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365B1 - 신호 변조 장치, 송신 방법 및 코드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변조 장치, 송신 방법 및 코드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365B1
KR101235365B1 KR1020090068533A KR20090068533A KR101235365B1 KR 101235365 B1 KR101235365 B1 KR 101235365B1 KR 1020090068533 A KR1020090068533 A KR 1020090068533A KR 20090068533 A KR20090068533 A KR 20090068533A KR 101235365 B1 KR101235365 B1 KR 101235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de
constellation
elements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550A (ko
Inventor
곽병재
권동승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638,328 priority Critical patent/US8503558B2/en
Publication of KR2010006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 H04L27/3416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in which the information is carried by both the individual signal points and the subset to which the individual points belong, e.g. using coset coding, lattice coding, or related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변조 장치, 송신 방법 및 코드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호 변조 장치는 복수의 n 비트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가 n 개 또는 (n-1)개인 코드를 저장하는 코드 저장부, 그리고 상기 코드에 따라 데이터를 심볼로 매핑하는 맵핑부를 포함한다.
그레이코드, 변조, QAM, 보안

Description

신호 변조 장치, 송신 방법 및 코드 발생 방법{DEVICE FOR MODULATING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METHOD FOR GENERATING CODE}
본 발명은 신호 변조 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F-002-01, 과제명: 차세대 전술국방통신 원천기술개발].
송신하고자 하는 소스 데이터(source data)는 부호화(coding)된 후에 전송 매체의 채널 특성에 맞게 변조(modulation)된 후 전송된다.
변조 방식 중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이하 "QAM"이라 한다)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송파의 진폭 및 위상을 동시에 조합하여 변조하는 방식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 주파수를 갖는 위상차가 90°인 2개의 사인(sine)파와 코사인(cosine)파로 이루어진 반송파를 사용하여 각각의 성분 즉 동위상 성분(in-phase) 및 직교(quadrature) 성분을 진폭 변조하고 이들을 합성시켜 전송한다.
이때 동위상 성분을 가로축으로 하고 직교 성분을 세로축으로 하는 평면상에 서 데이터가 배열되는 위치를 정하는 매핑(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신호를 변조하는데, 매핑은 일반적으로 그레이 부호(gray code)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레이 부호란 두 개의 연속된 값이 단 한 비트만 다른 성질을 갖는 2진 수 체계이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이 발달할수록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요구와 함께 데이터 전송 보안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적법한 수신자에게는 적절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만족시키고, 적법하지 않은 수신자, 즉 도청하고자 하는 자에게는 정보의 모호성(equivocation)을 최대화 하여 정보의 보안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신호대 잡음비(signal noise rate, SNR)에 따른 비트 오류율(bit error rate, BER) 성능이 크게 감소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신호대 잡음비에 따른 비트 오류율 성능이 크게 감소하는 특성의 부호(code)를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변조 장치는 복수의 n 비트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가 n 개 또는 (n-1)개인 코드를 저장하는 코드 저장부, 그리고 상기 코드에 따라 데이터를 심볼로 매핑하는 맵핑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웃하는 요소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는 n 개 및 (n-1)개가 번갈아 반복될 수 있다.
상기 매핑부는, 상기 코드를 동위상 성분(in-phase)을 한 축으로 하고 직교 성분(quadrature)을 다른 한 축으로 하는 성상도에 배열하며, 상기 성상도는 2n-직교 위상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의 성상도일 수 있다.
상기 맵핑부는 상기 코드를 2n/2 개로 이루어진 복수의 군(group)으로 나누어 상기 성상도에 배열할 수 있다.
상기 성상도에서 행 방향 이웃하는 두 요소 및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서로 다른 비트수는 n 개 또는 (n-1)개 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군은 각각 상기 성상도의 열에 따라 상하 방향 및 하상 방향을 번갈아 가면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군은 상기 성상도의 행에 따라 좌우 방향 및 우좌 방향을 번갈아 가며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신호 송신 방법으로서, n 비트로 이루어진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며,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서로 다른 비트 수가 n 개 또는 (n-1)개인 코드를 성상도에 배열하는 단계, 데이터를 상기 성상도의 심볼에 매핑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그리고 변조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요소 중 제1 요소와 상기 제1 요소에 한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요소 사이의 서로 다른 비트 수가 n개인 경우,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1 요소에 다른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요소 사이의 서로 다른 비트 수는 (n-1)개일 수 있다.
