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840B1 -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 - Google Patents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840B1
KR101233840B1 KR1020117008058A KR20117008058A KR101233840B1 KR 101233840 B1 KR101233840 B1 KR 101233840B1 KR 1020117008058 A KR1020117008058 A KR 1020117008058A KR 20117008058 A KR20117008058 A KR 20117008058A KR 101233840 B1 KR101233840 B1 KR 101233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facial expression
dial
express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296A (ko
Inventor
에이치 우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테크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테크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테크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1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2Clock-rea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종래의 시계에서는, 시각을 볼 때에 부수적인 정보를 순식간에 파악하기가 어려워 그 정보가 잘 활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또한 폭넓은 세대에 널리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며, 얼굴 윤곽에 견주어지는 외형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복수의 표정정보를 유지하는 표정정보 유지부; 외부정보를 획득하는 외부정보 획득부;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대응정보를 유지하는 대응정보 유지부; 및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대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표정정보를 상기 표정정보 유지부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하는 문자판 제어부를 갖는 시계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A CLOCK WITH A DIAL HAVING NEARLY FULL-SCREEN DISPLAY FUNCTION}
본 발명은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탁상 시계나 손목 시계의 종류에 관계없이 시각이나 날짜 정보 이외에 부수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시계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일정 기간에 달성하고 싶은 목표에 대한 현재의 달성도를 수치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형식의 목표 표시 시계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특정한 목표일까지 앞으로 며칠 남았는지를 수치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아날로그 형식의 카운트다운 시계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8593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226982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계에서는, 시각을 볼 때에 부수적인 정보를 순식간에 파악하기가 어려워 그 정보가 잘 활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부수적인 정보를 수치 등으로 표시하기만 할 뿐이므로, 폭넓은 세대에 널리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거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며, 얼굴 윤곽에 견주어지는 외형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복수의 표정정보를 유지하는 표정정보 유지부; 외부정보를 획득하는 외부정보 획득부;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대응정보를 유지하는 대응정보 유지부; 및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대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표정정보를 상기 표정정보 유지부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하는 문자판 제어부를 갖는 시계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취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계를 무심코 본 경우에도 부수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정보의 활용 빈도가 높아진다. 또한, 얼굴 형상의 시각 표시용 문자판에 표시되는 표정에 의해 부수적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계이면서도 사람과 대면하고 있는 감각에 가까워져 친밀감을 갖기 쉬워진다.
도 1은 실시예 1의 시계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시계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대응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대응정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시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시계의 다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시계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시계의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2의 시계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시계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대비연산결과와 표정정보를 연관시키는 테이블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시계의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3의 시계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3의 시계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지침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 3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 3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 3의 시계의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1의 시계의 기능 블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 1의 시계의 기능 블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 1의 시계의 기능 블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와 청구항의 상호 관계는 이하와 같다. 실시예 1은 주로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5, 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8에 대응된다. 실시예 2는 주로 청구항 4에 대응된다. 실시예 3은 주로 청구항 2에 대응된다. 또,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1
<개요>
도 1은 본 실시예의 시계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계는 얼굴 형상의 시각 표시용 문자판의 거의 전면에 표시되는 표정에 의해 부수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a) 부수적인 정보가 좋은 정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예를 들면, 텔레비전 게임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기뻐하는 모습의 표정이 문자판에 표시되고, (b) 부수적인 정보가 나쁜 정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예를 들면, 텔레비전 게임 시간이 긴 경우)에는 어이없어 하는 모습의 표정이 문자판에 표시된다.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시계를 무심코 본 경우에도 직감적으로 부수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계이면서도 사람과 대면하고 있는 감각에 가까워지므로, 친밀감을 갖기 쉬워진다.
<구성>
도 2는 본 실시예의 시계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계"(0200)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0201), "표정정보 유지부"(0202), "외부정보 획득부"(0203), "대응정보 유지부"(0204), 및 "문자판 제어부"(0205)로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의 시계는 벽걸이 시계나 탁상 시계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손목 시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또, 이하에 기재하는 각 장치의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양자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로서 실현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법으로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발명의 일부를 소프트웨어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제품 및 이 제품을 기록매체에 고정시킨 기록매체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에 포함된다(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동일하다).
"시각 표시용 문자판"은 거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며, 얼굴 윤곽에 견주어지는 외형을 갖는다. 여기에서, 시각 표시용 문자판에서는, 각 시각을 나타내기 위한 문자(아라비아 숫자, 로마 숫자, 한자 숫자 등)나 기호, 눈금 등이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시계는 아날로그적으로 시각을 표시한다. 또, 각 시각을 표시하는 문자나 기호, 눈금 등은 디스플레이 기능에 의해 표시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 등을 미리 문자판에 프린트해 두는 구성이나 문자판 평면에 대해 요철로 표현하는 구성 등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기능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예를 들면 LED 소자나 LED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LED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LED 소자는 적색·녹색·청색 등의 복수 색의 소자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단색의 소자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LCD(액정) 디스플레이나, CRT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시각 표시용 문자판의 외형이 얼굴 윤곽에 견주어진다는 것은 시각 표시용 문자판이 얼굴 윤곽을 닮은 외형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얼굴 윤곽으로는, 사람의 얼굴 윤곽 이외에 동물이나 곤충,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등의 얼굴 윤곽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 이러한 얼굴 윤곽은 여러 가지가 고려되고, 원이나 타원, 다각형이나 별 모양 등의 기본적인 도형에 가까운 형상도 가능하며, 사람이나 동물 등의 얼굴 윤곽을 상세하게 모방한 복잡한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시각 표시용 문자판의 외형과 시계 그 자체의 외형이 일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시각 표시용 문자판의 외형이 원 형상이고 시계 그 자체의 외형이 사각 형상인 구성도 고려된다.
