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073B1 - 분리형 이온수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이온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6073B1 KR101236073B1 KR1020100073715A KR20100073715A KR101236073B1 KR 101236073 B1 KR101236073 B1 KR 101236073B1 KR 1020100073715 A KR1020100073715 A KR 1020100073715A KR 20100073715 A KR20100073715 A KR 20100073715A KR 101236073 B1 KR101236073 B1 KR 1012360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case
- water
- valve
- pro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HPQYMZQTOCNFJ-UHFFFAOYSA-N Calcium cation Chemical compound [Ca+2] BHPQYMZQTOCN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54 Coffea arab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group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877 Insect Bites and Sting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JLVVSXFLKOJNIY-UHFFFAOYSA-N Magnesium ion Chemical compound [Mg+2] JLVVSXFLKOJN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72170 Skin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68 Thea s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87 bat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79 black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1 b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4 calc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5 magnes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4 potass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5 sod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 sulfur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2—Devices for taking out of action one or more units of multi- unit filters, e.g. for regene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수기를 2개로 분리하여 공간 효율성과 필터 교체의 편이성을 제공하는 분리형 이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필터, 원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밸브, 필터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필터 처리된 처리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계, 처리수를 알칼리수 및 산성수로 변환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 밸브,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처리수를 제2케이스로 공급하는 메인관; 및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관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필터, 원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밸브, 필터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필터 처리된 처리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계, 처리수를 알칼리수 및 산성수로 변환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 밸브,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처리수를 제2케이스로 공급하는 메인관; 및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체가 필요한 필터부와 교체가 필요치 않는 전해질부를 분리 제작하여 높은 설계 자유도와 설치 편리성이 높은 분리형 이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온수는 살균 및 세정 효과가 있는 물로 통상 전기분해를 통해 제조된다. 이러한 이온수를 생성하는 장치를 이온수기라 하며, 전해질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분해함으로써 강한 산성을 띄어 강한 살균력을 가지는 한편 살균작용 후에는 분해되어 잔류하지 않는 산성 이온수와 강한 알칼리성을 띄어 단백질 제거작용이 있는 알칼리성 이온수가 생성된다.
전술한 전기분해를 통해 제조된 이온수는 세탁이나 식기 세정 등의 용도에 적용할 경우 계면활성제에 필적하거나 혹은 그 이상의 세정력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용자가 잘못해 먹어도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전기분해를 통해 제조된 이온수는 손에 닿아도 피부가 거칠어지지 않는 안전도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분해를 통해 제조된 이온수는 세탁이나 식기 세정이 끝난 후의 세정제 함유 폐수에 대해서도 어떠한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고 그대로 생활환경에 배수 가능한 취급성 즉, 폐수 처리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서 물을 전기분해하여 +이온의 무기질이 포함되는 음용수인 알칼리수와 비음용수인 산성수로 분리배출하도록 하는 전해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온수기가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수기능과 전해 이온수기 기능을 모두 갖추어 먼저 필터부를 통과시켜 정수가 이루어진 물을 전해조를 통과시켜 배출부로 출수되도록 구성된 이온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온수기의 원리는 전해조에 물을 넣고 음극과 양극 사이에 격막을 설치하고 직류 전기를 흘려 물을 전기분해하는 것이다. 음극쪽에는 칼슘이온, 마그네슘이온, 칼륨이온, 나트륨이온 등 알칼리성 이온 등이 모여 알칼리수가 된다. 양극에는 염화이온, 황이온 등 산성이온이 모여 산성수가 된다. 알칼리 이온수는 물 입자가 작아 체내에 흡수가 빠르며,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역할을 한다. 밥 지을 때, 커피·홍차·녹차 등 차를 끓일 때, 과음이나 숙취 후, 야채나 과일을 씻을 때, 요리할 때, 술 또는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다. 산성 이온수는 살균 및 표백 작용이 있다. 목욕이나 세수 등을 할 때, 도마·식기·행주 등을 세척할 때, 벌레 물린 곳 이나 피부에 상처 난 곳에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온수기는 최근 다양한 형태, 기능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기 이온수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원수를 입수시켜 여과 정수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분리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 등을 제어하기 위해 스위치, 콘트롤러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 밸브, 유량센서 및 복잡한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 부품들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다.
