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484B1 - 통신 장치, 기록 매체,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기록 매체,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484B1
KR101234484B1 KR1020117003001A KR20117003001A KR101234484B1 KR 101234484 B1 KR101234484 B1 KR 101234484B1 KR 1020117003001 A KR1020117003001 A KR 1020117003001A KR 20117003001 A KR20117003001 A KR 20117003001A KR 101234484 B1 KR101234484 B1 KR 101234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lc
data
pdu
lay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166A (ko
Inventor
지아끼 시노하라
가즈히사 오부찌
아끼히데 오또나리
요시노리 소에지마
마나부 구보따
미끼 야마사끼
신야 오까모또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확실한 QoS 제어를 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빈 영역 할당부(121)는, MAC-PDU의 빈 영역 중, 1개의 RLC-SDU를 분할하지 않고 할당할 수 있는 영역을 우선하여 RLC-SDU의 할당 영역으로 한다. RLC-PDU 작성부(124)는, RLC-SDU 버퍼부(122) 또는 재송 버퍼부(123)로부터 출력된 RLC-SDU에 적절한 RLC층의 헤더를 부가하여 RLC-PDU를 작성한다.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는, MAC-PDU의 빈 영역 정보가 미통지인 RLC 처리부 중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의 빈 영역 할당부(121)에, 빈 영역 정보를 출력한다. MAC-PDU 작성부(132)는, 각 RLC 처리부(120-1∼120-n)의 빈 영역 할당부(121)로부터 통지된 할당 영역에 따라서 RLC-PDU를 다중화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기록 매체,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COMMUNICATION DEVICE, RECORDING MEDIUM, AND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METHOD}
본 발명은, 통신 장치, 송신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새로운 규격으로서, LTE(Long Term Evolution)라고 불리어지는 통신 사양이 활발하게 검토되고 있다. LTE는, 통신 표준화 프로젝트의 하나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주목받고 있고, 예를 들면 데이터 링크층에 상당하는 레이어 2의 개량 등이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TE에서의 레이어 2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층, RLC(Radio Link Control)층, 및 MAC(Medium Access Control)층의 3개의 서브 레이어를 갖고 있다. PDCP층 및 RLC층에 속하는 PDCP 엔티티 및 RLC 엔티티는,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논리 채널(LCH:Logical CHannel)의 수(도 1에서는 n)씩 존재하고, 서로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n개의 각 PDCP 엔티티에서는,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PDCP층의 헤더가 부가되고, 얻어진 PDCP층의 PDU(Packet Data Unit)가 대응하는 RLC 엔티티에 출력된다. 이 PDU는, RLC층에서는 SDU(Service Data Unit)로 되고, 각 RLC 엔티티에 의해서, RLC층의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RLC층의 PDU가 얻어지게 된다. 즉, 상위의 서브 레이어의 PDU는, 하위의 서브 레이어에 출력되면, 하위의 서브 레이어의 SDU로서 취급된다. 그리고, 하위의 서브 레이어에서 SDU에 서브 레이어마다의 헤더가 부가되면, 하위의 서브 레이어의 PDU가 얻어진다.
또한, 각 RLC 엔티티로부터 RLC층의 PDU(이하 「RLC-PDU」라고 함)가 MAC층에 출력되면, 이들의 RLC-PDU는 다중화되고, MAC층의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MAC층의 PDU(이하 「MAC-PDU」라고 함)로 되어, 물리층에 상당하는 레이어 1의 처리가 실시되어 송신된다. 이 때, MAC층에 속하는 MAC 엔티티는,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할 수 있는 대역 폭이나 전력 등의 무선 리소스로부터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결정하고, n개의 각 RLC 엔티티로부터 출력되는 RLC-PDU를 적절하게 MAC-PDU의 빈 영역에 할당하여 다중화한다.
즉,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MAC층에서는, 1번째의 RLC 엔티티(이하 「RLC#1」이라고 함)에서 SDU에 RLC 헤더가 부가되어 얻어진 RLC-PDU와, 2번째의 RLC 엔티티(이하 「RLC#2」라고 함)에서 SDU에 RLC 헤더가 부가되어 얻어진 RLC-PDU가, 각각 MAC-SDU로서 취급되어 다중화된다. 다중화된 2개의 MAC-SDU에는, MAC층에서의 헤더(MAC 헤더)나 제어 정보가 부가되고, MAC-PDU가 얻어지게 된다.
그리고, 얻어진 MAC-PDU는, 도시하지 않은 레이어 1의 처리가 실시된 후에 송신된다. 또한, MAC층에서는, n 채널로 이루어지는 스톱 앤드 웨이트(Stop & Wait)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의한 재송 제어도 실행되고 있다. MAC층의 HARQ에서는, 송신 시에 MAC-PDU가 유지됨과 함께, MAC-PDU에 대한 오류 정정 처리,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화가 행해진다. 그리고, 수신측은, MAC-PDU의 수신 결과가 수신 NG(즉, CRC 부호에 의한 오류 검출 결과가 NG)로 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NACK를 송신측에 회신한다. 한편, 수신 OK(즉, CRC 부호에 의한 오류 검출 결과가 OK)로 된 경우, 수신측은, 그 취지를 나타내는 ACK를 송신측에 회신한다. 그 후, 송신측의 MAC층에서는, NACK이 수신된 경우에는 첫회 송신 시에 유지된 MAC-PDU가 재송되고, ACK가 수신된 경우에는 첫회 송신 시에 유지된 MAC-PDU가 파기된다.
또한, 1개의 MAC-PDU에 대해서 소정의 최대 재송 횟수만큼 반복 재송하여도 ACK가 회신되지 않았던 경우에도, 해당하는 MAC-PDU가 파기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비하여, RLC층에서는, Poll/Status 정보를 이용한 자동 재송 요구(ARQ)에 의한 재송 제어가 실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신측의 RLC층은, Poll 정보를 RLC-PDU에 부가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의 RLC층에 대하여 Status 정보를 요구한다. 그리고, 수신측의 RLC층은, 수신한 RLC-PDU로부터 Poll 정보를 검출하고, 현재까지 수신된 RLC-PDU의 시퀀스 번호로부터 결락된 RLC-PDU의 유무를 확인하고, Status 정보를 작성하여 송신측의 RLC층에 송신한다. 송신측의 RLC층은, 수신한 Status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측에서 결락되었던 RLC-PDU를 재송한다.
그런데,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는, 무선 리소스에 따라서 결정되기 때문에, 시시각각 변동하고, 항상 과부족 없이 RLC-PDU를 MAC-PDU의 빈 영역에 다중화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1개의 RLC-PDU가 분할되고, 분할되어 얻어진 RLC-PDU가 각각 다른 MAC-PDU의 빈 영역에 다중화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사이즈가 다른 4개의 PDCP층의 PDU(이하 「PDCP-PDU」라고 함)가 2개의 MAC-PDU(MAC-PDU#1 및 MAC-PDU#2)에 다중화되어 송신되는 경우에 대해서 생각한다. 또한, 4개의 PCDP-PDU에는, 데이터의 중요성이나 QoS(Quality of Service)에 따른 우선 순위가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PDCP-PDU를 취득한 RLC#1은, PDCP-PDU에 헤더(도면 중 「H」로 나타냄)를 부가하여, RLC-PDU(RLC-PDU#1)를 MAC-PDU#1에 다중화한다. 그리고, MAC-PDU#1의 남은 영역에는, 2번째로 우선 순위가 높은 RLC-PDU가 다중화되게 되지만, 2번째로 우선 순위가 높은 PDCP-PDU를 취득한 RLC#2는, MAC-PDU#1의 빈 영역 사이즈가 부족하기 때문에, PDCP-PDU를 분할하여 분할 후의 PDCP-PDU를 각각 RLC-SDU로 한다. 즉, 1개의 PDCP-PDU가 분할되어 얻어진 2개의 RLC-SDU 각각에 헤더가 부가된다.
그리고, RLC#2는, 헤더의 부가에 의해 얻어진 한쪽의 RLC-PDU#2-1을 MAC-PDU#1에 다중화하고, 다른 쪽의 RLC-PDU#2-2를 MAC-PDU#2에 다중화한다. 이와 같이, 우선 순위가 2번째로 높은 PDCP-PDU는 분할되고, 얻어진 2개의 RLC-PDU#2-1 및 RLC-PDU#2-2가 각각 MAC-PDU#1 및 MAC-PDU#2의 빈 영역에 다중화되게 된다. 그 후, MAC-PDU#2의 남은 영역에는, 3번째로 우선 순위가 높은 PDCP-PDU의 전체를 포함하는 RLC-PDU#3과, 4번째로 우선 순위가 높은 PDCP-PDU의 일부를 포함하는 RLC-PDU#4가 다중화된다.
