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352B1 -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6352B1 KR101236352B1 KR1020110076915A KR20110076915A KR101236352B1 KR 101236352 B1 KR101236352 B1 KR 101236352B1 KR 1020110076915 A KR1020110076915 A KR 1020110076915A KR 20110076915 A KR20110076915 A KR 20110076915A KR 101236352 B1 KR101236352 B1 KR 1012363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pile
- longitudinal
- piles
- she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7/00—Repair of damaged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6—Fitted piles or 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gaps between two sheet piles or between two walls of sheet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14—Sealing joints between adjacent sheet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및 그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은, 다수의 시트 파일(sheet pile)을 암반층 영역까지 항타하면서 시트 파일들을 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 단계; 일단부 영역은 암반층에 삽입되고 타단부 영역은 암반층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벽체의 안쪽으로 다수의 종방향 파일을 근입시키는 종방향 파일 근입 단계; 벽체와 종방향 파일 사이에 다수의 횡방향 파일을 배치하여 벽체의 하단부와 종방향 파일을 상호간 보강시키는 보강 단계; 및 벽체, 종방향 파일 및 횡방향 파일 사이에 형성되는 시트 파일들의 하단부 영역으로 몰탈을 타설하여 차수벽을 설치하는 차수벽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하고도 단순한 방법과 구조로서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를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어 구조물의 붕괴를 막아 구조물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고도 단순한 방법과 구조로서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를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어 구조물의 붕괴를 막아 구조물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각기초, 지하차도, 완충저류조시설 등의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반을 굴토한 후 토압에 의한 굴토면의 붕괴 및 유입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기초 가시설을 시공하는 작업이 선행된다.
이러한 기초 가시설은 전통적으로 시트 파일(sheet pile)을 암반층까지 근입시키는 방법으로 시공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취약한 강성을 갖는 시트 파일을 암반층까지 근입시키는 작업은 시공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의 절감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최근에는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트 파일을 암반층까지 근입시키지 않는 대신에 시트 파일의 안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H형 파일을 암반층까지 근입시키는 시공방법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시트 파일과 H형 파일의 복합형 구조를 갖는 기초 가시설은, 시트 파일이 암반층까지 근입되지 않으므로 시트 파일의 하단과 암반층의 상단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토사 및 유입수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조 및 시공상의 대책이 요구되는데,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를 보강하지 않을 경우에는 구조물의 붕괴가 우려되고 구조의 안정화를 꾀할 수 없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선행 작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고도 단순한 방법과 구조로서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를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어 구조물의 붕괴를 막아 구조물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시트 파일(sheet pile)을 암반층 영역까지 항타하면서 상기 시트 파일들을 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 단계; 일단부 영역은 상기 암반층에 삽입되고 타단부 영역은 상기 암반층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벽체의 안쪽으로 다수의 종방향 파일을 근입시키는 종방향 파일 근입 단계; 상기 벽체와 상기 종방향 파일 사이에 다수의 횡방향 파일을 배치하여 상기 벽체의 하단부와 상기 종방향 파일을 상호간 보강시키는 보강 단계; 및 상기 벽체, 상기 종방향 파일 및 상기 횡방향 파일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시트 파일들의 하단부 영역으로 몰탈을 타설하여 차수벽을 설치하는 차수벽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종방향 파일 근입 단계 후에, 상기 벽체의 안쪽 영역에 잔존되는 토사와 상기 종방향 파일의 안쪽 영역에 잔존되는 일부의 암반층을 제거하는 토사 및 암반층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사 및 암반층 제거 단계 후에, 상기 시트 파일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시트 파일에 띠장을 설치하는 띠장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띠장에 버팀을 설치하는 버팀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띠장 설치 단계와 상기 버팀 설치 단계는, 상기 시트 파일의 상단부 영역에서부터 하방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다수 회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차수벽 설치 단계 전에, 상기 다수의 종방향 파일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에 토류판을 시공하는 토류판 