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217B1 -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217B1
KR101235217B1 KR1020060062654A KR20060062654A KR101235217B1 KR 101235217 B1 KR101235217 B1 KR 101235217B1 KR 1020060062654 A KR1020060062654 A KR 1020060062654A KR 20060062654 A KR20060062654 A KR 20060062654A KR 101235217 B1 KR101235217 B1 KR 101235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workform
user terminal
attribute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112A (ko
Inventor
황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2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217B1/ko
Priority to US11/705,442 priority patent/US7779046B2/en
Priority to CN2007100966248A priority patent/CN101101596B/zh
Publication of KR20080004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112A/ko
Priority to US12/834,191 priority patent/US847352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72Access to data in other repository systems, e.g. legacy data or dynamic Web p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저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관련된 속성과 속성값을 설정하는 웹페이지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되며, 웹페이지 생성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웹페이지의 표시가 요청되면, 저장된 웹페이지 데이터를 기초로 기본 웹페이지를 생성하며, 통신부는 생성된 기본 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하며, 서버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기본 웹페이지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속성 및 속성값들이 표시되는 제1웹페이지를 생성하도록 웹페이지 생성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바이스에서 지원가능한 속성 및 속성값만을 UI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워크폼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XML, 워크폼, 웹서버

Description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Web server capable of providing web-pages for management of devices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종래의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위한 UI 화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워크폼 작성부에서 작성되는 워크폼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워크폼 웹페이지를 통해 신규 워크폼을 작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3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워크폼 웹페이지를 통해 기존 워크폼을 편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신규 워크폼을 작성하기 위하여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하여 작성된 워크폼을 편집하기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용자 단말기 130 : 웹브라우저
200 : 디바이스 300 : 웹서버
310 : 제2통신부 320 : 저장부
330 : 워크폼 처리부 340 : 웹페이지 생성부
350 : 워크폼 작성부 380 : 서버 제어부
본 발명은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에서 지원가능한 속성 및 속성값만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워크폼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인쇄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중 원하는 화상형성장치에게 화상형성과 관련된 동작을 요청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에 접속하여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작업을 수행한 다. 즉, 사용자는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화면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속성들의 속성값을 설정하며, 웹서버는 설정된 속성들의 속성값을 해당 화상형성장치에게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위한 UI 화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웹서버에 접속한 후, 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위한 모드로 진입하면, 웹서버는 도 1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제공한다. 종래의 UI 화면은 '텍스트 입력' 상자(1), '이전화면' 상자(3) 및 '다음화면' 상자(5)를 갖는다. 텍스트 입력 상자(1)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제공하는 속성들의 속성값을 입력받는 상자로서, 기능 별로 하나씩 UI 화면 상에 표시된다.
도 1의 경우, UI 화면에는 화상형성시 사용할 해상도의 속성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상자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해상도를 텍스트 입력 상자(1)에 입력한 후, '다음화면'(5)을 클릭하면, 다음 화면이 표시되며, 표시되는 다음 화면에는 다른 속성, 예를 들어, 용지크기와 관련된 내용이 표시된다. 모든 속성에 대한 속성값의 입력이 완료되면, 웹서버는 입력된 속성값을 각 속성에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Data Base)에 저장한다.
그러나, 종래의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UI 화면을 통해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경우, 사용자는 모든 속성들에 대한 속성값을 일일이 수동으로 입력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움과 함께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특히,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UI 화면은 모든 속성에 대한 속성값을 설정하도록 하므로, 속성값의 설정을 원하지 않는 속성에 대해서도 사용자는 의무적으로 속성값을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각 속성에 대한 속성값을 입력할 때 텍스트로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속성의 특징을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올바른 속성값을 입력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게 되며, 결과적으로 웹서버는 사용자에게 쉬운 접근법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해상도를 입력하는 화면에서,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300dpi, 600dpi 등의 해상도를 지원하나, 사용자가 이러한 속성값을 모르는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해상도 입력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속성을 설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정확히 알지 못하는 디바이스의 속성을 입력함으로써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며, 수동으로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웹페이지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바이스에서 지원가능한 속성 및 속성값만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워크폼을 작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관련된 속성과 속성값을 설정하는 웹페이지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의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저장된 웹페이지 데이터를 기초로 기본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페이지 생성부; 상기 생성된 기본 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기본 웹페이지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속성 및 속성값들이 표시되는 제1웹페이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지원가능한 상기 각 속성 별 속성값을 적어도 하나씩 저장하며,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속성값이 각 속성 별로 표시되는 상기 제1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각 속성 별 속성값을 제공받아 상기 기저장된 속성값을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각 속성 별 속성값을 주기적으로 제공받는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속성 별 속성값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완료된 속성 별 속성값을 포함하는 신규 워크폼을 작성하는 워크폼 작성부; 및 상기 작성된 신규 워크폼을 저장하는 워크폼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저장된 신규 워크폼의 편집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면, 상기 저장된 신규 워크폼을 파싱하는 파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파싱된 신규 워크폼이 표시되는 제2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 및 상기 제1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신규 워크폼의 속성값이 적어도 하나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속성값이 반영되는 워크폼을 재작성하도록 상기 워크폼 작성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들은 플러그-인(Plug-in) 방식에 의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며, 상기 이미지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웹페이지 상에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기능을 지원하도록 작성된다.