그러나, PDCP-PDU가 분할되고, 분할 후의 PDCP-PDU 각각이 RLC-SDU로 되면, 각 RLC-SDU에 RLC 헤더가 부가되게 되어, 헤더에 할당되는 MAC-PDU의 영역이 증대한다. 즉, RLC-SDU에 부가되는 헤더를 송신하기 위해 소비되는 무선 리소스가 증대한다. 여기서, 헤더는, 전송해야 할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아니므로, MAC-PDU 중에 RLC층의 헤더가 차지하는 비율이 많아지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바꿔 말하면, 1개의 PDCP-PDU가 분할되어 RLC-SDU의 수가 증대하면, 데이터의 스루풋이 저하한다. 동시에, 수신측에서는, 복수의 RLC-SDU를 결합함으로써, 1개의 PDCP-PDU를 조립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분할되는 PDCP-PDU가 많아지면, 수신측에서도 RLC층의 처리 부하가 증대한다.
또한, 상술한 도 3에 도시한 예의 경우, 우선 순위가 2번째로 높은 PDCP-PDU가 2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MAC-PDU#1 및 MAC-PDU#2의 쌍방이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고서는, 우선 순위가 2번째로 높은 PDCP-PDU를 조립할 수 없다. 한편, 예를 들면 우선 순위가 3번째로 높은 PDCP-PDU에 대해서는, 수신측에서, MAC-PDU#2만이 올바르게 수신되면, 이 PDCP-PDU가 얻어진다. 즉, 우선 순위가 2번째로 높은 PDCP-PDU의 쪽이 수신측에 정상적으로 전송된 가능성이 낮게 되어, 결과적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PDCP-PDU에 관한 재송의 쪽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우선 순위에 대응하는 QoS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확실한 QoS 제어를 할 수 있는 통신 장치, 송신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 장치는, 2계층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갖는 통신 장치에서, 제1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 각각에 설치되는 데이터 다중 가능한 빈 영역의 사이즈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취득부에 의해서 사이즈가 취득된 빈 영역 중, 상기 각 데이터와 동일 사이즈, 또한, 어느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위 내에 설치되는 일련의 빈 영역을 할당하는 할당부와, 상기 할당부에 의한 빈 영역의 할당에 따라서,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를 제1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에 다중화하는 다중부를 갖는다.
또한, 송신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2계층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갖는 통신 장치로서 동작시키는 송신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가, 제1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 각각에 설치되는 데이터 다중 가능한 빈 영역의 사이즈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컴퓨터가,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취득 스텝에서 사이즈가 취득된 빈 영역 중, 각 데이터와 동일 사이즈, 또한, 어느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위 내에 설치되는 일련의 빈 영역을 할당하는 할당 스텝과, 상기 컴퓨터가, 상기 할당 스텝에서의 빈 영역의 할당에 따라서,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를 제1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에 다중화하는 다중 스텝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또한,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은, 컴퓨터가, 2계층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갖는 통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가, 제1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 각각에 설치되는 데이터 다중 가능한 빈 영역의 사이즈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컴퓨터가,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취득 스텝에서 사이즈가 취득된 빈 영역 중, 각 데이터와 동일 사이즈, 또한, 어느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위 내에 설치되는 일련의 빈 영역을 할당하는 할당 스텝과, 상기 컴퓨터가, 상기 할당 스텝에서의 빈 영역의 할당에 따라서,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를 제1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에 다중화하는 다중 스텝을 갖고, 상기 컴퓨터가 상기 통신 장치로서 기능한다.
이들에 따르면, 제2 레이어의 데이터의 분할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제2 레이어에서 부가되는 헤더의 양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헤더를 송신하기 위해 소비되는 무선 리소스를 저감할 수 있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로부터 순서대로 빈 영역을 할당함으로써,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의 분할을 회피하여, 확실한 QoS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통신 장치, 송신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확실한 QoS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1은 LTE에서의 레이어 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레이어간에서의 데이터 구성의 대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레이어 2에서의 송신 데이터 생성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송신 장치에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송신 데이터 생성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송신 장치에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9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송신 장치에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송신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송신 장치는, PDCP 처리부(110-1∼110-n)(n은 1 이상의 정수), RLC 처리부(120-1∼120-n), MAC 처리부(130), 레이어 1 처리부(140), 및 안테나(150-1, 150-2)를 갖고 있다.
PDCP 처리부(110-1∼110-n)는, 각각 송신 데이터를 PDCP층의 SDU로서, SDU에 PDCP층의 헤더를 부가한다. 그리고, PDCP 처리부(110-1∼110-n)는, 헤더의 부가에 의해 얻어진 PDCP-PDU를, 각각 대응하는 RLC 처리부(120-1∼120-n)에 출력한다. 또한, PDCP 처리부(110-1∼110-n)는, 각각 우선 순위가 1번째로부터 n번째의 PDCP-PDU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PDCP 처리부(110-1)가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PDCP-PDU에 대응하고, PDCP 처리부(110-n)가 가장 우선 순위가 낮은 PDCP-PDU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RLC 처리부(120-1∼120-n)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RLC 처리부(120-1)가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RLC-PDU에 대응하고, RLC 처리부(120-n)가 가장 우선 순위가 낮은 RLC-PDU에 대응한다.
RLC 처리부(120-1∼120-n)는, PDCP 처리부(110-1∼110-n)로부터 출력되는 PDCP-PDU를 RLC층의 SDU(이하 「RLC-SDU」라고 함)로서, RLC-SDU에 RLC층의 헤더를 부가하여 RLC-PDU를 작성한다. 이 때, RLC 처리부(120-1∼120-n)는, MAC 처리부(130)로부터 통지되는 빈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RLC-SDU의 분할이 최소한으로 되도록 RLC-PDU를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RLC 처리부(120-1∼120-n)는, 빈 영역 할당부(121), RLC-SDU 버퍼부(122), 재송 버퍼부(123), 및 RLC-PDU 작성부(124)를 갖고 있다.
빈 영역 할당부(121)는, 각 RLC 처리부(120-1∼120-n)에 의해서 작성되는 RLC-PDU에 할당 가능한 MAC-PDU의 빈 영역을 나타내는 빈 영역 정보가 MAC 처리부(130)로부터 통지되면, MAC-PDU의 빈 영역을 신규의 RLC-SDU 또는 이미 송신 완료로 재송 대상의 RLC-PDU(이하, RLC층의 헤더 부가 전의 이들의 데이터 단위를 통칭하여, 간단히 「RLC-SDU」 라고도 함)에 할당한다. 이 때, 빈 영역 할당부(121)는, MAC-PDU의 빈 영역 중, 1개의 RLC-SDU를 분할하지 않고 할당할 수 있는 영역을 우선하여 RLC-SDU의 할당 영역으로 한다. 또한, 빈 영역 할당부(121)는, 재송 대상의 RLC-PDU가 재송 버퍼부(123)에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규의 RLC-SDU보다도 우선하여 재송 대상의 RLC-PDU에 빈 영역을 할당한다. 또한, 빈 영역 할당부(121)는, 송신 대기 중인 RLC층의 제어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신규 또는 재송의 RLC-SDU보다도 우선하여 제어 정보에 빈 영역을 할당한다.
또한,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는, 예를 들면 대역 폭이나 전력 등의 무선 리소스에 의해서 최대값이 규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150-1, 150-2)로부터 동시에 송신되는 2개의 MAC-PDU 내에서 데이터가 다중화되는 영역의 합계 사이즈가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의 최대값으로 된다. 그리고, 다른 RLC 처리부에서 이미 MAC-PDU의 영역이 RLC-SDU에 할당되어 있는 경우는, 그 만큼만 RLC 처리부에 통지되는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가 작아진다.
빈 영역 할당부(121)는, RLC-SDU에 할당한 MAC-PDU의 할당 영역을, 데이터의 일시 기억이나 처리를 실행하는 RLC-SDU 버퍼부(122) 및 재송 버퍼부(123)에 통지함과 함께, MAC 처리부(130)에도 통지한다.