시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파일과 상기 횡방향 파일은 모두가 영문자 H 형상을 갖는 H형 파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시트 파일(sheet pile)을 암반층 영역까지 항타하면서 상기 시트 파일들을 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벽체; 일단부 영역은 상기 암반층에 삽입되고 타단부 영역은 상기 암반층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벽체의 안쪽으로 근입되는 다수의 종방향 파일; 상기 벽체와 상기 종방향 파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벽체의 하단부와 상기 종방향 파일을 상호간 보강시키는 다수의 횡방향 파일; 및 상기 벽체, 상기 종방향 파일 및 상기 횡방향 파일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시트 파일들의 하단부 영역으로 몰탈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차수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종방향 파일이 근입되기 전에, 상기 벽체의 안쪽 영역에 잔존되는 토사와 상기 종방향 파일의 안쪽 영역에 잔존되는 일부의 암반층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파일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시트 파일에 설치되는 다수의 띠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띠장 각각에 연결되는 버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띠장과 상기 벽체는 상기 시트 파일의 상단부 영역에서부터 하방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종방향 파일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에 시공되는 토류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파일과 상기 횡방향 파일은 모두가 영문자 H 형상을 갖는 H형 파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고도 단순한 방법과 구조로서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를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어 구조물의 붕괴를 막아 구조물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의 시공 구조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시트 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시트 파일에 의해 시공되는 벽체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의 시공 구조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시트 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시트 파일에 의해 시공되는 벽체의 평면 구조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의 플로차트이고,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의 시공 구조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10은 시트 파일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시트 파일에 의해 시공되는 벽체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은, 벽체 형성 단계(S11), 종방향 파일 근입 단계(S12), 토사 및 암반층 제거 단계(S13), 띠장 설치 단계(S14), 버팀 설치 단계(S15), 보강 단계(S16), 토류판 시공 단계(S17), 그리고 차수벽 설치 단계(S18)의 시공 순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강가시설'이란, 교각기초, 지하차도, 완충저류조시설 등의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해 해당 지반을 굴토한 후 토압에 의한 굴토면의 붕괴 및 유입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기초 가시설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의 각 단계(S11~S18)의 설명 및 실제 시공 구조 등을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1의 각 단계(S11~S18)들과 도 2 내지 도 9의 시공 구조들이 완전하게 일대일 대응되는 것은 않으며, 도 2 내지 도 9의 시공 구조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극히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임을 미리 언급한다.
벽체 형성 단계(S11)는, 다수의 시트 파일(10, sheet pile, 도 10 참조)을 암반층 영역까지 항타하면서 시트 파일(10)들을 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도 11과 같은 벽체(2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벽체(20)의 형성을 위해 도 2처럼 유압진동해머(2)를 구비하는 크레인 건설기계(1)가 이용된다. 크레인 건설기계(1)는 도 2처럼 유압진동해머(2)를 이용하여 시트 파일(10)들이 항타될 자리를 내고, 이후에 도 3처럼 시트 파일(10)들을 옮겨 항타함으로써 벽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벽체(20)는 도 11처럼 다수의 시트 파일(10)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때의 시트 파일(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 혹은 사다리꼴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양측단이 절곡되어 이웃하는 시트 파일(10)과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시트 파일(10)의 양쪽 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10a, 도 10 참조)가 형성되어 이웃된 시트 파일(10)과 연결된다. 이때, 시트 파일(10)들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벽체(20)는 도 11처럼 동일한 패턴으로 즉 대략적인 파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치 요철 패턴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벽체(20)를 형성하는 시트 파일(10)들은 그 하단부가 암반층 영역에 인접되도록 혹은 암반층 영역을 일부 파고 들어가도록 시공된다. 시트 파일(10)들에 의해 벽체(10)가 형성되면 토사를 통한 유입수의 차수를 막을 수 있다.
종방향 파일 근입 단계(S12)는, 일단부 영역은 암반층에 삽입되고 타단부 영역은 암반층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벽체(20)의 안쪽으로 다수의 종방향 파일(31)을 근입시키는 단계이다.