상기 신규 워크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포맷으로 작성된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관련된 속성과 속성값을 설정하는 웹페이지를 위한 데이터를 웹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의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저장된 웹페이지 데이터를 기초로 기본웹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생성된 기본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되어 표시된 상기 기본웹페이지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속성 및 속성값들이 표시되는 제1웹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속성 별 속성값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속성 별 속성값을 포함하는 신규 워크폼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지원가능한 상기 각 속성 별 속성값이 표시되는 상기 제1웹페이지를 생성한다.
(f) 상기 작성된 신규 워크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g) 상기 신규 워크폼의 편집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면, 상기 저장된 신규 워크폼을 파싱하는 단계; (h) 상기 파싱된 신규 워크폼이 표시되는 제2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2웹페이지가 표시된 후, 상기 표시된 제2웹페이지 상에서 상기 신규 워크폼의 속성값이 적어도 하나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속성값이 반영되는 워크폼을 재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 여기서, 'n'은 양수) 및 웹서버(30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에서 지원하는 작업, 속성들을 관리하기 위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웹서버(300)는 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 200-1, …, 200-n)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웹서버(30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도 통신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만을 도시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개인용 컴퓨터, PDA, 랩탑 등의 기기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서버(300)에 접속한 후, 웹서버(300)에 로그온(log on)하고, 웹페이지와 같은 UI 화면을 이용하여 워크폼(workform)을 생성 또는 편집할 수 있다. 생성 또는 편집된 워크폼은 웹서버(300)에 저장되며, 사용자별로 다수 저장가능하다.
여기서, 워크폼은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웹서버(300)에서 제공되며, 일련의 작업 수행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며, 일 예로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포맷으로 작성된다. 예를 들어, 워크폼은 작업을 수행할 기기, 작업의 처리 순서, 작업 조건 등 다수의 정보를 포함한다. 저장된 워크폼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을 이용한 작업 수행시마다 일일이 작업 조건을 설정하는 불편함 없이, 미리 정의된 다수의 워크폼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자동으로 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웹서버(300)는 웹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해 미리 등록한 사용자의 로그온 정보(ID 및 비밀번호) 및 사용자별로 설정된 다수의 워크폼을 저장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로그온하면, 웹서버(300)는 저장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웹서버(3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가 워크폼을 설정 또는 편집하도록 한다. 이 때, 웹서버(300)는 XML과 같은 웹언어를 이용하여 워크폼을 작 성한다. 사용자가 웹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하나의 워크폼을 선택하면, 웹서버(300)는 선택된 워크폼이 웹페이지에 표시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 200-1, …, 200-n)는 웹서버(300)와 통신가능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이 설치된 기기로서, 팩스전송하는 팩시밀리, 스캐닝하는 스캐너, 복사하는 복사기 또는 기존의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및 복사기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가전기기, 통신기기 등 모든 전자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 200-1, …, 200-n)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워크폼을 웹서버(300)로부터 전송받으면, 전송된 워크폼을 토대로 작업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이 'Scan to Mail' 작업이고, 선택된 워크폼이 문서를 300dpi의 해상도로 스캐닝하여 외부 메일로 전송하는 작업 조건을 가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 200-1, …, 200-n)는 워크폼에 설정된 작업 조건에 대응되는 'Scan to Mail' 작업을 수행한다.
