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748B1 -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748B1
KR101232748B1 KR1020110020193A KR20110020193A KR101232748B1 KR 101232748 B1 KR101232748 B1 KR 101232748B1 KR 1020110020193 A KR1020110020193 A KR 1020110020193A KR 20110020193 A KR20110020193 A KR 20110020193A KR 101232748 B1 KR101232748 B1 KR 101232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crew
lead
nut assembly
worm wheel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206A (ko
Inventor
조정훈
Original Assignee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테크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1002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7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는, 웜기어 및 웜휠을 수용하는 기어박스와, 웜휠에 연결되어 웜휠과 같이 회전하며, 외주에 숫나사산이 구비된 리드스크류와, 내주에 암나사산이 구비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관통구멍 내로 리드스크류가 관통 설치되어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리드스크류의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리드너트 조립체를 포함하며, 리드너트 조립체는 외측커버와 내측너트를 포함하며, 내측너트는 외측커버 내에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외측커버와 내측너트사이에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는, 기어박스 내에 판스프링이 장착되어, 리드스크류의 끝단부를 리드너트 조립체쪽으로 밀어주어 리드스크류가 흔들리지 않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판스프링의 리드스크류 끝단부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리드스크류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중앙 볼록부가 형성되고, 중앙 볼록부의 주변에는 중앙 볼록부와 반대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다수의 주변 볼록부가 형성되어 기어박스의 내면과 접촉하여, 탄성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를 리드너트 조립체쪽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AN APPRATUS FOR MOVING A CAR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용 리드스크류(lead screw)의 축방향 유격을 최소화시키고, 흔들림을 최소화시킨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탑승객이 앉은 상태에서 적절한 공간 확보를 위해 전후방으로 일정거리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수동 조작으로 전후 이송시키도록 된 수동형과, 전동모터에 의해 이송시키는 전동형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사전 입력된 정보에 의해 자동 조절되는 자동형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의 개략도인데, 이 이송장치는 차량용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탑승객의 조작으로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는 구동모터(1), 웜샤프트(worm shaft)(2), 기어박스(gear box)(3), 리드스크류(4), 리드너트 조립체(5)를 포함하며, 웜샤프트(2)의 일단부는 구동모터(1)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타단부에는 웜기어(worm gear)(도 2의 31 참조)가 형성되어 기어박스(3) 내에 안착된다.
한편 기어박스(3) 내에는 상기 웜기어와 교차하여 맞물리는 웜휠(worm wheel)(도 2의 32 참조)이 안착되고 웜휠은 리드스크류(4)와 연결되어,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 웜휠과 리드스크류(4)가 회전하게 된다. 리드스크류(4)의 외주에는 길이방향에 걸쳐 숫나사산(4a)이 형성된다. 리드너트 조립체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관통구멍의 내주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리드스크류(4)의 숫나사산(4a)이 리드너트 조립체(5) 관통구멍의 암나사산과 체결되어, 리드스크류(4)가 회전하면, 리드너트 조립체(5)가 리드스크류(4)의 축방향으로 상대적 이동을 하게된다.
이리하여, 기어박스(3)가 차량용 시트(도시되지 않음) 저면에 고정부착되고, 리드너트 조립체(5)가 차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부착되면, 구동모터(1)의 작동에 의해 웜기어 및 웜휠을 통해 리드스크류(4)가 회전하고 기어박스(3)가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는 리드너트 조립체(5)가 차량용 시트 저면에 고정부착되고, 기어박스(3)가 차체에 고정부착되어 리드너트 조립체(5)가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리드너트 조립체(5)가 일체형 강재로 되어 있어 중량이 많이 나가기도 하고, 강재 재질인 리드스크류와 리드너트 간의 작동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리드너트 조립체의 외측커버는 강재로 하고, 내부 관통구멍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플라스틱을 상기 외측커버의 내부에 조립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는데, 외측커버와 내부 플라스틱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트 이송시 시트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어박스(3) 내의 웜휠 및 리드스크류(4)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기어박스 내에 있는 리드스크류(4)의 끝단부를 세트스크류(set screw) 및 볼(ball) 등을 이용하여 밀어주기도 하는데, 세트스크류의 조립시간이 길고, 세트스크류의 조립 위치 및 각도 등에 의해, 볼이 닫는 부위가 기울어져 리드스크류(4)의 흔들림이 발생하기도 하며, 작동 중에 세트스크류가 풀려 유격이 증가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주목적은 리드스크류의 축방향 유격 및 횡방향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시트의 이송이 원활한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이 작고 작동시 소음이 적은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이 간편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는, 웜기어 및 웜휠을 수용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웜휠에 연결되어 상기 웜휠과 같이 회전하며, 외주에 숫나사산이 구비된 리드스크류와, 내주에 암나사산이 구비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 내로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 설치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의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리드너트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너트 조립체는 외측커버와 내측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너트는 