
US11225635B2 (en) Beverage containers with controlled oxygen transmission features
KR101237439B1 (ko) 막걸리 용기
ES2491765T3 (es) Vino envasado en recipientes de aluminio
JP5360542B2 (ja) 米飯を長期に美味しく保存しえる容器
JP6041652B2 (ja) キャップ用ライナー及びライナー付きキャップ並びにキャップ付き容器
KR102375453B1 (ko) 김치 포장용 이산화탄소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김치
GB2205295A (en) Plastics bottles & method of reducing gas permeability
RU2615145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питания
JPH0731829A (ja) 炭酸ガス吸収シート
EP1541482A1 (en) Low permeability device for closure of barrels
KR100716208B1 (ko) 탁주 병 뚜껑용 패킹 및 이의 제조방법
JP4818552B2 (ja) 酸素吸収機能を有する容器用栓及びその製造方法
JP3156962U (ja) 液体容器
KR100631817B1 (ko) 탁주 병 뚜껑용 패킹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350091A (ja) 酸性内容液の熱可塑性樹脂製容器充填方法
JPH0557849A (ja) 酸素吸収性デイスク
KR20110052968A (ko)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JP2005035596A (ja) 脱酸素性樹脂コルク栓
AU2013204681A1 (en) Closure for a product retain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