통신망(10)은 일반적인 병렬 포트와 연결되는 케이블, USB 포트와 연결되는 케이블 뿐만 아니라, 허브(HUB) 및 LAN에 의한 인터넷망 등에 의해 구축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웹서버(300)로서 디바이스들(200, 200-1, …, 200-n)의 관리를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호스트 컴퓨터, 디바이스(200)로서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 사용자 단말기(100)로서 사용자 컴퓨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300)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표시부(120), 웹브라우저(130), ROM(140), RAM(150), 제1통신부(160) 및 메인 제어부(170)를 포함하며, 본 발명과 관련되지 않은 블록의 도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며, 하나의 디바이스(2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선택 및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해 웹서버(300)에 로그인한 후, 디바이스(200)에서 제공하는 작업과 관련된 워크폼을 작성 또는 편집한다.
표시부(120)는 메인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웹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워크폼 작성을 위한 웹페이지를 표시한다. 표시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된다.
웹브라우저(130)는 웹서버(300)로 웹페이지 요청신호를 출력하며, 익스플로러(Explorer)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웹브라우저(130)를 구동시킨 후, 웹서버(300)의 웹경로를 입력하면, 제1통신부(140)는 입력된 웹경로에 대응되는 웹서버(300)와의 접속을 실행한다. 사용자는 웹서버(300)에 접속되면 로그인을 통해 사용자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웹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워크폼을 작성하거나 또는 기작성된 워크폼을 편집한다.
ROM(14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 로그램을 저장하며, RAM(15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 수행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ROM(140)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동을 위한 윈도우 버전의 운영 시스템, 웹브라우저(130)의 구동을 위한 익스플로러와 같은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또한, RAM(150)에는 웹브라우저(130)에 의해 브라우징될 웹페이지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되는 웹페이지의 데이터는 웹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워크폼 작성을 위한 웹페이지의 데이터로서 자바 스크립트 포맷으로 작성된 다수의 이미질들을 포함한다.
제1통신부(160)는 웹페이지에 입력되는 웹경로에 대응되는 접속신호를 웹서버(300)로 전송하며, 웹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웹페이지를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제1통신부(140)는 웹서버(300)와 상호통신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 구현가능하며, 랜케이블이 연결되는 포트를 구비한다.
메인 제어부(170)는 기저장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인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웹브라우저(130)의 구동이 요청되면, 웹브라우저(130)를 실행시켜 초기 웹페이지가 표시부(120)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웹서버(300)의 웹경로가 입력되면, 웹서버(300)에 접속하여 웹서버(300)로부터 기본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다수의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표시하도록 제1통신부(160), 웹브라우저(130) 및 표시부(120)를 제어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웹서버(300)는 제2통신부(310), 저장부(320), 워크폼 처리부(330), 웹페이지 생성부(340), 워크폼 작성부(350), ROM(360), RAM(370) 및 서버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버스(300a)는 각 블록 간의 데이터 경로를 제공한다.
제2통신부(310)는 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 및 디바이스(20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전송받아 서버 제어부(240)로 제공한다. 그리고, 제2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게는 신규 워크폼 작성 또는 기존 워크폼 편집과 관련된 웹페이지를 전송하며, 디바이스(200)에게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워크폼을 전송한다. 디바이스(200)는 전송된 워크폼을 토대로 작업을 수행한다.
저장부(320)는 워크폼과 관련된 웹페이지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 즉, 다수의 이미지들 및 워크폼 문서를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320)는 데이터 베이스(Data Base, 이하, 'DB'라 칭함)(322), 워크폼 저장부(324) 및 이미지 저장부(326)를 갖는다.
DB(322)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서 지원 및 제공가능한 속성별 속성값을 적어도 하나씩 저장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서 제공가능한 속성들 중 '용지크기'에 대해서, 디바이스(200)가 A4, A3, B4 및 B3를 지원하는 경우, DB(322)에는 디바이스(200)의 '용지크기'라는 속성에 대해 A4, A3, B4 및 B3라는 속성값이 저장된다.
DB(322)에 저장되는 속성값들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로부터 주기적 으로 제공받아 업데이트된다. 즉, 제2통신부(310)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주기적으로 연결하여 각 속성의 속성값들을 전송받으며, 서버 제어부(380)는 전송된 속성값들이 DB(322)에 업데이트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DB(322)에 웹페이지 생성을 위한 XML 포맷의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와 같은 이미지를 저장한다.
워크폼 저장부(324)는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별로 작성된 도 5와 같은 워크폼 문서를 사용자 별로 하나 이상 저장한다. 워크폼 저장부(324)에 저장되는 워크폼은 웹서버(300)에 로그인한 사용자에게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워크폼을 보여주는 경우 사용되며, 사용자에 의해 편집 또는 추가된 워크폼이 저장된다.
