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693B1 - 엘이디 점등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 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693B1
KR101232693B1 KR1020110039447A KR20110039447A KR101232693B1 KR 101232693 B1 KR101232693 B1 KR 101232693B1 KR 1020110039447 A KR1020110039447 A KR 1020110039447A KR 20110039447 A KR20110039447 A KR 20110039447A KR 101232693 B1 KR101232693 B1 KR 10123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winding
rectifying
smo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731A (ko
Inventor
겐고 기무라
미쓰토모 요시나가
Original Assignee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4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electrical feedback from LEDs or from LED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flyback top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입력전압변동이나 와이드 입력전압에도 대응하는 조광기능을 구비하는 LED 점등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교류입력전압을 위상제어하는 트라이악 조광기(3), 트라이악 조광기에 접속되고 복수의 권선을 구비하는 스위칭 트랜스(T)의 1차권선(P)과 스위칭 소자(Q1)의 직렬회로,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회로(14), 트랜스의 2차권선(S)에 발생하는 전압을 제1정류소자(D1)에 의하여 정류하여 제1평활소자(C1)에 의하여 평활하는 정류평활회로, 정류평활회로의 출력에 접속되는 LED(1a∼1n), LED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류검출부(7), 제1정류소자가 온일 때에 트랜스의 2차권선 또는 트랜스의 2차권선에 비례한 전압을 발생하는 n차권선(n≥3)에 발생하는 교류입력전압의 위상비율에 비례한 전압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압검출부(11), 전류검출신호와 전압검출신호에 의거한 신호를 증폭하여 제어회로에 출력하는 증폭기(1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이디 점등장치{LED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LED를 구동하는 LED 점등장치(LED 點燈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점등시키는 LED 점등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1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광기(調光機)로서의 트라이악(triac)을 구비하는 비절연형(非絶緣型)의 LED 점등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조광기능을 구비하는 LED 점등장치에 있어서, 트라이악(TR1)에 의하여 위상제어(位相制御)된 교류입력전압은, 정류회로(整流回路)(107)를 통하여 제어회로(制御回路)(114)에 검출되어, RMS 검출회로(105)에 의하여 LED(102)에 공급하는 LED 전류에 대한 목표전압값(Vref)으로 변환된다.
비교기(109)는, 위상제어된 교류입력전압에 의거하는 목표전압값(Vref)과 검출저항(R1)에 의하여 검출된 LED 전류에 의한 검출전압값과의 오차를 구하고, PWM 회로(113)는, 이 오차가 작아지게 되도록 스위칭 소자(FET1)를 PWM 제어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LED 점등장치는, 위상제어에 의한 입력전압 실효값의 변화가 LED 전류에 반영되어, 트라이악(TR1)에 의한 LED 조명의 조광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327152호 공보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용전원(商用電源)은, 100V, 110V, 115V, 120V, 127V, 220V, 230V, 240V 등 국가나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이고 또한 110V와 220V를 1개의 국가나 지역 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 또는 120V와 220V를 1개의 국가나 지역 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발전소의 전력공급능력에도 의하지만, 일반적으로 상용전원은 그 때의 총전력 사용량에 따라 ±10% 정도의 변동폭을 구비한다.
