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654B1 -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654B1
KR101233654B1 KR1020120107061A KR20120107061A KR101233654B1 KR 101233654 B1 KR101233654 B1 KR 101233654B1 KR 1020120107061 A KR1020120107061 A KR 1020120107061A KR 20120107061 A KR20120107061 A KR 20120107061A KR 101233654 B1 KR101233654 B1 KR 101233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base profile
joint holder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스트
Priority to KR102012010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 시트(반구형의 지붕)의 상면에 차양 막이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내부로 햇빛을 차양 함과 동시에 고무판 사이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체결홈을 갖는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체결홈을 갖는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과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 사이에 제1, 제2 및 제3체결홈을 갖는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 및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단턱부와 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수용홈을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를 끼운 후,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단턱부와 상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수용홈을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를 끼우는 제3단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BUILDING METHOD FOR PREVENTING A LEAKAGE OF WATER IN ROOF}
본 발명은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 시트(반구형의 지붕)의 상면에 차양 막이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내부로 햇빛을 차양 함과 동시에 고무판 사이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과 건물 사이 또는 건물 현관의 이동통로의 상부에 비나 눈을 피할 수 있도록 반구형 지붕을 갖는 구조물이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붕 구조물은 일명 아케이드(arcade)라 칭하며, 상기 아케이드는 아치형 건축양식으로 회랑(回廊)이라고도 지칭하고, 통상적인 의미로 건물과 건물 사이의 통로 공간을 양측과 전후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 구조를 칭한다. 기존의 아케이드는 그 지붕이 함석이나 천막지 등을 이용하여 비나 눈을 피하도록 된 것이 있으나, 이는 햇빛을 받지 못하여 조명이 어두운 관계로 인하여 최근에는 투광이 가능한 투명소재의 투광창을 주로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지붕 구조물은 그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다수개의 지붕 시트가 상호 접합, 연결되어 하나의 구조물을 이루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지붕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옥외 구조물의 지붕은 일정 간격으로 직립되게 매설되는 기둥 형태의 지주부재(1)와, 상기 지주부재(1)와 연결되는 여러 개의 천장 골조를 연결하여 기초를 마련하는 고무판(3)과, 상기 고무판(3)과 고무판(3)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로 차양을 해 주는 지붕 시트(5)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일반적인 지붕 구조물은 상부 전체가 지붕 시트에 의해 차단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지붕 시트를 통과한 햇볕이 지붕 구조물 내부에서 복사열을 발생시켜 외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의 온실 효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일반적인 지붕 구조물은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지붕 시트가 설치된 고무판 사이로 빗물이 스며들어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 시트(반구형의 지붕)의 상면에 차양 막이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내부로 햇빛을 차양 함과 동시에 고무판 사이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체결홈을 갖는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체결홈을 갖는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과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 사이에 제1, 제2 및 제3체결홈을 갖는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 및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단턱부와 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수용홈을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를 끼운 후,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단턱부와 상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수용홈을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를 끼우는 제3단계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1관통공,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2관통공으로 볼트를 삽입시킨 후, 상기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상측에 연결돌기를 갖는 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캡의 연결돌기를 제1"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1수용홈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2수용홈에 끼우는 제5단계와;
상기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상측에 수직돌기를 갖는 지지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캡의 수직돌기를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1체결홈 및 제3체결홈에 끼우는 제6단계와;
상기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2"C"자형 고정홈과 상기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1"C"자형 고정홈에 차양 막을 설치한 후, 너트의 쪼임에 따라 차양 막이 전진 또는 후진 되도록 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지붕 시트(반구형의 지붕)의 상면에 차양 막을 용이하게 설치하여 내부로 햇빛을 차양 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 되는 온실효과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무판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쾌적한 내부(예를 들어, 시장의 내부 등)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지붕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도 2의 제1차양 막 수단 또는 제3차양 막 수단을 확대한 도면,
도 3b는 도 2의 제1차양 막 수단 또는 제3차양 막 수단의 요부 분해도,
도 3c는 도 2의 제2차양 막 수단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도 5의 제1차양 막 수단 또는 제3차양 막 수단을 확대한 도면,
도 6b는 도 5의 제1차양 막 수단 또는 제3차양 막 수단의 요부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지붕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는 도 2의 제1차양 막 수단 또는 제3차양 막 수단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3b는 도 2의 제1차양 막 수단 또는 제3차양 막 수단의 요부 분해도이고, 도 3c는 도 2의 제2차양 막 수단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100)의 제1실시예는,
제1차양 막 수단(200)과, 제2차양 막 수단(300) 및 제3차양 막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 또는 제3차양 막 수단(400)은,