이미지 저장부(326)는 웹페이지 생성에 필요한 다수의 이미지들을 저장한다. 다수의 이미지들은 플러그-인(Plug-in) 방식에 의해 저장된다. 여기서, 플러그-인 방식이란 웹브라우저의 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한 방식으로서 음향, 정지영상,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한다.
워크폼 처리부(330)는 워크폼 작성을 위한 웹페이지 요청시 저장된 워크폼을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며, 이를 위하여 파서(332) 및 이미지 연계부(334)를 포함한다.
파서(332)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워크폼 작성을 위한 웹페이지 표시가 요청되면, DB(322)에 저장된 XML 포맷의 웹페이지 데이터 또는 워크폼 저장부(324)에 저장된 워크폼 문서를 파싱하여 파싱된 워크폼 문서를 출력한다.
이미지 연계부(334)는 파싱된 워크폼 문서 중 이미지로의 전환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미지 저장부(326)에 저장된 이미지를 연계시킨다. 예를 들어, 파싱된 워크폼 문서 중 'Scan, Fax, E-mail, OCR' 등의 상위 메뉴와 관련된 부분은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가 표시되어야 하므로, 이미지 연계부(334)는 각각의 상위 메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이미지 저장부(326)로부터 독출하여 연계시킨다.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웹서버(300)와 관련된 웹페이지를 생성한다. 보다 자세히는,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웹서버(300)에 접속시 로그인을 위한 초기 웹페이지(미도시), 워크폼을 작성 또는 편집하도록 하는 도 6a 내지 도 6d와 같은 워크폼 웹페이지 등을 생성한 후, 생성된 웹페이지들이 로그인한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되도록 한다.
특히, 도 6a 내지 도 6d와 같은 신규 워크폼 작성을 위한 웹페이지 생성시,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이미지 저장부(326)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생성한다. 특히, 웹페이지 생성부는 이미지 연계부(334)에 의해 연계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연계된 이미지가 지정된 영역에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이미지들이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경우,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다수의 이미지들은 자바 스크립트 포맷으로 생성하며, 그 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HTML과 같은 일반적인 웹언어로 생성한다. 이는 웹페이지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된 후, 사용자 단말기(100)에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고 각 이미지에 대해 드래그 앤 드랍 기능을 지원하 기 위함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워크폼 웹페이지를 통해 신규 워크폼을 작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초기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폼(workform)'과 관련된 부분이 표시되지 않는 기본 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이 때, 파서(332)는 기본 웹페이지에 대응되는 XML 문서를 ROM(360)으로부터 제공받아 파싱하며, 이미지 연계부(334)는 파싱결과 중 이미지가 연계되어야 할 부분에 이미지를 연계시킨다.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이미지 연계부(33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계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기본 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된 기본 웹페이지 상에서,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해 신규 워크폼의 작성이 요청된 후, 어느 하나의 이미지(예를 들어, 'scan'(①))가 선택되면,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DB(322)에 저장된 웹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6b와 같은 제1웹페이지를 생성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선택된 'scan(①)에 대응되는 상위메뉴 'scan ▼'(①')이 표시되고, 점선안에 도시된 '▼'이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해 선택되면 'scan'에 대한 하위메뉴들(①")이 표시되는 제1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①' 및 ①"에 표시되는 문자는 텍스트이며, '▼'는 이미지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하위메뉴들(①")의 각 속성에 대해 표시된 '▼'을 선택하면, 제2웹페이지에는 각 속성에 대해 디바이스(200)에서 지원 가능한 속성값들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해 원하는 속성값을 선택할 수 있다.
하위메뉴(①")에 표시된 각 속성에 대한 속성값의 설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해 다음 단계의 이미지(예를 들어, 'OCR'(②))이 선택되면,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도 6c와 같은 제2웹페이지를 생성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선택된 'OCR(②)에 대응되는 상위메뉴 'OCR ▼'(②')이 표시되고, 점선안에 도시된 '▼'이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해 선택되면 'OCR'에 대한 하위메뉴(②")가 표시되는 제2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②' 및 ②"에 표시되는 문자는 텍스트이며, '▼, ▶'는 이미지이다.
각 하위메뉴(②")의 속성값 설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해 다음 단계의 이미지(예를 들어, 'ftp 및 printer'(③, ④))가 선택되면,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도 6d와 같은 제3웹페이지를 생성한다. 도 6d를 참조하면,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선택된 'ftp, folder 및 printer'(③, ④, ⑤)에 대응되는 상위메뉴 'ftp 및 printer'(③', ④', ⑤')가 표시되는 제3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③, ④, ⑤, ③', ④' 및 ⑤'에 표시되는 문자는 텍스트이며, '▼'는 이미지이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모든 하위메뉴에 대한 속성값의 설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해 'save'(⑥)가 선택되면, 제1통신부(160)는 설정된 속성값들을 제2통신부(310)로 전송한다.
