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094B1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및 타이어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및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094B1
KR101231094B1 KR1020090027234A KR20090027234A KR101231094B1 KR 101231094 B1 KR101231094 B1 KR 101231094B1 KR 1020090027234 A KR1020090027234 A KR 1020090027234A KR 20090027234 A KR20090027234 A KR 20090027234A KR 101231094 B1 KR101231094 B1 KR 10123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et
cord
yar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747A (ko
Inventor
정일
전옥화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164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123413A2/en
Priority to EP09726815A priority patent/EP2257663B1/en
Priority to EP12156699.6A priority patent/EP2458047B1/en
Priority to PL09726815T priority patent/PL2257663T3/pl
Priority to CN2009801108415A priority patent/CN101981240B/zh
Priority to US12/935,509 priority patent/US9045589B2/en
Publication of KR2009010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094B1/ko
Priority to US14/078,047 priority patent/US944107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42Reinforcements made of synthetic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8Tyre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모듈러스 및 형태안정성을 가짐에 따라 타이어의 고속주행성능, 차량의 승차감 및 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및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90몰% 이상 포함하고, 180 ℃ 및 20g/1000d 초하중 하에서 2분 열처리한 후에, 2.0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 5.5~7.0%의 신장율을 나타내고, 4.5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 11.0~14.0%의 신장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PET, 연신사, 코오드, 하중, 신장율, 형태안정성

Descriptio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및 타이어 {DRAWN POLY(ETHYLENETEREPHTHALATE) FIBER, TIRE-CORD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및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우수한 모듈러스 및 형태안정성을 가짐에 따라 타이어의 고속주행성능, 차량의 승차감 및 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및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섬유/강철/고무의 복합체이며, 도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강철과 섬유 코오드는 고무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타이어 내에서 기본 골격 구조를 형성한다. 즉, 사람 인체와 비교하면 뼈와 같은 역할이다.
타이어 보강재로써 코오드에 요구되는 성능은 내피로성, 전단강도, 내구성, 반발탄성 그리고 고무와의 접착력 등이다. 따라서, 타이어에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적절한 소재의 코오드를 사용하게 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오드용 소재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터, 스 틸, 및 아라미드 등이 있으며, 레이온과 폴리에스테르는 보디 플라이(또는 카커스라고도 함) (도 1의 6)에, 나일론은 주로 캡플라이(도 1의 4)에, 그리고, 스틸과 아라미드는 주로 타이어 벨트부(도 1의 5)에 사용된다.
다음은 도 1에 나타낸 타이어 구조와 그 특성을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트레드 (Tread) (1):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제동, 구동에 필요한 마찰력을 주고 내마모성이 양호 하여야 하며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어야 하고 발열이 적어야 한다.
보디 플라이(Body Ply) (또는 카커스(Carcass)) (6): 타이어 내부의 코오드 층으로,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에 견디며 주행 중 굴신 운동에 대한 내피로성이 강해야 한다.
벨트 (Belt) (5): 보디플라이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철사(Steel Wire)로 구성되며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 트레드의 접지면을 넓게 유지하여 주행안정성을 우수하게 한다.
사이드 월(Side Wall) (3): 숄더(2) 아래 부분부터 비드(9) 사이의 고무층을 말하며 내부의 보디 플라이(6)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비드(BEAD) (9): 철사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형태의 Wire Bundle로 타이어를 Rim에 안착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너라이너(Inner Liner) (7): 튜브대신 타이어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공기누출 방지하여 공기입 타이어를 가능케 한다.
캡플라이(CAP PLY) (4): 일부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벨트 위에 위치한 특수 코오드지로서, 주행 시 벨트의 움직임을 최소화 한다.
에이펙스(APEX) (8): 비드의 분산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여 비드를 보호하며 성형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삼각형태의 고무 충진재이다.