상기 성상도는 동위상 성분(in-phase)을 한 축으로 하고 직교 성분(quadrature)을 다른 한 축으로 하는 2n-QAM의 성상도일 수 있다.
상기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를 2n/2 개로 이루어진 복수의 군(group)으로 나누어 상기 성상도에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상도에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성상도에 배열된 후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 및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서로 다른 비트수가 n 개 또는 (n-1)개가 되도록 배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드 생성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에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 사용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i번째 유니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i를 2부터 n까지 증가시키면서 상기 i번째 유니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그리고 n번째 유니트로 상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i번째 유니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한 방향으로 배열된 2i-1개의 요소로 이루어진 (i-1)번째 유니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i-1)번째 유니트를 반전한 (i-1)번째 반전 유니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i-1)번째 유니트와 상기 (i-1)번째 반전 유니트를 상기 한 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한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i-1)번째 유니트와 상기 (i-1)번째 반전 유니트의 각 요소 중 소정 위치에 0과 1을 교대로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0과 1을 삽입한 (i-1)번째 유니트와 상기 (i-1)번째 반전 유니트 중 어느 한 유니트의 요소를 플리핑하여 상기 i번째 유니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대 잡음비에 따른 비트 오류율이 크게 감소하는 특성을 갖는 부호(code)에 따라 변조를 함으로써, 데이터의 적법하지 않은 수신자에 대하여 정보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신호 변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100)는 부호화부(encoder)(110), 변조부(modulator)(120) 및 전송부(130)을 포함한다.
부호화부(110)는 소스 데이터(source data)에 대해서 소스 부호화(source encoding) 및 채널 부호화(channel encoding)를 수행한다.
변조부(120)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며, 코드 저장부(121) 및 맵핑부(122)를 포함한다.
코드 저장부(121)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심볼로 매핑하기 위한 방식을 의미하는 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맵핑부(122)는 코드 저장부(121)에 저장된 코드의 각 요소를 동위상 성분(in-phase)을 가로축으로 하고 직교 성분(quadrature)을 세로축으로 하는 성상도의 심볼에 할당하고, 부호화된 데이터를 성상도의 심볼에 매핑함으로써, 데이터를 변조한다. 이 경우, 요소의 일부 비트는 동위상 성분에 대응하고, 나머지 일부 비트는 직교 성분에 대응한다.
전송부(130)는 변조된 데이터를 수신 장치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코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코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코드는 n비트로 이루어진 숫자(이하 "코드 요소(code member)"라고 한다.)가 복수 개 연결되어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가 최대가 되도록 배열된다. 즉, n 비트인 경우 이웃하는 두 개의 요소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는 n 개 또는 (n-1) 개이며, 모든 요소는 서로 다른 비트 수가 n 개 및 (n-1) 개가 번갈아 반복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2 비트일 경우에 이웃하는 두 개의 요소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는 2 또는 1이며, 3 비트일 경우에 이웃하는 두 개의 요소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는 3 또는 2이며, 4 비트일 경우에 이웃하는 두 개의 요소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는 4 또는 3이다. 그리고 n비트의 요소가 사용되는 경우 코드는 2n개의 요소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마지막 요소와 첫 번째 요소 사이에도 이러한 규칙이 유지된다. 예를 들어 4 비트인 경우 첫 번째 요소는 0000이며 마지막 요소는 0111이며 두 요소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는 3개이다.
이러한 코드는 심볼 에러 당 비트 오류가 최대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신호대 잡음비(signal noise ratio, SNR)이 감소함에 따라 비트 오류율(bit error rate, BER)이 급격히 증가한다. 이로써 데이터를 도청하고자 하는 자, 즉 적법하지 않은 수신자에 대하여 정보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고하여 이러한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에 사용되는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1 비트로 이루어진 숫자 열(sequence){0, 1}을 순서대로 상하로 나열한다(S310). 이때 1 비트인 두 숫자 열{0, 1}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는 한 개이며 이는 1 비트의 숫자에서 가능한 최대 수이다. 따라서 이러한 숫자 열 {0,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에 사용되는 코드 중 1 비트 코드에 해당되며, 0 및 1은 각각 1 비트 코드를 이루는 요소이다.
그런 후, 앞에서 나열한 요소 {0, 1}을 중심선(L)을 기준으로 상하로 대칭되게 배열한다(S320). 즉 위에서부터 {0, 1, 1, 0}을 순서대로 배열한다.
