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254B1 - 아지무스 추진기 - Google Patents

아지무스 추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254B1
KR101231254B1 KR1020110060575A KR20110060575A KR101231254B1 KR 101231254 B1 KR101231254 B1 KR 101231254B1 KR 1020110060575 A KR1020110060575 A KR 1020110060575A KR 20110060575 A KR20110060575 A KR 20110060575A KR 101231254 B1 KR101231254 B1 KR 101231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riven shaft
drive
circumferential surface
azimu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091A (ko
Inventor
김영식
성홍근
김진하
홍사영
조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60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25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4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the main transmitting element, e.g. shaft, being substantially vert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재 간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주요 기능(스크류 조립체의 가동에 의한 역추진 및 회전)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구동부에 대하여 다양한 규격/성능의 스크류 조립체를 교체,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아지무스 추진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는 제 1 구동부; 제 1 구동부의 구동축과 연결된 제 1 종동 샤프트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 1 하우징; 제 1 하우징과 일직선 상태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제 1 종동 샤프트와 연결된 제 2 종동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 2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직교하는 상태로 제 2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 2 종동 샤프트와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연결된 제 3 종동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 3 하우징; 및 제 3 하우징의 종단부에 설치되며, 제 3 하우징의 제 3 종동 샤프트와 연결된 스크류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는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제 1 구동부와 제 1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트; 및 브라켓트에 설치되어 제 1 구동부와 제 1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지무스 추진기{Azimuth thruster}
본 발명은 아지무스 추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격에 의한 결합된 부재의 분리를 방지하고 다양한 규격 및 종류의 스크류 조립체를 구동부에 교체/장착할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아지무스 추진기에 관한 것이다.
자기 위치 제어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고 선체에 설치된 추진기의 사용을 통해 선박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자기 위치 제어 시스템은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양 구조물과는 달리 위치를 옮겨가며 시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드릴쉽(drill ship) 또는 극지방에서 얼음을 깨뜨리면서 단독 운항이 가능한 쇄빙선(ice breaker) 등에 설치되어 운영된다.
자기 위치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추진기로는 스크류부의 360도 선회가 가능한 전(全)방향 추진기, 예를 들어 아지무스 추진기(azimuth thruster)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아지무스 추진기를 통하여 선박이 자유롭게 추진, 역추진 또는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아지무스 추진기는 조종 성능이 뛰어나다는 이점으로 인해 드릴 쉽이나 쇄빙선뿐만 아니라, 셔틀 탱커(shuttle tanker), 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unit), 극지 항해 화물선이나 여객선 등을 포함한 다양한 선박에 장착, 사용되고 있다.
선박에 장착되는 아지무스 추진기는 제조, 조립 그리고 분해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하우징, 즉 구동부에 대응하는 제 1 하우징과 스크류부 조립체가 장착된 제 2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은 서로 직교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종단에 대한 용접 공정 등을 실시하여 양 하우징을 서로 연결, 고정시킨다.
이러한 아지무스 추진기에서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용접 부위가 손상되기 쉬우며, 따라서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견고한 연결/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없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아지무스 추진기의 설계 설능을 구현하기 어렵고, 또한 파손된 부재를 교체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연결부의 용접 상태가 파손되면 구동부 및 하우징 전체를 교체해야한다.