여기서, 'scan, OCR, ftp 및 printer'에 대한 상위메뉴 및 하위메뉴들(①', ①", ②', ②", ③' 및 ④')은 DB(322)에 저장된 속성 별 속성값들로 표시된다. 즉,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웹페이지는 신규 워크폼을 작성하기 위한 웹페이지이므로,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DB(322)에 저장된 디바이스(200)가 지원가능한 속성 별 속성값들이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워크폼 작성부(350)는 제2통신부(310)를 통해 제1통신부(160)로부터 전송된 각 속성 별 속성값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200)에 대한 신규 워크폼 문서를 작성한다. 즉, 작성되는 워크폼 문서는 제1 내지 제3웹페이지를 통해 새로이 설정된 각 속성의 속성값을 포함한다. 이 때, 워크폼 작성부(350)는 XML 포맷과 같은 지정된 포맷의 언어를 이용하여 신규 워크폼 문서를 작성한다.
한편,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신규 워크폼 뿐만 아니라 기존에 작성된 워크폼을 편집하도록 하는 웹페이지도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존에 작성된 워크폼을 편집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웹서버(300)의 웹페이지에 먼저 로그온한다. 로그온되면, 기본 웹페이지에는 로그온한 사용자에 대해 기설정된 워크폼 리스트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워크폼 리스트 중 편집을 원하는 워크폼을 선택하면(도 7의 경우 'List 1', 파서(332)는 선택된 워크폼 문서를 워크폼 저장부(324)로부터 독출하여 파싱하고 파싱결과를 웹페이지 생성부(340)에게 제공한다.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제공된 파싱결과를 기초로 도 7과 같이 기설정된 속성값들이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이 때,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DB(322)에 저장된 디바이스(200)에서 제공가능한 속성 별 속성값들이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생성한다.
도 7에 표시되는 웹페이지 상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편집을 원하는 속성의 속성값을 변경한 후, 'save' 버튼(⑥)을 선택하면, 제1통신부(160)는 변경된 속성값들을 포함하는 속성들을 제2통신부(310)로 전송한다.
워크폼 작성부(350)는 제1통신부(160)로부터 전송된 각 속성 별 속성값들을 이용하여 기존에 작성된 워크폼을 재작성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웹서버(300)에 로그인한 후, 웹서버(300)의 웹페이지를 통해 워크폼의 작성 또는 편집을 요청하면,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워크폼과 관련된 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도 6a 내지 도 6d와 같은 워크폼과 관련된 웹페이지를 통해 새로운 속성값들로 이루어진 신규 워크폼의 작성을 요청하거나, 도 7과 같은 웹페이지를 통해 기저장된 워크폼의 편집을 요청하면, 워크폼 작성부(350)는 웹페이지를 통해 편집된 워크폼 또는 신규 워크폼을 작성한다. 편집된 워크폼 또는 신규 워크폼은 워크폼 저장부(324)에 저장된다.
ROM(360)은 웹서버(30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 디바이스(200)의 관리를 위한 관리 프로그램, 플러그-인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XML 포맷의 워크폼을 파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웹페이지 생성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RAM(370)은 웹서버(300)의 동작 수행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서버 제어부(380)는 기저장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술한 웹서 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서버 제어부(380)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웹서버(300)로의 접속이 요청되면,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전송하도록 웹페이지 생성부(340) 및 제2통신부(310)를 제어한다.
특히, 신규 워크폼을 웹페이지를 통해 작성하려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된 기본웹페이지 상에서 어느 하나의 이미지(예를 들어, 'scan(①)가 제1웹페이지의 일정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서버 제어부(380)는 일정 영역에 도 6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는 제1웹페이지를 생성하도록 웹페이지 생성부(340)를 제어한다.
이 때, 서버 제어부(380)는 디바이스(200)에서 제공하는 속성들의 속성값을 DB(322)로부터 독출하여, 독출된 속성값이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생성하도록 웹페이지 생성부(340)를 제어한다.
또한, 웹페이지를 통해 각 속성 별 속성값의 설정이 완료되면, 서버 제어부(380)는 설정된 속성 별 속성값을 포함하는 워크폼 문서를 작성하여 저장하도록 워크폼 작성부(350) 및 워크폼 저장부(324)를 제어한다.
