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817B1 -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817B1
KR101674817B1 KR1020150098402A KR20150098402A KR101674817B1 KR 101674817 B1 KR101674817 B1 KR 101674817B1 KR 1020150098402 A KR1020150098402 A KR 1020150098402A KR 20150098402 A KR20150098402 A KR 20150098402A KR 101674817 B1 KR101674817 B1 KR 10167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ngle adjusting
fixed
veranda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수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서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수 filed Critical 서정수
Priority to KR1020150098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전지모듈을 베란다의 난간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태양의 방향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강풍 등의 바람에 대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내풍압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베란다 난간 전방 주변의 시야를 가릴 우려가 없어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베란다 난간 전방 풍경을 보다 용이하게 관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Porch solar system installation}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을 베란다의 난간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태양의 방향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강풍 등의 바람에 대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내풍압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베란다 난간 전방 주변의 시야를 가릴 우려가 없어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베란다 난간 전방 풍경을 보다 용이하게 관망할 수 있는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모듈은 일정 전력을 얻기 위하여 다량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장소에 제한이 따른다.
즉, 종래 태양전지 모듈은 건물 옥상이나 옥외 시설물 등에 설치할 때는 별문제가 없지만, 주택의 상당수를차지하는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세대 내 개별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의 각도에 따른 효율의 변화를 갖는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특성상 종래 태양전지 모듈은 건물의 옥상, 지붕 또는 별도로 세운 지주 등에 설치해야 하며,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방향이 남향으로 되어야 한다는 제한도 따른다.
이런 문제로 인해 한정되어 있는 건물의 옥상 또는 별도의 옥외 시설물을 사용해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발전을 하고 있으며,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공동건물, 옥외 구조물 등에서의 개별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이용은 설치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태양전지모듈이 공동건물을 포함한 모든 건물 및 옥외 시설물에 설치가능하도록 하며, 설치 방향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효율변화가 없도록 구조를 개선한 태양전지모듈구조물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제10-2007-0107318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제10-2007-0107318호의 태양전지모듈구조물은 구조가 복잡하여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태양의 방향에 따른 각도조절이 어렵고, 나아가 강풍 등의 바람에 대한 내풍압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태양전지모듈구조물이 베란다 난간의 상부에 고정되어 베란다 난간 전방 주변의 시야를 가려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베란다 난간 전방 풍경을 관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제10-2007-010731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태양전지모듈을 베란다의 난간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태양의 방향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강풍 등의 바람에 대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내풍압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베란다 난간 전방 주변의 시야를 가릴 우려가 없어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베란다 난간 전방 풍경을 보다 용이하게 관망할 수 있는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이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베란다 난간에 고정되는 클램프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클램프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클램프부를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의 하부가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부는 베란다 난간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전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후측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방향으로 벤딩되어 베란다 난간의 하부를 감싸면서 베란다 난간의 하부에 밀착고정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체결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클램프부는 베란다 난간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에 전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후측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벤딩되어 베란다 난간의 하부를 감싸면서 베란다 난간의 하부에 밀착고정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후측을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측에 체결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부에 복수의 각도조절공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판의 복수의 상기 각도조절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스프링볼과; 상기 스프링볼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와 상기 각도조절판의 하부를 수평관통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부에 복수의 각도조절공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제 2가이드슬릿이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판의 복수의 상기 각도조절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스프링볼과; 상기 스프링볼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와 상기 각도조절판을 수평관통하는 제 1축부재와; 상기 제 1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 1너트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제 1가이드슬릿과 상기 각도조절판의 제 2가이드슬릿을 수평관통하는 제 2축부재와; 상기 제 2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 2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전측에 구비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와 상기 각도조절판을 수평관통하는 제 1축부재와; 상기 제 1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 1너트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부 후측에 제 1가이드슬릿이 상하연장형성되는 제 1각도조절바와; 상기 제 1각도조절바의 상부 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중간부에 제 2가이드슬릿이 전후연장형성되는 제 2각도조절바와; 상기 제 1각도조절바의 제 1가이드슬릿과 상기 제 2각도조절바의 제 2가이드슬릿을 수평관통하는 제 2축부재와; 상기 제 2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 2너트부재와; 상기 제 2각도조절바의 하부가 상부 전측에 축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슬립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슬립방지부재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길이는 상기 커버의 전측에서 상기 커버의 후측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슬립방지부재의 전측이 상기 커버의 전측과 