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228B1 - 고속 및 연속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속 및 연속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228B1
KR101237228B1 KR1020100135430A KR20100135430A KR101237228B1 KR 101237228 B1 KR101237228 B1 KR 101237228B1 KR 1020100135430 A KR1020100135430 A KR 1020100135430A KR 20100135430 A KR20100135430 A KR 20100135430A KR 101237228 B1 KR101237228 B1 KR 101237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tarpaulin
weight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611A (ko
Inventor
윤보상
윤찬석
정승문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2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228B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로서, (A) 밀도가 0.912~0.920g/㎤, 용융지수(190℃, 2.16㎏)가 5~9g/10분, Z평균분자량이 1,600,000~1,900,000 및 쌍봉의 분자량분포를 가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B) 밀도가 0.918~0.930g/㎤, 용융지수(190℃, 2.16㎏)가 12~18g/10분, TREF 분획도표에서 40℃이하의 온도에서 5~25%가 분취되고, 50~80℃의 온도에서 40~50%가 분취되며, 90℃이상의 온도에서 35~45%가 분취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C)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D)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E) 인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며, 상기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A) 및 (B) 수지는 10:90 내지 25:75의 중량비로 99.5~99.89중량%, 상기 (C)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은 0.05~0.2중량%, 상기 (D)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0.02~0.1중량%, 상기 (E) 인계 산화방지제는 0.04~0.2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여,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 시 눈곱(메야니)발생을 현저히 줄여주어 고속 성형 시에도 장시간 연속성형이 가능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코팅 및 상기 코팅을 포함한 폴리에틸렌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속 및 연속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RESIN COMPOSITIONS OF POLYETHYLENE FOR TARPAULIN EXTRUSION LAMINATION WITH HIGH SPEED AND CONTINUOUSLY FORMING}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인계 산화방지제를 함유한 고속 성형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타포린은 방수용 천막소재로 포장마차 천막, 농업용 및 산업용 포장재, 야외 깔판, 일회용 장바구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에틸렌 타포린에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방수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한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이 필요하다. 방수성이 있는 재료로 일반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를 사용한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 라미네이트 성형기계의 고속화로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 시, 고속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조성물이 필요하나,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압출 라미네이트용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성형속도 향상 시 성형온도 조건의 상향으로 다이립 부분에서 발생하는 눈곱(메야니)의 발생 주기가 급격히 짧아지고, 눈곱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폴리에틸렌 타포린 코팅 성형 시 코팅면의 불균일을 유발하여, 장기간 연속 성형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눈곱(메야니)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술들이 소개되었지만, 대부분 고온 및 고속 가공 시에 연속 성형성이 떨어지고, 지속적인 생산 시 코팅피막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 제평7-304967호는, 지방족 모노칼본산 금속염과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서 성형 시에 발생되는 눈곱(메야니), 샤크스킨 등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고온 및 고속 가공 시에 연속 성형성이 미흡한 문제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제평8-239521호는, 압출 성형 시 압출기 다이 출구부 주위에 발생되는 눈곱(메야니)을 제거하기 위해, 불소계 고무를 첨가한 폴리에틸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여, 일반적인 눈곱(메야니)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초고속 성형 시 감소효과가 현저히 저하되고 압출기 실린더 및 다이 내부에 피막 형태로 코팅됨에 따라 지속적인 생산 시 이러한 피막이 벗겨지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제평9-255820호는, 불화에틸렌수지 및 산화방지제를 첨가한 필름성형용 고밀도 에틸렌으로서 장시간 연속적인 성형 시에도 다이에 눈곱(메야니)이 부착되지 않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초고속 T-다이 성형 시에는 높은 성형 온도로 인하여 다이 내부에 피막된 불화에틸렌수지의 조기 박리 및 분해로 장기 연속 성형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0783557호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과 산화방지제를 첨가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장시간 연속적인 성형 시에도 다이에 눈곱(메야니)이 부착되지 않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연신테이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 시 눈곱(메야니)발생을 현저히 줄여주어 고속 성형 시에도 장시간 연속성형이 가능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압출 코팅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삭제
(2) 폴리에틸렌 타포린에 방수성 부여를 위해 코팅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로서, (A) 밀도가 0.915~0.918g/㎤, 용융지수(190℃, 2.16㎏)가 7.5~8.5g/10분, Z평균분자량이 1,600,000~1,900,000 및 쌍봉의 분자량분포를 가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B) 밀도가 0.922~0.926g/㎤, 용융지수(190℃, 2.16㎏)가 15~17g/10분, TREF 분획도표에서 40℃이하의 온도에서 5~25%가 분취되고, 50~80℃의 온도에서 40~50%가 분취되며, 90℃이상의 온도에서 35~45%가 분취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C)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D)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E) 인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며, 상기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A) 및 (B) 수지는 10:90 내지 25:75의 중량비로 99.5~99.89중량%, 상기 (C)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은 0.05~0.2중량%, 상기 (D)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0.02~0.1중량%, 상기 (E) 인계 산화방지제는 0.04~0.2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문제 해결을 위하여,