"표정정보 유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복수의 표정정보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 복수의 표정정보로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뻐하는 모습이나 어이없어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가 고려된다. 또, 그 밖에 활기찬 모습이나 지친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나, 혈색이 좋은 모습이나 혈색이 나쁜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재채기나 하품을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더워하는 모습이나 추워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자랑하는 듯한 모습이나 거북해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태연한 모습이나 초조한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존경스러워하는 모습이나 깔보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등 여러 가지 표정정보가 고려된다. 이것들은 인간의 표정일 필요는 없고, 동물이나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등의 표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표정정보로는, 얼굴 전체 표정의 정보로서 유지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얼굴 표정을 이루는 얼굴 각 부위의 정보(눈, 코, 입, 귀, 눈썹 등 각 부위 종류의 정보나 각각의 위치, 색 등의 정보)로 세분화하여 유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표정정보는 그래픽정보(입체 그래픽정보도 포함)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사진정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정정보 유지부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비휘발성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상기 표정정보는 미리 기억장치에 유지해 두는 구성이 고려되지만, 새로운 표정정보의 입력을 접수하거나 또는 수신함으로써 수정·추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외부정보 획득부"는 외부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외부정보의 구체적인 예로는, 전기·가스·수도 등의 에너지 사용량의 사용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기온(외기·내기)·습도(외기·내기)·일사량·풍속·강수량·적설량·강수확률·주의경보 등의 정보, 지진정보나 태풍정보, 긴급피난정보 등이 고려된다. 이들 정보는 계측센서나 계측센서의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억장치, 특정한 서버장치 등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하는 구성이 고려된다. 또한, 조작입력기기를 통해 이들 정보를 접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외부정보의 다른 예로는, 시청장치나 게임기기로부터 획득하는 시청시간이나 텔레비전 게임 시간이나, 가정 내의 전화(電化)제품으로부터 획득하는 전화제품의 가동모드·가동시간·에러 등의 정보나, 급탕기 등으로부터 획득하는 목욕 온도나 탕비 상황의 정보, 전력관리유닛이나 발전유닛으로부터 획득하는 소정 시간당(단위시간 포함) 소비 전력량·매도 전력량·매수 전력량·축전 전력량·발전 전력량의 정보 등도 고려된다.
또, 외부정보에는 외부장치 등으로부터 획득하는 정보 이외에 외부장치 등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내부처리를 수행해서 새로 생성되는 정보도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 등으로부터 획득하는 시청시간의 정보와 내부기억영역에 유지되는 목표 시간 정보의 대비연산에 의해 얻어지는 연산결과의 정보도 외부정보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외부정보는 한 종류일 필요는 없고, 복수 종류의 외부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청장치 등으로부터 시청시간 등의 정보를 획득하고, 더불어 공조장치로부터 공조가동시간 등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고려된다.
외부정보 획득부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CPU나 MPU 등의 처리연산장치나 외부정보를 접수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인터페이스(통신 인터페이스나, 외부기억장치와 계측장치, 조작입력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외부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기억장치(휘발성 메모리 등도 포함) 등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획득한 외부정보는 일시적으로 RAM 등에 유지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저장하여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대응정보유지부"는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대응정보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은 대응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기온(실외 또는 실내 온도)과 더워하는 모습이나 추워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를 연관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40℃ 이상의 기온 영역과 매우 더워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30 ~ 40℃의 기온 영역과 약간 더워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15 ~ 30℃의 기온 영역과 더워하지도 추워하지도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0 ~ 15℃의 기온 영역과 약간 추워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0℃보다도 낮은 영역과 매우 추워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가 각각 연관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시계의 시각 표시용 문자판에 표시되는 표정정보를 통해 기온을 직감적으로 파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정한 방(예를 들면 아이 방 등)의 시청장치에 있어서의 시청시간(과거 소정 시간당 시청시간이나 연속시청시간 등)과 감탄하는 모습이나 어이없어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를 연관시켜 두는 예도 고려된다. 구체적으로, 과거 3시간당 시청시간이 2시간 이상이라는 정보와 매우 어이없어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시청시간이 1 ~ 2시간이라는 정보와 약간 어이없어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시청시간이 30분 ~ 1시간이라는 정보와 감탄하지도 어이없어 하지도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시청시간이 0 ~ 30분이라는 정보와 감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를 각각 연관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시계의 시각 표시용 문자판에 표시되는 표정정보를 통해 특정한 시청장치의 시청시간을 직감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문자판 제어부"는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대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표정정보를 상기 표정정보 유지부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타이밍이나 표시하는 시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고려되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상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1시간마다 1분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정보마다 표시하는 타이밍이나 표시하는 시간을 변화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경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를 표시출력한 경우에는, 내용 확인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 상기 표정의 표시출력을 종료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문자판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CPU나 MPU 등의 처리연산장치나 디스플레이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신호 제어장치(예를 들면, 영상신호를 LED 표시신호로 변환하여 LED 표시 구동부에 분배하는 기능을 갖는 LED 신호 제어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표정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하는 처리로는, 표정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나 형태에 맞도록 가공·수정하는 처리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특히, 표정정보가 얼굴 각 부위의 정보(눈, 코, 입, 귀, 눈썹 등 각 부위 종류의 정보나 각각의 위치의 정보 등)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에는, 외부정보와 대응정보에 기초하여 각 부위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로 표시출력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4는 상기 구성을 실현하기 위한 대응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대응정보에는 외부정보(IN1 등)와 연관시킨 각 부위 종류의 정보(LE1 등)나 위치정보((XLE1, YLE1) 등)가 포함된다. 문자판 제어부는 획득한 외부정보와 연관된 각 부위의 표정정보를 대응정보에 기초하여 표정정보 유지부로부터 획득하고, 디스플레이의 적당한 위치에 표시하게 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문자판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시각 표시용 문자판의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의 위치, 기울기, 색, 형상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는 문자 제어수단을 갖는 구성도 고려된다.