RLC-SDU 버퍼부(122)는, PDCP 처리부(110-1∼110-n)로부터 출력된 PDCP-PDU를 신규의 RLC-SDU로서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RLC-SDU 버퍼부(122)는, 빈 영역 할당부(121)로부터 통지된 할당 영역에 따라서 신규의 RLC-SDU를 출력한다. 즉, RLC-SDU 버퍼부(122)는, 빈 영역 할당부(121)로부터 통지된 할당 영역 사이즈가 1개의 RLC-SDU의 사이즈 이상이면, 신규의 RLC-SDU의 전체를 RLC-PDU 작성부(124)에 출력한다. 한편, RLC-SDU 버퍼부(122)는, 빈 영역 할당부(121)로부터 통지된 할당 영역 사이즈가 1개의 RLC-SDU의 사이즈 미만이면, 신규의 RLC-SDU를 분할하고, 빈 영역 할당부(121)로부터 통지된 할당 영역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의 RLC-SDU의 일부를 RLC-PDU 작성부(124)에 출력한다.
단, RLC-SDU 버퍼부(122)는, 신규의 RLC-SDU보다 우선하여 송신해야 할 재송의 RLC-PDU나 제어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이들의 송신을 우선하기 때문에, RLC-SDU를 출력하는 일은 없다.
재송 버퍼부(123)는, 안테나(150-1, 150-2)로부터 송신 완료의 MAC-PDU에 다중화되어 있었던 RLC-PDU를 재송에 대비하여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재송 버퍼부(123)는, 빈 영역 할당부(121)로부터 통지된 할당 영역에 따라서 재송 대상의 RLC-PDU를 출력한다. 즉, 재송 버퍼부(123)는, 빈 영역 할당부(121)로부터 통지된 할당 영역 사이즈가 1개의 RLC-SDU의 사이즈 이상이면, 재송 대상의 RLC-PDU의 전체를 RLC-PDU 작성부(124)에 출력한다. 한편, 재송 버퍼부(123)는, 빈 영역 할당부(121)로부터 통지된 할당 영역 사이즈가 1개의 재송 대상의 RLC-PDU의 사이즈 미만이면, 이 RLC-PDU를 분할하고, 할당 영역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의 RLC-PDU의 일부를 RLC-PDU 작성부(124)에 출력한다.
단, 재송 버퍼부(123)는, 재송 대상의 RLC-PDU보다 우선하여 송신해야 할 제어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이 송신을 우선하기 때문에, 재송 대상의 RLC-PDU를 출력하는 일은 없다.
RLC-PDU 작성부(124)는, RLC-SDU 버퍼부(122) 또는 재송 버퍼부(123)로부터 출력된 RLC-SDU에 적절한 RLC층의 헤더를 부가하여 RLC-PDU를 작성한다. 여기서, RLC-PDU 작성부(124)는, 재송 대상의 RLC-PDU가 할당 영역 사이즈에 맞춰서 분할된 후에, 새롭게 RLC-SDU로서 재송 버퍼부(123)로부터 출력된 경우에는, 다시 RLC-PDU가 분할된 것을 나타내는 RLC층의 헤더를 재구축하여 부가한다. 그리고, RLC-PDU 작성부(124)는, 작성한 RLC-PDU를 MAC 처리부(130)에 출력한다.
MAC 처리부(130)는,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예를 들면 대역 폭이나 전력 등의 무선 리소스 및 각 RLC 처리부(120-1∼120-n)에서의 MAC-PDU의 영역의 할당 상황으로부터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결정하고, 빈 영역 정보로서 RLC 처리부(120-1∼120-n)에 통지한다. 또한, MAC 처리부(130)는, RLC 처리부(120-1∼120-n)로부터 출력되는 RLC-PDU를 다중화하여, MAC-PDU를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MAC 처리부(130)는,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 및 MAC-PDU 작성부(132)를 갖고 있다.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는, 안테나(150-1, 150-2)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에 이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 정보를 취득하고, 무선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2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의 최대값을 결정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는, RLC 처리부(120-1∼120-n)의 빈 영역 할당부(121)로부터 할당 영역이 통지되면,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로부터 할당 영역의 사이즈를 줄여, 새로운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결정한다. 그리고,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는,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나타내는 빈 영역 정보가 미통지인 RLC 처리부 중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의 빈 영역 할당부(121)에, 새롭게 결정된 빈 영역 사이즈를 포함하는 빈 영역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어느 RLC 처리부(120-1∼120-n)에도 빈 영역 정보를 미통지한 경우에는,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는,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의 최대값을 RLC 처리부(120-1)의 빈 영역 할당부(121)에 통지한다. 또한, RLC 처리부(120-1)에 빈 영역 정보를 통지한 후에는,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는, RLC 처리부(120-1)에서 RLC-PDU에 할당된 할당 영역의 사이즈를 빈 영역 사이즈의 최대값으로부터 감산하고, 남은 빈 영역 사이즈를 RLC 처리부(120-2)의 빈 영역 할당부(121)에 통지한다.
MAC-PDU 작성부(132)는, RLC 처리부(120-1∼120-n) 각각의 RLC-PDU 작성부(124)로부터 출력된 RLC-PDU를 MAC-SDU로서 다중화하고, MAC층의 헤더를 부가하여 MAC-PDU를 작성한다. 이 때, MAC-PDU 작성부(132)는, 각 RLC 처리부(120-1∼120-n)의 빈 영역 할당부(121)로부터 통지된 할당 영역에 따라서 RLC-PDU를 다중화한다. 이 때문에, MAC-PDU 작성부(132)에 의해서 작성되는 2개의 MAC-PDU에는, 분할된 RLC-SDU는 최소한으로만 포함되고, MAC-PDU에서 차지하는 RLC층의 헤더의 영역이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있다.
레이어 1 처리부(140)는, 안테나(150-1, 150-2)에서의 대역 폭이나 전력을 제어하고 있고, 무선 리소스 정보를 MAC 처리부(130)의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에 제공한다. 또한, 레이어 1 처리부(140)는, MAC 처리부(130)의 MAC-PDU 작성부(132)에 의해서 작성된 2개의 MAC-PDU를 각각 다른 안테나(150-1, 150-2)로부터 동시에 송신한다. 즉, 레이어 1 처리부(140)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다른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통신을 실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150-1, 150-2)의 2개의 안테나로부터 동시에 MAC-PDU를 송신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3개 이상의 안테나로부터 동시에 MAC-PDU를 송신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안테나수와 동등한 수의 MAC-PDU의 빈 영역의 합계가 RLC 처리부(120-1∼120-n)에서의 RLC-SDU의 할당 대상으로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송신 장치에서의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에 대해서, 도 5에 도시한 플로우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안테나(150-1, 150-2) 각각에서의 무선 리소스는, 항상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에 의해서, 레이어 1 처리부(140)를 통하여 안테나(150-1, 150-2) 각각에 관한 무선 리소스 정보가 취득된다(스텝 S101). 그리고,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에 의해서, 안테나(150-1, 150-2) 각각에 대응하는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의 최대값이 무선 리소스 정보로부터 결정된다.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에 의해서 결정된 빈 영역 사이즈를 나타내는 빈 영역 정보는, 빈 영역 정보가 미통지인 RLC 처리부 중,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에 통지된다(스텝 S102). 여기서는, 어느 RLC 처리부에도 빈 영역 정보가 통지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120-1)의 빈 영역 할당부(121)에 빈 영역 사이즈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빈 영역 정보가 통지된다.
그리고, RLC 처리부(120-1)의 빈 영역 할당부(121)에 의해서, 빈 영역 사이즈의 일부가 RLC 처리부(120-1)의 RLC-SDU에 할당된다(스텝 S103). 이 때, RLC-SDU가 분할되지 않고 1개의 MAC-PDU에 할당되도록, 빈 영역 할당부(121)에 의해서, 1개의 MAC-PDU 내의 일련의 빈 영역이 RLC-SDU의 할당 영역으로서 선택되고, 선택된 할당 영역이 RLC-SDU 버퍼부(122), 재송 버퍼부(123), 및 MAC 처리부(130)에 통지된다.