상기 외측커버 내에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상기 외측커버와 상기 내측너트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너트 조립체의 외측커버는 알루미늄 재질로 하고, 상기 리드너트 조립체의 내측너트는 플라스틱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경량화 및 작동 소음 감소 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너트 조립체의 내측너트가 사출성형될 때, 상기 내측너트의 암나사산도 같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리드스크류의 축방향으로 상기 리드너트 조립체의 양단부에는 스토퍼(stopper)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플라스틱으로 상기 내측너트가 사출성형될 때 같이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는 차량용 시트에 고정부착되며, 상기 리드너트 조립체는 차량차체에 고정부착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리드너트 조립체가 차량용 시트에 고정부착되고, 상기 기어박스는 차량 차체에 고정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는, 웜기어 및 웜휠을 수용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웜휠에 연결되어 상기 웜휠과 같이 회전하며, 외주에 숫나사산이 구비된 리드스크류와, 내주에 암나사산이 구비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 내로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 설치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의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리드너트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박스 내에는 판스프링이 장착되어, 리드스크류의 끝단부를 리드너트 조립체쪽으로 밀어주어 리드스크류가 흔들리지 않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의 리드스크류 끝단부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리드스크류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중앙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볼록부의 주변에는 상기 중앙 볼록부와 반대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다수의 주변 볼록부가 형성되어 기어박스의 내면과 접촉하여, 탄성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의 끝단부를 리드너트 조립체쪽으로 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드스크류의 끝단부에는 V형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중앙 볼록부가 상기 V형 홈에 밀착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 볼록부 및 상기 주변 볼록부는 반구형상, 원뿔대형상, 원뿔형상, 사각뿔대형상 중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웜휠이 안착되는 기어박스의 내면과 상기 웜휠의 앞뒤면 사이의 조립 공차는 0.05 내지 0.2 mm 이내로 공차 관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 리드스크류의 축방향 유격이 최소화되어, 시트의 이송 동작이 원활하고 부드럽다.
- 리드스크류의 횡방향 흔들림이 적어 시트의 이송 동작이 원활하고 부드럽다.
- 리드너트 조립체의 중량을 감소시켜,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 리드너트 조립체를 제작할 때, 인서트 사출성형 방식을 사용하여 조립공정을 생략하고, 리드너트의 암나사산도 같이 사출성형함으로써 암나사산 가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의 조립이 용이하고 시간이 적게 소요되며, 조립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너트 조립체, 리드스크류 및 기어박스가 조립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너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너트 조립체와 기존 제품의 축방향 유격 비교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이 기어박스 내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의 절단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이 기어박스 내에 조립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이 적용된 제품과 기존 제품에 있어서의 리드스크류의 횡방향 흔들림에 대한 비교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는 기어박스(30)와, 리드스크류(40)와, 리드너트 조립체(5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박스(30) 내에는 웜기어(31) 및 웜휠(32)이 수용 안착되고, 상기 웜기어(31) 및 웜휠(32)은 서로의 축이 교차하는 방식으로 치합된다.
상기 리드스크류(40)는 웜휠(32)에 축의 형태로 동심적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며, 리드스크류(40)의 외주에는 숫나사산(40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드너트 조립체(50)는 외측커버(51)와 내측너트(52)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너트(52)는 상기 외측커버(51) 내에 인서트(insert) 사출성형되어, 즉 외측커버(51)를 사출성형 금형 내에 인서트시키고 그 내부에 플라스틱 등과 같은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성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측커버(51)와 내측너트(52)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으므로, 기존의 조립식 리드너트 조립체에서 발생하던 외측커버(51)와 내측너트(52) 사이의 유격문제가 해결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너트 조립체(50)의 상세 측면도가 도시되었는데, 리드스크류(40)의 축방향으로 외측커버(51)의 양단부에는 스토퍼(53)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스토퍼(53)는 상기 내측너트(52)가 사출성형될 때 함께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외측커버(51) 및 스토퍼(53)에는 중공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내측너트(52)의 내부에는 중공의 관통구멍 및 암나사산(5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나사산(52a)은 내측너트(52)가 사출성형될 때 동시에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리하여, 리드너트 조립체(50)의 외측커버(51) 내에 내측너트(52)를 조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성형후 내측너트(52)에 암나사산 가공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외측커버(51)의 하면 또는 상면에는 차체 또는 차량용 시트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용 홀(51a)이 형성된다. 도면상 2개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필요에 따라 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리드스크류(40)의 일측은 기어박스(30) 내의 웜휠(32)에 연결되고, 리드스크류(40)의 숫나사산(40a)이 리드너트 조립체(50)의 내측너트(52)의 암나사산(도 3의 52a)과 맞물리면서, 리드너트 조립체(50)가 리드스크류(40)에 의해 관통되게 설치된다.