최근 승용차의 고급화에 따라 고속 주행에 적합한 타이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타이어의 고속주행 안정성 및 고내구성이 매우 중요한 특성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캡플라이용 코오드 소재의 성능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타이어 내에 존재하는 스틸벨트는 일반적으로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고속주행시에는 이러한 스틸 벨트가 원심력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고, 이 때 뾰족한 스틸벨트의 끝부분이 고무를 끊거나 크랙을 발생시켜 벨트 층간의 분리와 타이어 모양의 변형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캡플라이는 이러한 스틸벨트의 움직임을 잡아 층간의 분리와 타이어의 형태 변형을 억제하여 고속 내구성과 주행안정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일반적인 캡플라이용 코오드에는 주로 나일론 66 코오드가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나일론 66 코오드의 경우, 고속 주행시의 타이어의 내부 환경에 대응하는 고온 환경 하에서 높은 수축 응력을 발현함으로서 스틸 벨트를 감싸서 벨트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일론 66 코오드는 고온에서의 모듈러스 및 유리전이온도가 낮고, 이에 따른 형태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타이어 및 자동차의 자체 하중에 의해 부분적인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해 주행 중에 덜컥거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상기 나일론 66 코오드는 낮은 모듈러스 및 형태안정성을 가짐에 따라, 차량의 주행 속도가 갑자기 높아지면 그 외관 형태가 쉽게 변형되어 타이어를 변형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타이어의 고속 주행 성능이나 차량의 조정성 또는 승차감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비해, 일반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나 산업용 섬유로 많이 사용되는 PET 고탄성저수축(High Modulus Low Shrinkage, HMLS) 섬유의 경우, 나일론 66에 비해서는 모듈러스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지만, 이들 일반적인 PET 섬유나 HMLS 섬유 역시도 충분한 모듈러스 및 형태안정성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속도가 갑자기 높아지면 그 외관 형태가 비교적 쉽게 변형되어 타이어를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소재로 이루어진 코오드를 켑플라이용 코오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타이어의 고속 주행 성능이나 차량의 조정성 또는 승차감이 충분치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우수한 모듈러스 및 형태안정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신사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타이어 코오드를 포함하여, 우수한 고속 주행 성능을 가질 뿐 아니라, 차량의 조정성 또는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주입식 타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90몰% 이상 포함하고, 180 ℃ 및 20g/1000d 초하중 하에서 2분 열처리한 후에, 2.0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 5.5~7.0%의 신장율을 나타내고, 4.5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 11.0~14.0%의 신장율을 나타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신사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타이어 코오드를 포함하는 공기주입식 타이어를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폴 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을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함.) 연신사는 PET를 용융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고 나서, 이러한 미연신사를 연신함으로서 제조되는 것이며, 이러한 PET 연신사를 합연사하고 접착제에 침지하여 딥코오드 형태의 타이어 코오드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ET의 용융 방사를 통해 제조된 미연신사 및 이를 연신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특성이 타이어 코오드의 물성에 직/간접적으로 반영된다. 그러므로, 소정의 특성을 갖는 PET 연신사의 제공을 통해 우수한 물성을 갖는 PET 타이어 코오드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소정의 특성을 갖는 PET 연신사가 제공된다. 이러한 PET 연신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90몰% 이상 포함하고, 180 ℃ 및 20g/1000d 초하중 하에서 2분 열처리한 후에, 2.0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 5.0~7.0%의 신장율을 나타내고, 4.5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 11.0~14.0%의 신 장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PET 연신사는 타이어의 고속 주행 조건에 대응하는 180 ℃의 높은 온도 하에서, 2.0kg/1000d 또는 4.5kg/1000d의 하중이 걸리더라도(이들 2.0kg/1000d 또는 4.5kg/1000d의 하중은 각각 타이어의 저속 주행 조건 또는 고속 주행 조건에 대응하는 하중이다.), 길이 변형이 크게 일어나지 않으며, 이들 양 하중이 각각 걸렸을 때 길이 변형의 차이도 크지 않다. 