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207B1 - 공기조화기 및 그에 따른 유선리모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에 따른 유선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207B1
KR101233207B1 KR1020070067607A KR20070067607A KR101233207B1 KR 101233207 B1 KR101233207 B1 KR 101233207B1 KR 1020070067607 A KR1020070067607 A KR 1020070067607A KR 20070067607 A KR20070067607 A KR 20070067607A KR 101233207 B1 KR101233207 B1 KR 101233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ir conditioner
remote control
printed circuit
wired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875A (ko
Inventor
이희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2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은 실내기와 연결된 케이블이 케이스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연결부재와 끼움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설치 시 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유선리모콘, 인쇄회로기판, 공기조화기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에 따른 유선리모콘{Air conditioner and cable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설치 시 단선 또는 설치 불량이 최소화되는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은 실내의 벽에 설치되고, 사용자는 벽에 설치된 유선리모콘을 조작하여 실내에 배치된 공기조화기를 제어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유선리모콘은 벽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벽에는 실외기 또는 실내기와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이 배치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유선리모콘은 벽에 배치된 케이블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커넥터와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선리모콘의 설치 시 또는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커넥터가 단선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단선 또는 설치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은 실내기와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습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실내기에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삽입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서 상기 연결부재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부재를 탄성 지지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전류가 소통되는 재질로 형성된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와, 상기 바디연결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연결바디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접속부의 각 단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2 접속부의 각 단은 서로 대향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는 벽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배치되는 리어케이스와, 상기 리어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유선리모콘을 포함하고, 상기 유선리모콘은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습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실내기에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삽입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은 실내기와 연결된 케이블이 케이스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연결부재와 끼움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설치 시 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케이스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케이블도 동시에 고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끼움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반복적인 설치 시에도 전기적으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선리모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삽입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와, 상기 실내기(10)와 함께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와, 상기 실내기(10)가 배치된 실내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유선리모콘(50)을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10)의 내부에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송풍기(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상기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고, 상기 실내송풍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열교환되어 냉/난방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시킨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10) 및 상기 실외기는 냉매배관(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냉매를 순환시킨다.
한편, 상기 실내기(10)와 상기 유선리모콘(50)은 케이블(55)을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가 입력한 조작신호는 상기 케이블(55)을 통해 상기 실내기(10) 또는 상기 실외기의 제어부에 전달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선리모콘(50)은 실내의 벽(100)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55)과 연결되는 케이스(60)와, 상기 케이스(60)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한 신호를 입력받는 인쇄회로기판(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60)는 상기 벽(100)에 고정되는 리어 케이스(62)와, 상기 리어 케이스(62)의 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직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조작부(51)가 배치된 프론트 케이스(6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은 상기 리어 케이스(62)와 상기 프론트케이스(64)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리어케이스(62)는 나사 등의 고정부재(65)를 통해 상기 벽(55)에 고정되고, 상기 리어케이스(62)에는 상기 케이블(55)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55)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리어케이스(62)에는 상기 케이블(55)이 연결되는 연결부재(70)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70)는 상기 고정부재(65) 등을 통해 상기 리어케이스(62)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70)의 고정 시 상기 고정부재(65)를 통해 케이블(55)의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70)는 전류가 소통되는 재질로 형성된 연결바디(72)와, 상기 연결바디(72)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55)이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74)와, 상기 연결바디(72)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60)과 결합되는 접속 부(7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55)은 상기 케이블연결부(74)와 상기 리어케이스(6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65)의 설치 시 상기 케이블연결부(74)가 고정되면서 함께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연결부(74)에는 상기 고정부재(65)의 삽입을 위한 홀(74a)이 형성된다.
그래서 설치 시의 충격 또는 사용 시 부주의에 따른 외력이 상기 케이블(55)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외력은 상기 리어케이스(62) 또는 상기 연결부재(70)에만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 인쇄회로기판(8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의 배면에는 상기 접속부(7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삽입부재(90)가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재(9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의 배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80)에 솔더링 등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삽입부재(90)와 상기 접속부(76)의 연결은 끼움고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부(76)는 상기 삽입부재(90)가 삽입되어 끼움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접속부(76)는 상기 바디(72)의 양측으로 돌출되되, 각 단이 서로 대향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제 1, 2 접속부(76a)(76b)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재(90)는 상기 제 1, 2 접속부(76a)(76b)의 사이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2 접속부(76a)(76b)의 각 단은 최대한 밀착되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90)의 삽입에 의해서만 상기 삽입부재(90)의 두께만큼 벌어지며, 상기 삽입부재(90)의 삽입 후에도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부재(90)를 탄성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90)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의 배면에서 상기 리어케이스(62)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리모콘(50)이 조립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설치자는 고정부재(65)를 통해 상기 리어케이스(62)를 벽(10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벽(100)으로 연장된 케이블(55)을 상기 리어케이스(62)와 상기 연결부재(70)의 케이블연결부(72) 사이에 위치시킨 후, 다른 고정부재(65)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70)의 고정 및 상기 케이블(55)의 고정을 동시에 실시한다.
그래서 상기 연결부재(70)의 고정 시, 상기 케이블(55)은 상기 리어케이스(62)와 상기 연결부재(70) 사이에 고정되고, 이를 통해 상기 케이블(55)에서 전달 또는 발생되는 외력은 상기 연결부재(7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케이블(55)의 고정상태가 헐거워질 경우, 수리자는 상기 고정부재(65)를 다시 조임으로서 상기 케이블(55)의 고정상태를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재(70)가 고정되면, 상기 연결부재(70)의 타단측에 배치된 제 1, 2 접속부(76a)(76b)는 상기 리어케이스(62)의 전방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바, 설치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의 배면에 배치된 삽입부재(90)를 상기 제 1, 2 접속부(76a)(76b) 사이로 밀어 넣어 1차로 끼움고정을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76)와 상기 삽입부재(90)의 끼움고정에 의해 상기 케이블(55)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후, 설치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의 전방 측에서 또 다른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을 상기 리어케이스(62)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리어케이스(62)와 상호 결합되는 상기 프론트케이스(64)를 덮어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을 차폐시킴으로서 상기 유선리모콘의 설치를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80)과 상기 연결부재(70)는 끼움고정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60)에 충격 또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삽입부재(90)와 상기 접속부(76)는 상대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고, 이를 통해 상기 충격 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55)이 잡아당겨지더라도 상기 인쇄회로기판(80)과 상기 케이블(55)은 전기적으로만 연결되어 있을 뿐 물리적으로 구속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의 손상이 방지되고, 상기 케이블(55)의 단선 또는 케이블(55)의 설치불량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당겨진 케이블(55)이 헐거워진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을 분리한 후 용이하게 재 설치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은 실내기와 연결된 케이블이 케이 스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연결부재와 끼움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설치 시 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선리모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삽입부재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내기 50 : 유선리모콘
51 : 조작부 55 : 케이블
60 : 케이스 62 : 리어케이스
64 : 프론트케이스 65 : 고정부재
70 : 연결부재 72 : 연결바디
74 : 케이블연결부 76 : 접속부
76a : 제 1 접속부 76b : 제 2 접속부
80 : 인쇄회로기판 90 : 삽입부재