내측에 체결홈(102)을 갖는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과; 상기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의 체결홈(102)의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공(106)과; 상기 체결홈(102)의 결합공(106)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과 지붕 구조물의 시트 프레임(108)을 고정시켜 주는 직결피스(110)와; 상기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의 체결홈(102)의 일측에 끼움 되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114)과;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단턱부(116)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18)과;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수용홈(120)과; 상기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의 체결홈(102)의 일측에 끼움 되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의 동일 선상에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124)과;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단턱부(116)의 동일 선상에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단턱부(126)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의 동일 선상에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상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128)과;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수용홈(120)의 동일 선상에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수용홈(130)과;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과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차양을 해 주는 차양 막(132)과;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수용홈(120)과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수용홈(130)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돌기(134)와; 상기 연결돌기(134)에 설치되어 빗물이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 측으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는 캡(136)과;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과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관통공(128)에 삽입되어 너트(138)의 쪼임 시,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를 쪼여 주는 볼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은,
내측에 제1, 제2 및 제3체결홈(302)(304)(306)을 갖는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과; 상기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의 제2체결홈(304)의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공(310)과; 상기 제2체결홈(304)의 결합공(310)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과 지붕 구조물의 시트 프레임(108)을 고정시켜 주는 직결피스(110)와; 상기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의 제1체결홈(302) 및 제3체결홈(306)에 삽입 고정되는 수직돌기(312)와; 상기 수직돌기(312)에 연결되어 차양 막(132)의 처짐을 방지해 주는 지지캡(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1실시예의 제1차양 막 수단(200) 또는 제3차양 막 수단(400)의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 대신에, 내측에 체결홈(102)과 외측에 연결홈(142)을 갖는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실시예의 제2차양 막 수단(300)의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 대신에, 내측에 제1, 제2 및 제3체결홈(302)(304)(306)과 외측에 연결홈(142)을 갖는 연결프로파일(320)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홈(142)에는, 단열재(150)가 끼워지는바, 상기 단열재(15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직결피스를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외측에 끼운다.
다른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는 도 5의 제1차양 막 수단 또는 제3차양 막 수단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6b는 도 5의 제1차양 막 수단 또는 제3차양 막 수단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100)의 제3실시예는,
제1차양 막 수단(200)과, 제2차양 막 수단(300) 및 제3차양 막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 또는 제3차양 막 수단(400)은,
내측에 체결홈(102)을 갖는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과; 상기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의 체결홈(102)의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공(106)과; 상기 체결홈(102)의 결합공(106)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과 지붕 구조물의 시트 프레임(108)을 고정시켜 주는 직결피스(110)와; 상기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의 체결홈(102)의 일측에 끼움 되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중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18)과;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114)과; 상기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의 체결홈(102)의 일측에 끼움 되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의 동일 선상에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중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128)과;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의 동일 선상에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124)과; 상기 제1"C"자형 고정홈(114)의 외면 일측과 제2"C"자형 고정홈(12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과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관통공(128) 사이에 위치되는 너트(138)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을 통해 상기 너트(138)에 결합되어 너트(138)의 쪼임시,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를 쪼여주는 제1조인트볼트(162)와;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관통공(128)을 통해 상기 너트(138)에 결합되어 너트(138)의 쪼임시,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를 쪼여주는 제2조인트볼트(164)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과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차양을 해 주는 차양 막(132)과; 상기 제1"C"자형 고정홈(114)의 걸림돌기(160)와 상기 제2"C"자형 고정홈(124)의 걸림돌기(160)에 고정되어 빗물이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 측으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는 캡(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은,