도 5는 얼굴 표정에 대응시켜 문자판의 문자 위치·기울기를 변화시키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얼굴 표정이 좋은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밝은 표정 등인 경우)에는 각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를 통상대로 배치하고, 얼굴 표정이 나쁜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어두운 표정 등인 경우)에는 각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를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여서 배치하는 구성이 고려된다. 상기 구성은 문자판을 구성하는 소정의 문자가 프린트되거나 한 부품의 위치와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동 모터나 구동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 등을 디스플레이 기능에 의해 표시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각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 등의 위치나 기울기의 정보와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프로그램이나 테이블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또한, 얼굴 표정이 좋은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밝은 표정 등인 경우)에는 각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 등을 밝은 색이나 가지런한 형상으로 하고, 얼굴 표정이 나쁜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어두운 표정 등인 경우)에는 각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 등을 어두운 색이나 일그러진 형상으로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은 각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 등의 색, 형상 등의 정보와 표정정보를 연관시키는 프로그램이나 테이블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또, 상기 문자판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표정정보와 더불어 상기 외부정보를 표시하는 외부정보 표시수단을 갖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표정정보에 의해 외부정보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정보 그 자체를 필요에 따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외부정보는 표정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나, 표정정보의 내용 확인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영역(예를 들면, 코와 입의 간격이나 눈과 눈 사이, 얼굴 가장자리 근방의 영역 등)에 표시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과는 별도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음성출력부, 음성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한 복수의 음성정보를 유지하는 음성정보 유지부, 외부정보와 음성정보를 연관시킨 음성대응정보를 유지하는 음성대응정보 유지부, 및 획득한 외부정보와 음성대응정보를 이용하여 음성출력부에서 출력해야 할 음성정보를 음성정보 유지부로부터 획득하여 출력시키는 음성출력 제어부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음성출력의 타이밍은 표정정보 표시출력의 타이밍과 동기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기뻐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와 기뻐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음성정보를 동일한 타이밍에 출력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상기 시각 표시용 문자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정보에 대한 터치입력조작을 접수하는 터치입력조작 접수수단을 가지며, 상기 문자판 제어부가, 상기 표정정보에 대한 터치입력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정보의 표시양태를 제어하는 표시양태 제어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표정정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터치 조작(회전 슬라이드 조작 등)을 접수하거나, 표정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터치 조작(확대·축소 슬라이드 조작 등)을 접수하거나 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19는 상기 구성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상기 외부정보 획득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정보에 대한 터치입력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하는 외부정보의 종별을 선택하는 외부정보 종별 선택수단을 갖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표정정보의 눈의 위치를 터치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 시청장치의 시청시간(텔레비전 게임의 플레이 시간 등도 포함)의 정보를 시청장치 등으로부터 획득하고, 입의 위치를 터치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 연속통화시간의 정보를 전화기기 등으로부터 획득하고, 귀의 위치를 터치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 충전 상황의 정보를 휴대 오디오기기 등으로부터 획득하는 구성이 고려된다. 이 경우, 상기 대응정보 유지부는 상기 외부정보의 종별마다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종별별 대응정보를 유지하는 종별별 대응정보 유지수단을 갖는다. 도 20은 상기 구성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외부정보 종별 선택수단의 설정이나 종별별 대응정보 유지수단의 내용은 조작 입력부를 통해 적절히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획득해야 할 외부정보나 대응하는 표정정보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계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정보에 대한 상기 표정정보와 관련된 터치입력조작의 접수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전기기기에 대해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명령 송신부를 갖는 구성도 고려된다. 구체적으로, 시계가 공조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표정에 대해 소정의 터치입력조작을 접수한 경우에, 공조장치의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명령을 공조장치에 대해 송신하는 것이 고려된다(예를 들면, 땀투성이의 더운 듯한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에 대해 땀을 닦는 슬라이드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 설정 온도를 소정 레벨 낮추는 명령을 공조장치에 대해 송신하고, 떨면서 추운 듯한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에 대해 손을 비벼대는 슬라이드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 설정 온도를 소정 온도 올리는 명령을 공조장치에 대해 송신한다). 도 21은 상기 구성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시계 외형의 일부를 떼어내어 기타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 외형의 일부를 떼어내고, 대신에 곰의 외형으로 변경하거나 원숭이의 외형으로 변경하거나 할 수 있는 구성이 고려된다.