그러나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조광기능을 구비하는 종래의 LED 점등장치에 있어서는, 입력전압 실효값의 변화가 LED 전류에 반영되기 때문에, 위상제어에 의한 입력전압 실효값의 변화가 LED 전류에 반영됨과 아울러, 교류입력전압 자체가 변동되었을 때에도 LED 전류에 반영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국가나 지역, 시간대에 따라 밝기가 변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입력전압변동이나 와이드 입력전압에도 대응하고 조광기능을 구비하는 LED 점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LED 점등장치는, 교류입력전압을 위상제어(位相制御)하는 트라이악 조광기(triac 調光機)와, 상기 트라이악 조광기에 접속되고 복수의 권선을 구비하는 스위칭 트랜스(switching trans)의 1차권선과 스위칭 소자(switching 素子)의 직렬회로(直列回路)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회로(制御回路)와,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에 발생하는 전압을 제1정류소자에 의하여 정류하여 제1평활소자에 의하여 평활하는 정류평활회로(整流平滑回路)와, 상기 정류평활회로의 출력에 접속되는 LED와, 상기 LED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류검출부(電流檢出部)와, 상기 제1정류소자가 온일 때에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 또는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에 비례한 전압을 발생하는 n차권선(n≥3)에 발생하는 교류입력전압의 위상비율에 비례한 전압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압검출부(電壓檢出部)와, 상기 전류검출신호와 상기 전압검출신호에 의거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어회로에 출력하는 증폭기(增幅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압검출부가, 제1정류소자가 온일 때에 스위칭용 트랜스의 2차권선 또는 n차권선에 발생하는 전압피크값이 부하인 LED 전압과 대략 동일 또는 비례한 고주파 전압을 평활한 교류입력전압의 위상비율에 비례한 전압검출신호를 출력하면, 증폭기는 전류검출신호와 전압검출신호에 의거한 신호를 증폭하여 제어회로에 출력하고, 제어회로는 증폭기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제어한다.
따라서 위상제어에 의한 입력전압 실효값의 변화가 LED 전류에 반영되지만, 교류입력전압 자체의 변동은 LED 전류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입력전압변동이나 와이드 입력전압에도 대응하는, 트라이악에 의한 LED 조명의 조광을 실현시키는 LED 점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LED 점등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LED 점등장치의 전압검출회로와 오차증폭기의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LED 점등장치에 있어서의 각 부의 동작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LED 점등장치의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의 LED 점등장치의 구성도이다.
도6은 종래의 LED 점등장치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의 전류검출회로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LED 점등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있어서의 LED 점등장치의 구성도이다. 도1에 나타나 있는 LED 점등장치는, 조광기능(調光機能)을 구비하는 절연형(絶緣型)의 LED 점등장치이다.
도1에 있어서, 교류전원(交流電源)(1)은 교류입력전압을 트라이악 조광기(triac 調光機)(3)에 공급한다. 트라이악 조광기(3)는 트라이악에 의하여 교류전원(1)으로부터의 교류입력전압을 위상제어(位相制御)한다. 전파정류회로(全波整流回路)(5)는 트라이악 조광기(3)에 의하여 위상제어된 교류입력전압을 정류한다.
전파정류회로(5)의 출력단과 1차 GND의 사이에는, 스위칭 트랜스(switching trans)(T)의 1차권선(P)과 MOSFET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소자(switching 素子)(Q1)의 직렬회로가 접속된다. 제어회로(制御回路)(14)는 스위칭 소자(Q1)를 PWM 제어하는 것으로서, 발진기(發振器)(15), PWM 회로(17), 드라이브 회로(drive 回路)(19)를 구비한다.
스위칭 트랜스(T)의 2차권선(S)은, 스위칭 트랜스(T)의 1차권선(P)과는 역상(逆相)으로 감겨 있다. 스위칭 트랜스(T)의 2차권선(S)의 양단에는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의 직렬회로가 접속된다. 다이오드(D1)(제1정류소자)와 콘덴서(C1)(제1평활소자)에 의하여 정류평활회로(整流平滑回路)를 구성한다.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의 접속점과 2차 GND의 사이에는, 직렬로 접속된 LED(1a)∼LED(1n)와 저항(7)의 직렬회로가 접속된다.
저항(7)(전류검출부에 대응)은, 직렬로 접속된 LED(1a)∼LED(1n)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검출신호를 오차증폭기(誤差增幅器)(13)에 출력한다.
전압검출회로(電壓檢出回路)(11)는, 다이오드(D1)가 온일 때에 스위칭 트랜스(T)의 2차권선(S)에 발생하는 교류입력전압의 위상비율에 비례한 전압검출신호를 오차증폭기(13)에 출력한다.