이어서 배열된 숫자 열 {0, 1, 1, 0} 앞에 순서대로 0 및 1을 번갈아 추가한다(S330). 그러면 {00, 11, 01, 10}의 숫자 열이 생성된다.
그런 후 {00, 11, 01, 10}의 숫자 열 중 중심선(L)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숫자들의 각 비트를 반대 비트로 변환한다(S340). 이하 이러한 동작을 플리핑(flipping)이라 한다. 그러면 {00, 11, 10, 01}의 숫자 열이 생성된다. 이러한 숫자 열에서 첫 번째 숫자 00과 두 번째 숫자 11은 서로 다른 비트 수가 2개이며, 두 번째 숫자 11과 세 번째 숫자 10은 서로 다른 비트 수가 1개이며, 세 번째 숫자 10과 네 번째 숫자 01은 서로 다른 비트 수가 2개이다. 따라서 연속된 숫자 간에 서로 다른 비트 수가 최대가 됨을 알 수 있다. 즉 숫자 열 {00, 11, 10, 01}은 도 2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에 사용되는 코드 중 2 비트의 요소로 이루어진 코드에 해당된다.
이어서 {00, 11, 10, 01}의 요소를 중심선(L)을 기준으로 상하로 대칭되게 배열한다(S350). 즉, {00, 11, 10, 01, 01, 10, 11, 00}을 배열한다.
그런 후 배열된 숫자 열 {00, 11, 10, 01, 01, 10, 11, 00} 앞에 0 및 1을 차례로 번갈아 가며 추가한다(S360). 그러면 {000, 111, 010, 101, 001, 110, 011, 100}의 숫자 열이 생성된다.
이어서 {000, 111, 010, 101, 001, 110, 011, 100}의 숫자 열 중 중심선(L)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열되어 있는 숫자들의 비트를 반대로 변경한다(S370). 그러면 {000, 111, 010, 101, 110, 001, 100, 011}의 숫자 열이 생성된다. 이러한 숫자 열에서 첫 번째 숫자 000과 두 번째 숫자 111은 서로 다른 비트 수가 3개이며, 두 번째 숫자 111과 세 번째 숫자 010은 서로 다른 비트 수가 2개이다. 이런 식으로 연속된 숫자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는 3 또는 2이다. 따라서 연속된 숫자 간에 서로 다른 비트 수가 최대가 됨을 알 수 있다. 즉 숫자 열 {000, 111, 010, 101, 110, 001, 100, 011}은 도 2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에 사용되는 코드 중 3 비트의 요소로 이루어진 코드에 해당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 2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에 사용되는 코드 중 4 비트의 요소로 이루어진 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첫 번째 단계(S310)에서 {0, 1}을 순서대로 배열하여 코드 생성을 시작하였지만, 이를 바꾸어 {1, 0}으로 코드 생성을 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세 번째 단계(S320)에서 0 및 1을 순서대로 번갈아 가며 추가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1 및 0을 순서대로 번갈아 가며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두 번째 단계(S320)에서 배열된 숫자 {0, 1, 0, 1}의 앞에 0 또는 1을 번갈아 가며 추가하였지만 숫자 {0, 1, 0, 1}의 뒤에 추가할 수 있으며, 배열된 숫자가 두 개 이상의 열 로 이루어진 경우, 즉 다섯 번째 단계(S350)의 숫자 열과 같이 두 개의 열로 이루어 진 경우에는 각 열의 사이에 0 또는 1을 번갈아 가며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네 번째 단계(S340)에서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단부에 존재하는 숫자들의 비트를 반대로 바꿨지만,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단부에 존재하는 숫자들의 비트를 반대로 바꿀 수도 있다.