한편, 저장된 워크폼 문서의 편집이 요청되면, 서버 제어부(380)는 저장된 워크폼 문서를 파싱하여 웹페이지상에 표시하도록 파서(332) 및 웹페이지 생성부(340)를 제어한다. 생성된 웹페이지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된 후, 사용자 입력부(110)의 조작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속성의 속성값이 변경되면, 서버 제어부(380)는 변경된 속성값이 반영되는 워크폼을 재작성하도록 워크폼 작성부(350)를 제어한다. 재작성된 워크폼은 워크폼 저장부(324)에 저장된다.
도 8은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신규 워크폼을 작성하기 위하여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관리자는 웹서버(300)의 이미지 저장부(326)에 웹페이지 생성에 필요한 다수의 이미지들을 저장하며, ROM(360)에 웹페이지 데이터를 저장한다(S800).
제2통신부(310) 및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웹서버(300)에 로그인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S810), 웹페이지 생성부(340) 및 제2통신부(310)는 서버 제어부(380)의 제어하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기본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전송한다(S820).
이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표시부(120)에는 도 6a와 같은 기본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해 신규 워크폼의 작성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된 후(S830), 기본 웹페이지 상에 표시된 이미지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S840),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 및 디바이스(200)에서 지원가능한 속성 별 속성값이 표시되는 제1웹페이지를 생성한다(S850).
자세히 설명하면, 도 6a와 같은 기본 웹페이지에서 소정 이미지가 선택되면,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위메뉴 및 상위메뉴에 속하는 하위메뉴, 즉, 디바이스(200)에서 지원가능한 속성들과 각 속성의 속성값이 표시되는 제1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루틴에 의해 제1 내지 제3웹페이지 상에서 각 속성 별 속성 값을 설정한다(S860).
도 6d와 같은 웹페이지 상에서 속성 별 속성값의 설정이 완료되면(S870), 설정 완료된 속성값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웹서버(300)로 전송된다.
워크폼 작성부(350)는 전송된 속성 별 속성값을 이용하여 신규 워크폼을 작성하며(S880), 워크폼 저장부(324)는 작성된 신규 워크폼을 저장한다(S890). S890단계에서, 신규 워크폼은 S810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에게 매핑되도록 저장된다. 저장된 신규 워크폼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 또는 웹서버(300)의 관리자에 의해 편집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S840단계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선택한 이미지를 웹페이지의 소정 영역까지 드래그 앤 드랍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표시부(120)에는 도 6b와 같은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하여 작성된 워크폼을 편집하기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웹브라우저(130)를 구동하여 웹서버(300)에 접속한 후, 로그인을 통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S900), 웹페이지 생성부(340) 및 제2통신부(310)는 도 6a와 같은 기본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전송한다(S910). 이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표시부(120)에는 도 6a와 같은 기본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해 기존에 작성된 기존 워크폼의 편집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S920), 파서(332)는 편집이 요청된 기존 워크폼을 워크폼 저장 부(324)로부터 독출하여 파싱하며, 웹페이지 생성부(340)는 파싱된 기존 워크폼이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생성한다(S930).
생성된 웹페이지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표시부(120)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표시된 웹페이지 상에서 사용자 입력부(110)의 조작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속성의 속성값이 변경되고(S940),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속성값들의 변경이 완료되면(S950), 워크폼 작성부(350)는 변경된 속성값들이 반영되는 워크폼을 재작성하며, 워크폼 저장부는 재작성된 워크폼을 저장한다(S960).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은 워크폼 작성 시, 'well formed'를 자체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정확하고 올바른 XML 포맷의 워크폼이 작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well formed'는 프로그래밍 시 <>로 시작하면, </>로 마무리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워크폼 작성부(350)에서 워크폼이 작성되면, 서버 제어부(380)는 작성된 워크폼의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여 작성완료된 워크폼의 에러 여부를 판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무결한 XML 포맷의 워크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에 의하면, 디바이스에서 지원가능한 속성 및 속성값만을 UI로 적용된 웹페이지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워크폼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웹페이지와 같은 그래픽 이미지를 이용하여 XML 포맷의 워크폼을 편집하고, 각 속성에 대한 속성값들을 On-line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텍스트를 직접 입력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바이스가 지원가능한 속성 및 속성값은 주기적으로 디바이스로부터 웹서버로 제공되어 업데이트되므로, 사용자에게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는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워크폼을 작성함으로써 XML과 관련된 특별한 지식없이 쉽게 워크폼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의 일괄작업을 위하여 워크폼을 작성할 때, 웹페이지를 통해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PC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인터넷에 의해 상술한 본 발명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관련된 속성과 속성값을 설정하는 웹페이지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의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저장된 웹페이지 데이터를 기초로 기본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페이지 생성부;
    상기 생성된 기본 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기본 웹페이지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속성 및 속성값들이 표시되는 제1웹페이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지원가능한 상기 각 속성 별 속성값을 적어도 하나씩 저장하며,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속성값이 각 속성 별로 표시되는 상기 제1웹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각 속성 별 속성값을 제공받아 상기 기저장된 속성값을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각 속성 별 속성값을 주기적으로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속성 별 속성값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완료된 속성 별 속성값을 포함하는 신규 워크폼을 작성하는 워크폼 작성부; 및