오차증폭기(13)는, 저항(7)으로부터의 전류검출신호와 전압검출회로(11)로부터의 전압검출신호에 의거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신호를 PWM 회로(17)에 출력한다. PWM 회로(17)는, 발진기(15)로부터의 기준신호와 오차증폭기(13)로부터의 증폭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펄스신호의 온/오프 듀티(on/off duty)를 변경하는 PWM 제어를 하여, LED(1a)∼LED(1n)에 흐르는 전류의 일정값 제어를 한다. 드라이브 회로(19)는, PWM 회로(17)로부터의 PWM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소자(Q1)를 온/오프 구동시킨다.
또한 스위칭 트랜스(T)에는 2차권선(S)과 동상(同相)으로 전자결합(電磁結合)하는 3차권선(D)이 설치되어 있고, 3차권선(D)의 양단에는 다이오드(D7)(제2정류소자)와 콘덴서(C4)(제2평활소자)로 이루어지는 정류평활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C4)의 출력은 전원으로서 제어회로(14)에 접속되고, 전파정류회로(5)의 출력과 제어회로(14)의 사이에는 기동저항(起動抵抗)(R12)이 접속된다. 즉 기동 시에는 기동저항(R12)을 통하여 전파정류회로(5)의 출력을 제어회로(14)에 공급하고, 기동 후에는 콘덴서(C4)의 출력을 제어회로(14)에 공급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있어서의 LED 점등장치의 전압검출회로와 오차증폭기의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2에 있어서, 스위칭 트랜스(T)의 2차권선(S)의 양단에는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의 직렬회로가 접속된다. 콘덴서(C1)의 양단에는, LED(1a)∼LED(1n)와 저항(R3)의 직렬회로가 접속된다.
LED(1a)와 저항(R3)의 접속점에는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가 접속되어 있고,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는 기준전원(Vref)으로서 예를 들면 0.3V가 인가되어 있다.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는 저항(R2)과 포토커플러(photo coupler)의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D2)를 통하여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포토다이오드(D2)의 신호는 PWM 회로(17)에 보내어진다. 포토다이오드(D2)의 양단에는, 저항(R1)이 접속된다. 연산증폭기(OP1), 저항(R3), 기준전원(Vref)에 의하여 오차증폭기(13)를 구성한다.
스위칭 트랜스(T)의 2차권선(S)에는 다이오드(D6)와 저항(R10)과 저항(R11)의 직렬회로가 접속되고, 저항(R10)과 저항(R11)의 접속점에는, 저항(R12)과 콘덴서(C3)의 직렬회로가 접속된다. 저항(R12)과 콘덴서(C3)의 접속점은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콘덴서(C3)의 타단과 저항(R11)의 타단은 접지된다.
연산증폭기(OP2)의 반전입력단자와 출력단자는,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와 기준전원(Vref)의 정극(正極)에 접속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1에 있어서의 LED 점등장치의 동작을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LED 점등장치에 있어서의 각 부의 동작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에 있어서, 파형(a)은 전파정류회로(5)의 출력전압파형이고, 파형(b)은 스위칭 소자(Q1)의 게이트 전압, 파형(c)은 스위칭 소자(Q1)의 드레인·소스 사이 전압, 파형(d)은 스위칭 트랜스(T)의 2차권선(S)의 권선전압, 파형(e)은 t1∼t5의 각 기간에 있어서의 전압검출회로(11)의 평활전압, 파형(f)은 정(正)의 권선전압에 의거하여 LED 조명을 조광하였을 때의 LED 전류를 나타낸다.
