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412B1 -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412B1
KR101234412B1 KR1020110020288A KR20110020288A KR101234412B1 KR 101234412 B1 KR101234412 B1 KR 101234412B1 KR 1020110020288 A KR1020110020288 A KR 1020110020288A KR 20110020288 A KR20110020288 A KR 20110020288A KR 101234412 B1 KR101234412 B1 KR 10123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inspection
tightening ring
cylinder
joi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265A (ko
Inventor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영 filed Critical 정재영
Priority to KR1020110020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41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ameters
    • G01B21/14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ameters internal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01B5/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internal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충전되는 등속조인트커버 일단을 밀봉하기 위해 금속띠 형상으로 되어 일정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링 형으로 감아 말린 상태에서 중첩부임의 위치가 스폿(spot)용접된 최종제품으로서의 각각의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에 대해 제품출하를 위한 단위 포장 전에 자동으로 적정규격 여부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함과 동시에, 규격에 부합하지 못하는 비규격제품(불량제품)을 선별하여 골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제품으로서의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에 대한 규격검사 및 불량품 선별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에 대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제품의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A)에 있어서, 켄베어벨트(10)를 통해 링 형으로 감아말린 조임링(a)이 회전되는 안착구(11)와 벽체(12)에 일차투입되게 하여 설정된 내경 크기의 적정 여부를 검사하는 내경 크기 검사수단(1)과; 내경 크기 검사수단(1)에 공급된 적정 내경의 조임링(a)을, 회동축(23)에 연결되어 90°회동되는 제 1 실린더(24)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 및 수평으로 전,후진하는 협지구(21)의 협지단턱(22)에 의해 자력으로 부착하여 외경 크기의 적정 여부를 검사함과 동시에, 적정크기의 내,외경을 갖는 조임링(a)만을, 대향측의 기판(8)의 격판(44)에 설치되는 인장강도 검사수단(4)의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으로 90°회동하여 수평으로 공급하는 회동이송수단(2)과;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에 공급된 조임링(a)의 조임고리부(a-1)를 제 2 실린더(32)와 연결된 당김구(31)로 협지한 후, 제 3 실린더(33)로 당겨 조임링(a)의 스폿 용접여부를 검사하는 용접여부 검사수단(3)과; 제 4 실린더(42)와 연결된 벌림구(43)에 의해 드릴척 작동구(41)를 내측에서 벌려 그 외면에 끼워진 조임링(a)의 인장강도를 검사하는 인장강도 검사수단(4)과; 검사완료된 조임링(a)을 제 5 실린더(55)의 작동에 의해 취출구(51)로 취출하되, 취출되는 조임링(a)의 안내를 위해 양 지지봉(52)에 스프링(52a)에 의해 탄발되게 설치되는 지지판(54)선단에 부착되는 취출가이드(53)로 되는 취출수단(5) 및 상기 취출가이드(53)의 직하부에, 제 6 실린더(62)에 의해 회동되도록 지지대(63)에 힌지결합되는 받침판(61)으로 되어 취출되는 조임링(a)을 이송컨베어(9)측으로 보내거나 그대로 낙하시켜 제품을 선별토록 하는 선별수단(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이다.