이리하여, 기어박스(30)가 차량용 시트 저면에 고정부착되고, 리드너트 조립체(50)가 차체의 프레임 등에 고정부착된 상태에서 웜기어(31)가 구동모터(도 1의 1 참조)에 의해 회전하면, 웜기어(31)와 맞물린 웜휠(32)이 회전하게 되고, 웜휠(32)에 연결된 리드스크류(40)도 리드스크류(40)의 축선을 중심으로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리드스크류(40)의 숫나사산(40a)이 리드너트 조립체(50)의 암나사산(52a)과 맞물려있기 때문에 서로 축방향의 상대이동이 일어나는데, 리드너트 조립체(50)가 차체의 프레임 등에 고정부착되었기 때문에 기어박스(30)가 리드스크류(40)의 축선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되고, 이에 고정부착된 시트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된다. 만일 기어박스(30)가 차체의 프레임 등에 고정부착되고, 리드너트 조립체(50)가 차량용 시트 저면에 고정부착된 경우에는, 리드너트 조립체(50)가 리드스크류(40)의 축선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여, 리드너트 조립체(50)에 연결된 시트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의 이동을 적정 범위 내에 제한하기 위해, 리드너트 조립체(50) 양단부에 스토퍼(5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드너트 조립체(50)의 외측커버(51)는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 재질로 하고, 내측너트(52)는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높은 플라스틱 재질, 예컨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하여, 경량화를 꾀할 수 있으며, 시트 이송시 리드스크류(40)의 숫나사산(40a) 및 리드너트 조립체(50)의 암나사산(52a)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커버(51)는 압출 성형된 기다란 알루미늄 제품을 절단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너트 조립체(50)를 장착한 제품과 기존 제품에 있어서 리드스크류(40)의 축방향 유격 테스트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한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그래프에서 보다시피, 기존 제품의 경우 축방향 유격이 0.09에서 0.22 mm 정도 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드너트 조립체(50)를 장착한 제품에 있어서는 0.04 내지 0.1 mm 정도로 매우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드너트 조립체(50)를 장착한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는 유격이 거의 없어 시트를 매우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기어박스(도 2의 30 참조) 내에 조립된 웜흴(도 2의 32 참조)의 축방향 움직임 및 리드스크류(도 2의 40 참조)의 횡방향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기어박스 내에 있는 리드스크류의 끝단부를 세트스크류 및 볼 등을 이용하여 리드스크류의 축방향으로 밀어주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세트스크류 및 볼을 리드스크류의 끝단부면에 정확히 세팅시키기 어려우며, 세트스크류와 볼이 닫는 부위가 기울어져 리드스크류의 흔들림이 증가하기도 하고, 시트 이송 작동 중에 세트스크류가 풀려 웜휠의 축방향 유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세트스크류 및 볼 대신에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웜휠의 축방향 유격을 줄이고, 작동시 리드스크류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이 기어박스(30) 내 리드스크류(40)의 끝단부(40b)에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이 기어박스(30) 내 리드스크류(40)의 끝단부(40b)에 밀착 조립된 상태의 상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이 장착된 경우와 종래 제품들에 있어서, 리드스크류(40)의 반대측 단부 부분, 즉 기어박스((30)의 반대측 부분의 흔들림을 측정한 데이터를 도식화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직경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은 중앙부에 볼록하게 튀어나온 중앙 볼록부(33a)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볼록부(33a)의 주변에는 중앙 볼록부(33a)와 반대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다수의 주변 볼록부(33b)가 형성된다. 본 도면에는 주변 볼록부(33b)가 4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주변 볼록부(33b)의 개수는 2개, 3개, 5개, 6개 등으로 달리할 수도 있으며, 판스프링(33) 및 볼록부들(33a, 33b)의 형상도 다르게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앙볼록부(33a) 및 주변볼록부(33b)들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면들에 가압 밀착되어 스프링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들의 형상은 반구형, 원뿔대형, 원뿔형, 사각뿔대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중앙볼록부(33a)는 반구형 주변볼록부(33b)는 원뿔대형 등과 같이,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도 6a에 도시된 판스프링(33)이 기어박스(30) 내에 있는 리드스크류(40)의 끝단부(40b)에 밀착 접촉되게 설치되어 있는데, 리드스크류(40)의 끝단부(40b)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V형 홈(40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스프링(33)의 중앙 볼록부(33a)는 상기 V형 홈(40c)에 가압 밀착되고, 판스프링(33)의 주변 볼록부(33b)들은 기어박스 후부 내면(34)에 가압 밀착되게 장착된다. 