    상기 작성된 신규 워크폼을 저장하는 워크폼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신규 워크폼의 편집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면, 상기 저장된 신규 워크폼을 파싱하는 파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파싱된 신규 워크폼이 표시되는 제2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상기 웹페이지 생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신규 워크폼의 속성값이 적어도 하나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속성값이 반영되는 워크폼을 재작성하도록 상기 워크폼 작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웹페이지 및 상기 제1 웹페이지 생성에 필요한 복수의 이미지들은 플러그-인(Plug-in) 방식에 의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웹페이지 및 상기 제1 웹페이지 생성에 필요한 복수의 이미지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기본 웹페이지 및 상기 제1 웹페이지 상에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기능을 지원하도록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워크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포맷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10. 웹 서버의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 페이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관련된 속성과 속성값을 설정하는 웹페이지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의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저장된 웹페이지 데이터를 기초로 기본웹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생성된 기본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되어 표시된 상기 기본웹페이지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속성 및 속성값들이 표시되는 제1웹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속성 별 속성값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속성 별 속성값을 포함하는 신규 워크폼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지원가능한 상기 각 속성 별 속성값이 표시되는 상기 제1웹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속성 별 속성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f) 상기 작성된 신규 워크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g) 상기 신규 워크폼의 편집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면, 상기 저장된 신규 워크폼을 파싱하는 단계;
    (h) 상기 파싱된 신규 워크폼이 표시되는 제2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i)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2웹페이지가 표시된 후, 상기 표시된 제2웹페이지 상에서 상기 신규 워크폼의 속성값이 적어도 하나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속성값이 반영되는 워크폼을 재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웹페이지 및 상기 제1 웹페이지 생성에 필요한 복수의 이미지들은 플러그-인(Plug-in) 방식에 의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웹페이지 및 상기 제1 웹페이지 생성에 필요한 복수의 이미지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웹페이지 상에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기능을 지원하도록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워크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포맷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19. 웹 서버의 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위한 웹 페이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워크폼과 관련된 부분을 표시하지 않는 기본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본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신규 워크폼 작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기본 웹페이지 상에서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 및 속성 값이 표시되는 제1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 및 속성 값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속성 및 속성 값을 포함하는 신규 워크폼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20.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 및 속성 값을 설정하는 웹 페이지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기초로 워크폼과 관련된 부분을 표시하지 않는 기본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페이지 생성부;
    상기 생성된 기본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신규 워크폼 작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기본 웹페이지 상에서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 및 속성 값이 표시되는 제1 웹 페이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웹 페이지 생성부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및
    상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제1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 및 속성 값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속성 및 속성 값을 포함하는 신규 워크폼을 작성하는 워크폼 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관리를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KR1020060062654A 2006-07-04 2006-07-04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KR101235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654A KR101235217B1 (ko) 2006-07-04 2006-07-04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US11/705,442 US7779046B2 (en) 2006-07-04 2007-02-13 Web server and method to provide web-pages to manage devices
CN2007100966248A CN101101596B (zh) 2006-07-04 2007-04-19 提供管理设备的网页的网络服务器和方法
US12/834,191 US8473522B2 (en) 2006-07-04 2010-07-12 Web server and method to provide web-pages to manag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654A KR101235217B1 (ko) 2006-07-04 2006-07-04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112A KR20080004112A (ko) 2008-01-09
KR101235217B1 true KR101235217B1 (ko) 2013-02-20

Family

ID=3892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654A KR101235217B1 (ko) 2006-07-04 2006-07-04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779046B2 (ko)
KR (1) KR101235217B1 (ko)
CN (1) CN1011015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767B1 (ko) * 2005-06-28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Ftp 를 이용한 인쇄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그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4742766B2 (ja) * 2005-09-14 2011-08-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デバイスリンク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リンク方法