<구체적인 구성>
도 7은 상기 시계의 기능적인 각 구성 요건을 하드웨어로 실현했을 때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 도면을 이용하여 각각의 하드웨어 구성부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시계는 "CPU"(0701), "RAM"(0702), "ROM"(0703), "통신부"(0704), "표시부"(0705), 및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0706)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은 "시스템 버스"(0707)의 데이터 통신 경로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정보의 송수신이나 처리를 수행한다.
CPU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정보를 획득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RAM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추가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정보를 RAM으로 읽어내는 처리를 수행한다. 계속해서, RAM에 저장되어 있는 외부정보와 대응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표정정보를 결정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결정된 표정정보를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읽어내어 RAM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읽어내진 표정정보를 표시부에 대해 출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또, 통신부는 로컬 에어리어에 있는 계측센서나 계측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억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로컬 에어리어 바깥에 있는 서버장치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하는 구성이 고려된다.
<처리의 흐름>
도 8은 거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며, 얼굴 윤곽에 견주어지는 외형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갖는 시계의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의 처리 흐름은 이하의 스텝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스텝 S0801에서는, 외부정보를 획득한다(외부정보 획득 스텝). 이어서, 스텝 S0802에서는,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복수의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대응정보를 획득한다(대응정보 획득 스텝). 이어서, 스텝 S0803에서는, 상기 외부정보 획득 스텝에서 획득한 외부정보와 상기 대응정보 획득 스텝에서 획득한 대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표정정보를 획득한다(표정정보 획득 스텝). 이어서, 스텝 S0804에서는, 상기 표정정보 획득 스텝에서 획득한 표정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한다(표정정보 표시 스텝).
<효과>
본 실시예의 시계에 따르면, 시계를 무심코 본 경우에도 직감적으로 부수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계이면서도 사람과 대면하고 있는 감각에 가까워지므로, 친밀감을 갖기 쉬워진다.
실시예 2
<개요>
본 실시예의 시계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얼굴 형상의 시각 표시용 문자판의 거의 전면에 표시되는 표정에 의해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과 실측값의 대비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시계를 무심코 본 경우에도 직감적으로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계이면서도 사람과 대면하고 있는 감각에 가까워지므로, 친밀감을 갖기 쉬워진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시계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계"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1001), "표정정보 유지부"(1002), "외부정보 획득부"(1003), "대응정보 유지부"(1004), 및 "문자판 제어부"(1005)로 구성되고, "외부정보 획득부"는 "에너지 사용량 획득수단"(1006), "목표값 유지수단"(1007), 및 "대비연산수단"(1008)을 가지며, "대응정보 유지부"는 "연산결과 대응정보 유지수단"(1009)을 갖는다.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예 1의 시계와 공통되므로, 차이점인 "에너지 사용량 획득수단"(1006), "목표값 유지수단"(1007), "대비연산수단"(1008), 및 "연산결과 대응정보 유지수단"(1009)에 대해 설명한다.
"에너지 사용량 획득수단"은 전기·가스·수도 등의 에너지 사용량을 획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 전기·가스·수도 등의 에너지 사용량으로는, 전기·가스·수도의 에너지 사용량 이외에 액체 연료(석유 등)나 고체 연료(석탄 등)의 에너지 사용량 등도 고려된다.
에너지 사용량으로는, 임의의 시간당 에너지 사용량이 고려되고, 예를 들면 1초당 에너지 사용량으로 할 수도 있으며, 1시간 또는 1일, 1개월당 에너지 사용량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너지 사용량은, 예를 들면 에너지 사용량을 계측하는 계측장치로부터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며, 에너지 사용량의 데이터를 축적하는 에너지 사용량 축적장치로부터 획득하는 것이나,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버장치로부터 획득하는 것, 조작입력기기를 통해 입력을 접수하여 획득하는 것 등이 고려된다.