이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의 맵핑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에 사용되는 코드의 성질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의 맵핑 방법을 설명하는 성상도(constellation)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의 맵핑 방법을 설명하는 성상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에서 사용되는 코드 중 4 비트 코드의 한 예(a)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코드는 앞서 설명한 코드 생성 방법으로 인하여 (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표시된 열을 제외한 나머지 열은 제1 중심선(La)을 기준으로 역대칭 관계에 있다. 즉 중심선(La)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있는 두 숫자의 각 비트가 서로 반대이다. 또한 (c)를 참고하면, 제1 중심선(La)을 기준으로 상반부에 있는 숫자들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된 열을 제외한 나머지 열은 제2 중심선(Lb)을 기준으로 역대칭 관계에 있으며, 중심선(La)을 기준으로 하반부에 있는 숫자들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된 열을 제외한 나머지 열은 제3 중심선(Lc)를 기준으로 역대칭 관계에 있다. 또한 (d)를 참고하면, 제2 중 심선(Lb)을 기준으로 상반부에 있는 숫자들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된 열을 제외한 나머지 열은 제3 중심선(Ld)을 기준으로 역대칭 관계에 있으며, 제2 중심선(Lb)을 기준으로 하반부에 있는 숫자들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된 열을 제외한 나머지 열은 제4 중심선(Le)을 기준으로 역대칭 관계에 있으며, 이러한 역대칭 관계가 제5 및 제6 중심선(Lf, Lg)을 기준으로 반복된다. 또한 (e)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개의 숫자는 4개의 비트가 모두 서로 역대칭 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4 비트 코드를 도 5와 같이 긴 종이 테이프에 기재하고 4 개씩 분리하여 접는다면, 도 4에서 설명한 코드의 특성 때문에 서로 마주하거나 서로 등을 대고 있는 두 숫자들은 하나의 비트만을 제외하고 모든 비트가 서로 다르다.
이러한 4 비트 코드를 도 6과 같이 왼쪽 16-QAM의 성상도의 4 개 열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하면 16-QAM의 맵핑이 완성된다. 도 6에서 4 비트 코드 중 첫 번째 4 개의 요소는 가장 왼쪽의 첫 번째 열에 위에서부터 아래로 배열되어 있으며, 두 번째 4 개의 요소는 두 번째 열에 아래에서부터 위로 배열되어 있으며, 세 번째 4 개의 요소는 세 번째 열에 위에서부터 아래로 배열되어 있으며, 네 번째 4 개의 요소는 네 번째 열에 아래에서부터 위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성상도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인접하는 두 개의 숫자의 서로 다른 비트 수는 가능한 최대의 개수가 된다. 즉 상하 및 좌우로 인접하는 두 개의 숫자의 서로 다른 비트 개수는 3 또는 4이다.
이 때 4 비트 코드를 16-QAM의 성상도에 배열하는 방식은 상하 방향 및 하상 방향을 열에 따라 바꾸어 배열할 수도 있고, 오른쪽 열부터 배열 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에서부터 좌우 방향 및 우좌 방향을 행에 따라 바꾸어 배열할 수도 있고, 하부에서부터 좌우 방향 및 우좌 방향을 행에 따라 바꾸어 배열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6 비트 숫자를 사용하여 이웃하는 숫자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를 최대가 되도록, 즉 서로 다른 비트수가 6 또는 5가 되도록 코드를 생성한 후에 이를 앞서 설명한 방식대로 8개의 군으로 나누어 64-QAM 성상도에 배열할 수도 있다. 그러면 성상도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이웃하는 모든 숫자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는 6 또는 5가 된다.
이와 같이 n비트로 이루어진 요소를 포함하는 코드는 2n/2 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군으로 나누어 2n-QAM 성상도에 배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코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에 사용되는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에 사용되는 코드의 성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에 사용되는 코드의 성질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의 맵핑 방법을 설명하는 성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의 맵핑 방법을 설명하는 성상도이다.

Claims (13)

  1. 복수의 n 비트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가 n 개 또는 (n-1)개인 코드를 저장하는 코드 저장부, 그리고
    상기 코드에 따라 데이터를 심볼로 매핑하는 맵핑부
    를 포함하는 신호 변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이웃하는 요소 사이에 서로 다른 비트 수는 n 개 및 (n-1)개가 번갈아 반복되는 신호 변조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매핑부는, 상기 코드를 동위상 성분(in-phase)을 한 축으로 하고 직교 성분(quadrature)을 다른 한 축으로 하는 성상도에 배열하며,
    상기 성상도는 2n-직교 위상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의 성상도인 신호 변조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맵핑부는 상기 코드를 2n/2 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군(group)으로 나누어 상기 성상도에 배열하는 신호 변조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성상도에서 행 방향 이웃하는 두 요소 및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서로 다른 비트수는 n 개 또는 (n-1)개 인 신호 변조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군은 각각 상기 성상도의 열에 따라 상하 방향 및 하상 방향을 번갈아 가면서 배열되는 신호 변조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군은 상기 성상도의 행에 따라 좌우 방향 및 우좌 방향을 번갈아 가며 배열되는 신호 변조 장치.