이리하여, 판스프링(33)의 탄성력이 리드스크류(40)의 끝단부(40b)를 리드너트 조립체(도 2의 50 참조)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로써 리드스크류(40)에 고정연결된 웜휠(32)도 리드너트 조립체쪽으로 밀려 기어박스(30) 내에서의 움직임이 적어지게 되고, 리드스크류(40)의 횡방향 흔들림도 적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세트스크류 및 볼 등을 장착하는 것에 비해 조립이 간단해진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이 기어박스(30) 내의 리드스크류(40) 끝단부(40b)에 장착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판스프링(33)의 중앙 볼록부(33a)가 리드스크류(40)의 끝단부(40b)에 형성된 V형 홈(40c)에 가압 밀착되고, 판스프링(33)의 주변 볼록부(33b)는 기어박스 후부 내면(34)에 가압 밀착되게끔 장착되어, 판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리드스크류(40)가 판스프링(33)의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게 되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웜휠(32)이 안착되는 기어박스(30)의 내면과 웜휠(32)의 앞뒤면 사이의 조립 공차를 0.05 내지 0.2 mm 내로 공차 관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을 장착한 제품과 기존 제품들 5가지에 대해, 리드스크류 반대측 단부 부근, 즉 리드스크류(40) 끝단부(40b)의 반대측 단부 부근의 흔들림을 프로브센서(probe sensor)를 이용하여 계측한 결과, 도 8과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다.
도 8의 그래프에서, ①번 및 ②번 선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을 장착한 제품에 대한 테스트 결과로서, ①번 선은 리드스크류(40)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테스트한 경우고, ②번 선은 리드스크류(40)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테스트한 경우다. 한편 ③번 내지 ⑦번 선은 각각 기존 제품 A, B, C, D, E에 대한 테스트 결과이다.
도 8의 그래프에서 보다시피, 기존 제품 A, B, C, D, E에 있어서는 흔들림 측정치가 0.218 내지 1.194 mm로서 흔들림 양도 크고 시험횟수에 따른 편차도 큰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을 장착한 제품에 있어서는, 리드스크류(40)가 전진하는 방향 경우에는 0.117 내지 0.127 mm의 흔들림이 측정되었고, 리드스크류(40)가 후진하는 방향 경우에는 0.146 내지 0.222 mm의 흔들림이 측정되어 기존 제품에 비해 흔들림 양이 매우 감소하였고, 시험횟수에 따른 편차도 매우 작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을 장착한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는 시트를 흔들림이 거의 없이 매우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 내용은 본 발명의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구동모터 2 : 웜샤프트
3 : 기어박스 4 : 리드스크류
4a : 숫나사산 5 : 리드너트 조립체
30 : 기어박스 31 : 웜기어
32 : 웜휠 33 : 판스프링
33a : 중앙볼록부 33b : 주변볼록부
34 : 기어박스 후부 내면 40 : 리드스크류
40a : 숫나사산 40b : 리드스크류 끝단부
40c : V형 홈 50 : 리드너트 조립체
51 : 외측커버 51a : 체결용 홀
52 : 내측너트 52a : 암나사산
53 : 스토퍼

Claims (8)

  1. 웜기어(worm gear) 및 웜휠(worm wheel)을 수용하는 기어박스(gear box)와; 상기 웜휠에 연결되어 상기 웜휠과 같이 회전하며, 외주에 숫나사산이 구비된 리드스크류(lead screw)와; 내주에 암나사산이 구비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 내로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 설치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의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리드너트(lead nut)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seat)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내 리드스크류의 끝단부와 상기 기어박스 후부 내면 사이에는 판스프링이 밀착 장착되며, 상기 리드스크류 끝단부와 접촉하는 판스프링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리드스크류 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중앙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 볼록부의 주변에는 상기 중앙 볼록부와 반대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다수의 주변 볼록부가 형성되어 기어박스의 후부 내면과 접촉하여, 탄성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를 리드너트 조립체 쪽으로 밀어주어 리드스크류가 흔들리지 않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끝단부에는 V형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중앙 볼록부가 상기 V형 홈에 밀착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볼록부 및 상기 주변 볼록부는 반구형상, 원뿔대형상, 원뿔형상, 사각뿔대형상 중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휠이 안착되는 기어박스의 내면과 상기 웜휠의 앞뒤면 사이의 조립 공차는 0.05 내지 0.2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차량용 시트에 고정부착되며, 상기 리드너트 조립체는 차량차체에 고정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너트 조립체는 차량용 시트에 고정부착되며, 상기 기어박스는 차량차체에 고정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너트 조립체는 외측커버와 내측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너트는 상기 외측커버 내에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상기 외측커버와 상기 내측너트사이에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KR1020110020193A 2011-03-08 2011-03-08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KR101232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193A KR101232748B1 (ko) 2011-03-08 2011-03-08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193A KR101232748B1 (ko) 2011-03-08 2011-03-08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206A KR20120102206A (ko) 2012-09-18