(3) 상기 (2)의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을 제공하며,
(4) 상기 (3)의 코팅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제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 시 눈곱(메야니)발생을 현저히 줄여주어 고속 성형 시에도 장시간 연속성형이 가능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코팅 및 상기 코팅을 포함한 폴리에틸렌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로서, (A) 밀도가 0.912~0.920g/㎤, 용융지수(ASTM D1238로 190℃, 2.16㎏에서 측정, 이하 동일)가 5~9g/10분, Z평균분자량이 1,600,000~1,900,000 및 쌍봉의 분자량분포를 가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B) 밀도가 0.918~0.930g/㎤, 용융지수(190℃, 2.16㎏)가 12~18g/10분, TREF 분획도표에서 40℃이하의 온도에서 5~25%가 분취되고, 50~80℃의 온도에서 40~50%가 분취되며, 90℃이상의 온도에서 35~45%가 분취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C)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D)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E) 인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며, 상기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A) 및 (B) 수지는 10:90 내지 25:75의 중량비로 99.5~99.89중량%, 상기 (C)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은 0.05~0.2중량%, 상기 (D)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0.02~0.1중량%, 상기 (E) 인계 산화방지제는 0.04~0.2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지수가 5~9g/10분이고, 바람직하게는 7.5~8.5g/10분일 수 있다. 상기 용융지수가 5g/10분 미만일 경우 고속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고, 9g/10분을 초과할 경우 네크인 특성이 좋지 않아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A)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밀도는 0.912~0.920g/㎤이고, 바람직하게는 0.915~0.918g/㎤일 수 있다. 상기 밀도가 0.912g/㎤ 미만일 경우 제품을 고압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제조하기 어렵고, 0.920g/㎤을 초과할 경우 네크인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A)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Z평균분자량이 1,600,000~1,900,000이고, 쌍봉의 분자량분포를 갖는다. 상기 Z평균분자량이 1,600,000 미만일 경우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 시 네크인이 커질 수 있고, 1,900,000을 초과할 경우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 시 고속 가공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쌍봉 분자량 분포는, 분자량 분포가 최대치에서 시작하여 고분자량 측면에 또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자량 분포가 단일봉 분포일 경우 고속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은 가능할 수 있으나, 네크인이 커지고 연신공명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A)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상기 (B)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25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 네크인이 과도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25중량%를 초과할 경우 고속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이 어려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이러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고압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제조된 폴리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튜블라 반응기에서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제조할 수 있으나, 분자량 분포가 좁아 네크인 특성이 저하되어 압출 코팅용 수지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B)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지수가 12~18g/10분이고, 바람직하게는 15~17g/10분일 수 있다. 상기 용융지수가 12g/10분 미만일 경우 압출 부하가 커질 수 있고, 18g/10분을 초과할 경우 네크인 특성이 저하되고 상기 (A) 저밀도 폴리에틸렌과의 용융지수 차이로 인해 압출 코팅 가공시 서징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밀도는 0.918~0.930g/㎤이고, 바람직하게는 0.922~0.926g/㎤일 수 있다. 상기 밀도가 0.918g/㎤ 미만일 경우 제품을 폴리에틸렌 타포린에 사용할 때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고, 0.930g/㎤을 초과할 경우 타포린이 과도하게 뻣뻣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B)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TREF 분획도표에서 40℃이하의 온도에서 5~25%가 분취되고, 50~80℃의 온도에서 40~50%가 분취되며, 90℃이상의 온도에서 35~45%가 분취된다. 상기 40℃이하의 온도에서 분취분율이 5% 미만일 경우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에 사용할 때 네크인이 커지고 압출 부하가 커질 수 있고, 25%를 초과할 경우 완제품의 표면의 끈적거림 및 고속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50~80℃의 온도에서 분취분율이 40% 미만일 경우 타포린 완제품이 과도하게 경화될 수 있고, 50%를 초과할 경우 전체적으로 분자량 분포가 좁아져서 네크인이 커지고 압출 부하가 커질 수 있다. 90℃ 이상의 온도에서 분취분율이 35% 미만일 경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연질성이 과도해져 타포린 제품의 강성도(Stiffness)가 저하되고 네크인이 커지며 압출 부하가 커질 수 있고, 45%를 초과할 경우 타포린 제품의 강성도가 과도해지고 고속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상기 (A)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의 총 중량에 대하여, 75~90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함량이 75중량% 미만일 경우 고속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고, 90중량%를 초과할 경우 네크인이 커지고 연신공명 및 서징이 발생하고 압출 부하가 커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이러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글러-나타 촉매 또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 단독 중합,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1, 헥센-1, 옥텐-1 등의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을 기상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솔류션법 또는 슬러리법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C)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서 0.05~0.2중량% 포함된다. 상기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함량이 0.05중량% 미만일 경우 눈곱 방지 효과가 급격히 저하될 수 있고, 0.2중량%를 초과할 경우 눈곱 방지의 추가적 개선 효과가 미흡할 수 있다.