  8. 통신 시스템의 신호 송신 방법으로서,
    n 비트로 이루어진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며,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서로 다른 비트 수가 n 개 또는 (n-1)개인 코드를 성상도에 배열하는 단계,
    데이터를 상기 성상도의 심볼에 매핑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그리고
    변조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9. 제8항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제1 요소와 상기 제1 요소에 한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요소 사이의 서로 다른 비트 수가 n개인 경우,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1 요소에 다른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요소 사이의 서로 다른 비트 수는 (n-1)개인 신호 송신 방법.
  10. 제8항에서,
    상기 성상도는 동위상 성분(in-phase)을 한 축으로 하고 직교 성분(quadrature)을 다른 한 축으로 하는 2n-QAM의 성상도인 신호 송신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를 코드는 2n/2 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군(group)으로 나누어 상기 성상도에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성상도에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성상도에 배열된 후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 및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서로 다른 비트수가 n 개 또는 (n-1)개가 되도록 배열하는 신호 송신 방법.
  13.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에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 사용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i번째 유니트(unit)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i를 2부터 n까지 증가시키면서 상기 i번째 유니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그리고
    n번째 유니트로 상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i번째 유니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한 방향으로 배열된 2i-1개의 요소로 이루어진 (i-1)번째 유니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i-1)번째 유니트를 반전한 (i-1)번째 반전 유니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i-1)번째 유니트와 상기 (i-1)번째 반전 유니트를 상기 한 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한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i-1)번째 유니트와 상기 (i-1)번째 반전 유니트의 각 요소 중 소정 위치에 0과 1을 교대로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0과 1을 삽입한 (i-1)번째 유니트와 상기 (i-1)번째 반전 유니트 중 어느 한 유니트의 요소를 플리핑하여 상기 i번째 유니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드 생성 방법.
KR1020090068533A 2008-12-16 2009-07-27 신호 변조 장치, 송신 방법 및 코드 발생 방법 KR101235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38,328 US8503558B2 (en) 2008-12-16 2009-12-15 Signal modulating device,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code gen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90608P 2008-12-16 2008-12-16
US61/122,906 2008-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550A KR20100069550A (ko) 2010-06-24
KR101235365B1 true KR101235365B1 (ko) 2013-02-20

Family

ID=4236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533A KR101235365B1 (ko) 2008-12-16 2009-07-27 신호 변조 장치, 송신 방법 및 코드 발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3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056A (ko) * 2008-06-05 2009-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056A (ko) * 2008-06-05 2009-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550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14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over a communication channel
RU2216873C2 (ru) Передача цифровых сигналов посредством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я с ортогональным частот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RU236996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межения
KR101151130B1 (ko) 완전 다이버시티 완전 데이터 레이트 시공간 블록 부호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08545305A (ja) あるシンボルマッピング方式を使用するシンボルマッパを使用して異なるシンボルマッピング方式に従う変調シンボルを生成する方法と、シンボルマッピング方式を生成する方法
JP5074823B2 (ja) 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装置
CN107181732B (zh) 一种基于调制符号相位旋转的物理层保密通信方法
JP7091025B2 (ja) 信号送信装置、キャリア位相復元装置及び方法
JPH0730592A (ja) 改良型多次元トレリス符号化通信システム
JP6121463B2 (ja) 動作方法及び移動通信装置
US5448592A (en) Coded QAM system
CN101292484A (zh) 调制解调方法以及调制装置和解调装置
CN101702961A (zh) 用于编码正交频分复用的装置和方法
CN105991508A (zh) 一种8qam调制方法及其系统
KR101235365B1 (ko) 신호 변조 장치, 송신 방법 및 코드 발생 방법
US8503558B2 (en) Signal modulating device,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code generating method
JP5113897B2 (ja) データワードから16qamコンスタレーションの変調シンボルへのマッピング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これを実行させる命令を格納する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9191252B1 (en) Variable length header for identifying changed parameters of a waveform type
US7839946B2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RU2010107061A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обобщенного отображения сегментов на перемежения
US111592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in a transmitter a stream of symbol frames configured for efficient processing in a receiver
JP6465391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20150124887A (ko) 태그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JP2023102835A (ja) 光変調装置、光変調プログラム、及び光変調方法
JP2009017231A (ja) 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