따라서, 상기 PET 연신사는 뛰어난 모듈러스 및 형태안정성을 가지므로, 이를 이용해 타이어 코오드를 제조하면, 차량의 주행 속도가 갑자기 높아져 타이어 코오드에 걸리는 온도 또는 하중이 급격히 높아지더라도, 상기 타이어 코오드의 외관 형태의 변형이 거의 없다. 그러므로, 상기 PET 연신사를 사용하면, 차량의 주행 속도가 갑자기 높아지더라도 그 자체의 변형 및 이에 따른 타이어의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타이어 코오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타이어 코오드를 캡플라이용 코오드 등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 타이어의 고속 주행 성능과 함께 차량의 조정성 및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PET 연신사는 타이어 코오드에 적합한 물성을 나타내기 위해 90몰% 이상의 PET를 포함하는데, 상기 PET 연신사가 90몰%에 못 미치는 함량으로 PET를 포함하면 상기 PET 연신사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타이어 코오드가 바람직한 제반 물성을 나타내기 어렵다. 이하에서 PET라는 용어는 특별한 설명 없이 PET가 90 몰%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PET 연신사는 상기 열처리 전에, 2.0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 2.0~2.6%의 신장율을 나타내고, 4.5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 5.0~7.0%의 신장율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PET 연신사는 타이어의 정지 또는 저속 주행 조건에 대응하는 낮은 온도 하에서도, 2.0kg/1000d의 하중이 걸렸을 때 길이 변형이 크게 일어나지 않으며, 이미 상술한 고온 하에서의 신장율과 비교하더라도, 온도의 변화에 따른 길이 변형의 차이 또한 크지 않다. 또한, 4.5kg/1000d의 하중이 걸렸을 때에도 이미 상술한 고온 하에서의 신장율과 비교할 때, 온도의 변화에 따른 길이 변형의 차이가 크지 않다. 따라서, 상기 PET 연신사는 더욱 우수한 모듈러스 및 형태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고, 이를 이용해 타이어 코오드를 제조하면, 이에 걸리는 온도 또는 하중이 급격히 높아지더라도 상기 타이어 코오드의 외관 형태의 변형이 거의 없다. 그러므로, 상기 PET 연신사를 사용하면, 차량의 주행 속도가 갑자기 높아졌을 때에도 그 자체의 변형 및 이를 포함한 타이어의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타이어 코오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타이어 코오드를 캡플라이 코오드 등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타이어의 고속 주행 성능과 함께 차량의 조정성 및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PET 연신사는 PET를 용융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고, 상기 미연신사를 연신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들 각 단계의 구체적 조건이나 진행 방법이 PET 연신사의 물성에 직/간접적으로 반영되어 상술한 물성을 가진 PET 연신사가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PET를 용융 방사하는 조건을 조절하여 결정화도가 25% 이상이고, 비결정 배향 지수 (Amorphous Orientation Factor, AOF)가 0.15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미연신사를 얻고, 이를 연신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PET 연신사가 제조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PET 미연신사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절된 용융 방사 조건 하에 제조되어 이전에 알려진 PET 미연신사보다 결정화 정도가 높게 된 것으로,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의 결정화도를 나타낸다.
이와 동시에, 상기 PET 미연신사는 이전에 알려진 PET 미연신사에 비해 크게 낮은 0.1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15의 비결정 배향 지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높은 결정화도 및 낮은 비결정 배향 지수를 나타내는 PET 미연신사는 발달된 결정 구조를 나타내면서도, 이와 동시에, 비결정 영역의 분자 체인들이 방사 공정 중의 미끌어짐으로 인해 미세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면서 단위 부피당 많은 가교 결합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PET 미연신사는 발달된 결정 구조를 가지면서도, 비결정 영역의 체인들이 헝클어진 정도가 높고 다수의 가교 결합으로 인한 긴장된 구조를 띠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PET 미연신사로부터 제조된 PET 연신사 및 타이어 코오드는 높은 수축 응력 및 모듈러스와 낮은 수축율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PET 미연신사를 이용함에 따라, 상술한 물성(예를 들어, 열처리 전 또는 후의 낮은 신장율 및 신장율 차이 등)을 나타내는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PET 연신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PET 연신사의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PET 연신사의 제조 방법에서는, 먼저, PET를 용융 방사하여 상술한 높은 결정화도 및 낮은 비결정 배향 지수를 나타내는 PET 미연신사를 제조한다.