에너지 사용량 획득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CPU나 MPU 등의 처리연산장치나 외부정보를 접수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인터페이스(통신 인터페이스나 외부기억장치, 계측장치, 조작입력기기와의 인터페이스 등), 외부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기억장치(휘발성 메모리 등도 포함) 등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획득한 외부정보는 일시적으로 RAM 등에 유지하기만 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저장하여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목표값 유지수단"은 상기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으로는, 임의의 시간당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이 고려되고, 예를 들면 30분마다의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으로 할 수도 있으며, 1일, 1개월, 1년당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목표값은 고정값일 필요는 없고, 시각이나 날짜에 의해 변화하는 값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2시부터 12시 반의 시간에 있어서의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과, 12시 반부터 13시의 시간에 있어서의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으로 서로 다른 것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을 유지하는 구성으로는, 시간대나 요일, 계절별로 목표값이 연관된 테이블정보로서 유지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시간대나 요일, 계절을 변수로 접수하여 목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유지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정보나 프로그램은 고정적일 필요는 없고, 변화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간대나 요일, 계절별로 목표값이 연관된 테이블정보의 예에 있어서, 어느 계절의 소정 요일의 소정 시간대의 목표값을 클리어한 경우(목표값보다도 적은 에너지 사용량이었을 경우), 상기 클리어했을 때의 에너지 사용량의 값에 기초하여 새로운 목표값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외기의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조건이 같은 날의 에너지 사용량의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기억된 데이터로부터 획득하여, 그 중에서 가장 적은 에너지 사용량이었던 날의 시간대별 에너지 사용량의 값을 시간대별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으로서 설정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에너지 사용량 축적장치로부터 상기 목표값의 데이터를 적절히 획득하거나,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버장치 등으로부터 상기 목표값의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하여 유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대비연산수단"은 상기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과 상기 에너지 사용량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에너지 사용량의 대비연산을 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실측값과 목표값의 차분을 산출하거나 실측값과 목표값의 비율을 산출하거나 하여 실측값과 목표값의 대비를 수행한다. 대비연산수단은 구체적으로 CPU나 MPU 등의 처리연산장치와 RAM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연산결과 대응정보 유지수단"은 상기 대비연산결과와 상기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연산결과 대응정보를 더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대비연산결과와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연산결과 대응정보로는, 대비연산결과와 표정정보를 연관시키는 테이블정보가 주로 고려된다.
도 11은 대비연산결과와 표정정보를 연관시키는 테이블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목표값에 대한 실측값의 비율이 1.5 이상이라는 대비연산결과와 매우 실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1 ~ 1.5라는 대비연산결과와 약간 실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 1 미만이라는 대비연산결과와 기뻐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정보가 각각 연관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
본 실시예의 시계의 하드웨어 구성은 기본적으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실시예 1의 시계의 하드웨어 구성과 공통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시계의 특징적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CPU는 통신부를 통해 에너지 사용량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RAM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추가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ROM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을 RAM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에너지 사용량의 데이터와 목표값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목표값과 실측값의 대비연산처리를 수행하고, 처리결과를 RAM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ROM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비연산결과와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연산결과 대응정보를 RAM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RAM에 저장되어 있는 대비연산처리의 결과와 연산결과 대응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표정정보를 결정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결정된 표정정보를 ROM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RAM으로 읽어내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읽어내진 표정정보를 디스플레이 표시부에 대해 출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또, 통신부는 로컬 에어리어에 있는 계측센서나 계측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억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로컬 에어리어의 바깥에 있는 서버장치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 고려된다.
<처리의 흐름>
도 12는 거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며, 얼굴 윤곽에 견주어지는 외형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갖는 시계의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의 처리 흐름은 이하의 스텝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스텝 S1201에서는, 전기·가스·수도 등의 에너지 사용량을 획득한다(에너지 사용량 획득 스텝). 이어서, 스텝 S1202에서는, 상기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과 상기 에너지 사용량 획득 스텝에서 획득한 실측값의 대비연산을 한다(대비연산 스텝). 이어서, 스텝 S1203에서는, 상기 대비연산결과와 상기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연산결과 대응정보를 획득한다(연산결과 대응정보 획득 스텝). 이어서, 스텝 S1204에서는, 상기 대비연산 스텝에서 획득한 대비연산결과와 상기 연산결과 대응정보 획득 스텝에서 획득한 연산결과 대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표정정보를 획득한다(표정정보 획득 스텝). 이어서, 스텝 S1205에서는, 상기 표정정보 획득 스텝에서 획득한 표정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한다(표정정보 표시 스텝).
<효과>
본 실시예의 시계에 따르면, 시계를 무심코 본 경우에도 직감적으로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계이면서도 사람과 대면하고 있는 감각에 가까워지므로, 친밀감을 갖기 쉬워진다.
실시예 3
<개요>
본 실시예의 시계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얼굴 형상의 시각 표시용 문자판의 거의 전면에 표시되는 표정에 의해 부수적인 정보를 표시하고, 지침의 위치에 따라 표정의 종류가 변화한다.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시계를 무심코 본 경우에도 직감적으로 부수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계이면서도 사람과 대면하고 있는 감각에 가까워지므로, 친밀감을 갖기 쉬워진다.