또한 기간(t1, t4)은 트라이악 조광기(3)에 의한 위상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기간, 기간(t2, t3, t5)은 트라이악 조광기(3)에 의한 위상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기간(t4, t5)은 기간(t2, t3)보다 교류입력전압이 커졌을 때의 트라이악 조광기(3)에 의한 위상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기간(t2 및 t3)에 있어서, 트라이악 조광기(3)에 의하여 파형(a)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파정류회로(5)의 출력전압이 변화된다. 스위칭 소자(Q1)의 드레인·소스 사이에는, 파형(c)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전압과 위상제어된 교류입력전압에 의거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스위칭 소자(Q1)의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파형(d)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위칭 트랜스(T)의 2차권선(S)에는 정부(正負)의 비대칭의 권선전압이 발생한다. 정의 권선전압은, 다이오드(D1)가 온일 때에 2차권선(S)에 인가되는 전압이고, LED(1a)∼LED(1n)를 점등시키기 위하여 정전압 제어(定電壓 制御)되어 있다.
한편 부의 권선전압은, 다이오드(D1)가 오프일 때에 2차권선(S)에 인가되는 전압이고, 교류입력전압에 따라 변화되는 전압이다. 또 정부의 어느 권선전압도 트라이악 조광기(3)의 도통기간(導通期間)에 따라 2차권선(S)에 발생한다. 따라서 기간(t2)에 있어서의 권선전압의 평활전압(e)의 크기(절대치)는 기간(t1)보다 작아지고, 기간(t3)에 있어서의 권선전압의 평활전압(e)의 크기(절대치)는 기간(t2)보다 작아지게 된다.
다음에 스위칭 소자(Q1)를 온/오프 하였을 때의 LED 점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스위칭 소자(Q1)가 오프 되었을 때에는, 스위칭 트랜스(T)의 1차권선(P)의 도트측(●)이 정전위(正電位)가 되고, 2차권선(S)의 도트측(●)도 정전위가 되기 때문에, 다이오드(D1)가 온 된다. 이 때문에 2차권선(S)에 발생한 전압에 의하여 S의 일단 → D1 → LED(1a) → R3 → S의 타단으로 전류가 흘러서 LED(1a)가 점등된다.
이 때에 2차권선(S)에 발생하는 정의 고주파의 권선전압은, 다이오드(D6)를 통하여 저항(R10), 저항(R11)에 의하여 분압(分壓)되고, 분압된 전압은 저항(R12)을 통하여 콘덴서(C3)에 의하여 평활된다. 콘덴서(C3)의 평활전압(Vref 0.3V보다 낮은 예를 들면 0.1V)은,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되는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된다.
2차권선(S)에 발생하는 정의 고주파 전압의 권선전압(도3의 파형(d)의 전압)의 피크값은, LED(1a∼1n)의 점등전압에 다이오드(D1)의 순방향전압을 가산한 전압이 된다. 이 때문에 LED(1a∼1n)가 점등되고 있는 한 2차권선(S)에 발생하는 정의 고주파 전압의 권선전압의 피크값은, LED 소자가 가파른 IV 특성(전류전압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략 일정한 값이 된다.
즉 출력전압이 LED 소자의 순방향전압을 넘으면, 전압의 약간의 변화에 의하여 전류는 크게 변화되기 때문에, 조광 시에 있어서 2차권선(S)에 발생하는 정의 고주파 전압의 권선전압의 피크값의 변화가 작아지는 것에 의한다. 따라서 도3의 기간(t1)과 기간(t4)과 같이 교류입력전압이 변동하였을 경우에서도 부하인 LED의 구성이 동일하면, 정의 고주파 전압의 권선전압의 피크값은 대략 일정한 값이 된다.
따라서 위상제어에 의한 입력전압 실효값의 변화가 LED 전류에 반영되지만, 교류입력전압 자체의 변동은 LED 전류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입력전압변동이나 와이드 입력전압에도 대응한, 트라이악에 의한 LED 조명의 조광을 실현시키는 LED 점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산증폭기(OP2)는 콘덴서(C3)의 평활전압을 출력단자로부터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면 연산증폭기(OP1)는, 반전입력단자의 전압을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압(예를 들면 0.1V)이 되도록 동작한다.
이 때문에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은 L레벨이 되어, D2 → R2 → OP1의 경로로 포토다이오드(D2)에 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에 대응하는 증폭신호가 PWM 회로(17)에 보내어진다.