RLC-SDU 버퍼부(122) 및 재송 버퍼부(123)에 할당 영역이 통지되면, 신규 또는 재송의 RLC-SDU가 RLC-PDU 작성부(124)에 출력되고, RLC-PDU 작성부(124)에 의해서, RLC-SDU에 적절한 RLC층의 헤더가 부가되어 RLC-PDU가 작성된다(스텝 S104). 이 때, 신규의 RLC-SDU보다도 재송 대상의 RLC-PDU가 우선되고, 또한, 재송 대상의 RLC-PDU보다도 제어 정보가 우선되어 RLC-PDU 작성부(124)에 입력되고, RLC-PDU가 작성된다.
또한, MAC 처리부(130)의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에 할당 영역이 통지되면,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에 의해서, 모든 RLC 처리부(120-1∼120-n)에서 MAC-PDU의 빈 영역의 할당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05). 여기서는, RLC 처리부(120-1)에서 빈 영역이 할당된 것만이므로, 모든 RLC 처리부에서의 빈 영역의 할당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서 설명을 계속한다(스텝 S105 "아니오").
이 경우,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에 의해서,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의 최대값으로부터 RLC 처리부(120-1)에서의 할당 영역의 사이즈가 감산되고, 새롭게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가 산출된다. 그리고, 산출된 빈 영역 사이즈를 나타내는 빈 영역 정보는, 빈 영역 정보가 미통지인 RLC 처리부 중,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에 통지된다(스텝 S102). 여기서는, RLC 처리부(120-1)에만 빈 영역 정보가 통지되어 있으므로, 2번째로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120-2)의 빈 영역 할당부(121)에 새롭게 산출된 빈 영역 사이즈를 나타내는 빈 영역 정보가 통지된다.
그리고, RLC 처리부(120-2)의 빈 영역 할당부(121)에 의해서, 빈 영역 사이즈의 일부가 RLC 처리부(120-2)의 RLC-SDU에 할당된다(스텝 S103). 이 때, RLC-SDU가 분할되지 않고 1개의 MAC-PDU에 할당되도록, 빈 영역 할당부(121)에 의해서, 1개의 MAC-PDU 내의 일련의 빈 영역이 RLC-SDU의 할당 영역으로서 선택되고, 선택된 할당 영역이 RLC-SDU 버퍼부(122), 재송 버퍼부(123), 및 MAC 처리부(130)에 통지된다. 단, 2개의 MAC-PDU의 어느 것에도 RLC-SDU에 할당할 충분한 빈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분할된 RLC-SDU에 할당하는 영역이 각각의 MAC-PDU에서 확보된다.
RLC-SDU 버퍼부(122) 및 재송 버퍼부(123)에 할당 영역이 통지되면, 신규 또는 재송의 RLC-SDU가 RLC-PDU 작성부(124)에 출력되고, RLC-PDU 작성부(124)에 의해서, RLC-SDU에 적절한 RLC층의 헤더가 부가되어 RLC-PDU가 작성된다(스텝 S104). 또한, 통지된 할당 영역의 사이즈가 작고, RLC-SDU의 분할이 필요한 경우는, RLC-SDU 버퍼부(122) 또는 재송 버퍼부(123)에 의해서, RLC-SDU가 할당 영역 사이즈에 맞춰서 분할되고, 분할 후의 데이터가 RLC-PDU 작성부(124)에 출력된다. 그리고, RLC-PDU 작성부(124)에 의해서, 각각의 데이터에 적절한 RLC층의 헤더가 부가되고, 1개의 RLC-SDU에 대응하는 복수의 RLC-PDU가 작성된다.
또한, MAC 처리부(130)의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에 할당 영역이 통지되면,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에 의해서, 모든 RLC 처리부(120-1∼120-n)에서 MAC-PDU의 빈 영역의 할당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05). 여기서는, RLC 처리부(120-1∼120-n)에서 빈 영역이 할당되고, 모든 RLC 처리부에서의 빈 영역의 할당이 완료된 것으로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스텝 S105 "예").
RLC 처리부(120-1∼120-n)의 RLC-PDU 작성부(124)에 의해서 각각 작성된 RLC-PDU는, MAC 처리부(130)의 MAC-PDU 작성부(132)에 출력되고, MAC-PDU 작성부(132)에 의해서, MAC-PDU가 작성된다(스텝 S106). 즉, MAC-PDU 작성부(132)에 의해서, RLC-PDU 각각이 MAC-SDU로서 다중화되고, 복수의 MAC-SDU 전체에 MAC층의 헤더가 부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150-1, 150-2)에 대응하는 2개의 MAC-PDU의 빈 영역이 RLC 처리부(120-1∼120-n)의 RLC-PDU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MAC-PDU 작성부(132)에 의해서, 2개의 MAC-PDU가 작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RLC-SDU의 분할이 최소한으로 억제되도록 MAC-PDU의 빈 영역이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작성된 2개의 MAC-PDU에 포함되는 MAC-SDU의 수가 최소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2개의 MAC-PDU에서의 RLC층의 헤더가 차지하는 영역의 비율이 최소이며, 보다 많은 데이터를 MAC-PDU에 다중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일수록 앞서 MAC-PDU의 빈 영역을 RLC-SDU에 할당하므로, 우선 순위가 높은 RLC-SDU일수록 분할될 가능성이 작다. 이 결과, 우선해야 할 중요한 데이터 등은, 복수의 MAC-PDU에 걸쳐서 전송되는 일이 없으며, QoS 제어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MAC-PDU 작성부(132)에 의해서 작성된 2개의 MAC-PDU는, 레이어 1 처리부(140)에 출력되고, 레이어 1 처리부(140)에 의해서, 레이어 1의 송신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각각 안테나(150-1, 150-2)로부터 동시에 송신된다(스텝 S107).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순위가 높은 RLC-SDU는, 분할되지 않고 1개의 MAC-PDU에 다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1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MAC-PDU가 올바르게 수신되면, 우선 순위가 높은 RLC-SDU 전체를 취득할 수 있다. 한편, 우선 순위가 낮은 RLC-SDU는, 분할되어 2개의 MAC-PDU에 다중화되는 일도 있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2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MAC-PDU가 모두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으면, 우선 순위가 낮은 RLC-SDU 전체를 취득할 수 없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송신 데이터 생성의 구체예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신규의 RLC-SDU가 송신되는 경우에 대해 생각하고, 재송 대상의 RLC-PDU나 제어 정보의 송신은 없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4개의 RLC 처리부에 대응하는 RLC#1∼#4에서, 각각 신규의 RLC-SDU가 RLC-SDU 버퍼부(122)에 유지되어 있고, 이들의 RLC-SDU가 2개의 안테나(150-1, 150-2)에 대응하는 MAC-PDU#1, #2에 다중화되어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데이터의 우선 순위는, RLC#1의 RLC-SDU가 가장 높고, RLC#2의 RLC-SDU, RLC#3의 RLC-SDU, 및 RLC#4의 RLC-SDU의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한다.
RLC#1은, 우선 순위가 가장 높기 때문에, 2개의 MAC-PDU#1, #2의 최대의 빈 영역이 빈 영역 정보로서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로부터 통지된다. RLC#1은, 2개의 MAC-PDU#1, #2의 최대의 빈 영역 전체를 자유롭게 RLC-SDU에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RLC-SDU가 분할되지 않도록, MAC-PDU#1의 선두의 영역을 RLC-SDU에 할당한다. 따라서, RLC#1에서 작성되는 RLC-PDU#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MAC-PDU#1의 선두의 영역에 다중화된다.
RLC#1은, RLC-SDU에 대한 할당 영역을 결정하면, 결정한 할당 영역을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에 통지한다. 이것을 받아,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는, RLC-PDU#1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새로운 빈 영역으로 한다.
따라서, 우선 순위가 2번째로 높은 RLC#2에는, 2개의 MAC-PDU#1, #2의 최대의 빈 영역으로부터 RLC-PDU#1이 다중화되는 영역을 제외한 빈 영역이 빈 영역 정보로서 통지된다. RLC#2는, 통지된 빈 영역을 RLC-SDU에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RLC-SDU가 분할되지 않도록, MAC-PDU#2의 선두의 영역을 RLC-SDU에 할당한다. 즉, MAC-PDU#1에는, RLC#2의 RLC-SDU에 할당하는 데에 충분한 사이즈의 빈 영역이 남겨져 있지 않기 때문에, RLC-SDU의 분할이 회피되도록, MAC-PDU#2의 선두의 영역이 RLC-SDU에 할당된다. 따라서, RLC#2에서 작성되는 RLC-PDU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RLC-PDU#3으로서 MAC-PDU#2의 선두의 영역에 다중화된다.