본 발명은 아지무스 추진기가 갖고 있는 위와 같은 제약 및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재 간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주요 기능(스크류 조립체의 가동에 의한 역추진 및 회전)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의 아지무스 추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구동부에 대하여 다양한 규격/성능의 스크류 조립체를 교체,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아지무스 추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는 제 1 구동부; 제 1 구동부의 구동축과 연결된 제 1 종동 샤프트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 1 하우징; 제 1 하우징과 일직선 상태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제 1 종동 샤프트와 연결된 제 2 종동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 2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직교하는 상태로 제 2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 2 종동 샤프트와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연결된 제 3 종동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 3 하우징; 및 제 3 하우징의 종단부에 설치되며, 제 3 하우징의 제 3 종동 샤프트와 연결된 스크류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는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제 1 구동부와 제 1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트; 및 브라켓트에 설치되어 제 1 구동부와 제 1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는 제 1 구동부와 제 1 하우징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며, 브라켓트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제 1 디스크 부재; 및 제 2 구동부의 구동축에 고정된 제 2 디스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및 제 2 디스크 부재의 외주면에는 서로 치합된 치차부가 각각 형성되어 제 2 구동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제 1 구동부 및 제 1 하우징을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디스크 부재의 중앙부 하부면에는 부싱이 형성되고, 제 1 하우징은 부싱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디스크 부재의 부싱은 내주면의 일부 영역에 평면부와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며, 제 1 하우징은 외주면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평면부 및 절개부가 형성되어, 제 1 하우징이 제 1 디스크 부재의 부싱 내에 삽입될 때, 부싱의 평면부와 돌기부가 제 1 하우징의 평면부와 절개부에 각각 대응한다.
제 2 및 제 3 종동 샤프트 간의 동력 전달 수단은 제 2 종동 샤프트와 제 3 종동 샤프트의 대응 종단에 각각 장착되어 치합된 베벨 기어일 수 있다.
한편, 제 1 종동 샤프트는 중공(中空)의 부재로서, 그 내주면에 수직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구동부의 구동축은 그 외주면에 수직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종동 샤프트와 제 1 구동부의 구동축은 스플라인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제 1 종동 샤프트는 그 내주면에 수직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종동 샤프트는 그 외주면에 수직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종동 샤프트와 제 2 종동 샤프트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 1 종동 샤프트는 제 2 종동 샤프트와 대응하는 일부 영역이 중공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에 수직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종동 샤프트는 제 1 종동 샤프트와 대응하는 일부 영역의 외주면에 수직 스플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구동부는 제 1 디스크 부재를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스텝핑 모터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는 제 1 구동부가 가동을 시작할 때 스크류 조립체를 항상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제 2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절대 엔코더(absolute enco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는 구동부의 하우징과 스크류 조립체가 장착된 하우징을 기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부재의 변형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는 제 1 구동부의 구동축과 연결된 제 1 하우징과 (제 3 하우징을 통하여 스크류 조립체가 장착된) 제 2 하우징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제 1 구동부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즉 선박에서 제 1 구동부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제 2 하우징을 제 1 하우징에서 분리한 후, 다양한 규격/성능의 스크류 조립체를 제 1 구동부(즉, 제 1 하우징)에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 C-C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편의상 상부 일부는 단면으로 처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는 제 1 구동부(310), 제 1 구동부(310)가 장착되며, 브라켓트(B; 선박의 내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소정 직경의 제 1 디스크 부재(311), 제 1 디스크 부재(311)에 고정된 하우징 조립체(200) 및 하우징 조립체(200)에 장착되고 제 1 구동부(31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스크류 조립체(600)를 포함한다.
하우징 조립체(200)는 제 1 디스크 부재(311)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제 1 하우징(210), 제 1 하우징(210)에 결합된 제 2 하우징(220) 및 제 2 하우징(220)에 직교된 상태로 결합된 제 3 하우징(230)을 포함하며, 스크류 조립체(600)는 제 3 하우징(230)의 선단에 장착된다.
여기서,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은 분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제 2 하우징(220)과 제 3 하우징(230)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구조 그리고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 간의 관계를 먼저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제 1 하우징(210) 및 제 1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된 제 1 종동 샤프트(410)의 구성을 도시한다.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하우징(210)은 중공 원통형 부재로서, 내부에는 제 1 구동부(310)의 구동축(310-1)과 결합된 제 1 종동 샤프트(410)가 배치된다.