특히, 전해조에서 생성되는 이온수는 항상 일정한 pH농도를 유지해야 하는바, 전해조로 유입되는 유량에 따라 전기분해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이온수기를 통해 원수가 이온수로 처리되는 과정은, 상기 이온수기의 상부에 구비된 원수급수밸브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원수의 양은 유량센서에 의해 측정되어 필터 교체시기 등에 이용되며, 상기 원수는 다시 칼슘통을 거쳐 하나 이상의 필터로 형성된 필터부에 입수된다. 상기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물은 다시 전해조로 입수되어 알칼리수 및 산성수로 분리되어 각각의 배출구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이온수기는 단일 케이스 내에 복수의 필터부, 전해조, 밸브, 제어부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또한 통상 싱크대 등의 상단에 위치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최소한의 크기의 케이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 전해조, 밸브, 제어 장치, 산성 및 알칼리수 배출구 등이 빈틈없이 배치된다.
특히 상기 필터의 경우에는 일정 기간 사용된 후에는 교체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이온수기는 상기와 같은 케이스 내부에 부품들이 빈틈없이 배치되어 일반 소비자가 교체하기에는 상당한 무리가 따라 별도로 관리자가 교체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고, 또한 싱크대 위에 위치하기에는 상기 이온수기의 크기가 큰 단점이 있어 새로운 형태의 이온수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온수기를 2개로 분리하여 공간 효율성과 필터 교체의 편이성을 제공하는 분리형 이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필터, 원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밸브, 필터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필터 처리된 처리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계, 처리수를 알칼리수 및 산성수로 변환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 밸브,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처리수를 제2케이스로 공급하는 메인관; 및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관 및 전선관은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에 각각 설치된 소켓들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들은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포함되며, 필터들이 전방으로 회전되어 탈부착이 용이한 필터 고정 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고정 수단은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는 필터 지지대, 상기 필터 지지대에 회전 지지되며 필터를 고정하는 다수의 필터 고정구, 상기 필터 고정구는 서로 연통되어 일측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순차적으로 필터를 또다른 일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는 제1필터 및 제2필터이며, 상기 제1필터는 제1필터 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제1필터 고정구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제1돌기와 제2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돌기는 유로부재에 회전고정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필터 지지대에 형성된 홀에 회전고정되며, 상기 제2필터는 제2필터 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제2필터 고정구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제3돌기와 연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3돌기는 상기 홀에 회전고정되며, 상기 연통구는 유로부재에 회전고정되며, 상기 원수는 유입부재, 제1돌기, 제1필터, 제2돌기, 제3돌기, 제2필터, 연통구 및 유로부재 순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제어패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해조의 작동 여부, 산성 밸브의 개폐 여부, 알칼리 밸브의 개폐 여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유량계에서 감지된 유량신호를 적산하여 일정 치 이상의 유량이 유입된 경우 상기 알람부에 밸브 교체시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분리형으로 제작되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며, 초기 이온수기의 설치가 편리하며, 또한 종래 필터의 장착 구조를 개선하여 누구든지 편리하게 필터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극히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이온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1케이스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1케이스에서 필터 장착 구조의 조립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제1케이스의 필터 탈부착시 필터의 회전 상태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전해조 등을 포함하는 제2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1케이스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1케이스에서 필터 장착 구조의 조립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제1케이스의 필터 탈부착시 필터의 회전 상태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전해조 등을 포함하는 제2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이온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1케이스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1케이스에서 필터 장착 구조의 조립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제1케이스의 필터 탈부착시 필터의 회전 상태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전해조 등을 포함하는 제2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이온수기(300)는 필터 등이 설치되는 제1케이스(100)와 전해조 등이 설치되는 제2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케이스(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제1커버(101)와 부분 커버(10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내부에는 필터 수용부(10)와 기타 수용부(20)를 구분하는 격벽(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30) 하단부에는 상기 필터 수용부(10)와 상기 기타 수용부(20)를 연통하는 개방구(35)가 역시 형성되어 상기 필터 수용부(10)의 부재와 기타 수용부(20)에 있는 부재를 호스배관 등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제1커버(101)와 부분 커버(102)는 하나의 커버로도 형성 가능하다.