시트 파일(10)의 시공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시공되는데, 우선은 도 4처럼 별도의 건설기계(3)가 천공 스크루(4)를 이용하여 암반층에 일정한 자리홈(32)을 내고 나서 그 다음에 도 5처럼 종방향 파일(31)이 근입된다. 도 5처럼 종방향 파일(31)은 그 하부 영역이 암반층 내로 삽입된 형태로 근입되고, 나머지 상부 영역은 토사 영역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종방향 파일(31)은 영문자 H 형상을 갖는 H형 파일로 마련되는데, 통상 H 빔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종방향 파일(31)은 벽체(20)의 안쪽에서 상호간 이격되게 다수 개 시공된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H 빔 대신에 다른 형태의 프레임이나 빔이 종방향 파일(31)로 적용될 수도 있다.
토사 및 암반층 제거 단계(S13)는, 종방향 파일(31)의 근입 후에, 벽체(20)의 안쪽 영역에 잔존되는 토사와 일부의 암반층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토사 및 암반층 제거 시 도 6처럼 굴삭기(5)를 이용하여 토사와 암반층을 제거하게 된다. 토사 및 암반층 제거되고 나면 도 7처럼 토사와 암반층에 묻혀 있던 종방향 파일(31)이 드러난다.
띠장 설치 단계(S14)는, 굴삭기(5)에 의해 토사 및 암반층이 일부 제거된 후, 시트 파일(10)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시트 파일(10)에 띠장(4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띠장(40)은 시트 파일(10)에 의해 형성되는 벽체(20)의 안쪽에서 시트 파일(10)에 교차되는 가로 방향을 따라 시트 파일(10)에 용접된다. 띠장(40) 역시 H 빔으로 적용되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띠장(40)이 시공되면 도 7의 확대 부분처럼 보일 수 있다.
버팀 설치 단계(S15)는, 전 단계(S14)에서 설치된 띠장(40)에 버팀(50a~50c)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버팀(50a~50c) 역시 H 빔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띠장(40)과 맞닿는 부분은 용접되고, 또한 벽체(20)와의 사이에는 버팀지지구(51)가 함께 시공된다. 버팀지지구(51)는 벽체(20)와 띠장(40) 사이에서 경사지게 용접됨으로써 버팀(50a~50c)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한다. 버팀지지구(51)의 사이즈가 크면 클수록 버팀(50a~50c)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버팀(50a~50c)은 1단만이 시공될 필요는 없으며, 도 7처럼 시트 파일(10)의 상단부 영역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다수 회 진행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방을 향해 3단의 버팀(50a~50c)이 시공되고 있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의 개수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강 단계(S16)는, 벽체(20)와 종방향 파일(31) 사이에 다수의 횡방향 파일(36)을 배치하여 벽체(20)의 하단부와 종방향 파일(31)을 상호간 보강시키는 단계이다.
다시 말해, 보강 단계(S16)는 도 8의 A 영역처럼 벽체(20)의 하단부 영역에서, 종방향 파일(31)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횡방향 파일(36)을 배치하여 벽체(20)와 종방향 파일(31)을 상호 용접시킴으로써 진행된다. 횡방향 파일(36) 역시 종방향 파일(31)과 마찬가지로 영문자 H 형상을 갖는 H형 파일로 마련되나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토류판 시공 단계(S17)는 차수벽 설치 단계(S18)와 함께 진행된다. 차수벽 설치 단계(S18)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일 수 있다.
차수벽(6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0)의 하단부 영역에 설치되어 벽체(20)를 이루는 시트 파일(21)의 하단부 영역과 암반층의 상단 사이로 유입되는 토사 및 유입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차수벽(60)은 부직포(미도시)가 설치된 토류판(62) 1장을 설치하고 설치된 토류판(62) 위에 복수개의 토류판(62)을 차례로 적층시킨 후 토류판(62)과 시트 파일(21), 다수의 종방향 파일(31), 그리고 다수의 횡방향 파일(36) 사이에 시멘트 몰탈(S/M)을 타설함으로써 시공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에 대해 일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수의 시트 파일(10, sheet pile, 도 10 참조)을 암반층 영역까지 항타하면서 시트 파일(10)들을 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도 11과 같은 벽체(20)를 형성한다(S11).