RLC#2는, RLC-SDU에 대한 할당 영역을 결정하면, 결정한 할당 영역을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에 통지한다. 이것을 받아,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는, RLC-PDU#3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새로운 빈 영역으로 한다.
따라서, 우선 순위가 3번째로 높은 RLC#3에는, 2개의 MAC-PDU#1, #2의 최대의 빈 영역으로부터 RLC-PDU#1, #3이 다중화되는 영역을 제외한 빈 영역이 빈 영역 정보로서 통지된다. RLC#3은, 통지된 빈 영역을 RLC-SDU에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RLC-SDU가 분할되지 않도록, MAC-PDU#1의 RLC-PDU#1이 다중화되는 영역의 직후의 영역을 RLC-SDU에 할당한다. 즉, MAC-PDU#1에, RLC#3의 RLC-SDU를 할당하는 데에 충분한 사이즈의 빈 영역이 남겨져 있기 때문에, RLC-PDU#1의 직후의 영역이 RLC#3의 RLC-SDU에 할당된다. 따라서, RLC#3에서 작성되는 RLC-PDU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RLC-PDU#2로서 RLC-PDU#1의 직후의 영역에 다중화된다.
RLC#3은, RLC-SDU에 대한 할당 영역을 결정하면, 결정한 할당 영역을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에 통지한다. 이것을 받아,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는, RLC-PDU#2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새로운 빈 영역으로 한다.
따라서, 우선 순위가 4번째로 높은 RLC#4에는, 2개의 MAC-PDU#1, #2의 최대의 빈 영역으로부터 RLC-PDU#1∼#3이 다중화되는 영역을 제외한 빈 영역이 빈 영역 정보로서 통지된다. RLC#4는, 통지된 빈 영역을 RLC-SDU에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RLC-SDU를 분할하지 않고 할당할 수 있는 빈 영역을 탐색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RLC-SDU를 다중화하는 데에 충분한 빈 영역이 남겨져 있지 않기 때문에, MAC-PDU#2의 남은 빈 영역을 RLC-SDU의 일부에 할당한다. 즉, MAC-PDU#2에만, RLC#4의 RLC-SDU의 일부를 할당 가능한 빈 영역이 남겨져 있기 때문에, RLC-PDU#3의 직후의 영역이 RLC#4의 RLC-SDU의 일부에 할당된다. 따라서, RLC#4는, RLC-SDU를 할당 영역의 사이즈에 맞춰서 분할하고, 얻어진 RLC-SDU의 일부로부터 RLC-PDU를 작성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RLC-PDU#4로서 RLC-PDU#3의 직후의 영역에 다중화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동시에 송신되는 복수의 MAC-PDU의 빈 영역의 사이즈가 무선 리소스로 결정되면,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에서 순서대로, RLC-SDU를 분할하지 않고 다중 가능한 사이즈의 빈 영역이 확보된다. 이 때문에, 분할되는 RLC-SDU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RLC층의 헤더가 부가되어 작성되는 RLC-PDU의 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RLC층의 헤더를 송신하기 위해 소비되는 무선 리소스의 증대를 방지하여,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은 RLC-SDU일수록 분할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요구되는 QoS가 높은 데이터가 복수의 MAC-PDU에 걸쳐서 다중화될 가능성이 낮아, 확실한 QoS 제어를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특징은, 장래 송신될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추정하고, 시계열로 송신되는 복수의 MAC-PDU의 빈 영역을 우선 순위가 높은 RLC-SDU로부터 순서대로 할당하는 점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송신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도 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송신 장치는, 도 4에 도시한 송신 장치의 MAC 처리부(130) 대신에 MAC 처리부(200)를 갖고 있고, 1개의 안테나(150)만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MAC 처리부(200)는, MAC 처리부(130)의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 대신에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를 가짐과 함께, 빈 영역 사이즈 추정부(202)를 추가한 구성을 갖고 있다.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는, 안테나(150)로부터의 현시점에서의 데이터 송신에 이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 정보를 취득하고, 무선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안테나(150)로부터 현시점에서 송신되는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결정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는, 안테나(150)로부터 장래 송신될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가 빈 영역 사이즈 추정부(202)로부터 통지되면, 현시점에서 송신되는 MAC-PDU 및 장래 송신될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합계하고, 빈 영역 사이즈의 최대값을 결정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는, RLC 처리부(120-1∼120-n)의 빈 영역 할당부(121)로부터 할당 영역이 통지되면,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로부터 할당 영역의 사이즈를 줄여, 새로운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결정한다. 그리고,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는,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나타내는 빈 영역 정보가 미통지인 RLC 처리부 중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의 빈 영역 할당부(121)에, 새롭게 결정된 빈 영역 사이즈를 포함하는 빈 영역 정보를 출력한다.
빈 영역 사이즈 추정부(202)는, MAC-PDU의 송신처로 되는 도시하지 않은 수신 장치로부터 보고되는 회선 품질 정보(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에 기초하여, 장래 송신될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빈 영역 사이즈 추정부(202)는, 현시점까지 수신한 CQI의 이력으로부터, 차회 이후에 수신되는 CQI를 예측한다. 여기서, CQI는, 송신 장치와 도시하지 않은 수신 장치와의 사이의 회선 품질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통상, 단시간 동안에 크게 변화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차회 이후에 수신되는 CQI는, 현시점까지의 CQI의 이력으로부터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된다.
그리고, 빈 영역 사이즈 추정부(202)는,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가 빈 영역 사이즈를 결정한 MAC-PDU에 이어서 송신되는 1개 이상의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CQI의 예측 결과로부터 추정한다. 또한, 빈 영역 사이즈 추정부(202)는, 추정하여 얻어진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에 통지한다. 또한, 빈 영역 사이즈 추정부(202)는, 반드시 CQI에 기초하여 장래 송신될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추정하지 않아도 된다. 즉, 빈 영역 사이즈 추정부(202)는, 예를 들면 현재까지의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의 이력으로부터, 장래의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를 추정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송신 장치에서의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에 대해서, 도 8에 도시한 플로우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에서, 도 5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안테나(150)에서의 무선 리소스는, 항상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에 의해서, 레이어 1 처리부(140)를 통하여 안테나(150)에 관한 무선 리소스 정보가 취득된다(스텝 S101). 그리고,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에 의해서, 안테나(150)로부터 현시점에서 송신되는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가 무선 리소스 정보로 결정된다.
또한, 빈 영역 사이즈 추정부(202)에 의해서, 안테나(150)로부터 장래 송신될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가 CQI에 기초하여 추정된다(스텝 S201). 즉,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에 의해서 빈 영역 사이즈가 결정된 MAC-PDU에 이어서 송신되는 1개 이상의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가, 현시점까지의 회선 품질의 상태로부터 추정된다. 추정된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는,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에 통지되고,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에 의해서, 현시점 이후에 송신되는 소정수의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가 합계되고, 빈 영역 사이즈의 최대값이 결정된다.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에 의해서 결정된 빈 영역 사이즈를 나타내는 빈 영역 정보는, 빈 영역 정보가 미통지인 RLC 처리부 중,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에 통지된다(스텝 S102).
그리고, 빈 영역 정보가 통지된 RLC 처리부의 빈 영역 할당부(121)에 의해서, 빈 영역 사이즈의 일부가 RLC-SDU에 할당된다(스텝 S103). 이 때, RLC-SDU가 분할되지 않고 1개의 MAC-PDU에 할당되도록, 빈 영역 할당부(121)에 의해서, 1개의 MAC-PDU 내의 일련의 빈 영역이 RLC-SDU의 할당 영역으로서 선택되고, 선택된 할당 영역이 RLC-SDU 버퍼부(122), 재송 버퍼부(123), 및 MAC 처리부(200)에 통지된다.
RLC-SDU 버퍼부(122) 및 재송 버퍼부(123)에 할당 영역이 통지되면, 신규 또는 재송의 RLC-SDU가 RLC-PDU 작성부(124)에 출력되고, RLC-PDU 작성부(124)에 의해서, RLC-SDU에 적절한 RLC층의 헤더가 부가되어 RLC-PDU가 작성된다(스텝 S104).