도 3은 도 1의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제 2 하우징(220)및 제 2 하우징(220) 내부에 배치된 제 2 종동 샤프트(420)의 구성을 도시한다.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하우징(220) 역시 중공 원통형 부재로서, 제 1 하우징(210)과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 2 하우징(220)의 일단부는 연결 부재, 예를 들어 허브(500)를 통하여 제 1 하우징(210)의 종단부와 결합된다. 한편, 제 2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제 1 종동 샤프트(4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종동 샤프트(420)가 배치된다.
제 2 하우징(220)과 일체로 구성된 제 3 하우징(230)은 제 2 하우징(220)과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일단부에는 스크류 조립체(600)가 장착된다. 제 3 하우징(230)의 내부에는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제 2 종동 샤프트(420)와 결합된 제 3 종동 샤프트(430)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종동 샤프트(420)의 종단과 제 3 종동 샤프트(430)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 수단으로 제 2 종동 샤프트(420)의 종단과 제 3 종동 샤프트(430) 종단에 각각 장착된 베벨 기어(421, 431)가 이용되며, 이 베벨 기어(421, 431)는 서로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10) 내에 배치된 제 1 종동 샤프트(410)는 중공(中空)의 부재로서, 한 종단은 제 1 하우징(210) 내로 연장된 제 1 구동부(310)의 구동축(310-1)에 연결되며, 다른 종단부는 제 2 하우징(220) 내에 위치한 제 2 종동 샤프트(420)와 결합된다. 여기서, 제 1 종동 샤프트(410)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수직 스플라인(4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종동 샤프트(4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411)은 제 1 종동 샤프트(410)의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제 1 종동 샤프트(4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일정 영역(즉, 후술할 제 1 구동부(310)의 구동축(310-1)과 결합되는 영역 및 제 2 종동 샤프트(420)와 결합하는 영역)만이 중공(中空)부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스플라인(3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220)의 내부에 배치된 제 2 종동 샤프트(420)는 원통형 부재로서, 한 종단은 베벨 기어(431)가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종단부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종동 샤프트(411)와 결합한다.
즉, 제 2 종동 샤프트(4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수직 스플라인(4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 1에서는 제 1 종동 샤프트(410)와 제 2 종동 샤프트(420)가 단지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도시되었지만) 제 2 종동 샤프트(420)와 제 1 종동 샤프트(410)가 서로 대응한 상태에서 제 2 종동 샤프트(420)를 제 1 종동 샤프트(410) 내로 이동시키면 제 2 종동 샤프트(420)와 제 1 종동 샤프트(410)는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종동 샤프트(4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421)은 제 2 종동 샤프트(420)의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단부(즉, 전술한 제 1 종동 샤프트(411)와 결합하는 영역)의 외주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도면 부호 "500"는 연결 부재인 허브를 나타내며,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결합에 이용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이 허브(500)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 내에서는 제 1 종동 샤프트(410)와 제 2 종동 샤프트(420)가 스플라인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종동 샤프트(420)의 종단과 제 3 종동 샤프트(430)의 종단에는 동력 전달 수단인 베벨 기어(421, 431)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구동부(310)의 구동력은 제 1 종동 샤프트(410), 제 2 종동 샤프트(420), 베벨 기어(421, 431) 및 제 3 종동 샤프트(430)를 거쳐 스크류 조립체(600)로 전달된다.