Description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Inspection and sorting apparatus for ring for tighten a universal joint cover}
본 발명은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유체가 충전되는 등속조인트커버 일단을 밀봉하기 위해 금속띠 형상으로 되어 일정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링 형으로 감아 말린 상태에서 중첩부임의 위치가 스폿(spot)용접된 최종제품으로서의 각각의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에 대해 제품출하를 위한 단위 포장 전에 자동으로 적정규격 여부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함과 동시에, 규격에 부합하지 못하는 비규격제품(불량제품)을 선별하여 골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제품으로서의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에 대한 규격검사 및 불량품 선별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에 대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제품의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륜구동 자동차의 동력전달을 위한 구성부품으로 사용되는 드라이브샤프트 조인트부의 외형을 커버하여 내부의 윤활그리스의 유출을 방지하고 조인트부내로 외부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벨로즈 타입의 커버가 설치되며, 이 커버의 일단은 조임링에 의해 조여져 밀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은, 그 구성특성상 폭이 좁은 금속띠를 설정된 직경을 갖도록 원형으로 감아만 상태에서, 중첩부위 한곳을 스폿 용접하여 최종적으로 링 형의 조임링으로서 기능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에 대해서는, 반드시 설정된 직경(내경 및 외경)의 적정 여부 및 스폿 용접 여부 검사와 아울러 인장 강도 검사가 이루어져 제품의 제작상 불량 여부를 반드시 체크해야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제작완료된 등록조인트커버 조임링에 대한 지금까지의 적정규격 여부검사 및 불량품 선별작업은,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각각 별개의 작업공정에 의해 그때그때 규격 검사를 실시하여 불량품은 따로 선별해 내는 수동식의 검사 및 선별작업을 수행하여만 하는 것이어서, 제품에 대한 적정규격 여부 검사 및 불량품 선별작업의 작업성을 크게 해치게 되는데 따른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게 되어 제작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제품검사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링 형으로 제작완료된 각각의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에 대해 작업자가 일일이 별개의 규격검사 공정을 거치면서 적정 규격을 충족하고 있는지에 대한 규격검사를 시행하여 규격에 부합하지 않는 불량제품에 대한 선별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종래의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작업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제작 완료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이 직경검사 수단과 스폿 용접 여부 검사 및 인장강도 검사 수단을 단일 공정으로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적정 규격을 갖추었는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측정하며, 적정규격을 갖추지 못한 불량제품을 선별하여 완제품으로서 최종 출하되지 못하게 하고, 적정규격을 갖는 완제품만 최종적으로 모아 출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규격검사 및 선별 작업의 작업성을 제고하여 대량생산에 따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는,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A)에 있어서,
켄베어벨트(10)를 통해 링 형으로 감아말린 조임링(a)이 회전되는 안착구(11)와 벽체(12)에 일차투입되게 하여 설정된 내경 크기의 적정 여부를 검사하는 내경 크기 검사수단(1)과; 내경 크기 검사수단(1)에 공급된 적정 내경의 조임링(a)을, 회동축(23)에 연결되어 90°회동되는 제 1 실린더(24)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 및 수평으로 전,후진하는 협지구(21)의 협지단턱(22)에 의해 자력으로 부착하여 외경 크기의 적정 여부를 검사함과 동시에, 적정크기의 내,외경을 갖는 조임링(a)만을, 대향측의 기판(8)의 격판(44)에 설치되는 인장강도 검사수단(4)의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으로 90°회동하여 수평으로 공급하는 회동이송수단(2)과;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에 공급된 조임링(a)의 조임고리부(a-1)를 제 2 실린더(32)와 연결된 당김구(31)로 협지한 후, 제 3 실린더(33)로 당겨 조임링(a)의 스폿 용접여부를 검사하는 용접여부 검사수단(3)과; 제 4 실린더(42)와 연결된 벌림구(43)에 의해 드릴척 작동구(41)를 내측에서 벌려 그 외면에 끼워진 조임링(a)의 인장강도를 검사하는 인장강도 검사수단(4)과; 검사완료된 조임링(a)을 제 5 실린더(55)의 작동에 의해 취출구(51)로 취출하되, 