상기 필터 수용부(10)에는 제1필터(40) 및 제2필터(45)가 위치한다. 상기 필터의 수는 필요한 경우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 45)는 필터 지지대(5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필터 지지대(50)는 상기 제1케이스(100)의 하부 내면에 고정되며, 필터(40, 45)가 결합하는 제1필터 고정구(70) 및 제2필터 고정구(8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필터 지지대(50)의 우측에는 측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고정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51)에는 유입부재(67)가 고정된다. 상기 유입부재(67)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관부(68)와 지지부(69)로 구분되며, 상기 지지부(69)가 상기 고정부(51)에 고정된다.
필터 지지대(50)의 중앙에는 제1필터 고정구(70)의 일측과 제2필터 고정구(80)의 일측과 결합하는 중앙 벽(52)이 상기 필터 지지대(50)에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벽(52)의 상면에는 제1필터 고정구(70) 및 제2필터 고정구(80)의 일부가 수용되는 홀(54) 형성을 위한 반원 홀(5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면으로 또 다른 반원 홀(54b)이 형성된 결합부재(56)가 나사에 의하여 상기 필터 지지대(50)에 결합한다.
상기 홀(54)은 가능한 한 상기 필터 지지대(50)의 측면에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 지지대(50)의 좌측으로는 고정홀(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홀(55)에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유로부재(60)가 결합하며, 상기 고정홀(55) 역시 가능한 한 상기 필터 지지대(50)의 측면에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부재(60)는 3개의 원통이 서로 공간에 대하여 90도 방향으로 결합하는 형태로 이중 제1원통(62)과 제2원통(64)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서로 연통하며, 제3원통(66)은 상기 고정홀(55)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한편, 제1필터 고정구(70)는 원형의 형상으로 제1필터(40)가 상기 제1 필터 고정구(70)의 상면에 결합하며, 측면에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제1돌기(71) 및 제2돌기(7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돌기(71)의 내부 유로는 상기 제1필터 고정구(70) 내부에 제1공간(73)과 연통하고 상기 제2돌기(72)는 상기 제1필터 고정구(70) 내부에 형성된 제2공간(74)과 연통한다.
상기 제1공간(73)과 제2공간(74)는 내부에 형성된 제1원형벽(75) 및 제2원형벽(76)에 의하여 상호 구분된다.
상기 제1필터 고정구(70)에 상기 제1필터(40)가 결합하고, 상기 제1돌기(71) 및 제2돌기(72)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원수 또는 처리수가 상기 제1필터(40) 내부로 이동 또는 배출된다.
상기 제2돌기(71)은 오링(77)을 매개로 상기 중앙 벽(52)의 홀(54)에 결합하며, 상기 제1돌기(72)는 상기 유입부재(67)의 관부(68)의 일측과 결합한다.
한편, 상기 제2필터 고정구(80) 역시 제1필터 고정구(70)와 동일한 형태이나, 하나의 제3돌기(81)만 형성된 점에서 차이를 나타낸다.
역시 상기 제2필터 고정구(80) 내에는 제1공간(83) 및 제2공간(84)로 구분되며, 상기 공간(83, 84)들은 제1원형벽(85) 및 제2원형벽(86)에 의하여 상호 구분된다.
제3돌기(81)는 상기 제2필터 고정구(80)의 측면에 돌출되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공간(83)과 연통한다.