또한, MAC 처리부(200)의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에 할당 영역이 통지되면,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201)에 의해서, 모든 RLC 처리부(120-1∼120-n)에서 MAC-PDU의 빈 영역의 할당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05). 이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모든 RLC 처리부(120-1∼120-n)에서 RLC-SDU에 대한 MAC-PDU의 빈 영역의 할당이 실행된다.
그리고, 모든 RLC 처리부에서의 빈 영역의 할당이 완료되면(스텝 S105 "예"), RLC 처리부(120-1∼120-n)의 RLC-PDU 작성부(124)에 의해서 각각 작성된 RLC-PDU는, MAC 처리부(200)의 MAC-PDU 작성부(132)에 출력되고, MAC-PDU 작성부(132)에 의해서, MAC-PDU가 작성된다(스텝 S106). 여기서는, 현시점에서 송신되는 MAC-PDU만이 작성되는 것이 아니라, 빈 영역 사이즈 추정부(202)에 의해서 빈 영역 사이즈가 추정된 장래의 MAC-PDU도 작성된다. MAC-PDU 작성부(132)에 의해서 작성된 MAC-PDU는, 레이어 1 처리부(140)에 출력되고, 레이어 1 처리부(140)에 의해서, 레이어 1의 송신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안테나(150)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된다(스텝 S107).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순위가 높은 RLC-SDU는, 분할되지 않고 1개의 MAC-PDU에 다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1개의 MAC-PDU가 올바르게 수신되면, 우선 순위가 높은 RLC-SDU 전체를 취득할 수 있다. 한편, 우선 순위가 낮은 RLC-SDU는, 분할되어 2개의 MAC-PDU에 다중화되는 일도 있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다른 타이밍에서 송신된 2개의 MAC-PDU가 모두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으면, 우선 순위가 낮은 RLC-SDU 전체를 취득할 수 없다. 이 결과, 우선해야 할 중요한 데이터 등은, 복수의 MAC-PDU에 걸쳐서 전송되는 일이 없어, QoS 제어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른 타이밍에서 송신되는 복수의 MAC-PDU의 빈 영역의 사이즈가 무선 리소스 및 회선 품질로부터 추정되면,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에서 순서대로, RLC-SDU를 분할하지 않고 다중 가능한 사이즈의 빈 영역이 확보된다. 이 때문에, 1개의 안테나만을 구비하는 송신 장치에서, 분할되는 RLC-SDU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RLC층의 헤더가 부가되어 작성되는 RLC-PDU의 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RLC층의 헤더를 송신하기 위해 소비되는 무선 리소스의 증대를 방지하여,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은 RLC-SDU일수록 분할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요구되는 QoS가 높은 데이터가 복수의 MAC-PDU에 걸쳐서 다중화될 가능성이 낮아, 확실한 QoS 제어를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특징은, RLC층에서 MAC-PDU의 빈 영역을 RLC-SDU에 할당하는 대신에, MAC층에서 빈 영역의 할당을 결정하는 스케줄링을 실행하는 점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송신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에서, 도 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송신 장치는, 도 4에 도시한 송신 장치의 MAC 처리부(130) 대신에 MAC 처리부(300)를 갖고 있다. 또한, MAC 처리부(300)는, MAC 처리부(130)의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131) 대신에 스케줄러부(301)를 갖고 있다.
스케줄러부(301)는, 각 RLC 처리부(120-1∼120-n)의 RLC-SDU 버퍼부(122) 및 재송 버퍼부(123)를 감시하고, RLC층에 체류하는 RLC-SDU의 양을 검출한다. 즉, 스케줄러부(301)는, 송신 대기 중인 신규 또는 재송의 RLC-SDU나 제어 정보 등, 송신해야 할 RLC층의 체류 데이터량을 취득한다.
또한, 스케줄러부(301)는, 안테나(150-1, 150-2)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에 이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 정보를 취득하고, 무선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2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의 최대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스케줄러부(301)는, RLC 처리부(120-1∼120-n)에 유지된 RLC층의 체류 데이터에 MAC-PDU의 빈 영역을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행한다. 이 때, 스케줄러부(301)는,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에 체류하는 체류 데이터로부터 순서대로, 데이터를 분할하지 않고 할당할 수 있는 MAC-PDU의 빈 영역을 할당한다.
스케줄러부(301)는, 각 RLC 처리부(120-1∼120-n)의 체류 데이터에 할당한 MAC-PDU의 할당 영역을, 각각의 RLC 처리부(120-1∼120-n) 내의 RLC-SDU 버퍼부(122) 및 재송 버퍼부(123)에 통지함과 함께, MAC-PDU 작성부(132)에도 통지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송신 장치에서의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에 대해서,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안테나(150-1, 150-2) 각각에서의 무선 리소스는, 항상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스케줄러부(301)에 의해서, 레이어 1 처리부(140)를 통하여 안테나(150-1, 150-2) 각각에 관한 무선 리소스 정보가 취득된다(스텝 S101). 그리고, 스케줄러부(301)에 의해서, 안테나(150-1, 150-2) 각각에 대응하는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의 최대값이 무선 리소스 정보로부터 결정된다.
또한, RLC 처리부(120-1∼120-n)의 RLC-SDU 버퍼부(122) 및 재송 버퍼부(123)에 유지된 RLC-PDU나 RLC층의 제어 정보의 양이 스케줄러부(301)에 의해서 취득된다. 이것에 의해, RLC 처리부(120-1∼120-n)에서, 송신 대기 중인 RLC층의 체류 데이터량이 취득된 것으로 된다(스텝 S301).
MAC-PDU의 빈 영역 사이즈의 최대값이 결정되고, RLC층의 체류 데이터량이 취득되면, 스케줄러부(301)에 의해서, 각 RLC 처리부(120-1∼120-n)의 체류 데이터에 MAC-PDU의 빈 영역을 할당하는 스케줄링이 실행된다(스텝 S302). 즉, 스케줄러부(301)에 의해서, 우선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120-1)의 체류 데이터에 빈 영역의 일부가 할당된다. 이 때, RLC 처리부(120-1)의 체류 데이터가 분할되지 않고 1개의 MAC-PDU에 할당되도록, 1개의 MAC-PDU 내의 일련의 빈 영역이 할당 영역으로서 선택된다.
RLC 처리부(120-1)의 체류 데이터에의 할당 영역이 선택된 후, 스케줄러부(301)에 의해서, MAC-PDU의 빈 영역의 최대값으로부터 RLC 처리부(120-1)의 체류 데이터에 대한 할당 영역의 사이즈가 감산되고, 새롭게 MAC-PDU의 빈 영역의 사이즈가 산출된다. 그리고, 2번째로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120-2)의 체류 데이터에 새로운 빈 영역의 일부가 할당된다. 여기서도, RLC 처리부(120-2)의 체류 데이터가 분할되지 않고 1개의 MAC-PDU에 할당되도록, 1개의 MAC-PDU 내의 일련의 빈 영역이 RLC-SDU의 할당 영역으로서 선택된다. 단, 2개의 MAC-PDU의 어느 것에도 체류 데이터에 할당할 충분한 빈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분할된 체류 데이터에 할당하는 영역이 각각의 MAC-PDU에서 확보된다.
이후,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모든 RLC 처리부(120-1∼120-n)의 체류 데이터에 MAC-PDU의 빈 영역이 할당되고, 모든 체류 데이터에 빈 영역이 할당되면, 각각의 체류 데이터에 할당된 할당 영역이 RLC 처리부(120-1∼120-n)의 RLC-SDU 버퍼부(122) 또는 재송 버퍼부(123)에 통지된다(스텝 S303).
각 RLC 처리부(120-1∼120-n)에서는, RLC-SDU 버퍼부(122) 및 재송 버퍼부(123)에 할당 영역이 통지되면, 신규 또는 재송의 RLC-SDU가 RLC-PDU 작성부(124)에 출력되고, RLC-PDU 작성부(124)에 의해서, RLC-SDU에 적절한 RLC층의 헤더가 부가되어 RLC-PDU가 작성된다(스텝 S104). 또한, 통지된 할당 영역의 사이즈가 작아, RLC-SDU의 분할이 필요한 경우에는, RLC-SDU 버퍼부(122) 또는 재송 버퍼부(123)에 의해서, RLC-SDU가 할당 영역 사이즈에 맞춰서 분할되고, 분할 후의 데이터가 RLC-PDU 작성부(124)에 출력된다. 그리고, RLC-PDU 작성부(124)에 의해서, 각각의 데이터에 적절한 RLC층의 헤더가 부가되고, 1개의 RLC-SDU에 대응하는 복수의 RLC-PDU가 작성된다.