취출되는 조임링(a)의 안내를 위해 양 지지봉(52)에 스프링(52a)에 의해 탄발되게 설치되는 지지판(54)선단에 부착되는 취출가이드(53)로 되는 취출수단(5) 및 상기 취출가이드(53)의 직하부에, 제 6 실린더(62)에 의해 회동되도록 지지대(63)에 힌지결합되는 받침판(61)으로 되어 취출되는 조임링(a)을 이송컨베어(9)측으로 보내거나 그대로 낙하시켜 제품을 선별토록 하는 선별수단(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에 의하면, 일정크기의 내경 및 외경을 갖도록 원형으로 감아만 동시에, 그 중첩부 특정위치를 스폿 용접하여 링 형의 최종제품으로서 제작완료된 조임링의 규격검사 및 불량품의 선별작업이,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연동하는 각각의 직경, 용접 및 인장강도 검사수단 과 취출수단 및 선별수단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에 대한 제작 및 규격검사 작업의 작업성을 좋게 함과 동시에 그만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되므로, 양질의 제품을 염가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를 이루는 내경 크기 검사수단 및 회동이송수단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의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를 이루는 내경 크기 검사수단 및 회동이송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의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를 이루는 용접여부 검사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의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 를 이루는 취출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의 제품 취출 및 선별 작동상태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A)는 크게 내경 크기 검사수단(1), 회동이송수단(2), 용접여부 검사수단(3), 인장강도 검사수단(4), 취출수단(5) 및 선별수단(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내경 크기 검사수단(1)은, 하부의 구동수단(15)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대략 원뿔대형을 이루는 안착구(11)와, 이 안착구(11)의 하부둘레 일부를 감싸는 호형의 벽체(12)로 되는 것으로, 이때 벽체(12)는 공급되는 조임링(a)의 조임고리부(a-1)가 끼워져 걸려 그 위치를 특정함과 동시에, 감지센서(14)를 설치하여 컨베어벨트(10)로 부터 공급되는 조임링(a)이 원뿔대형의 안착구(11)의 특정위치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도달된 경우, 그 직경(내경) 크기를 적정크기로 일차 체크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조임링(a)이 내경 크기 검사수단(1)의 원뿔대형으로 된 안착구(11)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직경(내경) 크기가 설정된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안착구(11)의 정해진 위치에 도달되지 않게 되면, 감지센서(14)는 이를 조임링(a)이 공급되지않은 것으로 인식하여,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A)는 더 이상의 작동을 멈추게 되어 조임링(a)에 대한 적정 내경 크기 여부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회동이송수단(2)은, 양 프레임(26)에 굴대 설치되어 감속모터(25)와 연결된 회동축(23)에 부착된 채, 회동축(23)의 회전에 따라 90°회동되는 제 1 실린더(24) 선단에 상기 안착구(11)의 벽체(12) 안쪽으로 하강가능한 협지구(21)를 설치하되, 이 협지구(21) 내측에는 내부에 설치된 전자석에 의해 순간적으로 자력을 유지 또는 해제 가능하게 한 협지단턱(22)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구(11) 상의 조임링(a)을 자력으로 부착하거나 또는 그 자력을 해제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착된 조임링(a)을 인장강도 검사수단(4)의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용접여부 검사수단(3)은, 상기 회동이송수단(2) 대향 측에 직립 상태로 기판(8)상에 설치되는 격판(44)에 설치되는 인장강도 검사수단(4)의 드릴척 작동구(41)의 직상부에 설치되어, 제 2 실린더(32) 작동에 의해 당김구(31)가 오므림 및 벌림 동작을 하면서 인장강도 검사수단(4)의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에 끼워진 조임링(a) 상부의 조임고리부(a-1) 양측을 협지한 채 제 3 실린더(33)에 작동에 의해 상측으로 순간적으로 들어올렸다가 내려놓는 식으로 하여 조임링(a)의 스폿용접부위에 대한 용접 여부 또는 용접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등 스폿 용접상태를 간단히 검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인장강도 검사수단(4)은, 조임링(a)이 외면에 끼워지는 드릴척 작동구(41) 내부에 제 4 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진퇴작동되는 벌림구(43)를 설치하여, 이 벌림구(43)의 진퇴작동에 의해 드릴척 작동구(41)가 순간적으로 방사상으로확장되어 벌어지게 하거나 또는 드릴척 작동구(41) 내부의 스프링(46)의 탄발력에 의해 복귀되어 원래의 상태로 되게 하는 것에 의해,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에 공급되어 끼워진 조임링(a)을 