이때, 이러한 결정화도 및 비결정 배향 지수를 충족하는 PET 미연신사를 얻기 위해, 보다 높은 방사 장력 하에서 상기 용융 방사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융 방사 공정은 0.85g/d 이상, 바람직하게는 0.85 내지 1.2g/d의 방사 장력 하에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높은 방사 장력을 얻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PET를 용융 방사하는 속도를 3800 내지 5000 m/min으로 조절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4500m/min으로 조절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이러한 높은 방사 장력 및 선택적으로 높은 방사 속도 하에 PET의 용융 방사 공정을 진행함에 따라, 상기 PET 미연신사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더 높은 에너지가 가해져 PET 섬유의 분자 체인들이 미세 네트워크 구조 및 다수의 가교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발달된 결정 구조 및 우수한 배향 특성을 가진 PET 미연신사가 형성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즉, 이러한 높은 방사 장력 및 선택적으로 높은 방사 속도 하에서, PET의 배향 결정화 현상이 나타나면서 결정화도가 높아지고, PET 섬유를 이루는 분자 체인들이 방사 공정 중에 미끌어지면서 미세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해, 상술한 결정화도 및 비결정 배향 지수를 충족하는 PET 미연신사가 얻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방사 속도를 5000 m/min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실현이 용이치 않고 과다한 방사 속도로 인해 상기 냉각 공정을 진행하기도 어렵다.
또한, 이러한 PET 미연신사의 제조 공정에서는, 0.8 내지 1.3 dl/g의 고유점 도를 가지며 90몰% 이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칩을 상기 PET로서 용융 방사할 수 있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PET 미연신사의 제조 공정에서는 보다 높은 방사 속도 및 방사 장력의 조건을 부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건 하에서 상기 방사 단계를 바람직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칩의 고유점도가 0.8 d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칩의 용융온도 상승에 따른 분자쇄 절단과 방사팩에서의 토출양에 의한 압력 증가를 막기 위해서는 고유점도가 1.3 dl/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칩은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2.0 내지 4.0 데니어(d),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 데니어(d)로 되도록 고안된 구금을 통하여 방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사 중 사절의 발생 및 냉각 시 서로간의 간섭에 의하여 사절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모노필라멘트의 데니아가 2.0 데니어(d) 이상은 되어야 하며, 방사 드래프트를 높여 충분히 높은 방사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4.0 데니어(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ET를 용융 방사한 후에는 냉각 공정을 부가하여 상기 PET 미연신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공정은 15 내지 60℃의 냉각풍을 가하는 방법으로 진행함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냉각풍 온도 조건에 있어서 냉각 풍량을 0.4 내지 1.5m/s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위 높은 결정화도 및 낮은 비결정 배향 지수를 나타내는 PET 미연신사를 보다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방사 단계를 통해 상술한 결정화도 및 비결정 배향 지수를 충 족하는 PET 미연신사를 제조한 후에는, 이러한 미연신사를 연신하여 연신사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연신 공정은 1.0~1.55의 연신비 조건 하에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PET 미연신사는 결정 영역이 발달되어 있으며, 비결정 영역의 체인들 또한 배향 정도가 낮고 미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1.55를 넘는 높은 연신비 조건 하에서 상기 연신 공정을 진행하면, 상기 연신사에 절사 또는 모우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위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PET 연신사 역시 바람직한 물성을 나타내기 어렵다. 그리고, 비교적 낮은 연신비 하에서 연신 공정을 진행하면, 이로부터 제조된 PET 연신사 및 타이어 코오드의 강도가 일부 낮아질 수 있다. 다만, 1.0 이상의 연신비 하에서는, 예를 들어, 캡플라이용 코오드 등에 적용되기에 적합한 6g/d 이상의 강도를 나타내는 PET 타이어 코오드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상기 연신 공정은 1.0~1.55의 연신비 조건 하에서 바람직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신 공정에서는, 상기 미연신사를 대략 160℃ 이상 240℃ 미만의 온도로 열처리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신 공정의 적절한 진행을 위해 200℃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미연신사를 열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PET 연신사는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반 물성, 즉, 예를 들어, 열처리 전 또는 후의 낮은 신장율 및 신장율 차이 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술한 PET 연신사를 포함하는 PET 타이어 코오드가 제공된다.