또한 다이오드(D1)가 온일 때에는, 위상제어된 교류입력전압을 평활한 평활전압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되기 때문에, LED(1a)에는 위상제어된 교류입력전압을 평활한 평활전압에 따른 전류가 흐른다.
또 스위칭 소자(Q1)가 온 되었을 때에는, 스위칭 트랜스(T)의 1차권선(P)의 도트측(●)이 부전위(負電位)가 되고, 2차권선(S)의 도트측(●)도 부전위가 되기 때문에, 다이오드(D1, D6)가 오프가 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1의 LED 점등장치에 의하면, 전압검출회로(11)가, 다이오드(D1)가 온일 때에 스위칭용 트랜스(T)의 2차권선(S)에 발생하는 전압피크값이 부하인 LED 전압과 대략 동일 또는 비례한 고주파 전압을 평활한 교류입력전압의 위상비율에 비례한 전압검출신호를 출력하면, 오차증폭기(13)는 저항(7)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 전류검출신호와 전압검출신호에 의거한 신호를 증폭하여 제어회로(14)에 출력하고, 제어회로(14)는 오차증폭기(13)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칭 소자(Q1)를 온/오프 제어한다.
따라서 위상제어에 의한 입력전압 실효값의 변화가 LED 전류에 반영되지만, 교류입력전압 자체의 변동은 LED 전류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입력전압변동이나 와이드 입력전압에도 대응한, 트라이악에 의한 LED 조명의 조광을 실현시키는 LED 점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2)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있어서의 LED 점등장치의 구성도이다. 도1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1의 LED 점등장치는, 2차권선(S)에 발생하는 전압을 전압검출회로(11)에 출력하였지만, 도4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2의 LED 점등장치는, 2차권선(S)과 전자적(電磁的)으로 결합되는 4차권선(F)과, 4차권선(F)의 양단에 접속되는 다이오드(D8)와 저항(R13)의 직렬회로를 구비하고, 4차권선(F)에 발생하는 전압을 전압검출회로(11)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2의 LED 점등장치에 의하면, 4차권선(F)에는 2차권선(S)에 발생하는 전압에 비례한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4차권선(F)에 발생하는 전압을 전압검출회로(11)에 출력함으로써 실시예1의 LED 점등장치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LED(1a∼1n)의 직렬수가 증가하여 2차권선(S)에 극단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다이오드(D6)의 파괴 등이 있지만, 2차권선(S)의 권수보다 적은 권수를 구비하는 4차권선(F)을 설치함으로써 다이오드(D6)의 파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시예2의 LED 점등장치에 있어서, 다이오드(D8)를 다이오드(D6)의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3)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있어서의 LED 점등장치의 구성도이다. 도1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1의 LED 점등장치는, 2차권선(S)에 발생하는 전압을 전압검출회로(11)에 출력하였지만, 도5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3의 LED 점등장치는, 2차권선(S)과 전자적으로 결합되는 3차권선(D)과, 3차권선(D)의 양단에 접속되는 다이오드(D7)와 콘덴서(C4)의 직렬회로를 구비하고, 3차권선(D)에 발생하는 전압을 전압검출회로(11)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3의 LED 점등장치는 비절연형(非絶緣型)의 LED 점등장치이며, 스위칭 트랜스(T)의 1차측 및 2차측은 공통의 GND에 접지된다.