도 4는 도 1의 C-C 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제 1 구동부(310)의 구동축(310-1)과 제 1 종동 샤프트(410) 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10) 내에 배치된 제 1 종동 샤프트(410)는 그 내주면에 다수의 수직 스플라인(도 2의 4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구동부(310)의 구동축(310-1)은 원통형 부재로서,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수직 스플라인(310-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 1에서는 제 1 종동 샤프트(410)와 제 1 구동부(310)의 구동축(310-1)이 단지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도시되었지만) 제 1 구동부(310)의 구동축(310-1)과 제 1 종동 샤프트(410)가 서로 대응한 상태에서 제 1 종동 샤프트(410)를 제 1 구동부(310)의 구동축(310-1)으로 이동시키면 제 1 구동부(310)의 구동축(310-1)과 제 1 종동 샤프트(410)는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는 서로 결합된 제 1 하우징(210), 제 2 하우징(220), 제 3 하우징(230) 및 스크류 조립체(600)를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라켓트(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 1 디스크 부재(311)는 하부에 수직으로 연장된 원통형 부싱(3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싱(313)과 브라켓트(B) 사이에는 베어링(314)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부싱(313)의 내부 공간에는 제 1 하우징(210)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 1 구동부(310), 제 1 디스크 부재(311) 및 제 1 하우징(210; 물론 제 2 및 제 3 하우징(220 및 230) 포함)은 브라켓트(B)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동부(310)에 인접한 위치에 제 2 구동부(320)가 설치되며, 제 2 구동부(320)의 구동축(320-1)에는 소정 직경의 제 2 디스크 부재(321)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구동부(310)가 장착된 제 1 디스크 부재(311)와 제 2 구동부(320)에 장착된 제 2 디스크 부재(321)의 원주면에는 치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디스크 부재(311)의 치차와 제 2 디스크 부재(321)의 치차는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구동부(320)의 작동에 의하여 제 1 디스크 부재(311)가 브라켓트(B)에 대하여 회전하며, 결과적으로, 제 1 구동부(310), 제 1, 제 2 및 제 3 하우징(210, 220 및 230) 그리고 스크류 조립체(600)는 일체로 회전한다.
스크류 조립체(600)에 동력을 제공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부(310)와 달리, 제 2 구동부(320)는 제 1 하우징(210; 제 2 하우징(220), 제 3 하우징(230) 및 스크류 조립체(600) 포함)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 1 하우징(210)의 회전에 따라 제 1 하우징(210)에 결합된 제 2 및 제 3 하우징(220, 230) 및 스크류 조립체(600) 역시 회전(물론, 추진력을 얻기 위한 스크류 조립체(600)의 스크류 회전과는 다른 회전임)하게 되며, 따라서 스크류 조립체(600)의 가동에 의하여 생성된 추진력에 의하여 아지무스 추진기가 장착된 선박/해상 구조물은 전진은 물론 선미를 돌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후진이 가능하며 또한 소정 각도를 갖고 진행 방향을 바꿀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아지무스 추진기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 즉 스크류 조립체(600)가 초기 위치(예를 들어, 선박의 전진을 위한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아지무스 추진기로 전원이 공급되어 가동이 시작될 때, 스크류 조립체(600)는 항상 초기 위치(예를 들어, 선박의 전진을 위하여 스크류 조립체(600)가 선박의 선미를 향하는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는 엔코더, 특히 절대 엔코더(700; absolute enco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대 엔코더는 회전축의 회전 각도에 따라 출력값이 평행 코드(parallel code)로 출력되어 절대값으로 나타나는 센서로서, 외부 환경에 따라 변화되지 않으며 그 특징으로 정전시 원점 보상의 필요 없이 절대 위치를 유지하고 계수가 불필요하므로 에러 발생이 없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절대 엔코더(700)가 제 1 디스크 부재(311)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된다. 절대 엔코더(700)는 제 1 디스크 부재(311)에 대응된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이 절대 엔코더(700)는 제 2 구동부(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구동부(320)에 의하여 제 1 하우징(210)이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에서 아지무스 추진기가 작동을 시작할 때, 절대 엔코더(700)는 제 1 디스크 부재(311)의 회전 각도, 즉, 초기 상태에서 벗어난 각도 값에 대응하는 값을 출력하여 제 2 구동부(320)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 2 구동부(320)는 이 벗어난 각도를 보상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 동안 작동하여 제 1 하우징(210)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 조립체(600)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서, 본 설명에서는 절대 엔코더(700)가 제 1 디스크 부재(311)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절대 엔코더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절대 엔코드(700)는 제 2 구동부(320)의 케이싱(별도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지 않음) 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스크류 조립체(600)의 스크류를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310)는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지만, 제 1 구동부(310)와 제 1 하우징(210)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부(320)로서 스텝핑 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디스크 부재(311)로 전달된 제 1 구동부(310)의 회전력을 제 1 하우징(210)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그리고 초기 위치에 설정된 제 1 디스크 부재(311)에 (제 1 하우징(210)에 결합된) 스크류 조립체(600)를 초기 상태(선박의 전진을 위하여 스크류 조립체(600)가 선박의 선미를 향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된 도 4에서는 제 1 구동부(310)의 구동축(310-1)과 제 1 종동 샤프트(410) 간의 관계와 함께, 제 1 디스크 부재(311)의 부싱(313)과 제 1 하우징(210) 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크 부재(311)의 원통형 부싱(313)의 내주면 일부 영역은 평면부(313-1)로 형성되며, 또 다른 일부 영역에는 원주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일정 면적의 돌기부(313-2)가 형성된다.