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상기 클램프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한 클램프부를 이용하여 태양전지모듈을 베란다의 난간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각도조절부를 통해 태양의 방향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강풍 등의 바람에 대한 태양전지모듈의 내풍압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베란다의 난간 하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베란다 난간 전방 주변의 시야를 가릴 우려가 없어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베란다 난간 전방 풍경을 보다 용이하게 관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프레임에 태양전지모듈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프레임의 하부가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프레임에 태양전지모듈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프레임의 하부가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프레임에 태양전지모듈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도 12의 프레임의 하부가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제 1실시예의 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슬립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제 2실시예의 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슬립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제 3실시예의 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슬립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프레임에 태양전지모듈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클램프부(20) 및 각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은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발생 또는 태양열을 집열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모듈(5)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 중간 또는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램프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베란다 난간(3)에 고정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프레임의 하부가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30)는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클램프부(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클램프부(20)를 연결하면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가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프부(2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210), 커버(220) 및 체결부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은 아파트, 주택 등의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3)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양전지모듈(5)이 베란다 난간(3) 전방 주변의 풍경을 가려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베란다 난간(3) 전방의 풍경을 관망하는 데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210)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란다 난간(3)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상부 전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상부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탄성력을 지는 스테인리스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220)의 전측이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220)의 후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하부방향으로 벤딩되어 베란다 난간(3)의 하부 외면을 감싸면서 베란다 난간(3)의 하부 외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30)는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하부방향으로 벤딩된 상태인 상기 커버(220)의 하부를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하부에 체결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30)는 체결볼트(231)와 너트(2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231)는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하부방향으로 벤딩된 상태인 상기 커버(220)의 하부를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하부에 체결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너트(232)는 상기 체결볼트(231)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하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단면형상과 외경크기가 서로 상이한 베란다 난간(3)의 하부 외면에 상기 커버(220)가 보다 용이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하부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2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슬릿(211)내에는 상기 체결부재(231)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3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각도조절판(310), 스프링볼(320), 축부재(330) 및 너트부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판(310)은 상기 클램프부(20)의 고정프레임(210)의 전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상부에는 복수의 각도조절공(311)이 호를 그리면서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볼(320)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와 함께 상기 태양전지모듈(5)의 하부가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스프링볼(320)은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복수의 상기 각도조절공(31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30)는 상기 스프링볼(3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와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하부를 수평관통하는 고정볼트, 나비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340)는 상기 축부재(33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하부에 밀착고정되는 일반너트, 나비너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하부가 상하회전이동하면서 각도조절되는 과정 중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가 베란다 난간(3) 하부에 접하면서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축부재(330)는 특히, 편심상태로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전측 하부를 수평관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프레임에 태양전지모듈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는 도 6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프레임(10), 상기 클램프부(20) 및 상기 각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가이드슬릿(1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가이드슬릿(100)은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의 원활한 회전이동을 위하여, 상기 제 1가이드슬릿(100)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3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판(310), 상기 스프링볼(320), 제 1축부재(350), 제 1너트부재(360), 제 2축부재(370) 및 제 2너트부재(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하부에는 제 2가이드슬릿(312)이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축부재(350)는 상기 스프링볼(3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와 상기 각도조절판(310)을 수평관통하는 고정볼트, 나비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너트부재(360)는 상기 제 1축부재(35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판(310)에 밀착고정되는 일반너트, 나비너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축부재(370)는 상기 