내측에 제1, 제2 및 제3체결홈(302)(304)(306)을 갖는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과; 상기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의 제2체결홈(304)의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공(310)과; 상기 제2체결홈(304)의 결합공(310)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과 지붕 구조물의 시트 프레임(108)을 고정시켜 주는 직결피스(110)와; 상기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의 제1체결홈(302) 및 제3체결홈(306)에 삽입 고정되는 수직돌기(312)와; 상기 수직돌기(312)에 연결되어 차양 막(132)의 처짐을 방지해 주는 지지캡(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다른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3실시예의 제1차양 막 수단(200) 또는 제3차양 막 수단(400)의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 대신에, 내측에 체결홈(102)과 외측에 연결홈(142)을 갖는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실시예의 제2차양 막 수단(300)의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 대신에, 내측에 제1, 제2 및 제3체결홈(302)(304)(306)과 외측에 연결홈(142)을 갖는 연결프로파일(320)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홈(142)에는, 단열재(150)가 끼워지는바, 상기 단열재(15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직결피스를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외측에 끼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100)이 지붕 구조물에 시공되는 시공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붕 구조물의 제1고무판(3)의 상면에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체결홈(102)과 결합공(106)을 갖는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을 위치시킨 후, 직결피스(110)를 결합공(106), 제1고무판(3), 시트 프레임(108)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결피스(110)에 의해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과 시트 프레임(108)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무판(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고무판(3)의 상면에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제1, 제2 및 제3체결홈(302)(304)(306)과 결합공(310)을 갖는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을 위치시킨 후, 직결피스(110)를 결합공(310), 제2고무판(3), 시트 프레임(108)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결피스(110)에 의해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과 시트 프레임(108)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무판(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3고무판(3)의 상면에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체결홈(102)과 결합공(106)을 갖는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을 위치시킨 후, 직결피스(110)를 결합공(106), 제1고무판(3), 시트 프레임(108)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결피스(110)에 의해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과 시트 프레임(108)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의 체결홈(102)에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114)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단턱부(116)와 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18)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수용홈(120)을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를 끼운 후,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124)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단턱부(126)와 상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128)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수용홈(130)을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관통공(128)으로 볼트(140)를 삽입시킨 후, 상기 볼트(140)에 너트(138)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연결돌기(134)를 갖는 캡(136)을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캡(136)을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캡(136)의 연결돌기(134)가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수용홈(120)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수용홈(130)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의 상측에 수직돌기(312)를 갖는 지지캡(314)을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캡(314)을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캡(314)의 수직돌기(312)가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의 제1체결홈(302) 및 제3체결홈(306)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의 체결홈(102)에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114)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단턱부(116)와 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18)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수용홈(120)을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를 끼운 후,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124)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단턱부(126)와 상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128)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수용홈(130)을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관통공(128)으로 볼트(140)를 삽입시킨 후, 상기 볼트(140)에 너트(138)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연결돌기(134)를 갖는 캡(136)을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캡(136)을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캡(136)의 연결돌기(134)가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수용홈(120)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수용홈(130)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과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에 차양 막(132)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의 저면과 접촉이 되는바, 상기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을 지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에 차양 막(132)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에 차양 막(132)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의 저면과 접촉이 되는바, 상기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을 지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너트(138) 이용하여 제1차양 막 수단(200)의 볼트(140)를 쪼여 줌과 동시에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너트(138) 이용하여 제3차양 막 수단(400)의 볼트(140)를 쪼여 준다. 상기 너트(138)의 쪼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차양 막 수단(200)(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가 쪼여지고, 상기 차양 막(132)이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 측으로 당겨져 온다.