순간적으로 확관시켜 조임링(a)이 적정 인장 강도를 갖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취출수단(5)은, 상기 인장강도 검사수단(4) 상측의 용접여부 검사수단(3) 중앙부에, 선단에 취출부(51a)가 형성되어 제 5 실린더(55)의 작동에 의해 진퇴 동작하도록 취출구(51)를 설치함과 동시에, 인장강도 검사수단(4)의 전면부 양측에는 일정거리를 두고 지지봉(52)을 설치하되, 이 지지봉(52)에는 스프링(52a)에 의해 탄발되게 지지판(54)을 설치하고 이 지지판(54)의 선단부에는 취출가이드(53)를 부착설치하여, 지지판(54)의 하면이 90°회동되는 상기 회동이송수단(2)의 제 1 실린더(24)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들어 올려져 상승하거나, 스프링(52a)의 탄발력으로 하강하면서, 지지판(54) 선단의 취출가이드(53)로 하여금 용접상태검사 및 인장강도검사가 완료되어 취출구(51)에 의해 취출되는 조임링(a)이 취출가이드(53)에 부딪치며 그 하부의 선별수단(6) 측으로 안전하게 낙하되게 하여 이송컨베어(9)로 보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선별수단(6)은 상기 취출수단(5)의 취출가이드(53) 직하부에 지지대(63)에 의해 받침판(61)이 굴대 설치되고, 이 받침판(61)은 상기 용접여부 검사수단(3) 및 인장강도 검사수단(4)의 신호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제 6 실린더(62)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것에 의해, 취출수단(5)의 작동에 따라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으로부터 취출되어 낙하 하는 조임링(a)에 대해 적정규격을 갖는 정품과 그렇지 못한 불량품일 경우에 따라 제 6 실린더(62)가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하여, 취출된 조임링(a)이 적정 규격을 갖춘 정상 제품일 경우에는 제 6 실린더(62)가 작동하지 않아 받침판(61)이 그대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취출된 조임링(a)은 받침판(61) 상면을 거쳐 그대로 이송컨베어(9)로 공급되게 하고, 불량품일 경우에는, 제 6 실린더(62)가 작동하여 받침판(61)을 당김으로써 받침판(61)이 있던 공간을 개방상태로 두어 취출된 조임링(a)은 이송컨베어(9)로 공급되지않고 그대로 낙하하여 불량품 수거통으로 공급되게 하여 제품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A)의 실시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작완료된 조임링(a)이 규격검사 및 선별을 위해 컨베어벨트(10)를 통해 순차적으로 내경 크기 검사수단(1)의 안착구(11)로 공급되면, 안착구(11)는 하부의 구동수단(15)에 의해 회전되면서 조임링(a)의 조임고리부(a-1)가 벽체(12)에 안착되게 하여 다음 공정으로 보내지기 위한 정 자세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조임링(a)의 내경이 설정된 직경 보다 작을 경우에는 안착구(11)가 원뿔대 형상으로 되어있으므로, 조임링(a)이 벽체(12)의 감지센서(14)가 있는 안착구(11) 하부에까지 도달되지 않게 되어 감지센서(14)는 안착구(11)에 조임링(a)이 공급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므로,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A) 전체가 작동을 멈추게 되고, 조임링(a)의 내경이 적정 크기의 직경을 갖는 경우에는, 원뿔대 형상의 안착구(11) 하부에까지 조임링(a)이 도달되게 되므로 감지센서(14)가 인식하게 되어, 다음 공정의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이렇게 안착구(11)에 조임링(a)이 안착된 상태에서, 다음 공정인 회동이송수단(2)이 작동하게 되는바, 이는 도 5a 내지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회동축(23)에 고정 설치된 수직 상태의 제 1 실린더(24)가 작동하여 협지구(21)를 하강시켜 협지구(21) 하단의 협지단턱(22)으로 하여금 안착구(11)에 안착된 조임링(a)을 전자력으로 부착하게 한 상태에서, 확장되었던 제 1 실린더(24)가 신축하여 협지구(21)가 안착구(11) 및 벽체(12)로부터 완전히 벗어남과 동시에, 제 1 실린더(24)가 부착설치된 회동축(23)이 90°회전하게 됨에 따라 수직상태이던 제 1 실린더(24)는 수평상태로 되어 제 1 실린더(24) 선단의 협지구(21)가 일측의 인장강도 검사수단(4)의 드릴척 작동구(41)와 대면상태로 되는 순간, 다시 제 1 실린더(24)가 확장 작동하여 그 선단의 협지구(21)가 드릴척 작동구(41) 측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협지구(21) 내부의 협지단턱(22)에 대한 자력을 풀어(해제하여) 협지단턱(22)에 자력으로 부착되었던 조임링(a)을 드릴척 작동구(41)의 외면에 끼워 고정되는 상태로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에 조임링(a)이 끼워져 고정되는 식으로 용접여부 검사수단(3)에 조임링(a)이 공급 되게 되면, 도 6a 및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로 용접여부 검사수단(3)을 이루는 제 2 실린더(32)가 작동하여 양 당김구(31)가 안쪽으로 모아지면서 조임링(a) 상단에 돌출 형성된 조임고리부(a-1)를 양측에서 협지한 상태로 된다.
이와 동시에 제 3 실린더(33)가 작동하여 조임링(a)의 조임고리부(a-1)를 잡아 협지하고 있는 당김구(31)와 함께 제 2 실린더(32)를 상측으로 순간적으로 잡아당겨 올렸다 놓는 동작을 하게 되면서 그 당김력에 대한 조임링(a)의 반발력을 수치화하여 그 수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조임링(a)의 스폿 용접부위에 대한 용접여부 검사수단(3)에서의 소정의 용접상태 검사가 완료되게 된다.