프레임(10)의 제 1가이드슬릿(100)과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제 2가이드슬릿(312)을 수평관통하는 고정볼트, 나비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너트부재(380)는 상기 제 2축부재(37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일반너트, 나비너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프레임의 하부가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하부가 상하회전이동하면서 각도조절되는 과정 중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가 베란다 난간(3)의 하부에 접하면서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볼(320)과 상기 제 2축부재(37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축부재(350)는 특히, 편심상태로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전측을 수평관통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프레임에 태양전지모듈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는 도 11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2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프레임(10), 상기 클램프부(20) 및 상기 각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20)의 고정프레임(210)은 수평상태로 눕혀질 수 있고,
수평상태로 눕혀진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전측에 상기 커버(220)의 전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220)의 후측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후측방향으로 벤딩되어 베란다 난간(3)의 하부를 감싸면서 베란다 난간(3)의 하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강풍 등의 바람에 대한 태양전지모듈(5)의 내풍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각도조절부(30)는 상기 각도조절판(310), 상기 제 1축부재(350), 상기 제 1너트부재(360), 제 1각도조절바(363), 제 2각도조절바(365), 상기 제 2축부재(370), 상기 제 2너트부재(380) 및 지지프레임(3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각도조절바(363)의 하부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각도조절바(363)의 상부 후측에는 제 1가이드슬릿(363a)이 상기 제 1각도조절바(36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가이드슬릿(363a)은 상기 제 1각도조절바(363)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의 원활한 회전이동을 위하여, 상기 제 1가이드슬릿(363a)은 상기 제 1각도조절바(363)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각도조절바(365)의 상부는 상기 제 1각도조절바(363)의 상부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각도조절바(365)의 중간부에는 제 2가이드슬릿(365a)이 상기 제 2각도조절바(365)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가이드슬릿(365a)은 상기 제 2각도조절바(365)의 전후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의 원활한 회전이동을 위하여, 상기 제 2가이드슬릿(365a)은 상기 제 2각도조절바(365)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축부재(370)는 상기 제 1각도조절바(363)의 제 1가이드슬릿(363a)과 상기 제 2각도조절바(365)의 제 2가이드슬릿(365a)을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 2너트부재(380)는 상기 제 2축부재(370)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2각도조절바(365)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2의 프레임의 하부가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지지프레임(390)은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란다 난간(3)이 설치되는 슬라브(7)의 전측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고정부재(393)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90)의 전측은 상기 지지프레임(39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90)의 상부 전측에는 상기 제 2각도조절바(365)의 하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90)의 후측 중간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9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제 1수용슬릿(391)이 형성될 수 있고,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수용슬릿(391)내에는 후술할 지지부재(50)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90)을 전후이동시켜 위치조절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390)의 일측과 상기 지지프레임(390)의 타측에는 상기 위치고정부재(393)가 수직으로 수용되는 제 2수용슬릿(392)이 상기 지지프레임(39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하부가 상하회전이동하면서 각도조절되는 과정 중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가 베란다 난간(3)의 하부에 접하면서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축부재(350)는 특히, 편심상태로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도조절판(310)의 전측을 수평관통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제 1실시예의 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슬립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제 2실시예의 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슬립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제 3실시예의 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슬립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베란다 난간(3)의 하부와 상기 커버(220) 사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클램프부(20)가 상기 베란다 난간(3)의 하부에 보다 더욱 안적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7 내지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220)의 내측에는 고무재질의 슬립방지패드로 이루어져 베란다 난간(3)의 하부 외면에 밀착될 수 있는 슬립방지부재(40)가 본드 등의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구비될 수 있다.
특히, 베란다 난간(3)의 하부와 상기 슬립방지부재(40)가 보다 더욱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되어 상기 클램프부(20)의 위치고정력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립방지부재(40)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길이는 상기 커버(220)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슬립방지부재(40)가 후측이 상기 커버(22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좋다.
이상태에서, 단면형상과 외경크기가 서로 상이한 베란다 난간(3)의 하부 외면을 보다 더더욱 넓은 면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립방지부재(40)의 전측 또는 상기 슬립방지부재(40)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커버(220)의 전측 또는 상기 커버(220)의 전측과 후측에 접합되지 않는 것이 더더욱 좋다.
다음으로, 제 3실시예의 클램프부(20)의 고정프레임(210)을 슬라브(7)의 전측 상부방향에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제 3실시예의 클램프부(20)의 고정프레임(210)의 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390)의 상부 사이에는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20)의 고정프레임(210)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지지부재(50)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한 상기 클램프부(20)를 이용하여 태양전지모듈(5)을 베란다의 난간(3)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각도조절부(30)를 통해 태양의 방향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모듈(5)의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강풍 등의 바람에 대한 태양전지모듈(5)의 내풍압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태양전지모듈(5)이 베란다의 난간(3) 하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모듈(5)이 베란다 난간(3) 전방 주변의 시야를 가릴 우려가 없어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베란다 난간(3) 전방 풍경을 보다 용이하게 관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프레임, 20; 클램프부,
30; 각도조절부.