상기 제3돌기(81) 반대 측면에는 연통구(82)가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82)과 서로 연통한다.
상기 연통구(82)의 입구는 유로부재(60)의 제1원통(62)가 삽입되어 상기 필터 지지대(50)에 고정되고, 상기 제3돌기(82)는 상기 홀(54)에 삽입된다.
상기 제2필터 고정구(80) 상면에 제2필터(45)가 결합하고, 상기 제3돌기(81)및 상기 제2원통(64)의 내부유로에 의하여 원수 및 처리수가 유입 또는 유출한다.
상기 제1필터 고정구(70) 및 제2필터 고정구(80)와 제1필터(40) 및 제2필터(45)는 필터 돌출부(42)와 고정구(70)의 가이드(88)에 의하여 손쉽게 회전식으로 달부착한다.
상기 제2필터 고정구(70)는 상기 유로부재(60)와 상기 중앙벽(52)에 형성된 홀(5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필터 고정구(80)는 상기 중앙벽(52)에 형성된 홀(54)과 상기 유입부재(67)의 관부(68)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필터 교체시에는 필터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켜 필터들을 탈착하고, 새로운 필터를 부착한 후 원래의 위치로 다시 회전시킬 수 있어 필터의 탈부착이 매우 쉬운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고정홀(55)과 홀(54)의 위치가 상기 필터 지지대(50)의 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제1케이스(100) 외부로 회전되는 필터의 각도가 내부 방향의 회전각도보다 커 탈부착이 더욱 용이하다.
한편, 수돗물 등의 원수는 우측의 기타 수용부(20)에 위치하는 밸브(91)를 통과하여 상기 제1필터 고정구(70)의 제1돌기(71)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여 제1필터(40) 내부로 유동하고, 이후 제2돌기(72)로 배출되어 다시 제3돌기(81)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제2필터(45)로 유입된다. 상기 제2필터(45)를 통과한 처리수는 연통구(82)를 통하여 유로부재(60)의 제1원통(62)으로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제2원통(64)의 내부 유로로 배출되어 별도의 관로를 통하여 제2케이스(200)에 공급된다.
상기 밸브(91)는 후술하는 전선관(97)에 연결되어 제어장치(260)에 의하여 개폐여부가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00)의 전면부에는 필터 교체를 알려주는 알림부(96)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알림부(96)는 후술하는 전선관(97)에 연결된다.
상기 제2원통(64)을 통하여 배출된 처리수는 제1케이스(100) 내부에 별도의 관로를 통과하여 메인관(95)과 연결되어 제2케이스(200) 내부에 위치하는 전해조(250)로 이동한다.
다음은 제2케이스(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케이스(2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제2커버(20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내부에 전해조(250)와 제어장치(260)가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2커버에는 제어패널(270)이 위치한다.
상기 전해조(250)는 메인관(95)을 통하여 유입되는 처리수를 이온수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며, 필요한 경우 전해조(250) 유입 전에 상기 메인관(95)는 유량계(92)를 부착하여 유입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한다.
또한 전면부에 산성수 배출을 위한 산성 배출관(280)이 산성 밸브(282)를 매개로 위치하며, 상면에는 알칼리수 배출을 위한 알칼리 배출관(290)이 역시 알칼리 밸브(292)를 매개로 위치한다.