이러한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PET 타이어 코오드는 온도 및 하중별로 작은 신장율 및 신장율 차이를 나타내어 우수한 모듈러스 및 형태안정성을 가지는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PET 연신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PET 타이어 코오드 역시도 뛰어난 모듈러스 및 형태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 속도가 갑자기 높아져 이에 걸리는 온도 또는 하중이 급격히 높아지더라도 그 외관 형태의 변형이 거의 없다. 따라서, 상기 타이어 코오드를 사용하면 차량의 주행 속도가 갑자기 높아지더라도 타이어 코오드의 변형에 따른 타이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의 고속 주행 성능과 함께 차량의 조정성 및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PET 타이어 코오드는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캡플라이용 코오드와 동등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PET 타이어 코오드는 통상적인 캡플라이용 코오드의 형태에 따라 코오드당 총 섬도가 1000 내지 5000 데니어(d)이고, 플라이의 수가 1 내지 3이고, 꼬임수가 200 내지 500 TPM인 딥코오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PET 타이어 코오드는 5 내지 8g/d의 강도,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의 중신(4.5kgf 하중에서의 신율), 10 내지 25%의 절신 및 0.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의 수축율(177℃, 30g, 2min)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오드가 이러한 범위의 강도 또는 신율 등의 제반 물성을 나타냄에 따라, 캡플라이용 코오드로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ET 타이어 코오드는 공기주입식 타이어의 캡플라이용 코오드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PET 타이어 코오드가 캡플라이용 코오드로 적용된 타 이어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갑자기 높아져 상기 캡플라이용 코오드에 걸리는 온도 또는 하중이 크게 높아지더라도, 상기 캡플라이용 코오드의 외관 형태가 잘 변형되지 않아 타이어 자체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타이어는 높은 고속 주행 성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차량의 조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어 코오드는 캡플라이용 코오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높은 모듈러스, 형태안정성, 강도 또는 신율 등의 제반 물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캡플라이용 코오드가 적용된 타이어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는 상술한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PET 타이어 코오드가 캡플라이용 코오드로 사용되는 경우를 주로 상정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PET 타이어 코오드의 용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디플라이용 코오드 등의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PET 타이어 코오드는 통상적인 타이어 코오드의 제조 방법에 따라,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PET 연신사를 합연사한 후 접착제에 침지하여 딥코오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합연사 공정 및 침지 공정은 통상적인 타이어 코오드의 제조 공정 조건 및 방법에 따른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이렇게 제조된 타이어 코오드는 총 섬도가 1000 내지 5000 데니어이고, 플라이가 1 내지 3이고, 꼬임수가 200 내지 500 TPM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제반 물성, 예를 들어, 우수한 형태 안정성 및 모듈러스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PET 연신사는 우수한 모듈러스 및 형태안정성을 나타냄에 따라, 이에 걸리는 온도 및 하중이 급격히 높아지더라도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PET 연신사를 사용하면, 차량의 속도가 갑자기 높아지더라도 그 자체 및 그를 포함한 타이어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타이어 코오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PET 연신사 및 이를 포함한 타이어 코오드를 사용하여, 타이어의 고속 주행 성능과 함께 차량의 조정성 및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예시로서 제시된 것에 불과하다.
실시예 1 내지 5 (PET 미연신사의 제조)
소정의 고유점도를 갖는 PET 중합체를 용융 방사하고 냉각하는 방법으로 실시예 1 내지 5의 PET 미연신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PET 중합체의 고유점도와, 용융 방사 공정시의 방사 속도 및 방사 장력 조건은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나머지 조건은 PET 미연신사의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조건에 따랐다.