다음, 일단부 영역은 암반층에 삽입되고 타단부 영역은 암반층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벽체(20)의 안쪽으로 다수의 종방향 파일(31)을 근입시킨다(S12). 종방향 파일(31)의 근입 후에, 벽체(20)의 안쪽 영역에 잔존되는 토사와 일부의 암반층을 제거한다(S13).
굴삭기(5)에 의해 토사 및 암반층이 일부 제거된 후, 시트 파일(10)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시트 파일(10)에 띠장(40)을 설치한다(S14). 그리고는 띠장(40)에 버팀(50a~50c)을 설치한다(S15).
다음, 벽체(20)와 종방향 파일(31) 사이에 다수의 횡방향 파일(36)을 배치하여 벽체(20)의 하단부와 종방향 파일(31)을 상호간 보강시킨다(S16).
그런 다음, 토류판 시공(S17)과 차수벽 설치(S18)를 함께 진행한다. 즉 부직포(미도시)가 설치된 토류판(62) 1장을 설치하고 설치된 토류판(62) 위에 복수개의 토류판(62)을 차례로 적층시킨 후 토류판(62)과 시트 파일(21), 다수의 종방향 파일(31), 그리고 다수의 횡방향 파일(36) 사이에 시멘트 몰탈(S/M)을 타설함으로써 차수벽(60) 시공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구조와 시공방법을 갖는 본 실시예의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및 그 구조에 따르면, 간편하고도 단순한 방법과 구조로서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를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어 구조물의 붕괴를 막아 구조물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시트 파일 20 : 벽체
31 : 종방향 파일 36 : 횡방향 파일
40 : 띠장 50 : 버팀
60 : 차수벽
31 : 종방향 파일 36 : 횡방향 파일
40 : 띠장 50 : 버팀
60 : 차수벽
Claims (14)
- 다수의 시트 파일(sheet pile)을 암반층 영역까지 항타하면서 상기 시트 파일들을 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 단계;
일단부 영역은 상기 암반층에 삽입되고 타단부 영역은 상기 암반층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벽체의 안쪽으로 다수의 종방향 파일을 근입시키는 종방향 파일 근입 단계;
상기 벽체와 상기 종방향 파일 사이에 다수의 횡방향 파일을 배치하여 상기 벽체의 하단부와 상기 종방향 파일을 상호간 보강시키는 보강 단계; 및
상기 벽체, 상기 종방향 파일 및 상기 횡방향 파일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시트 파일들의 하단부 영역으로 몰탈을 타설하여 차수벽을 설치하는 차수벽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파일 근입 단계 후에, 상기 벽체의 안쪽 영역에 잔존되는 토사와 상기 종방향 파일의 안쪽 영역에 잔존되는 일부의 암반층을 제거하는 토사 및 암반층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 및 암반층 제거 단계 후에, 상기 시트 파일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시트 파일에 띠장을 설치하는 띠장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에 버팀을 설치하는 버팀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 설치 단계와 상기 버팀 설치 단계는, 상기 시트 파일의 상단부 영역에서부터 하방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다수 회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 설치 단계 전에, 상기 다수의 종방향 파일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에 토류판을 시공하는 토류판 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파일과 상기 횡방향 파일은 모두가 영문자 H 형상을 갖는 H형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 다수의 시트 파일(sheet pile)을 암반층 영역까지 항타하면서 상기 시트 파일들을 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벽체;
일단부 영역은 상기 암반층에 삽입되고 타단부 영역은 상기 암반층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벽체의 안쪽으로 근입되는 다수의 종방향 파일;
상기 벽체와 상기 종방향 파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벽체의 하단부와 상기 종방향 파일을 상호간 보강시키는 다수의 횡방향 파일; 및
상기 벽체, 상기 종방향 파일 및 상기 횡방향 파일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시트 파일들의 하단부 영역으로 몰탈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차수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파일이 근입되기 전에, 상기 벽체의 안쪽 영역에 잔존되는 토사와 상기 종방향 파일의 안쪽 영역에 잔존되는 일부의 암반층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구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파일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시트 파일에 설치되는 다수의 띠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띠장 각각에 연결되는 버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구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과 상기 벽체는 상기 시트 파일의 상단부 영역에서부터 하방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종방향 파일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에 시공되는 토류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파일과 상기 횡방향 파일은 모두가 영문자 H 형상을 갖는 H형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6915A KR101236352B1 (ko) | 2011-08-02 | 2011-08-02 |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및 그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6915A KR101236352B1 (ko) | 2011-08-02 | 2011-08-02 |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및 그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5088A KR20130015088A (ko) | 2013-02-13 |