따라서, 상기 차양 막(132)이 팽팽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100)이 지붕 구조물에 시공되는 시공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붕 구조물의 제1고무판(3)의 상면에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체결홈(102)과 연결홈(142)과 결합공(106)을 갖는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을 위치시킨 후, 직결피스(110)를 결합공(106), 제1고무판(3), 시트 프레임(108)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결피스(110)에 의해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과 시트 프레임(108)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무판(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고무판(3)의 상면에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제1, 제2 및 제3체결홈(302)(304)(306)과 연결홈(142)과 결합공(310)을 갖는 연결프로파일(320)을 위치시킨 후, 직결피스(110)를 결합공(310), 제2고무판(3), 시트 프레임(108)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결피스(110)에 의해 연결프로파일(320)과 시트 프레임(108)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무판(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3고무판(3)의 상면에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체결홈(102)과 연결홈(142)과 결합공(106)을 갖는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을 위치시킨 후, 직결피스(110)를 결합공(106), 제1고무판(3), 시트 프레임(108)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결피스(110)에 의해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과 시트 프레임(108)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체결홈(102)에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114)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단턱부(116)와 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18)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수용홈(120)을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를 끼운 후,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124)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단턱부(126)와 상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128)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수용홈(130)을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관통공(128)으로 볼트(140)를 삽입시킨 후, 상기 볼트(140)에 너트(138)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연결돌기(134)를 갖는 캡(136)을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캡(136)을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캡(136)의 연결돌기(134)가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수용홈(120)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수용홈(130)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연결프로파일(320)의 상측에 수직돌기(312)를 갖는 지지캡(314)을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캡(314)을 연결프로파일(320)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캡(314)의 수직돌기(312)가 연결프로파일(320)의 제1체결홈(302) 및 제3체결홈(306)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체결홈(102)에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114)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단턱부(116)와 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18)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수용홈(120)을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를 끼운 후,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124)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단턱부(126)와 상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128)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수용홈(130)을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관통공(128)으로 볼트(140)를 삽입시킨 후, 상기 볼트(140)에 너트(138)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연결돌기(134)를 갖는 캡(136)을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캡(136)을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캡(136)의 연결돌기(134)가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수용홈(120)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수용홈(130)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연결홈(142)과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연결프로파일(320)의 연결홈(142)에 단열재(150)를 끼운 후, 상기 단열재(15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직결피스를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과 연결프로파일(320)의 외측에 끼운다. 이에 따라, 상기 단열재(150)가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연결홈(142)과 연결프로파일(320)의 연결홈(14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연결프로파일(320)의 연결홈(142)과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연결홈(142)에 단열재(150)를 끼운 후, 상기 단열재(15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직결피스를 연결프로파일(320)과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외측에 끼운다. 이에 따라, 상기 단열재(150)가 연결프로파일(320)의 연결홈(142)과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연결홈(14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과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에 차양 막(132)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의 저면과 접촉이 되는바, 상기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을 지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에 차양 막(132)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에 차양 막(132)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의 저면과 접촉이 되는바, 상기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을 지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너트(138) 이용하여 제1차양 막 수단(200)의 볼트(140)를 쪼여 줌과 동시에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너트(138) 이용하여 제3차양 막 수단(400)의 볼트(140)를 쪼여 준다. 상기 너트(138)의 쪼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차양 막 수단(200)(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가 쪼여지고, 상기 차양 막(132)이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 측으로 당겨져 온다.
따라서, 상기 차양 막(132)이 팽팽하게 유지된다.
다른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의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100)이 지붕 구조물에 시공되는 시공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붕 구조물의 제1고무판(3)의 상면에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체결홈(102)과 결합공(106)을 갖는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을 위치시킨 후, 직결피스(110)를 결합공(106), 제1고무판(3), 시트 프레임(108)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결피스(110)에 의해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과 시트 프레임(108)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무판(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고무판(3)의 상면에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제1, 제2 및 제3체결홈(302)(304)(306)과 결합공(310)을 갖는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을 위치시킨 후, 직결피스(110)를 결합공(310), 제2고무판(3), 시트 프레임(108)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결피스(110)에 의해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과 시트 프레임(108)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무판(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3고무판(3)의 상면에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체결홈(102)과 결합공(106)을 갖는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을 위치시킨 후, 직결피스(110)를 결합공(106), 제1고무판(3), 시트 프레임(108)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결피스(110)에 의해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과 시트 프레임(108)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의 체결홈(102)에 중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18)과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114)과 상기 제1"C"자형 고정홈(11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를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를 끼운 후, 중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128)과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124)과 상기 제1"C"자형 고정홈(12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를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관통공(128) 사이에 너트(138)를 위치시킨 후, 제1조인트볼트(162)를 상기 제1관통공(118)을 통해 상기 너트(138)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조인트볼트(164)를 상기 제2관통공(128)을 통해 상기 너트(138)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캡(136)을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캡(136)을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와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의 상측에 수직돌기(312)를 갖는 지지캡(314)을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캡(314)을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캡(314)의 수직돌기(312)가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308)의 제1체결홈(302) 및 제3체결홈(306)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104)의 체결홈(102)에 중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18)과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114)과 상기 제1"C"자형 고정홈(11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를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를 끼운 후, 중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128)과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124)과 상기 제1"C"자형 고정홈(12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를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관통공(128) 사이에 너트(138)를 위치시킨 후, 제1조인트볼트(162)를 상기 제1관통공(118)을 통해 상기 너트(138)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조인트볼트(164)를 상기 제2관통공(128)을 통해 상기 너트(138)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캡(136)을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캡(136)을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와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과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에 차양 막(132)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의 저면과 접촉이 되는바, 상기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을 지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에 차양 막(132)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에 차양 막(132)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의 저면과 접촉이 되는바, 상기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을 지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너트(138) 이용하여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조인트볼트(162)와 제2조인트볼트(164)를 쪼여 줌과 동시에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너트(138) 이용하여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조인트볼트(162)와 제2조인트볼트(164)를 쪼여 준다. 상기 너트(138)의 쪼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차양 막 수단(200)(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가 쪼여지고, 상기 차양 막(132)이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 측으로 당겨져 온다.