상기 (D)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서 0.02~0.1중량% 포함된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 함량이 0.02중량% 미만일 경우 산화 방지 효과가 저하되어 눈곱 발생을 가속화 시킬 수 있고, 0.1중량%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D)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면,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 벤질)이소시아네이트(1,3,5-Tris-(3,5-di-tert-butyl-4-hydroxy benzyl) Isocyanate),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Octadecyl-3-(3,5-di-tert 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 인계 산화방지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서 0.04~0.2중량% 포함된다.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 함량이 0.04중량% 미만일 경우 산화 방지 효과가 저하되어 눈곱 발생을 가속화시킬 수 있고, 0.2중량%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E) 인계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면,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2,4,6 트리-티-부틸페닐, 2-부틸, 2-에틸, 1,3프로페인 디올 포스 파이트(2,4,6 tri-t-butylphenyl, 2-butyl, 2-ethyl, 1,3 propane diol phosphat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중합체를 혼합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텀블러 믹서 및 헨셀 믹서를 사용하여 건식 혼합(dry blend)할 수도 있고, 상기 건식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기, 믹싱롤, 니더, 롤밀, 밴배리믹서 등과 같은 혼련기를 사용하여 부가적인 용융 혼합을 가할 수도 있다. 이때,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용융 혼합 시 온도는 180~230℃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성분 및 조성 특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틸렌 타포린 제품에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적용 시, 다이립에 눈곱(메야니)이 현저히 줄어들고 압출 부하가 작아 고속 및 연속 성형성이 가능하게 되며, 네크인, 연신공명, 서징 등의 성형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에서, 용융지수는 ASTM D-1238법으로 190℃에서 측정하였고, 밀도는 ASTM D-1505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분자량은 ASTM D-3536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수지 조성물 (A) 용융지수 8g/10분, 밀도 0.916g/㎤, Z평균 분자량 1,760,570 및 쌍봉의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9.96중량%, (B) 용융지수 16g/10분, 밀도 0.924g/㎤, TREF 분취분율 중 40℃이하에서 15%, 50~80℃에서 45%, 90℃이상에서 40%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9.86중량%, (C)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1중량%, (D) 페놀계 산화방지제로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0.03중량% 및 (E) 인계 산화방지제로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0.05중량%를 헨셀믹서로 5분간 혼합한 후 40㎜ 이축 압출기로 210℃에서 압출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A)를 19.94중량%, (B)를 79.78중량% 및 (C)를 0.2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A)를 19.97중량%, (B)를 79.90중량% 및 (C)를 0.05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A)를 19.98중량%, (B)를 79.94중량%로 함유하고, (C)를 제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A)를 19.98중량%, (B)를 79.92중량%로 함유하고, (D) 및 (E)를 제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채택한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의 코팅 제품에 대한 평가 방법은 다음의 시험법에 의하여 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 다이폭 38㎝인 65㎜Φ 단축 압출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타포린 직물에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다이온도 310℃에서 코팅.
2) 고속 성형성: 다이폭 38㎝인 65㎜Φ 단축 압출 라미네이터로 성형할 경우 최초로 눈곱(메야니)이 발생하는 시점을 2시간으로 정하고 이때의 최대 라인 속도를 측정.
3) 압출 부하: 다이폭 38㎝인 65㎜Φ 단축 압출 라미네이터의 라인 속도를 210m/분으로 성형할 경우 다이압력.
4) 최초눈곱발생 시간: 다이폭 38㎝인 65㎜Φ 단축 압출 라미네이터의 라인 속도를 210m/분으로 성형할 경우 최초 눈곱이 발생되는데 걸리는 시간.