상기 밸브(282, 292)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전해조(250) 내에 그 기능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260)은 상기 전해조(250)의 작동을 제어하며, 또한 상기 제1케이스(100)에 내장된 밸브(91)의 작동, 산성 밸브(282) 및 알칼리 밸브(292)를 제어하며, 또한 유량계(91)의 감지 신호를 입력 받아 유량을 적산하여 일정치 이상의 유량이 유입된 경우 제1케이스(100) 전면부에 위치하는 알람부(96)에 신호를 출력하여 필터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280, 290)의 개폐 여부를 제어패널(270)의 입력에 따라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제1케이스(100)와 상기 제2케이스(200)와는 메인관(95)이 서로 연결되며, 또한 장치의 제어 및 신호 전달을 위한 다수의 전선을 포함하는 전선관(97)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관(95)과 상기 전선관(97)은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와 연결 및 분리과 편리한 소켓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분리형 이온수기(300)는 제2케이스(200)의 전면에 설치된 제어 패널(270)의 조작만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제1케이스(200)만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하고, 제2케이스(100)는 상기 메인관(95)과 전선관(97)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경우 어느 위치에도 이격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제1케이스(100)를 싱크대 내부에 위치시키고, 제2케이스(200)만을 싱크대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종래의 이온수기에 비하여 월등히 적은 면적으로 설치 가능하여 공간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제1케이스(100)와 제2케이스(200)을 싱크대 좌우측에 위치시키는 경우 개별 싱크대 상단의 작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필터 수용부 20: 기타 수용부
30: 격벽 35: 개방구
40: 제1필터 42: 필터 돌출부
45: 제2필터 50: 필터 지지대
51: 고정부 52: 중앙벽
54: 홀 54a, 54b: 반원 홀
56: 결합부재 60: 유로부재
62: 제1원통 64: 제2원통
66: 제3원통 67: 유입부재
68: 관부 69: 지지부
70: 제1필터 고정구 71: 제1돌기
72: 제2돌기 73, 83: 제1공간
74, 84: 제2공간 75, 85: 제1원형벽
76, 86: 제2원형벽 77: 오링
80: 제2필터 고정구 81: 제3돌기
82: 연통구 88: 가이드
91: 밸브 92: 유량계
95: 메인관 96: 알람부
97: 전선관 200: 제2케이스
201: 제2커버 250: 전해조
260: 제어장치 270: 제어패널
280: 산성 배출관 282: 산성 밸브
290: 알칼리 배출관 292: 알칼리 밸브
30: 격벽 35: 개방구
40: 제1필터 42: 필터 돌출부
45: 제2필터 50: 필터 지지대
51: 고정부 52: 중앙벽
54: 홀 54a, 54b: 반원 홀
56: 결합부재 60: 유로부재
62: 제1원통 64: 제2원통
66: 제3원통 67: 유입부재
68: 관부 69: 지지부
70: 제1필터 고정구 71: 제1돌기
72: 제2돌기 73, 83: 제1공간
74, 84: 제2공간 75, 85: 제1원형벽
76, 86: 제2원형벽 77: 오링
80: 제2필터 고정구 81: 제3돌기
82: 연통구 88: 가이드
91: 밸브 92: 유량계
95: 메인관 96: 알람부
97: 전선관 200: 제2케이스
201: 제2커버 250: 전해조
260: 제어장치 270: 제어패널
280: 산성 배출관 282: 산성 밸브
290: 알칼리 배출관 292: 알칼리 밸브
Claims (6)
- 삭제
- 삭제
- 삭제
- 다수의 필터, 원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밸브, 필터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필터 처리된 처리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계, 처리수를 알칼리수 및 산성수로 변환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 밸브,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처리수를 제2케이스로 공급하는 메인관; 및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이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들은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포함되며, 필터들이 전방으로 회전되어 탈부착이 용이한 필터 고정 수단에 고정되되,
상기 필터 고정 수단은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는 필터 지지대, 상기 필터 지지대에 회전 지지되며 필터를 고정하는 다수의 필터 고정구, 상기 필터 고정구는 서로 연통되어 일측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순차적으로 필터를 또다른 일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온수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제1필터 및 제2필터이며, 상기 제1필터는 제1필터 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제1필터 고정구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제1돌기와 제2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돌기는 유로부재에 회전고정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필터 지지대에 형성된 홀에 회전고정되며,
상기 제2필터는 제2필터 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제2필터 고정구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제3돌기와 연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3돌기는 상기 홀에 회전고정되며, 상기 연통구는 유로부재에 회전고정되며,
상기 원수는 유입부재, 제1돌기, 제1필터, 제2돌기, 제3돌기, 제2필터, 연통구 및 유로부재 순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온수기.