실시예3의 LED 점등장치에 의하면, 3차권선(D)에는 2차권선(S)에 발생하는 전압에 비례한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3차권선(D)에 발생하는 전압을 전압검출회로(11)에 출력함으로써 실시예1의 LED 점등장치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의 LED 점등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의 LED 점등장치에서는, 스위칭 트랜스(T)의 1차권선(P)과 2차권선(S)이 역상으로 감겨 있었지만, 스위칭 트랜스(T)의 1차권선(P)과 2차권선(S)이 동상(同相)으로 감겨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도 다이오드(D1)가 온일 때에 전압검출회로(11)는, 스위칭 트랜스(T)의 2차권선(S) 또는 3차권선(D) 또는 4차권선(F)에 발생하는 전압을 검출하여 전압검출신호를 출력하면 좋다. 또한 PWM 제어에 한정하지 않고, RCC(Ringing·Choke·Converter), 유사공진, ON폭, OFF폭의 일방을 고정하고 타방을 가변(可變)하는 등 다양한 제어방식과 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4)
도7은 전압검출회로(11)에 관한 변경 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전압검출회로가 실시예1에 관한 전압검출회로(도2)와 다른 점은, 제너다이오드(ZD1)가 저항(R11)에 병렬로 접속되는 점이다.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은, 스위칭 트랜스(T)의 2차권선(S)의 권선전압에 의하여 제너다이오드(ZD1)가 제너항복되는 값으로 설정된다.
LED 소자의 IV 특성이 소정의 ON 전압 이상의 순방향전압에 있어서의 순방향전류의 기울기가 급격하지 않고 보다 완만한 경우에는, LED 소자가 점등되고 있는 경우에도 그 순방향전류(밝기)에 따라 순방향전압이 변화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LED(1a∼1n)의 밝기에 따라 2차권선(S)에 발생하는 정의 고주파 전압의 권선전압(도3의 파형(d))의 피크값이 변동된다. 예를 들면 LED(1a∼1n)가 밝은 경우와 LED(1a∼1n)가 어두운 경우에서는, LED의 점등전압(Vf)이 크게 달라지고, 이에 따라 권선전압의 피크값도 변화된다. LED(1a∼1n)가 어두운 경우에는, 권선전압의 피크값이 저하되어 평활전압(도3의 파형(e))의 레벨도 저하되기 때문에, LED(1a∼1n)의 조광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의 LED 점등장치는, 권선전압의 피크값 변동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어, 스위칭 트랜스(T)의 2차권선(S)의 권선전압으로부터 교류입력의 위상비율(트라이악 조광기(3)의 도통기간)을 더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LED 점등장치는 LED(1a∼1n)의 IV 특성에 관계없이 더 양호한 트라이악 조광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압검출회로(11)는 다른 실시예와 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LED를 점등시키기 위한 LED 점등장치 또는 LED 조명에 적용할 수 있다.
1 : 교류전원
3 : 트라이악 조광기
5 : 전파정류회로
7 : 저항
11 : 전압검출회로
13 : 오차증폭기
14 : 제어회로
15 : 발진기
17 : PWM 회로
19 : 드라이브 회로
T : 스위칭 트랜스
P : 1차권선
S : 2차권선
D : 3차권선
F : 4차권선
Q1 : 스위칭 소자
D1, D6, D7, D8 : 다이오드
C1, C3, C4 : 콘덴서
R1∼R3, R10∼R12 : 저항
OP1, OP2 : 연산증폭기

Claims (4)

  1. 교류입력전압을 위상제어(位相制御)하는 트라이악 조광기(triac 調光機)와,
    상기 트라이악 조광기에 접속되고 복수의 권선을 구비하는 스위칭 트랜스(switching trans)의 1차권선과 스위칭 소자(switching 素子)의 직렬회로(直列回路)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회로(制御回路)와,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에 발생하는 전압을 제1정류소자에 의하여 정류하여 제1평활소자에 의하여 평활하는 정류평활회로(整流平滑回路)와,
    상기 정류평활회로의 출력에 접속되는 LED와,
    상기 LED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류검출부(電流檢出部)와,
    상기 제1정류소자가 온일 때에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 또는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에 비례한 전압을 발생하는 n차권선(n≥3)에 발생하는 교류입력전압의 위상비율에 비례한 전압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압검출부(電壓檢出部)와,
    상기 전류검출신호와 상기 전압검출신호에 의거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어회로에 출력하는 증폭기(增幅器)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점등장치(LED 點燈裝置).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의 n차권선(n≥3)에 발생하는 전압을 제2정류소자에 의하여 정류하는 정류회로(整流回路)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점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는, 상기 제2정류소자에 의하여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제2평활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평활소자의 출력을 전원(電源)으로서 상기 제어회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점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의 n차권선(n≥3)에 발생하는 전압을 제2정류소자에 의하여 정류하는 제2정류평활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정류평활회로는, 상기 제2정류소자에 의하여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제2평활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정류평활회로의 출력을 전원(電源)으로서 상기 제어회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점등장치.