Claims (11)

  1. 실내기와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습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실내기에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서 상기 연결부재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부재를 탄성 지지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전류가 소통되는 재질로 형성된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와,
    상기 바디연결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연결바디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접속부의 각 단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접속부의 각 단은 서로 대향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벽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배치되는 리어케이스와,
    상기 리어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
  11.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유선리모콘을 포함하고,
    상기 유선리모콘은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습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실내기에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70067607A 2007-07-05 2007-07-05 공기조화기 및 그에 따른 유선리모콘 KR10123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607A KR101233207B1 (ko) 2007-07-05 2007-07-05 공기조화기 및 그에 따른 유선리모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607A KR101233207B1 (ko) 2007-07-05 2007-07-05 공기조화기 및 그에 따른 유선리모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75A KR20090003875A (ko) 2009-01-12
KR101233207B1 true KR101233207B1 (ko) 2013-02-15

Family

ID=4048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607A KR101233207B1 (ko) 2007-07-05 2007-07-05 공기조화기 및 그에 따른 유선리모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2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0893A (ja) * 1993-12-24 1995-07-18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制御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0893A (ja) * 1993-12-24 1995-07-18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制御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75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640B2 (en) Stackable thermostat
US20040130456A1 (en) Intelligent switch assembly and system
US10156379B2 (en) Device employable in different circuit configurations using parallel wiring harnesses, a HVAC system employing the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VAC unit
CN101282029A (zh) 即插即用的公用设施控制模块
JP6385473B2 (ja) 空気調和機
US20060211303A1 (en) Coaxial cable distributor
US10847878B2 (en) Implantable instrument
KR10123320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에 따른 유선리모콘
US7633017B2 (en) Integrated junction box operable with gas valve
JP2018136097A (ja) 空気調和機
CN109803493B (zh) 电路板组件及移动终端
EP1542521B1 (en) An electronic device
KR20030000420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분할식 인쇄회로기판의 장착구조
KR1004848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러
JP536071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304820B1 (ko) 전자장치
KR100315824B1 (ko) 리모콘의 액정 패널 고정장치
KR100761767B1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유닛
KR20180122773A (ko) 스마트 조명 스위치
CN212696298U (zh) 一种开发板外壳
JP200809597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80002601U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장치
KR20240069144A (ko) 탈부착형 분산 제어 장치
JP4587901B2 (ja) 電源電線接続部構造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3337178A (ja) センサ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