<구성>
도 14는 본 실시예의 시계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침"을 갖는 "시계"(1400)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1401), "표정정보 유지부"(1402), "외부정보 획득부"(1403), "대응정보 유지부"(1404), "문자판 제어부"(1405), 및 "지침위치 획득부"(1406)를 가지며, "대응정보 유지부"는 "지침대응정보 유지수단"(1407)을 가지며, "문자판 제어부"는 "지침대응 문자판 제어수단"(1408)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 1, 2와의 차이점인 "지침위치 획득부"와 "지침대응정보 유지수단"과 "지침대응 문자판 제어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지침"은 상기 시각 표시용 문자판에서 시각을 가리키는 기능을 갖는다. 지침으로는 시침, 분침, 초침이 존재하고, 시침과 분침만을 구비하는 구성이나 시침과 분침, 초침의 모든 지침을 구비하는 구성 등 여러 가지가 고려된다. 또한, 지침은 디스플레이 기능에 의해 표시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물리적인 지침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침은 도 15의 (a)에 나타낸 문자판의 중심 부근부터 각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 눈금 등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나, 도 15의 (b)에 나타낸 문자판의 중심 부근에서 떨어진 위치부터 문자, 눈금 등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또, 지침의 형상이나 배치는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형상이나 배치가 고려된다.
"지침위치 획득부"는 상기 지침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지침의 위치정보로는, 예를 들면 지침이 문자판의 0시 위치로부터 우회전으로 몇 도의 위치를 향하고 있는가 하는 정보나, 문자판에서 각 시각을 나타내는 눈금 중 어느 눈금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는 정보 등이 고려된다. 또한, 지침의 위치정보로서 시침과 분침, 초침의 상대 각도나 눈금의 차이 등을 획득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지침의 위치정보의 획득하는 처리로서, CPU 등의 처리연산장치의 내부클럭에 기초하여 소정 시각(예를 들면 0시)부터의 경과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지침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획득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을 설정하는 시계(전파시계 등)의 경우에는, 상기 외부로부터 획득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지침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고려된다.
"지침대응정보 유지수단"은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지침의 위치정보와 상기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지침대응정보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지침대응정보로는, 외부정보와 지침의 위치정보와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테이블정보가 고려된다.
도 16은 지침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연속통화시간이 1시간 이상이라는 정보와 매우 어이없어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이 연관되어 있지만, 추가로 시침과 분침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습을 나타내는 복수의 표정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취함으로써, 지침에 의해 표정이 잘 안보이거나 다른 모습을 나타내는 표정으로 보이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아날로그 형식의 시계와의 공존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도면의 예에서는 시침과 분침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표정정보로 세분화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초침의 위치도 포함시켜 세분화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 상기 예에서 외부정보로서 획득하는 연속통화시간의 정보는 전화기기로부터 획득하는 구성도 고려되며, 전화기기에 접속된 모뎀 등으로부터 획득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지침대응 문자판 제어수단"은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지침의 위치정보와 상기 지침대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표정정보를 상기 표정정보 유지부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지침대응 문자판 제어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CPU나 MPU 등의 처리연산장치나 디스플레이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신호 제어장치(예를 들면, 영상신호를 LED 표시신호로 변환하여 LED에서 표현 구동부에 분배하는 LED 신호 제어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표정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하는 처리로서, 표정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나 형태에 맞도록 가공·수정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표정정보가 얼굴 각 부위(눈, 코, 입, 귀, 눈썹 등)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에는, 이들 각 부위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로 표시출력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이 고려된다.
또한, 표정정보를 지침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가공·수정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고려된다. 예를 들면, 외부정보와 지침의 위치정보와 지침대응정보에 기초하여 표정정보를 획득한 후에,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침(또는 분침)의 각도에 기초하여 표정정보를 회전시키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구성>
본 실시예의 시계의 하드웨어 구성은 기본적으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실시예 1의 시계의 하드웨어 구성과 공통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시계의 특징적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CPU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정보를 획득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RAM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추가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시계의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지침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결과를 RAM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지침대응정보를 RAM으로 읽어내는 처리를 수행한다. 계속해서, RAM에 저장되어 있는 외부정보와 지침의 위치정보와 지침대응정보 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표정정보를 결정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결정된 표정정보를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읽어내어 RAM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읽어내진 표정정보를 디스플레이 표시부에 대해 출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또, 읽어내진 표정정보를 RAM에 저장되어 있는 지침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회전 처리를 수행하거나,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나 형상에 맞추어 표정정보의 확대 처리와 트리밍 처리를 수행하거나 하여 디스플레이 표시부에 대해 출력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처리의 흐름>
도 18은 거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며, 얼굴 윤곽에 견주어지는 외형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갖는 시계의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의 처리 흐름은 이하의 스텝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스텝 S1801에서는, 외부정보를 획득한다(외부정보 획득 스텝). 이어서, 스텝 S1802에서는, 상기 시각 표시용 문자판에서 시각을 가리키는 지침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지침위치정보 획득 스텝). 이어서, 스텝 S1803에서는,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지침의 위치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복수의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지침대응정보를 획득한다(지침대응정보 획득 스텝). 이어서, 스텝 S1804에서는, 상기 외부정보 획득 스텝에서 획득한 외부정보와 상기 지침위치정보 획득 스텝에서 획득한 지침의 위치정보와 상기 지침대응정보 획득 스텝에서 획득한 지침대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표정정보를 획득한다(지침표정정보 획득 스텝). 이어서, 스텝 S1805에서는, 상기 지침표정정보 획득 스텝에서 획득한 표정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한다(표정정보 표시 스텝).