KR1020110039447A 2010-05-24 2011-04-27 엘이디 점등장치 KR101232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18240A JP5067443B2 (ja) 2010-05-24 2010-05-24 Led点灯装置
JPJP-P-2010-118240 2010-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731A KR20110128731A (ko) 2011-11-30
KR101232693B1 true KR101232693B1 (ko) 2013-02-13

Family

ID=4497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447A KR101232693B1 (ko) 2010-05-24 2011-04-27 엘이디 점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56108B2 (ko)
JP (1) JP5067443B2 (ko)
KR (1) KR101232693B1 (ko)
CN (1) CN1022641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6653B2 (en) 2008-12-12 2016-07-05 O2Micro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driving light sources
US9232591B2 (en) 2008-12-12 2016-01-05 O2Micro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driving light sources
US9253843B2 (en) 2008-12-12 2016-02-02 02Micro Inc Driving circuit with dimming controller for driving light sources
US9030122B2 (en) 2008-12-12 2015-05-12 O2Micro,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driving LED light sources
CN103391006A (zh) 2012-05-11 2013-11-13 凹凸电子(武汉)有限公司 光源驱动电路、控制电力转换器的控制器及方法
US8698419B2 (en) 2010-03-04 2014-04-15 O2Micro,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driving light sources
IT1401152B1 (it) * 2010-07-28 2013-07-12 St Microelectronics Des & Appl Apparato di controllo per diodi led.
KR101978509B1 (ko) * 2011-12-07 2019-05-1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Led 구동장치
JP5984415B2 (ja) * 2012-02-09 2016-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点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JP5828074B2 (ja) * 2012-02-13 2015-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点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9426862B2 (en) * 2012-04-12 2016-08-23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ED backlight drive circu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KR101337241B1 (ko) 2012-11-30 2013-12-05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발광 다이오드 조명용 전원 장치 및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JP2014131391A (ja) * 2012-12-28 2014-07-10 Sanken Electric Co Ltd 直流電源装置
WO2014134214A1 (en) * 2013-02-27 2014-09-04 Dialog Semiconductor Inc. Output current compensation for jitter in input voltage for dimmable led lamps
TWI496504B (zh) * 2013-04-26 2015-08-11 Unity Opto Technology Co Ltd Variable power dimming control circuit
JP6248430B2 (ja) * 2013-06-24 2017-12-20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Led駆動装置及びled点灯装置並びに誤差増幅回路
KR102134043B1 (ko) 2013-10-31 2020-07-14 솔루엠 (허페이) 세미컨덕터 씨오., 엘티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US9119254B2 (en) * 2013-12-16 2015-08-25 Richtek Technology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power supply circuit with dimming function and control circuit thereof
KR102143936B1 (ko) * 2014-03-10 2020-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구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101556B (zh) * 2015-08-21 2017-12-12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Led 调光驱动电路
TWI635702B (zh) * 2017-11-23 2018-09-11 晶豪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補償誤差放大器之輸入電壓偏移的補償電路
CN110034734B (zh) * 2018-01-11 2023-04-07 晶豪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补偿误差放大器的输入偏压的补偿电路
US11528790B2 (en) * 2018-10-24 2022-12-13 Eprad,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urposing 120VAC wiring architecture to retrofitable low voltage DC power 2-wire LED dimming
JP7411477B2 (ja) 2020-03-30 2024-01-11 四変テック株式会社 Led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152A (ja) 2003-04-23 2004-11-1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点灯装置およびled照明器具
JP2006210835A (ja) 2005-01-31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車室内用照明装置、車両用照明装置