Claims (10)

  1. 태양전지모듈이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베란다 난간에 고정되도록 베란다 난간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전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후측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방향으로 벤딩되어 베란다 난간의 하부를 감싸면서 베란다 난간의 하부에 밀착고정되고 내측에 슬립방지부재가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체결고정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슬립방지부재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길이가 상기 커버의 전측에서 상기 커버의 후측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슬립방지부재의 전측과 후측이 상기 커버의 전측과 후측에 접하지 않는 클램프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클램프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클램프부를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의 하부가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2. 태양전지모듈이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베란다 난간에 고정되도록 베란다 난간의 하부에 수평상태로 눕혀진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수평상태로 눕혀진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에 전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후측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벤딩되어 베란다 난간의 하부를 감싸면서 베란다 난간의 하부에 밀착고정되고, 내측에 슬립방지부재가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후측을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측에 체결고정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슬립방지부재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길이가 상기 커버의 전측에서 상기 커버의 후측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슬립방지부재의 전측과 후측이 상기 커버의 전측과 후측에 접하지 않는 클램프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클램프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클램프부를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의 하부가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부의 전측에 구비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와 상기 각도조절판을 수평관통하는 제 1축부재와, 상기 제 1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 1너트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부 후측에 제 1가이드슬릿이 상하연장형성되는 제 1각도조절바와, 상기 제 1각도조절바의 상부 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중간부에 제 2가이드슬릿이 전후연장형성되는 제 2각도조절바와, 상기 제 1각도조절바의 제 1가이드슬릿과 상기 제 2각도조절바의 제 2가이드슬릿을 수평관통하는 제 2축부재와, 상기 제 2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 2너트부재와, 상기 제 2각도조절바의 하부가 상부 전측에 축결합되고 베란다 난간이 설치되는 슬라브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며 후측 중간부에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1수용슬릿이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에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수용되는 제 2수용슬릿이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 1수용슬릿내에 하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클램프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부에 복수의 각도조절공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판의 복수의 상기 각도조절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스프링볼과;
    상기 스프링볼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와 상기 각도조절판의 하부를 수평관통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부에 복수의 각도조절공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제 2가이드슬릿이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판의 복수의 상기 각도조절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스프링볼과;
    상기 스프링볼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와 상기 각도조절판을 수평관통하는 제 1축부재와;
    상기 제 1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 1너트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제 1가이드슬릿과 상기 각도조절판의 제 2가이드슬릿을 수평관통하는 제 2축부재와;
    상기 제 2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 2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98402A 2015-07-10 2015-07-10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KR101674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402A KR101674817B1 (ko) 2015-07-10 2015-07-10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402A KR101674817B1 (ko) 2015-07-10 2015-07-10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817B1 true KR101674817B1 (ko) 2016-11-09

Family

ID=5752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402A KR101674817B1 (ko) 2015-07-10 2015-07-10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8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45B1 (ko) * 2017-01-19 2018-10-05 지평건설(주) 난간 하부 벽면에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KR20210116924A (ko) * 2020-03-18 2021-09-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하좌우 회전형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72193B1 (ko) * 2021-11-22 2022-03-10 주식회사 티에너지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용 패널 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318A (ko) 2006-05-02 2007-11-07 윤종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KR101108713B1 (ko) * 2011-10-25 2012-01-30 (주)탑인프라솔라 경사각도 조정이 용이한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355662B1 (ko) * 2013-07-19 2014-01-28 홍형의 태양광셀 모듈 구조체
KR101429633B1 (ko) * 2014-03-27 2014-09-24 주식회사 신성솔라에너지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318A (ko) 2006-05-02 2007-11-07 윤종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KR101108713B1 (ko) * 2011-10-25 2012-01-30 (주)탑인프라솔라 경사각도 조정이 용이한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355662B1 (ko) * 2013-07-19 2014-01-28 홍형의 태양광셀 모듈 구조체
KR101429633B1 (ko) * 2014-03-27 2014-09-24 주식회사 신성솔라에너지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45B1 (ko) * 2017-01-19 2018-10-05 지평건설(주) 난간 하부 벽면에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KR20210116924A (ko) * 2020-03-18 2021-09-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하좌우 회전형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413165B1 (ko) * 2020-03-18 2022-06-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하좌우 회전형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72193B1 (ko) * 2021-11-22 2022-03-10 주식회사 티에너지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용 패널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471B2 (en) Assembly for securing a component to a roof
US8519257B2 (en) Solar array support methods and systems
KR101621315B1 (ko) 베란다 설치용 태양광 패널 거치대
KR101660495B1 (ko) 베란다 설치용 태양광 패널 거치대
WO2015113445A1 (zh) 一种改进型光伏跟踪控制系统
US20110302857A1 (en) Building Integrated Solar Array Support Structure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875795B1 (ko) 옥상 설치용 태양광모듈 고정프레임 조립체
US20110197418A1 (en) String Solar Panel Mounting System
KR101674817B1 (ko)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US201000775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ging solar panels from a horizontal support
KR101475317B1 (ko) 공동주택 베란다 하부 외벽 설치를 위한 태양광 모듈 프레임
US20120211252A1 (en) Solar Panel Racking System with Integrated Grounding Bar Rail
WO2012125902A2 (en) Adjustable solar panel cap
US20110265401A1 (en) Mounting system for solar modules
KR20140119230A (ko) 발코니 난간대용 태양광 집광판 고정장치
CN205776995U (zh) 一种斜屋顶光伏电站安装装置
US20130003274A1 (en) Solar Panel Racking System With Integrated Grounding Bar Rail
KR102032448B1 (ko) 베란다 난간 설치형 태양열전지판 거치체
KR101233654B1 (ko)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CN201843276U (zh) 整体排水式光伏安装结构
JPH07202239A (ja) 屋根設置型太陽電池装置の設置方法
CN206698166U (zh) 一种交错式光伏组件布置结构
KR102207802B1 (ko)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독립 주차장
JP5714873B2 (ja) 取付部材
CN219607408U (zh) 一种墙体镶嵌式安装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