이후 조임링(a)이 외면에 끼워진 인장강도 검사수단(4)의 드릴척 작동구(41)가 작동하는 것인바, 이는 도 6c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인장강도 검사수단(4) 후부의 받침판(45) 상에 설치된 제 4 실린더(42)가 작동하여 그 선단의 벌림구(43)가 드릴척 작동구(41)내부에서 드릴척 작동구(41) 선단부 측으로 진출하면서, 오므린 상태인 드릴척 작동구(41)의 테이퍼진 내면을 밀어 드릴척 작동구(41)가 순간적으로 방사상으로 바같쪽으로 벌어지게 하면서 그 외면에 끼워진 상태인 조임링(a)을 순간적으로 벌려 그 벌리는 힘에 대해 조임링(a)이 대응하는 반발력의 세기를 수치화하여, 그 수치변화에 따라 조임링(a)이 적정 인장강도를 지녔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해 인장강도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4 실린더(42)가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 작동하게 됨에 따라 역시 벌림구(43)도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벌어졌던 드릴척 작동구(41)는 그 내부의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으로 다시 본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인장강도 검사수단(4)에 의한 소정의 인장강도 검사를 마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상태 및 인장강도에 대한 검사가 모두 완료된 조임링(a)은,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정한 규격을 지닌 정상 제품과 그렇지 못한 불량품으로 선별 취합되게 되는 것인바, 이는 먼저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수단(5)의 제 5 실린더(55)가 작동하여 조임링(a)의 조임고리부(a-1) 후방에 위치된 취출구(51)를 밀게되면 취출구(51) 하단의 취출부(51a)가 순간적으로 조임링(a)을 밀어내게 되고, 이렇게 밀려나는 조임링(a)은 드릴척 작동구(41)로부터 분리이탈됨과 동시에, 취출가이드(53)의 선단부와 접촉되면서 그 하부의 받침판(61) 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취출되는 조임링(a)이 정해진 규격에 부합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정상제품과 불량품으로 선별하게 되는 것인데, 정해진 규격에 부합되는 정상 제품일 경우에는, 용접여부 검사수단(3)과 인장강도 검사수단(4)으로 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받침판(61) 하부의 제 6 실린더(62)가 작동하지 않게 되어 받침판(61)을 그대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취출되는 조임링(a)은 그대로 받침판(61) 상면을 거쳐 이송컨베어(9)로 보내져 검사를 마친 완벽한 제품으로서 다음 검수 및 포장 공정으로 보내지게 된다.
그리고 취출되는 조임링(a)이 용접상태 또는 인장강도가 정해진 규격에 부합되지 않는 비정상 제품, 즉 불량품일 경우에는, 용접여부 검사수단(3)과 인장강도 검사수단(4)으로 부터 전달 받은 신호에 따라 제 6 실린더(62)가 작동하여 받침판(61)을 당겨 받침판(61)에 의해 차단되었던 공간부를 개방상태로 둠에 따라, 취출되는 불량품으로서의 조임링(a)은 그대로 개방된 공간부를 통해 하부의 불량품 회수통(도시생략)으로 보내지게 되므로, 불량품이 이송컨베어(9)로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으로서의 조임링(a)을 정상제품과 불량품으로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일련의 검사 및 선별 과정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6 실린더(24)(32)(33)(42)(54)(62)의 연계작동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된 요건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연속 작동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경우 각 진행 단계마다 해당요건에 충족되지 못하는 경우,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A) 전체는 작동을 정지하게 되어 작업자가 해당 단계에서 규격을 충족하지 못한 조임링(a)을 제거, 선별해 내게 되면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A)는 정해진 요건에 맞춰 다시 원활하게 작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조임링(a)이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작되는 경우, 일차적으로 내경 크기 검사수단(1)의 원뿔대형으로 되는 안착구(11)의 정해진 위치에 조임링(a)이 도달되지 못하게 되므로,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A)는 더 이상의 작동을 멈추게 되며, 조임링(a)의 직경이 설정된 크기보다 큰 크기의 직경일 경우에는, 