5) 코팅불량 주기: 다이폭 38cm인 65mmΦ 단축 압출 라미네이터의 라인 속도를 210m/분으로 성형할 경우 다이립에 발생한 눈곱(메야니)으로 인해 타포린 직물 코팅 면에 불량이 발생하여 성형을 멈추고 다이립을 청소하여 다시 성형하는 주기.
구분 고속성형성 압출 부하 최초눈곱발생시간 코팅불량 주기
단위 m/분 ㎏/㎠ hr hr
실시예 1 250 13 8 24
실시예 2 280 12 11 30
실시예 3 230 13.5 5 16
비교예 1 210 14 3 8
비교예 2 150 14 1 5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고속 성형성 및 코팅 상태가 월등히 우수하고, 압출 부하가 줄어들며, 눈곱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폴리에틸렌 타포린에 방수성 부여를 위해 코팅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로서,
    (A) 밀도가 0.915~0.918g/㎤, 용융지수(190℃, 2.16㎏)가 7.5~8.5g/10분, Z평균분자량이 1,600,000~1,900,000 및 쌍봉의 분자량분포를 가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B) 밀도가 0.922~0.926g/㎤, 용융지수(190℃, 2.16㎏)가 15~17g/10분, TREF 분획도표에서 40℃이하의 온도에서 5~25%가 분취되고, 50~80℃의 온도에서 40~50%가 분취되며, 90℃이상의 온도에서 35~45%가 분취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C)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D)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E) 인계 산화방지제;
    를 포함하며,
    상기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A) 및 (B) 수지는 10:90 내지 25:75의 중량비로 99.5~99.89중량%, 상기 (C)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은 0.05~0.2중량%, 상기 (D)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0.02~0.1중량%, 상기 (E) 인계 산화방지제는 0.04~0.2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3. 제2항의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4. 제3항의 코팅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제품.
KR1020100135430A 2010-12-27 2010-12-27 고속 및 연속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KR101237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430A KR101237228B1 (ko) 2010-12-27 2010-12-27 고속 및 연속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430A KR101237228B1 (ko) 2010-12-27 2010-12-27 고속 및 연속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611A KR20120073611A (ko) 2012-07-05
KR101237228B1 true KR101237228B1 (ko) 2013-02-26

Family

ID=4670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430A KR101237228B1 (ko) 2010-12-27 2010-12-27 고속 및 연속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530B1 (ko) 2016-09-30 2018-02-2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압출 라미네이션 코팅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521A (ja) * 1995-03-07 1996-09-17 Showa Denko Kk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KR20030052547A (ko) * 2001-12-21 2003-06-27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고접착성을 지닌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수지조성물
KR100783557B1 (ko) * 2006-08-09 2007-12-07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고속 및 연속 성형성이 우수한 연신테이프용 폴리에틸렌계수지조성물
KR100818877B1 (ko) * 2007-09-10 2008-04-02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521A (ja) * 1995-03-07 1996-09-17 Showa Denko Kk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KR20030052547A (ko) * 2001-12-21 2003-06-27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고접착성을 지닌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수지조성물
KR100783557B1 (ko) * 2006-08-09 2007-12-07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고속 및 연속 성형성이 우수한 연신테이프용 폴리에틸렌계수지조성물
KR100818877B1 (ko) * 2007-09-10 2008-04-02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530B1 (ko) 2016-09-30 2018-02-2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압출 라미네이션 코팅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611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135B1 (ko) 코팅 원사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컴파운드의 조성물
CA2688092C (en) Multilayer film structure
KR101341054B1 (ko) 코팅 원사의 제조방법
EP1664162B1 (en) Polypropylene blown film
KR101504434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0777939B1 (ko) 파렛트 포장용 비닐 포장재
EP3284775B1 (en) Stretchable film and product including same
CN114423609A (zh) 层叠膜及其制造方法
KR20150036289A (ko) 컬 저항성 차단 필름
CN107849323B (zh) 聚丙烯组合物和其热成型片材
KR100889220B1 (ko) 화학용기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1237228B1 (ko) 고속 및 연속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KR10190208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접착 필름
KR101892870B1 (ko) 무광 필름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KR102106711B1 (ko) 이지필 필름의 밀봉층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밀봉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
KR101132924B1 (ko)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US9109099B2 (en) Polyethylene additive
KR100818877B1 (ko)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KR20160060833A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20070052957A (ko) 저투습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의 제조방법
EP1675893B1 (en) Method to improve the cling performance of film products
KR100783557B1 (ko) 고속 및 연속 성형성이 우수한 연신테이프용 폴리에틸렌계수지조성물
KR10193465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814985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801552B1 (ko) 표면특성 및 가공특성이 우수한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