- 다수의 필터, 원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밸브, 필터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필터 처리된 처리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계, 처리수를 알칼리수 및 산성수로 변환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 밸브,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처리수를 제2케이스로 공급하는 메인관; 및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이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제어패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해조의 작동 여부, 산성 밸브의 개폐 여부, 알칼리 밸브의 개폐 여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유량계에서 감지된 유량신호를 적산하여 일정 치 이상의 유량이 유입된 경우 상기 알람부에 밸브 교체시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온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3715A KR101236073B1 (ko) | 2010-07-29 | 2010-07-29 | 분리형 이온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3715A KR101236073B1 (ko) | 2010-07-29 | 2010-07-29 | 분리형 이온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1405A KR20120021405A (ko) | 2012-03-09 |
KR101236073B1 true KR101236073B1 (ko) | 2013-02-22 |
Family
ID=4612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3715A KR101236073B1 (ko) | 2010-07-29 | 2010-07-29 | 분리형 이온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607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3439Y1 (ko) | 2002-07-26 | 2002-10-30 | 강종석 | 은 이온수 생산장치 |
KR200399773Y1 (ko) * | 2005-06-27 | 2005-10-28 | 주진수 | 벽걸이형 이온 냉온정수기 |
KR100873676B1 (ko) * | 2008-04-08 | 2008-12-11 | 윤병흔 | 이온수기 |
KR20090086239A (ko) * | 2006-11-07 | 2009-08-11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정수기 및 필터 유닛 |
-
2010
- 2010-07-29 KR KR1020100073715A patent/KR10123607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3439Y1 (ko) | 2002-07-26 | 2002-10-30 | 강종석 | 은 이온수 생산장치 |
KR200399773Y1 (ko) * | 2005-06-27 | 2005-10-28 | 주진수 | 벽걸이형 이온 냉온정수기 |
KR20090086239A (ko) * | 2006-11-07 | 2009-08-11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정수기 및 필터 유닛 |
KR100873676B1 (ko) * | 2008-04-08 | 2008-12-11 | 윤병흔 | 이온수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1405A (ko) | 2012-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4955B1 (ko) | 정수기 | |
TWI417253B (zh) | Water conservator and alkaline water generation method | |
US9011682B2 (en) | Reverse osmosis device | |
JP2008168237A (ja) |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 |
CN108506526B (zh) | 三通阀及净水装置 | |
JP2006305568A (ja) | 電解槽及び該電解槽を採用したイオン浄水器及び電解槽の洗浄方法 | |
WO2009125966A2 (ko) | 이온수기 | |
KR100987959B1 (ko) | 정수기 | |
KR101407728B1 (ko) | 정수기 | |
KR20110119405A (ko) | 스케일 제거 기능을 갖는 이온수 생성장치 | |
KR101236073B1 (ko) | 분리형 이온수기 | |
KR101299995B1 (ko) | 세정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정수 및 이온수 제공 장치 | |
JP2012081449A (ja) | 殺菌水供給システム | |
JP2006187714A (ja) | イオン水生成装置 | |
KR101215811B1 (ko) | 무격막 전해조를 포함한 전해수 시스템 | |
KR20130031201A (ko) | 물 처리 장치 | |
JP2001170635A (ja) | 水改質装置 | |
CN202449926U (zh) | 过滤型管道式电解水处理装置 | |
JP4617165B2 (ja) | イオン整水器 | |
CN111733938A (zh) | 水槽结构和橱柜组件 | |
JP2007190524A (ja) | 水処理装置 | |
KR200283719Y1 (ko) | 분리형 이온수기 | |
KR20130003203A (ko) | 이온수기 | |
JP2584652Y2 (ja) | イオン水用水栓とイオン水生成設備 | |
KR20130062647A (ko) | 정수 및 이온수 제공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