RLC 처리부(120-1∼120-n)의 RLC-PDU 작성부(124)에 의해서 각각 작성된 RLC-PDU는, MAC 처리부(300)의 MAC-PDU 작성부(132)에 출력되고, MAC-PDU 작성부(132)에 의해서, MAC-PDU가 작성된다(스텝 S106). MAC-PDU 작성부(132)에 의해서 작성된 MAC-PDU는, 레이어 1 처리부(140)에 출력되고, 레이어 1 처리부(140)에 의해서, 레이어 1의 송신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각각 안테나(150-1, 150-2)로부터 동시에 송신된다(스텝 S107).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의 체류 데이터는, 분할되지 않고 1개의 MAC-PDU에 다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1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MAC-PDU가 올바르게 수신되면, 우선 순위가 높은 RLC 처리부의 데이터 전체를 취득할 수 있다. 한편, 우선 순위가 낮은 RLC 처리부의 체류 데이터는, 분할되어 2개의 MAC-PDU에 다중화되는 일도 있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2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MAC-PDU가 어느 것이나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으면, 우선 순위가 낮은 RLC 처리부의 데이터 전체를 취득할 수 없다. 이 결과, 우선해야 할 중요한 데이터 등은, 복수의 MAC-PDU에 걸쳐서 전송되는 일이 없어, QoS 제어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동시에 송신되는 복수의 MAC-PDU의 빈 영역의 사이즈가 무선 리소스로 결정되면, MAC층에서 각 RLC층의 체류 데이터량이 취득되고, 우선 순위가 높은 RLC층의 체류 데이터로부터 순서대로, 체류 데이터를 분할하지 않고 다중 가능한 사이즈의 빈 영역이 확보된다. 이 때문에, 분할되어 송신되는 RLC층의 데이터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RLC층의 헤더가 부가되어 작성되는 RLC-PDU의 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RLC층의 헤더를 송신하기 위해 소비되는 무선 리소스의 증대를 방지하여,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은 RLC층의 데이터일수록 분할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요구되는 QoS가 높은 데이터가 복수의 MAC-PDU에 걸쳐서 다중화될 가능성이 낮아, 확실한 QoS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상위 레이어인 RLC층의 복수의 SDU를 하위 레이어인 MAC층의 PDU에 다중화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RLC층 및 MAC층 이외의 레이어간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위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를 하위 레이어의 소정의 데이터 송신 단위의 빈 영역 내에 다중화하는 경우에, 가능한 한 각 데이터의 분할이 회피되도록, 데이터 송신 단위의 빈 영역을 각각의 데이터에 할당함으로써,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로부터 순서대로 빈 영역을 할당함으로써, 확실한 QoS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형식으로 기술한 송신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이 송신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송신 장치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송신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시켜,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송신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LTE에서의 레이어 2의 RLC층 및 MAC층을 각각 상위 레이어 및 하위 레이어의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방식에서, 상위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를 하위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에 다중화하는 경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10-1∼110-n : PCDP 처리부
120-1∼120-n : RLC 처리부
121 : 빈 영역 할당부
122 : RLC-SDU 버퍼부
123 : 재송 버퍼부
124 : RLC-PDU 작성부
130, 200, 300 : MAC 처리부
131, 201 : 무선 리소스 정보 취득부
132 : MAC-PDU 작성부
140 : 레이어 1 처리부
150, 150-1, 150-2 : 안테나
202 : 빈 영역 사이즈 추정부
301 : 스케줄러부

Claims (10)

  1. 2계층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갖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1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 각각에 설치되는 데이터 다중 가능한 빈 영역의 사이즈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취득부에 의해서 사이즈가 취득된 빈 영역 중, 상기 각 데이터와 동일 사이즈를 가지며, 또한, 어느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위 내에 설치되는 일련의 빈 영역을 할당하는 할당부와,
    상기 할당부에 의한 빈 영역의 할당에 따라서,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를 제1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에 다중화하는 다중부
    를 가지며,
    상기 할당부는,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빈 영역을 할당할 때,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로부터 순서대로 빈 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부는,
    제2 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와 동일 사이즈의 일련의 빈 영역이 1개의 데이터 송신 단위 내에 없는 경우,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에 걸치는 빈 영역을 해당 데이터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부는,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데이터별 처리부로서, 상기 취득부로부터 통지되는 빈 영역 중에서, 각각 자체 처리부에 대응하는 1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빈 영역을 할당하는 복수의 데이터별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데이터별 처리부에 의해서 데이터에 빈 영역이 할당될 때마다, 빈 영역으로부터 할당 완료의 할당 영역을 제외하고 새로운 빈 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별 처리부 중 빈 영역이 미통지인 데이터별 처리부에 새로운 빈 영역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부는,
    제1 레이어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레이어 처리부로서,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각 데이터에 대한 빈 영역의 할당을 결정하는 레이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각각 다른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의 빈 영역의 사이즈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각각 다른 타이밍에서 송신되는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의 빈 영역의 사이즈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현재까지의 회선 품질 정보로부터 장래의 회선 품질 정보를 예측하고, 회선 품질 정보의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장래 송신될 데이터 송신 단위의 빈 영역의 사이즈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컴퓨터를 2계층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갖는 통신 장치로서 동작시키는 송신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송신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은,
    제1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 각각에 설치되는 데이터 다중 가능한 빈 영역의 사이즈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취득 스텝에서 사이즈가 취득된 빈 영역 중, 각 데이터와 동일 사이즈를 가지며, 또한, 어느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위 내에 설치되는 일련의 빈 영역을 할당하는 할당 스텝과,
    상기 할당 스텝에서의 빈 영역의 할당에 따라서,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를 제1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에 다중화하는 다중 스텝
    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며,
    상기 할당 스텝은,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빈 영역을 할당할 때,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로부터 순서대로 빈 영역을 할당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0. 컴퓨터가, 2계층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갖는 통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가, 제1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 각각에 설치되는 데이터 다중 가능한 빈 영역의 사이즈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컴퓨터가,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취득 스텝에서 사이즈가 취득된 빈 영역 중, 각 데이터와 동일 사이즈를 가지며, 또한, 어느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위 내에 설치되는 일련의 빈 영역을 할당하는 할당 스텝과,
    상기 컴퓨터가, 상기 할당 스텝에서의 빈 영역의 할당에 따라서,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를 제1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송신 단위에 다중화하는 다중 스텝
    을 갖고,
    상기 할당 스텝은,
    제2 레이어의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빈 영역을 할당할 때,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로부터 순서대로 빈 영역을 할당하는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
KR1020117003001A 2008-08-08 2008-08-08 통신 장치, 기록 매체,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 KR101234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4364 WO2010016151A1 (ja) 2008-08-08 2008-08-08 通信装置、送信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送信データ生成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152A Division KR101294570B1 (ko) 2008-08-08 2008-08-08 통신 장치, 기록 매체,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166A KR20110029166A (ko) 2011-03-22
KR101234484B1 true KR101234484B1 (ko) 2013-02-18

Family

ID=416633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152A KR101294570B1 (ko) 2008-08-08 2008-08-08 통신 장치, 기록 매체,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
KR1020117003001A KR101234484B1 (ko) 2008-08-08 2008-08-08 통신 장치, 기록 매체,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152A KR101294570B1 (ko) 2008-08-08 2008-08-08 통신 장치, 기록 매체,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8681670B2 (ko)
EP (1) EP2334026A4 (ko)
JP (1) JP5104952B2 (ko)
KR (2) KR101294570B1 (ko)
CN (1) CN102113368B (ko)
AU (1) AU2008360228B2 (ko)
BR (1) BRPI0823001A2 (ko)
CA (1) CA2733452C (ko)
MX (1) MX2011001484A (ko)
RU (2) RU2483462C2 (ko)
WO (1) WO2010016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4693A (ja) * 2007-08-10 2009-02-26 Fujitsu Ltd 送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10020195A (ko) * 2009-08-21 2011-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상향링크 주파수 상으로 데이터 블록 전송 방법 및 장치
US8379619B2 (en) * 2009-11-06 2013-02-19 Intel Corporation Subcarrier permutation to achieve high frequency diversity of OFDMA systems
CN102111250A (zh) * 2009-12-28 201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网络侧设备
US8891356B2 (en) * 2010-06-28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utilizing a multi-link RLC sublayer