KR101232748B1 true KR101232748B1 (ko) 2013-02-13

Family

ID=4711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193A KR101232748B1 (ko) 2011-03-08 2011-03-08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2517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seat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US11904732B2 (en) 2020-11-09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care arran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6668A (zh) * 2014-06-26 2016-01-06 李宛豫 能翻转的车用座椅框架及其组件
CN109435790A (zh) * 2018-10-16 2019-03-08 徐州华邦塑业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座椅位置调节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461A (ja) * 1991-10-23 1993-06-08 F Pureba Walter 改良型の均一な耐荷重スプリング
JPH08332876A (ja) * 1995-06-09 1996-12-17 Ikeda Bussan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3341530A (ja) 2002-05-28 2003-12-03 Showa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補助操舵力伝達機構
KR20100045820A (ko) * 2008-10-24 2010-05-04 계양전기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축유격보상장치 및 축유격보상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461A (ja) * 1991-10-23 1993-06-08 F Pureba Walter 改良型の均一な耐荷重スプリング
JPH08332876A (ja) * 1995-06-09 1996-12-17 Ikeda Bussan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3341530A (ja) 2002-05-28 2003-12-03 Showa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補助操舵力伝達機構
KR20100045820A (ko) * 2008-10-24 2010-05-04 계양전기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축유격보상장치 및 축유격보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2517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seat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US11904732B2 (en) 2020-11-09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care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206A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748B1 (ko)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US8061921B2 (en) Insert-molded ball joint
KR20120102211A (ko)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KR20130029094A (ko) 차량 내부 트림 부품용 힌지 조립체
US20140167479A1 (en) Core for armrest
JP6695345B2 (ja) 2つの部分からなる滑動レール用の滑動レール半部
US11554693B2 (en) Vehicle seat
US10946802B2 (en) Sliding center console
US20180162258A1 (en) Cup hol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295762B1 (en) Elevating slider for glass window
CN105856515A (zh) 二次顶出机构及注塑成型模具
US20130022300A1 (en) Shaft support structure
US20100184548A1 (en) Injection molded pulleys having low levels of out-of-roundness
US20170191562A1 (en) Shift knob assembly for vehicle
US6055778A (en) Guide slider for window regulator
CN212028314U (zh) 球头节总成
KR20170019369A (ko) 유지 장치 및 상기 유형의 유지 장치에 배치되는 핀
US8771573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lastic housing comprising an incorporated guide and/or bearing for mechanical components
KR200476225Y1 (ko) 차량용 시트 이송 장치
JP7035162B2 (ja) ホイール保持装置
US11499579B2 (en) Structure for fastening vehicle components with steps adjustable
EP3752376A2 (fr) Systeme de butée supérieure à billes d'une suspension de train avant d'un véhicule
EP2621792B1 (fr) Support realise par moulage pour des deplacements sur une ligne d'assemblage
KR200392985Y1 (ko) 플라스틱금형용 가이드블럭
KR200444895Y1 (ko) 코어 유니트용 가이드 블록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