US8701023B1 (en) 2006-02-16 2014-04-1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Global parameter management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embedded application design
KR101390177B1 (ko) * 2008-04-01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워크폼 관리 방법, 워크폼 관리를 위한 호스트 장치,화상형성장치의 워크폼 관리방법 및 워크폼 관리 시스템
KR101571348B1 (ko) * 2009-09-01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 디바이스, 워크폼 실행 디바이스, 워크폼 생성방법 및 워크폼 실행 방법
KR101127877B1 (ko) * 2011-02-14 2012-03-23 주식회사 포티스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사이드 웹 인터페이스에 대한 외부 브라우저의 처리 시스템
KR101833337B1 (ko) * 2011-09-09 2018-03-0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관리 서버, 워크폼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952A (ko) * 2002-05-01 2003-01-23 아이티로직스 주식회사 엑스엠엘 기반의 웹문서 처리 시스템 및 엑스엠엘 기반웹문서의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03076509A (ja) 2001-06-21 2003-03-14 Seiko Epson Corp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印刷データ提供サービス
KR20040001010A (ko) * 2002-06-26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xml유효성 검증 장치를 이용하는 xml파싱 장치및 방법
KR20060039173A (ko) * 2004-11-02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검색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2052B1 (en) * 2000-07-21 2006-07-04 Canon Kabushiki Kaisha Efficient rasterization system and method
US7408657B2 (en) * 2000-09-19 2008-08-05 Fuji Xerox Co., Ltd. Image input and output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a common initiation portion
EP1205843A3 (en) * 2000-11-13 2004-10-20 Canon Kabushiki Kaisha User interfaces
JP2004102558A (ja) * 2002-09-09 2004-04-02 Murata Mach Ltd サーバ装置
US7567360B2 (en) * 2003-03-27 2009-07-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EP1782246B1 (en) * 2004-07-07 2020-02-12 Sciencelogic, LLC Self configuring network management system
JP2006067116A (ja) * 2004-08-25 2006-03-09 Canon Inc 情報処理システムのデータ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記憶媒体、プログラム
US20060047620A1 (en) * 2004-08-26 2006-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monitoring changes to an electronic document having a primary predefined purpose
WO2006063118A2 (en) * 2004-12-07 2006-06-15 Pure Networks, Inc. Network management
JP4724474B2 (ja) * 2005-06-10 2011-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ジョブ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6509A (ja) 2001-06-21 2003-03-14 Seiko Epson Corp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印刷データ提供サービス
KR20030006952A (ko) * 2002-05-01 2003-01-23 아이티로직스 주식회사 엑스엠엘 기반의 웹문서 처리 시스템 및 엑스엠엘 기반웹문서의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40001010A (ko) * 2002-06-26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xml유효성 검증 장치를 이용하는 xml파싱 장치및 방법
KR20060039173A (ko) * 2004-11-02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검색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81358A1 (en) 2010-11-04
CN101101596A (zh) 2008-01-09
US7779046B2 (en) 2010-08-17
KR20080004112A (ko) 2008-01-09
US8473522B2 (en) 2013-06-25
CN101101596B (zh) 2012-07-18
US20080010369A1 (en)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602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KR101338980B1 (ko) 통합 플러그인 기능을 가지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통합플러그인 생성 방법
US86990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4154791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データ処理装置
EP215003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ble to re-execute workflow and method thereof
KR101414745B1 (ko) 분산인쇄 설정을 위한 호스트 장치 및 분산인쇄 설정 방법
US8743390B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web server providing workflow status of job, and method to provide workflow status of job in image forming device and web server
US9019528B2 (en) Restricting a screen transition instruction based on a status of execution of a job instructed by a web server
KR101235217B1 (ko)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 제공 방법
EP2387222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US2012007565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method that cause a job execution screen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of a terminal apparatus
US2009016492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09009179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ird-party administrative control of remote imaging jobs and imaging devices
KR20110024156A (ko) 호스트 디바이스, 워크폼 실행 디바이스, 워크폼 생성방법 및 워크폼 실행 방법
US8902453B2 (en) System for requiring authentication for generation of new printing job profiles from a client device
KR20080006399A (ko)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US926886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displays ic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US8782512B2 (en) Controller,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job information display, and recording medium
JP2016081113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61203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2012003325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10055689A1 (en) Method of performing at least one operation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ost device to perform the method
US2010020829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erv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KR20110085783A (ko) 다큐먼트 박스에 문서를 저장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2019022235A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