조임링(a)이 원뿔대형 안착구(11)의 정해진 위치에 도달되더라도, 회동이송수단(2)의 협지구(21) 내부에 형성된 협지단턱(22)의 내경보다 조임링(a)의 외경이 큰 크기로 되어 회동이송수단(2)의 협지구(21)가 조임링(a)을 부착할 수 없게 되므로, 역시 더 이상의 작동은 멈추게 되므로 작업자가 해당 조임링(a)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검사수단(3)의 당김구(31)가 조임링(a)의 조임고리부(a-1)를 당겨 올려 그 당김력을 측정하는 것인바, 조임링(a)의 중첩부에 형성된 스폿 용접부위가 분리되게 되면, 당김력의 수치변화를 감지하여 불량품으로 감지하게 되고, 또한 인장강도 검사수단(4) 역시 드릴척 작동구(41)가 순간적으로 벌어져 외면에 끼워진 조임링(a)에 대해 벌어지는 힘으로 작용토록 하여, 조임링(a)이 적정 인장 강도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여 이 역시 설정된 수치에 미달되게 되면 측정된 제품을 불량품으로 감지하게 되어, 이들 감지신호에 따라 제 6 실린더(62)가 작동하면서 받침판(61)을 당겨 받침판(61)에 의해 차단되었던 공간부를 개방상태로 두게 되므로, 이 공간부를 통해 취출되는 불량품을 그대로 하부로 통과시켜 불량품들을 수거통으로 모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A)는, 폭이 좁은 금속띠를 일정한 직경 크기로 감아만 상태에서 그 중첩부의 임의 위치를 스폿 용접하여 등속조인트커버의 끝단을 기밀 유지 상태로 조이는 링 형 조임링으로 기능하도록 제작된 조임링(a)에 대해, 각각의 내경 크기 검사수단(1), 회동이송수단(2), 용접여부 검사수단(3) 및 인장강도 검사수단(4)이 순차 작동하여 조임링(a)이 설정된 직경 크기와 스폿 용접여부 등의 용접상태 및 인장강도를 지녔는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를 신속,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이후 검사 결과에 따라 취출수단(5)과 선별수단(6)에 의해 적정규격의 정상제품과 적정규격에 미달되는 불량품을 선별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의 최종검사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내경 크기 검사수단(1), 회동이동수단(2), 용접여부 검사수단(3), 인장강도 검사수단(4), 취출수단(5) 및 선별수단(6)의 수를 본 예에서는 각각 세 개씩을 한 조로 하여 설치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반드시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 검사, 회동이동, 용접여부 검사, 인장강도 검사, 취출 및 선별수단(1)(2)(3)(4)(5)(6)의 수를 동수로 하여 얼마든지 증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내경 크기 검사수단 2 : 회동이송수단
3 : 용접여부 검사수단 4 : 인장강도 검사수단
5: 취출수단 6: 선별수단 11 : 안착구 12 : 벽체 13 : 걸이홈 14 : 감지센서 15 : 구동수단 21 : 협지구 22 : 협지단턱 23 : 회동축 24 : 제 1 실린더 31 : 당김구 32 : 제 2 실린더 33 : 제 3 실린더 41 : 드릴척 작동구
42 : 제 4 실린더 43 : 벌림구 51:취출구 52:지지봉
53: 취출가이드 54: 지지판 55:제 5 실린더 61: 받침판
62:제 6 실린더 63: 지지대

Claims (1)

  1.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A)에 있어서,
    컨베어벨트(10)를 통해 링 형으로 감아말린 조임링(a)이 회전되는 안착구(11)에 투입되게 하여 설정된 내경 크기의 적정 여부를 검사하는 내경 크기 검사수단(1)과; 내경 크기 검사수단(1)에 공급된 적정 내경의 조임링(a)을, 회동축(23)에 연결되어 90°회동되는 제 1 실린더(24)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 및 수평으로 전,후진하는 협지구(21)의 협지단턱(22)에 의해 자력으로 부착하여 대향측의 기판(8)의 격판(44)에 설치되는 인장강도 검사수단(4)의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으로 수평으로 공급하는 회동이송수단(2)과; 드릴척 작동구(41) 외면에 공급된 조임링(a)의 조임고리부(a-1)를 제 2 실린더(32)와 연결된 당김구(31)로 협지한 후, 제 3 실린더(33)로 당겨 조임링(a)의 스폿 용접여부를 검사하는 용접여부 검사수단(3)과; 제 4 실린더(42)와 연결된 벌림구(43)에 의해 드릴척 작동구(41)를 내측에서 벌려 그 외면에 끼워진 조임링(a)의 인장강도를 검사하는 인장강도 검사수단(4)과; 검사완료된 조임링(a)을 제 5 실린더(55)와 연결된 취출구(51)에 의해 취출하되, 취출되는 조임링(a)을, 스프링(52a)에 의해 양 지지봉(52)에 탄발상태로 설치된 지지판(54) 선단의 취출가이드(53)에 의해 다음 단계로 공급안내 되게 한 취출수단(5) 및; 상기 취출되는 조임링(a)을 이송컨베어(9) 측으로 보내거나 그대로 낙하시키는 것에 의해 제품을 선별할 수 있도록, 지지대(63)에 힌지결합되어 제 6 실린더(62)에 의해 회동되는 받침판(61)으로 구성되어, 취출가이드(53)의 직하부에 설치되는 선별수단(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