JP2007035403A (ja) 2005-07-26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光ダイオード用直流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照明器具
KR100954123B1 (ko) 2009-09-07 2010-04-23 (주)아모시스템 엘이디 조명기구용 전원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4143A2 (en) * 2005-05-10 2008-02-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niversal line voltage dimming method and system
US7449840B2 (en) * 2005-07-26 2008-11-11 Varon Lighting Group, Llc Ignitor turn-off switch for HID ballasts
US8441210B2 (en) * 2006-01-20 2013-05-14 Point Somee Limited Liability Company Adaptive current regulation for solid state lighting
US8558470B2 (en) * 2006-01-20 2013-10-15 Point Somee Limited Liability Company Adaptive current regulation for solid state lighting
RU2504930C2 (ru) * 2007-03-30 2014-01-20 Холдип Лимитед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е систем освещения
KR100956213B1 (ko) * 2008-06-10 2010-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Led용 전원 공급 장치
JP2010035270A (ja) * 2008-07-25 2010-02-12 Sanken Electric Co Ltd 電力変換装置
JP5478951B2 (ja) * 2009-06-17 2014-04-23 四変テック株式会社 Led点灯装置
US8339055B2 (en) * 2009-08-03 2012-12-25 Intersil Americas Inc. Inrush current limiter for an LED driver
TWI405502B (zh) * 2009-08-13 2013-08-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發光二極體的調光電路及其隔離型電壓產生器與調光方法
US8344657B2 (en) * 2009-11-03 2013-01-01 Intersil Americas Inc. LED driver with open loop dimming control
US8553439B2 (en) * 2010-02-09 2013-10-08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zero-crossing of an AC input voltage to a power supply
US8299730B2 (en) * 2010-02-09 2012-10-30 Power Integrations, Inc. Integrated on-time extension for non-dissipative bleeding in a power supp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152A (ja) 2003-04-23 2004-11-1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点灯装置およびled照明器具
JP2006210835A (ja) 2005-01-31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車室内用照明装置、車両用照明装置
JP2007035403A (ja) 2005-07-26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光ダイオード用直流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照明器具
KR100954123B1 (ko) 2009-09-07 2010-04-23 (주)아모시스템 엘이디 조명기구용 전원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56108B2 (en) 2013-06-04
KR20110128731A (ko) 2011-11-30
CN102264179B (zh) 2013-12-18
JP2011249031A (ja) 2011-12-08
CN102264179A (zh) 2011-11-30
US20110285307A1 (en) 2011-11-24
JP5067443B2 (ja)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693B1 (ko) 엘이디 점등장치
US8729813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and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US8829819B1 (en) Enhanced active preload for high performance LED driver with extended dimming
EP2515611B1 (en)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85758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constant power to luminuous loads
US20120319610A1 (en) Led lighting apparatus
KR20120112048A (ko) 엘이디 구동장치 및 엘이디 조명장치
US20140055047A1 (en) Color correcting device driver
US9872349B2 (en) Control system for phase-cut dimming
US20120119674A1 (en) Constant current led lamp
US20130221871A1 (en) Mixed load current compensation for led lighting
CN101647318A (zh) 电源电路
EP2936930B1 (en) Led driver circuit using flyback converter to reduce observable optical flicker by reducing rectified ac mains ripple
JP2013055876A (ja) 発光素子の制御回路
RU2604640C2 (ru) Схема включения светодиода, имеющая повышенную эффективность
WO2017132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light source
US10104729B2 (en) LED driver circuit, and LED arrangement and a driving method
US20140077713A1 (en) Luminaire
JP2012033888A (ja) Led駆動装置及びled照明装置
JP5478951B2 (ja) Led点灯装置
US10306717B1 (en) Flicker-free LED driving apparatus and voltage regulating method thereof
KR101448655B1 (ko) 조명용 역률 보상 회로 및 구동 방법
JP2011238439A (ja) Led点灯装置
KR101705831B1 (ko) 발광 장치를 위한 조광 장치
KR20140053650A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