부싱(313) 내에 위치하는 제 1 하우징(210)의 외주면 일부 영역은 평면부(210-1)로 형성되며, 또 다른 일부 영역에는 원주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일정 면적의 절개부(210-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디스크 부재(311)의 부싱(313)의 내주면에 형성된 평면부(313-1) 및 돌기부(313-2)는 하단에서부터 연장되며, 제 1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평면부(210-1) 및 절개부(210-2)는 상단에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지무스 추진기의 조립시, 제 1 디스크 부재(311)의 부싱(313)의 내주면의 형성된 평면부(313-1) 및 돌기부(313-2)가 제 1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평면부(210-1) 및 절개부(210-2)와 각각 대응한 상태에서만 제 1 하우징(210)이 제 1 디스크 부재(311)의 부싱(313)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1 하우징(210)과 제 1 디스크 부재(311) 간의 별도의 정렬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할 때, 제 1 하우징(210)은 제 1 디스크 부재(311)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들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부재의 연결 부분, 즉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연결 부분, 제 1 하우징(210)과 제 1 디스크 부재(311)의 연결 부분, 그리고 제 3 하우징(230)과 스크류 조립체(600)의 연결 부분에는 연결 부위를 통한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오-링 또는 가스켓 등)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2)

  1. 제 1 구동부;
    제 1 구동부의 구동축과 연결된 제 1 종동 샤프트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 1 하우징;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제 1 구동부와 제 1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트;
    브라켓트에 설치되어 제 1 구동부와 제 1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부;
    제 1 하우징과 일직선 상태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제 1 종동 샤프트와 연결된 제 2 종동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 2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제 2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 2 종동 샤프트와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연결된 제 3 종동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 3 하우징; 및
    제 3 하우징의 종단부에 설치되며, 제 3 하우징의 제 3 종동 샤프트와 연결된 스크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지무스 추진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구동부와 제 1 하우징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며, 브라켓트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제 1 디스크 부재; 및
    제 2 구동부의 구동축에 고정된 제 2 디스크 부재를 더 포함하되,
    제 1 및 제 2 디스크 부재의 외주면에는 서로 치합되는 치차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지무스 추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디스크 부재의 중앙부 하부면에는 부싱이 형성되고, 제 1 하우징은 부싱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지무스 추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디스크 부재의 부싱은 내주면의 일부 영역에 평면부와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며, 제 1 하우징은 외주면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평면부 및 절개부가 형성되어, 제 1 하우징이 제 1 디스크 부재의 부싱 내에 삽입될 때, 부싱의 평면부와 돌기부가 제 1 하우징의 평면부와 절개부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지무스 추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동력 전달 수단은 제 2 종동 샤프트와 제 3 종동 샤프트의 대응 종단에 각각 장착되어 치합된 베벨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지무스 추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은 대응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체결된 연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지무스 추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종동 샤프트는 중공(中空)의 부재로서, 그 내주면에 수직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구동부의 구동축은 그 외주면에 수직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종동 샤프트와 제 1 구동부의 구동축은 스플라인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지무스 추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종동 샤프트는 중공(中空)의 부재로서, 그 내주면에 수직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종동 샤프트는 그 외주면에 수직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종동 샤프트와 제 2 종동 샤프트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지무스 추진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종동 샤프트는 제 2 종동 샤프트와 대응하는 일부 영역이 중공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에 수직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종동 샤프트는 제 1 종동 샤프트와 대응하는 일부 영역의 외주면에 수직 스플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지무스 추진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구동부는 제 1 디스크 부재를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스텝핑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지무스 추진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구동부가 가동을 시작할 때 스크류 조립체를 항상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제 2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절대 엔코더(absolute encod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지무스 추진기.