따라서, 상기 차양 막(132)이 팽팽하게 유지된다.
또 다른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4실시예의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100)이 지붕 구조물에 시공되는 시공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붕 구조물의 제1고무판(3)의 상면에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체결홈(102)과 연결홈(142)과 결합공(106)을 갖는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을 위치시킨 후, 직결피스(110)를 결합공(106), 제1고무판(3), 시트 프레임(108)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결피스(110)에 의해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과 시트 프레임(108)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무판(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고무판(3)의 상면에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제1, 제2 및 제3체결홈(302)(304)(306)과 연결홈(142)과 결합공(310)을 갖는 연결프로파일(320)을 위치시킨 후, 직결피스(110)를 결합공(310), 제2고무판(3), 시트 프레임(108)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결피스(110)에 의해 연결프로파일(320)과 시트 프레임(108)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무판(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3고무판(3)의 상면에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체결홈(102)과 연결홈(142)과 결합공(106)을 갖는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을 위치시킨 후, 직결피스(110)를 결합공(106), 제1고무판(3), 시트 프레임(108)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직결피스(110)에 의해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과 시트 프레임(108)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체결홈(102)에 중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18)과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114)과 상기 제1"C"자형 고정홈(11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를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를 끼운 후, 중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128)과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124)과 상기 제2"C"자형 고정홈(12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를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관통공(128) 사이에 너트(138)를 위치시킨 후, 제1조인트볼트(162)를 상기 제1관통공(118)을 통해 상기 너트(138)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조인트볼트(164)를 상기 제2관통공(128)을 통해 상기 너트(138)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캡(136)을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캡(136)을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와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연결프로파일(320)의 상측에 수직돌기(312)를 갖는 지지캡(314)을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캡(314)을 연결프로파일(320)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캡(314)의 수직돌기(312)가 연결프로파일(320)의 제1체결홈(302) 및 제3체결홈(306)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체결홈(102)에 중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18)과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114)과 상기 제1"C"자형 고정홈(11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를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를 끼운 후, 중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128)과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124)과 상기 제2"C"자형 고정홈(12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를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관통공(118)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관통공(128) 사이에 너트(138)를 위치시킨 후, 제1조인트볼트(162)를 상기 제1관통공(118)을 통해 상기 너트(138)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조인트볼트(164)를 상기 제2관통공(128)을 통해 상기 너트(138)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캡(136)을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캡(136)을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와 상기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0)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연결홈(142)과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연결프로파일(320)의 연결홈(142)에 단열재(150)를 끼운 후, 상기 단열재(15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직결피스를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과 연결프로파일(320)의 외측에 끼운다. 이에 따라, 상기 단열재(150)가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연결홈(142)과 연결프로파일(320)의 연결홈(14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연결프로파일(320)의 연결홈(142)과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연결홈(142)에 단열재(150)를 끼운 후, 상기 단열재(15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직결피스를 연결프로파일(320)과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외측에 끼운다. 이에 따라, 상기 단열재(150)가 연결프로파일(320)의 연결홈(142)과 H형 베이스프로파일(144)의 연결홈(14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과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에 차양 막(132)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의 저면과 접촉이 되는바, 상기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을 지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의 제1"C"자형 고정홈(114)에 차양 막(132)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의 제2"C"자형 고정홈(124)에 차양 막(132)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차양 막 수단(300)의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의 저면과 접촉이 되는바, 상기 지지캡(314)이 차양 막(132)을 지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1차양 막 수단(200)의 너트(138) 이용하여 제1차양 막 수단(200)의 제1조인트볼트(162)와 제2조인트볼트(164)를 쪼여 줌과 동시에 상기 제3차양 막 수단(400)의 너트(138) 이용하여 제3차양 막 수단(400)의 제1조인트볼트(162)와 제2조인트볼트(164)를 쪼여 준다. 상기 너트(138)의 쪼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차양 막 수단(200)(400)의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가 쪼여지고, 상기 차양 막(132)이 제1"L"자형 조인트홀더(112)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122) 측으로 당겨져 온다.