<효과>
본 실시예의 시계에 따르면, 시계를 무심코 본 경우에도 직감적으로 부수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계이면서도 사람과 대면하고 있는 감각에 가까워지므로, 친밀감을 갖기 쉬워진다.
0200: 시계 0201: 시각 표시용 문자판
0202: 표정정보 유지부 0203: 외부정보 획득부
0204: 대응정보 유지부 0205: 문자판 제어부
0701: CPU 0702: RAM
0703: ROM 0704: 통신부
0705: 표시부 0706: 비휘발성 메모리
0707: 시스템 버스 1006: 에너지 사용량 획득수단
1007: 목표값 유지수단 1008: 대비연산수단
1009: 연산결과 대응정보 유지수단 1406: 지침위치 획득부
1407: 지침대응정보 유지수단 1408: 지침대응 문자판 제어수단
1906: 터치입력조작 접수수단 1907: 표시양태 제어수단
2007: 외부정보 종별 선택수단 2008: 종별별 대응정보
2107: 제어명령 송신부

Claims (8)

  1.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며, 얼굴 윤곽에 견주어지는 외형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복수의 표정정보를 유지하는 표정정보 유지부;
    외부정보를 획득하는 외부정보 획득부;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대응정보를 유지하는 대응정보 유지부; 및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대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표정정보를 상기 표정정보 유지부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하는 문자판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시각 표시용 문자판에서 시각을 가리키는 지침; 및
    상기 지침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침위치 획득부를 더 가지며,
    상기 대응정보 유지부는,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지침의 위치정보와 상기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지침대응정보를 유지하는 지침대응정보 유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문자판 제어부는,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지침의 위치정보와 상기 지침대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표정정보를 상기 표정정보 유지부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하는 지침대응 문자판 제어수단을 갖는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문자판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시각 표시용 문자판의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의 위치, 기울기, 색, 형상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는 문자 제어수단을 갖는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정보 획득부는,
    전기·가스·수도 중 하나 이상의 에너지 사용량을 획득하는 에너지 사용량 획득수단;
    상기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을 유지하는 목표값 유지수단; 및
    상기 에너지 사용량의 목표값과 상기 에너지 사용량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에너지 사용량의 대비연산을 하는 대비연산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응정보 유지부는,
    상기 대비연산결과와 상기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연산결과 대응정보를 더 유지하는 연산결과 대응정보 유지수단을 갖는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표시용 문자판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정보에 대한 터치입력조작을 접수하는 터치입력조작 접수수단을 가지며,
    상기 외부정보 획득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정보에 대한 터치입력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하는 외부정보의 종별을 선택하는 외부정보 종별 선택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응정보 유지부는,
    상기 외부정보의 종별별로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표정정보를 연관시킨 종별별 대응정보를 유지하는 종별별 대응정보 유지수단을 갖는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표시용 문자판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정보에 대한 터치입력조작을 접수하는 터치입력조작 접수수단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정보에 대한 상기 표정정보와 관련된 터치입력조작의 접수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전기기기에 대해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명령 송신부를 갖는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시각 표시용 문자판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정정보에 대한 터치입력조작을 접수하는 터치입력조작 접수수단을 가지며,
    상기 문자판 제어부는,
    상기 표정정보에 대한 터치입력조작에 따라 표정정보의 표시양태를 제어하는 표시양태 제어수단을 갖는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표정정보와 더불어 상기 외부정보를 표시하는 외부정보 표시수단을 갖는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
KR1020117008058A 2010-07-30 2010-12-10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 KR101233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2907A JP4635109B1 (ja) 2010-07-30 2010-07-30 略全面がディスプレイ機能を有する時刻表示用文字盤を備えた時計
JPJP-P-2010-172907 2010-07-30
PCT/JP2010/072270 WO2012014340A1 (ja) 2010-07-30 2010-12-10 略全面がディスプレイ機能を有する時刻表示用文字盤を備えた時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296A KR20120021296A (ko) 2012-03-08
KR101233840B1 true KR101233840B1 (ko) 2013-02-22

Family

ID=4376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058A KR101233840B1 (ko) 2010-07-30 2010-12-10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93291B2 (ko)
EP (1) EP2600215A1 (ko)
JP (1) JP4635109B1 (ko)
KR (1) KR101233840B1 (ko)
CN (1) CN102439524B (ko)
BR (1) BR112012022920A2 (ko)
HK (1) HK1170317A1 (ko)
MX (1) MX2012006627A (ko)
RU (1) RU2012137112A (ko)
TW (1) TWI451213B (ko)
WO (1) WO2012014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5749B1 (ja) * 2010-10-02 2011-09-21 日本テクノ株式会社 時計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WO2014097471A1 (ja) * 2012-12-21 2014-06-26 日本テクノ株式会社 デマンド目標表示装置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TWI547778B (zh) * 2014-09-25 2016-09-01 國立臺灣科技大學 時鐘
USD764490S1 (en) * 2014-10-06 2016-08-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EP4327731A3 (en) 2015-08-20 2024-05-15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US10637986B2 (en) 2016-06-10 2020-04-28 Apple Inc. Displaying and updating a set of application views