KR101236352B1 true KR101236352B1 (ko) | 2013-02-22 |
Family
ID=4789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6915A KR101236352B1 (ko) | 2011-08-02 | 2011-08-02 | 복합형 강가시설의 하단부 보강방법 및 그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635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17869A (ko) * | 2004-06-11 | 2005-12-15 | 가원피앤티 주식회사 | 교각 직접 기초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
KR100763127B1 (ko) | 2007-03-21 | 2007-10-04 | 가원이엔씨 주식회사 | 복합형 강가시설의 조립식 차수부재 설치구조 |
KR100884289B1 (ko) | 2008-06-23 | 2009-02-17 | 가원이엔씨 주식회사 | 복합형 강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
KR100965795B1 (ko) | 2009-12-11 | 2010-06-24 | 이덕만 | 응용 합성형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2011
- 2011-08-02 KR KR1020110076915A patent/KR1012363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17869A (ko) * | 2004-06-11 | 2005-12-15 | 가원피앤티 주식회사 | 교각 직접 기초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
KR100763127B1 (ko) | 2007-03-21 | 2007-10-04 | 가원이엔씨 주식회사 | 복합형 강가시설의 조립식 차수부재 설치구조 |
KR100884289B1 (ko) | 2008-06-23 | 2009-02-17 | 가원이엔씨 주식회사 | 복합형 강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
KR100965795B1 (ko) | 2009-12-11 | 2010-06-24 | 이덕만 | 응용 합성형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5088A (ko) | 2013-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1097B1 (ko) |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 |
KR101205783B1 (ko) |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 | |
KR100634726B1 (ko) |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 | |
KR100982827B1 (ko) | 바닥슬래브에 가설 흙막이 벽의 토압을 지지시키면서지하실 합벽을 후시공하는 공법 | |
KR100967497B1 (ko) | 지하 구조물 구축공법 | |
KR100531385B1 (ko) |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 |
JP2017096063A (ja) | 山留掘削工法及び躯体構築方法 | |
KR20110122310A (ko) |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
KR20090090742A (ko) | 영구 스트럿을 이용한 상향식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 |
KR101051978B1 (ko) | 피씨부재를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296857B1 (ko) |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67565B1 (ko) | 지하 역타 시공시 코어부 구조물 시공 방법 | |
KR101324231B1 (ko) | 소일 시멘트벽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0849226B1 (ko) | ClP에 의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 시공 방법 | |
KR100965795B1 (ko) | 응용 합성형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JP2011089361A (ja) | 法面補強工法 | |
JP2000352296A (ja) |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 |
KR101296856B1 (ko) | 지하 구조물의 벽체 보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구축방법 | |
KR20110052360A (ko) | 띠장을 설치하지 않고 슬래브의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구조물 하향 시공방법 | |
KR20080025219A (ko) |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 |
JP6368584B2 (ja) | 基礎の施工方法 | |
JP6228836B2 (ja) | 逆巻き工法 | |
KR100967496B1 (ko) |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 |
KR200370135Y1 (ko) |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 |
JP7230313B2 (ja) | 地下階構造及び地下階の構築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