따라서, 상기 차양 막(132)이 팽팽하게 유지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 200 : 제1차양 막 수단
300 : 제2차양 막 수단 400 : 제3차양 막 수단
102 : 체결홈 104 : "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
106 : 결합공 110 : 직결피스

Claims (5)

  1.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체결홈을 갖는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체결홈을 갖는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과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 사이에 제1, 제2 및 제3체결홈을 갖는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 및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단턱부와 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수용홈을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를 끼운 후,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단턱부와 상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수용홈을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를 끼우는 제3단계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1관통공,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2관통공으로 볼트를 삽입시킨 후, 상기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상측에 연결돌기를 갖는 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캡의 연결돌기를 제1"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1수용홈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2수용홈에 끼우는 제5단계와;
    상기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상측에 수직돌기를 갖는 지지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캡의 수직돌기를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1체결홈 및 제3체결홈에 끼우는 제6단계와;
    상기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2"C"자형 고정홈과 상기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1"C"자형 고정홈에 차양 막을 설치한 후, 너트의 쪼임에 따라 차양 막이 전진 또는 후진 되도록 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2"C"자형 고정홈과 상기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1"C"자형 고정홈에 차양 막이 설치될 때,
    상기 지지캡이 차양 막을 지지해 주는 제8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3.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체결홈 및 연결홈을 갖는 H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H형 베이스프로파일과 H형 베이스프로파일 사이에 제1, 제2 및 제3체결홈과 연결홈을 갖는 연결프로파일을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H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단턱부와 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수용홈을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를 끼운 후, 중부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과 하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단턱부와 상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과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2수용홈을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를 끼우는 제3단계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1관통공,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2관통공으로 볼트를 삽입시킨 후, 상기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상측에 연결돌기를 갖는 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캡의 연결돌기를 제1"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1수용홈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2수용홈에 끼우는 제5단계와;
    상기 연결프로파일의 상측에 수직돌기를 갖는 지지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캡의 수직돌기를 연결프로파일의 제1체결홈 및 제3체결홈에 끼우는 제6단계와;
    상기 H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연결홈과 상기 연결프로파일의 연결홈에 단열재를 끼워 고정하는 제7단계와;
    상기 H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2"C"자형 고정홈과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1"C"자형 고정홈에 차양 막을 설치한 후, 너트의 쪼임에 따라 차양 막이 전진 또는 후진 되도록 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4.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체결홈을 갖는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체결홈을 갖는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과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 사이에 제1, 제2 및 제3체결홈을 갖는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 및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중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과 상기 제1"C"자형 고정홈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를 끼운 후, 중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과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과 상기 제2"C"자형 고정홈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를 끼우는 제3단계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1관통공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2관통공 사이에 너트를 위치시킨 후, 제1조인트볼트를 상기 제1관통공을 통해 상기 너트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조인트볼트를 상기 제2관통공을 통해 상기 너트에 결합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상측에 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캡을 걸림돌기에 끼우는 제5단계와;
    상기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상측에 수직돌기를 갖는 지지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캡의 수직돌기를 박스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1체결홈 및 제3체결홈에 끼우는 제6단계와;