KR102549463B1 (ko) 2016-08-30 2023-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8228122B (zh) * 2016-12-22 2020-1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表盘呈现的方法、装置和智能手表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KR102505595B1 (ko) * 2018-04-24 2023-03-06 구글 엘엘씨 하이브리드 스마트시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각화
US10809667B2 (en) * 2018-04-24 2020-10-20 Google Llc Bidirectional and expressive interaction in a hybrid smart watch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CN109445266B (zh) * 2018-12-27 2020-11-24 周丽 一种智能手表的控制方法及装置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US11131967B2 (en) *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JP6921338B2 (ja) 2019-05-06 2021-08-1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電子デバイスの制限された動作
US10852905B1 (en) 2019-09-09 2020-12-01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CN111522218B (zh) * 2020-04-15 2021-09-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时间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526256B2 (en) 2020-05-11 2022-12-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DK202070625A1 (en) 2020-05-11 2022-01-04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USD949169S1 (en) * 2020-09-14 2022-04-19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3051A (en) * 1977-01-27 1978-08-15 Casio Comput Co Ltd Measuring apparatus
JPS55146200U (ko) * 1979-04-06 1980-10-21
JPH11166984A (ja) * 1997-12-05 1999-06-22 Seiko Instruments Inc 腕時計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074A (en) * 1887-10-25 Clock
JPS6038160B2 (ja) 1979-04-28 1985-08-30 金井 宏之 アイロン台針布
JPS5899619U (ja) * 1981-12-26 1983-07-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計測装置
JPH0557692U (ja) * 1992-01-06 1993-07-30 博志 ▲柳▼内 引出しと眼鏡掛け付き目覚時計
JPH05323914A (ja) * 1992-05-18 1993-12-07 Ricoh Co Ltd 表示装置
US5458342A (en) * 1994-12-06 1995-10-17 Hernandez; Leonel G. Game for teaching manual dexterity
JPH08226982A (ja) 1995-02-21 1996-09-03 Kudan Zeminaale:Kk カウントダウン時計
US5872746A (en) * 1996-05-30 1999-02-16 Sanitoy, Inc. Clock timer with clock face transforming from a frowning orientation to a smiling orientation
DE19747879A1 (de) * 1997-10-21 1999-04-22 Volker Prof Dr Hepp Vorrichtung zur Zeiterfassung
US6589058B2 (en) * 2000-03-07 2003-07-08 Dolores Brooks Child's learning chair
JP2002040178A (ja) * 2000-07-25 2002-02-06 Nippon Seiki Co Ltd 遠隔操作装置
US8295130B2 (en) * 2000-12-23 2012-10-23 Vincent Claessens Child's clock indicator
US6836450B2 (en) * 2002-07-01 2004-12-28 Alison M. Gilbert Decorative clock with magnetic decorative elements
JP4376650B2 (ja) * 2004-02-09 2009-12-02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CN101404928B (zh) * 2006-03-21 2011-08-3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户状况的指示
USD606199S1 (en) * 2006-12-06 2009-12-15 Braun Gmbh Oral care display
US7683763B2 (en) * 2007-09-24 2010-03-23 Adam Nelson Night light wake up indicator
JP2009085935A (ja) 2007-09-28 2009-04-23 Sadami Ishibashi 目標値の経過数値をリアルタイムに表示する目標表示時計
USD578031S1 (en) * 2007-11-08 2008-10-07 Gro-Group International Limited Clock face
JP5094450B2 (ja) * 2008-02-01 2012-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20879B2 (ja) * 2008-08-29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0140366A (ja) * 2008-12-12 2010-06-24 Toyo Keiki Co Ltd エネルギーモニターのエネルギー利用状況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3051A (en) * 1977-01-27 1978-08-15 Casio Comput Co Ltd Measuring apparatus
JPS55146200U (ko) * 1979-04-06 1980-10-21
JPH11166984A (ja) * 1997-12-05 1999-06-22 Seiko Instruments Inc 腕時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0215A1 (en) 2013-06-05
US8693291B2 (en) 2014-04-08
MX2012006627A (es) 2012-09-12
BR112012022920A2 (pt) 2018-05-22
TW201205212A (en) 2012-02-01
HK1170317A1 (en) 2013-02-22
CN102439524A (zh) 2012-05-02
JP4635109B1 (ja) 2011-02-23
JP2012032306A (ja) 2012-02-16
RU2012137112A (ru) 2014-09-10
WO2012014340A1 (ja) 2012-02-02
TWI451213B (zh) 2014-09-01
CN102439524B (zh) 2013-03-13
US20130121119A1 (en) 2013-05-16
KR20120021296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40B1 (ko) 전면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각 표시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
US11740776B2 (en)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20240053878A1 (en)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CN105487790B (zh) 情境特定用户接口
CN111936941A (zh) 混合型智能手表中的用户界面可视化
WO2017008632A1 (zh) 一种用于处理日程信息的方法与设备
JP2007057274A (ja) 電子機器
US20100225636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2002148374A (ja) 電子時計、電子時計システム及び電子時計に於ける画像情報表示方法
KR20120002320U (ko) 세계시각 표시용 디지털 장치를 이용한 세계시각 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