KR1020110020288A 2011-03-08 2011-03-08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 KR101234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288A KR101234412B1 (ko) 2011-03-08 2011-03-08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288A KR101234412B1 (ko) 2011-03-08 2011-03-08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265A KR20120102265A (ko) 2012-09-18
KR101234412B1 true KR101234412B1 (ko) 2013-02-18

Family

ID=4711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288A KR101234412B1 (ko) 2011-03-08 2011-03-08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4936A (zh) * 2019-09-26 2020-01-17 江门市鑫辉密封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圈撑开检测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6351B (zh) * 2019-12-04 2022-04-08 湖南科舰能源发展有限公司 一种agm蓄电池大盖排气孔检具
CN112893763B (zh) * 2020-12-29 2022-08-09 安徽省绩溪县飞奔链传动有限公司 一种链条生产加工过程中的质检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702A (ja) * 1992-08-03 1994-02-25 Heijiro Onishi 内外径測定装置
KR19980086592A (ko) * 1997-05-09 1998-12-05 오구찌 구니히꼬 피스턴 링의 장력측정장치와 방법
KR100897670B1 (ko) 2007-09-04 2009-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중공형 부품의 내경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702A (ja) * 1992-08-03 1994-02-25 Heijiro Onishi 内外径測定装置
KR19980086592A (ko) * 1997-05-09 1998-12-05 오구찌 구니히꼬 피스턴 링의 장력측정장치와 방법
KR100897670B1 (ko) 2007-09-04 2009-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중공형 부품의 내경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4936A (zh) * 2019-09-26 2020-01-17 江门市鑫辉密封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圈撑开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265A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412B1 (ko) 등속조인트커버 조임링 규격검사 및 선별장치
CN104772287A (zh) 汽车安全气囊管件自动全检机
CN103335796B (zh) 全自动两通气密性检测装置
US20220034736A1 (en) Device for testing a connection of a guarantee strip of a security seal of a closure lid having a lid main body
CN109719052B (zh) 保持架自动化综合检测工业线
CN107030016A (zh) 一种铸件视觉检测设备
CN103827649A (zh) 用于确定容器产品的预定特性存在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设备
CN203385394U (zh) 自动全尺寸高速多工位检测设备
US20200398515A1 (en) System for checking bags, visual bag inspection machine and bag conveyor machine
CN205665181U (zh) 电子线路板检测装置
CN105091829A (zh) 汽车零部件管内径检测装置
US4495797A (en) Can end tester
CN107791584B (zh) 能够在原料宽度变窄时自动停止折袋的制袋机
US51655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s in an article
CN104785453B (zh) 管件自动全检机的检测上料机构
CN104360268B (zh) Dc马达性能检测自动化设备
CN204638569U (zh) 汽车安全气囊管件自动全检机
US4055455A (en) Apparatus for lining and testing container closures
CN211100197U (zh) 一种自动全检机
CN108526909A (zh) 玻璃升降器拉线精切铆压检测一体机
CN109821761A (zh) 一种多臂层零件的孔径检测装置
CN213876065U (zh) 离合器摩擦片铆钉孔漏孔检测装置
CN204638578U (zh) 汽车零部件管端倒角检测装置
CN204649179U (zh) 汽车零部件管内径检测装置
CN209840956U (zh) 一种安全气囊点火器外壳通孔检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