    상기 제1"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2"C"자형 고정홈과 상기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1"C"자형 고정홈에 차양 막을 설치한 후, 너트의 쪼임에 따라 차양 막이 전진 또는 후진 되도록 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5.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체결홈과 연결홈을 갖는 H형 베이스프로파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H형 베이스프로파일과 H형 베이스프로파일 사이에 제1, 제2 및 제3체결홈과 연결홈을 갖는 연결프로파일을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H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체결홈에 중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C"자형 고정홈과 상기 제1"C"자형 고정홈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갖는 제1"L"자형 조인트홀더를 끼운 후, 중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과 상단 외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C"자형 고정홈과 상기 제2"C"자형 고정홈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갖는 제2"L"자형 조인트홀더를 끼우는 제3단계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1관통공과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제2관통공 사이에 너트를 위치시킨 후, 제1조인트볼트를 상기 제1관통공을 통해 상기 너트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조인트볼트를 상기 제2관통공을 통해 상기 너트에 결합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L"자형 조인트홀더와 제2"L"자형 조인트홀더의 상측에 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캡을 걸림돌기에 끼우는 제5단계와;
    상기 연결프로파일의 상측에 수직돌기를 갖는 지지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캡의 수직돌기를 연결프로파일의 제1체결홈 및 제3체결홈에 끼우는 제6단계와;
    상기 H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연결홈과 상기 연결프로파일의 연결홈에 단열재를 끼워 고정하는 제7단계와;
    상기 H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2"C"자형 고정홈과 제3"ㄷ"자형 베이스프로파일의 제1"C"자형 고정홈에 차양 막을 설치한 후, 너트의 쪼임에 따라 차양 막이 전진 또는 후진 되도록 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20120107061A 2012-09-26 2012-09-26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1233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061A KR101233654B1 (ko) 2012-09-26 2012-09-26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061A KR101233654B1 (ko) 2012-09-26 2012-09-26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654B1 true KR101233654B1 (ko) 2013-02-15

Family

ID=4789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061A KR101233654B1 (ko) 2012-09-26 2012-09-26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6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313B1 (ko) * 2023-03-29 2024-01-10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외장막과 내장막 모두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천막
KR102623363B1 (ko) * 2023-03-15 2024-01-10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좌우 텐션 조절기능을 구비한 막구조 천막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878U (ko) * 2007-08-23 2009-02-26 신수영 개폐형 아케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878U (ko) * 2007-08-23 2009-02-26 신수영 개폐형 아케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363B1 (ko) * 2023-03-15 2024-01-10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좌우 텐션 조절기능을 구비한 막구조 천막 및 그 시공방법
KR102623313B1 (ko) * 2023-03-29 2024-01-10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외장막과 내장막 모두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천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10658A1 (en) Panel assembly for mounting to the façade of a building
US20090044854A1 (en) Framed Solar Module and Method of Installing
WO2011154019A1 (en) Mounting system for solar panels and fastening device
KR101778979B1 (ko) 차양구조물의 지붕 마감장치
KR10126639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적층식 차수장치
KR101233654B1 (ko)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1224518B1 (ko)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
JP2011094432A (ja) 手摺
US11898349B2 (en) Unitized curtainwall systems and methods
KR20140100729A (ko) 구조물용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
ES2457265T3 (es) Un sistema estructural integrado para el montaje de paneles fotovoltaicos
KR101674817B1 (ko)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EP2528107B1 (de) Fassadenelement
KR20130005039U (ko) 창틀용 차양
US20140260006A1 (en) Skyligh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517397B1 (ko) 하이테크 클램핑 방식을 이용한 막 손상 방지형 막 구조물
KR102006261B1 (ko) 구조 성능을 보강한 막구조 접합 시스템
KR101476584B1 (ko) 건물용 차양장치 설치구조
KR101198702B1 (ko)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KR102273068B1 (ko)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건물 옥상의 방수 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건물 옥상의 방수 시공방법
KR101437324B1 (ko) 건물 옥상용 빗물 차단 및 눈과 고드름의 낙하 방지 장치
KR101670251B1 (ko) 고정형 수직 차양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87597B1 (ko)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KR102366707B1 (ko) 막 긴장장치가 장착된 핀 조립방식의 대공간 막구조물과 막구조물의 이동식 조립시공방법
KR102091097B1 (ko) 용마루 프레임과 용마루 단열캡을 포함하는 용마루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