US8989140B2 (en) 2010-06-28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obility in a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network
US8989004B2 (en) 2010-11-08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utilizing a multi-link PDCP sublayer
US9125098B2 (en) 2011-08-03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congestion control in multiflow networks
JP2013042461A (ja) * 2011-08-19 2013-02-28 Fujitsu Semiconductor Ltd 再送制御方法、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172510B2 (en) 2011-12-21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recovery for the downlink
JP6196758B2 (ja) * 2012-07-20 2017-09-13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
WO2015053665A1 (en) * 2013-10-07 2015-04-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ownlink flow management
US9906332B2 (en) * 2015-05-29 2018-02-27 Apple Inc. Radio link control recovery based on medium access feedback
CN107005560B (zh) * 2015-09-25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发送方法、数据接收方法和相关设备
WO2017192164A1 (en) * 2016-05-03 2017-11-09 Intel Corporation HIGHER LAYER DESIGN FOR USER PLANE PACKET PROCESSING IN FIFTH GENERATION (5G) NEW RADIO (NR) THINGS SIDELINK (tSL) COMMUNICATION
WO2018119458A2 (en) * 2016-12-22 2018-06-28 Intel Corporation Pre-grant packet header processing
WO2018131987A1 (en) 2017-01-16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33327B1 (ko) * 2017-01-16 2021-1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170422B1 (ko) 2018-01-25 2020-10-27 경동제약 주식회사 토파시티닙의 신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3578A (ja) * 1993-12-27 1995-07-28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
WO2005083951A1 (ja) * 2004-02-27 2005-09-09 Sharp Kabushiki Kaisha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300630A (ja) * 2006-04-27 2007-11-15 Asustek Computer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sduの分割及び番号付けを行う方法及び装置
WO2008041296A1 (fr) * 2006-09-29 2008-04-10 Fujitsu Limited Appareil de communication sans fil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0823A (ja) * 1988-09-28 1990-03-30 Toshiba Corp メッセージ通信方式
US6363058B1 (en) * 1997-09-24 2002-03-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service handling by a single mobile station
US20050058149A1 (en) * 1998-08-19 2005-03-17 Howe Wayne Richard Time-scheduled and time-reservation packet switching
FI106504B (fi) * 1998-10-06 2001-02-15 Nokia Networks Oy Datan segmentointimenetelmä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6822966B2 (en) * 1999-03-01 2004-11-23 Enterasys Networks, Inc. Allocating buffers for data transmission in a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US6473442B1 (en) * 1999-04-12 2002-10-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and balancing the bit rates of transport channels to the bit rate of a physical channel
CN1245818C (zh) * 2000-10-09 2006-03-15 西门子公司 经移动无线电系统的无线电接口传输数据分组的方法
DE10107700A1 (de) * 2001-02-19 2002-08-29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ultiplexen und/oder Demultiplexen sowie entsprechende Computerprogramme und ein entsprechendes Computerprogramm-Erzeugnis
US7039013B2 (en) * 2001-12-31 2006-05-02 Nokia Corporation Packet flow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0840733B1 (ko) * 2002-01-05 2008-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처리하는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수신 장치
BR0309999A (pt) * 2002-05-10 2005-02-15 Interdigital Tech Corp Priorização de dados de protocolo para retransmissão
EP1557057A4 (en) 2002-11-01 2006-12-13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FOR PREDICTING THE QUALITY OF THE W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889865B1 (ko) * 2002-11-07 2009-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방법
CN100593313C (zh) * 2003-02-28 2010-03-03 飞思卡尔半导体公司 用于无线网络中的动态聚集的方法和系统
CN100444568C (zh) * 2003-06-11 2008-12-17 株式会社Ntt都科摩 数据包通信方法、控制装置及移动站
EP1635517B1 (en) * 2003-06-18 2021-04-1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Wireless packet communication method
RU2360363C2 (ru) * 2003-11-10 2009-06-27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обновления данных о порядковом номере следующей ожидаемой передачи и окна получателя, чтобы избежать состояния останова
ATE541375T1 (de) * 2003-11-12 2012-01-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atenpaketübertragung
KR100520146B1 (ko) * 2003-12-22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장치및 방법
KR100608844B1 (ko) * 2004-01-09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JP2006074555A (ja) * 2004-09-03 2006-03-16 Fujitsu Ltd マルチメディアゲートウェイにおける音声・動画調整方式
EP1803314B1 (en) * 2004-10-15 2016-03-09 Apple Inc.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0905588B1 (ko) * 2005-01-10 200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채널을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자율전송을 지원하는 단말의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채널전송전력 결정 방법
KR100913900B1 (ko) 2005-05-04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미리 정의된 길이 지시자를 이용해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634400B2 (en) * 2005-09-15 2014-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us report comprising received status of packe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764980B8 (en) * 2005-09-20 2009-01-07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segmentation and concatenation signa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839828B2 (en) * 2005-12-15 2010-11-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JP2008113095A (ja) * 2006-10-27 2008-05-15 Fujitsu Ltd 通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BRPI0816602A2 (pt) * 2007-09-28 2015-09-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étodo e aparelho de seleção de combinação de formatos de transporte aprimorada em comunicações sem fi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3578A (ja) * 1993-12-27 1995-07-28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
WO2005083951A1 (ja) * 2004-02-27 2005-09-09 Sharp Kabushiki Kaisha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300630A (ja) * 2006-04-27 2007-11-15 Asustek Computer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sduの分割及び番号付けを行う方法及び装置
WO2008041296A1 (fr) * 2006-09-29 2008-04-10 Fujitsu Limited Appareil de communication sans f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6151A1 (ja) 2010-02-11
JP5104952B2 (ja) 2012-12-19
AU2008360228B2 (en) 2013-12-19
CN102113368A (zh) 2011-06-29
RU2012135278A (ru) 2014-02-27
KR20110029166A (ko) 2011-03-22
RU2011108546A (ru) 2012-09-20
US20140153520A1 (en) 2014-06-05
CA2733452A1 (en) 2010-02-11
MX2011001484A (es) 2011-03-30
KR20120135338A (ko) 2012-12-12
EP2334026A1 (en) 2011-06-15
US9100965B2 (en) 2015-08-04
RU2483462C2 (ru) 2013-05-27
BRPI0823001A2 (pt) 2015-07-28
CA2733452C (en) 2015-01-20
US8681670B2 (en) 2014-03-25
EP2334026A4 (en) 2014-10-22
AU2008360228A1 (en) 2010-02-11
JPWO2010016151A1 (ja) 2012-01-12
RU2529106C2 (ru) 2014-09-27
US20110188464A1 (en) 2011-08-04
KR101294570B1 (ko) 2013-08-07
CN102113368B (zh)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484B1 (ko) 통신 장치, 기록 매체, 및 송신 데이터 생성 방법
EP2206268B1 (en) Improved re-transmission capability in semi-persistent transmission
US8817636B2 (en) Method, system, and equipment for information processing
KR101340224B1 (ko) 시그널링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07625B1 (ko) 조정 다중점 송신을 이용하여 수신된 패킷에 대한 부정 승인의 송신에서의 지연 도입
US20080259862A1 (en) Method for Scheduling in Mobil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of
KR101087112B1 (ko) 자동 재전송 요구 방식에 적용되는 자원 할당 방법
JP2009165187A (ja) 無線リンク制御における再送を支援する目的でプロトコルデータユニットの再送の優先順位を上げ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80091193A (ko) 통신 시스템을 위한 융통성 있는 세그먼트화 방식
JP2007325115A (ja)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KR20240042563A (ko) Urllc 서비스를 위한 낮은 레이턴시 harq 프로토콜
US2019025392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20060114936A1 (en) Enhanced processing methods for wireless base stations
KR2007010188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기지국 스케줄링 방법 및장치
EP4179821A1 (en) Schedul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via a single control element
JP5522211B2 (ja) 通信装置、送信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送信データ生成方法
KR10161309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harq 채널 할당 방법 및 그 기지국 장치
AU201420162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program, and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method
JP2010056754A (ja) 無線基地局及び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