KR1020110060575A 2011-06-22 2011-06-22 아지무스 추진기 KR101231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575A KR101231254B1 (ko) 2011-06-22 2011-06-22 아지무스 추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575A KR101231254B1 (ko) 2011-06-22 2011-06-22 아지무스 추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91A KR20130000091A (ko) 2013-01-02
KR101231254B1 true KR101231254B1 (ko) 2013-02-07

Family

ID=4783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575A KR101231254B1 (ko) 2011-06-22 2011-06-22 아지무스 추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023A1 (ko) * 2014-12-15 2016-06-23 훌루테크 주식회사 치차 결합 방식의 조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725B1 (ko) * 2013-01-25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회전축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WO2016153095A1 (ko) * 2015-03-26 2016-09-29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덕트형 추진기
KR101916147B1 (ko) * 2017-04-28 2018-11-09 유제우 전기추진 선박용 수직축 임펠러 날개 추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2059A (ja) * 1999-04-28 2002-12-10 フェアチャイルド ホールディ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スプライン凹部及び駆動工具を備えた締結具システム
KR20100057405A (ko) * 2008-11-21 2010-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예인수조 시험용 아지무스 자항검력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2059A (ja) * 1999-04-28 2002-12-10 フェアチャイルド ホールディ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スプライン凹部及び駆動工具を備えた締結具システム
KR20100057405A (ko) * 2008-11-21 2010-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예인수조 시험용 아지무스 자항검력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023A1 (ko) * 2014-12-15 2016-06-23 훌루테크 주식회사 치차 결합 방식의 조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91A (ko)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254B1 (ko) 아지무스 추진기
JP6783243B2 (ja) 船舶推進装置
JP5384787B2 (ja) 水上船舶用の推進システム
US9694887B2 (en) Propulsion device for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CN102844235A (zh) 船舶用推进装置
KR101767215B1 (ko) 아지무스 추진기의 추진력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추진력의 측정이 가능한 아지무스 추진기
WO2012035914A1 (ja) 舶用推進装置
ES2690489T3 (es) Propulsor retráctil
JP2010158926A (ja) 船外機
CN103097238B (zh) 具有推进单元的海洋船舶
EP3995392A1 (en) Rudder rotation command assembly
KR101261867B1 (ko) 포드형 추진기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225179B1 (ko)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09160969A (ja) 船外機
CN102390513B (zh) 一种船用推进器
CA2823443C (en) Watercraft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for travel in ice
KR20180040700A (ko) 선박용 키, 조타 방법 및 선박
JP4713631B2 (ja) 船外機
KR20140039763A (ko) 프로펠러 보스 캡 핀을 포함하는 포드형 추진 시스템
US20140248153A1 (en) Propulsion device for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016522B1 (ko) 선박
KR101422239B1 (ko) 선박 추진장치
JP4709686B2 (ja) 船外機
CN204473115U (zh) 用于驱动船舶的船用吊舱式驱动系统
KR20210001003A (ko) 쇄빙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