[표 1]
실시예 1 2 3 4 5
고유점도(dl/g) 1.05 1.05 1.05 1.05 1.20
방사속도(m/min) 3800 4000 4200 4500 4200
방사장력(g/d) 0.86 0.92 1.03 1.15 1.08
비교예 1 (PET 미연신사의 제조)
1.05 dl/g의 고유점도를 갖는 PET 중합체를 사용하고, 3000m/min의 방사 속도 및 0.6g/d의 방사 장력 조건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의 PET 미연신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미연신사에 대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결정화도 및 비결정 배향 지수(AOF)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물성은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 결정화도: CI4, n-헵탄을 사용하여 밀도 구배관을 제조한 후 밀도를 측정하고 하기의 계산식을 사용하여 결정화도를 측정하였다.
PET 결정화도(%) =
Figure 112009019260865-pat00001
(이때, PET의 경우에는 ρa = 1.336 및 ρc = 1.457의 상수이다.)
- AOF: 편광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된 복굴절율과, XRD로부터 측정된 결정 배향 지수(COF)를 사용하여 하기의 식을 통해 AOF를 산출하였다.
AOF = (복굴절율 - 결정화도(%) * 0.01 * 결정 배향 지수(COF) * 0.275)/((1 - 결정화도(%) * 0.01) * 0.22)
[표 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결정화도(%) 28 30 33 36 33 9
AOF 0.120 0.093 0.054 0.009 0.061 0.218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높은 방사 장력 및 방사 속도 하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의 미연신사는 높은 결정화도 및 낮은 비결정 배향 지수 등을 가지며 발달된 결정 구조 및 우수한 배향 특성을 나타내는데 비해, 비교예 1의 미연신사는 이러한 특성을 충족하지 못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내지 10 (PET 연신사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미연신사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연신비로 연신한 후 180℃에서 열처리하여 실시예 6 내지 10의 PET 연신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PET 연신사의 제조)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미연신사를 이용하고 2.8의 연신비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 내지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의 PET 연신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나일론 66 섬유를 이용한 연신사의 제조)
상대점도 3.3인 나일론 66 중합체를 방사속도 600 m/min으로 용융 방사하고 냉각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고, 이러한 미연신사를 연신비 5.5으로 연신, 열고정 및 권취하여 연신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6 내지 10과 비교예 2 및 3에 따라 제조된 연신사에 대하여 ASTM D885 기준에 의거하여 만능인장시험기를 사용해 온도 및 하중별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온의 온도에서 상기 연신사에 2.0kg/1000d 및 4.5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의 신장율을 각각 측정하고, 상기 연신사를 180 ℃ 및 20g/1000d 초하중 하에서 2분 열처리한 후에, 상기 연신사에 2.0kg/1000d 및 4.5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의 신장율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각 연신사의 온도 및 하중별 신장율을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표 3]
온도 및 하중 실시예 6
(신장율;%)
실시예 7
(신장율;%)
실시예 8
(신장율;%)
실시예 9
(신장율;%)
실시예 10
(신장율;%)
미연신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연신비 1.54 1.46 1.39 1.30 1.39
열처리 전
(상온)
2.0kg/1000d 2.5 2.4 2.3 2.1 2.3
4.5kg/1000d 6.2 6.1 6.0 5.8 6.1
열처리 후
(180℃, 2분)
2.0kg/1000d 6.6 6.3 5.8 5.6 6.0
4.5kg/1000d 13.0 12.7 12.4 11.9 12.7
[표 4]
온도 및 하중 비교예 2
(신장율; %)
비교예 3
(신장율; %)
미연신사 비교예 1 나일론 66
연신비 2.8 5.5
열처리 전
(상온)
2.0kg/1000d 2.8 6.8
4.5kg/1000d 6.2 10.9
열처리 후
(180℃, 2분)
2.0kg/1000d 9.0 9.9
4.5kg/1000d 16.4 17.1
상기 표 3 및 4를 참조하면, 높은 결정화도 및 낮은 비결정 배향 지수를 나타내는 PET 미연신사로부터 얻어진 실시예 6 내지 10에 따른 PET 연신사는 온도 및 하중별 신장율 자체도 비교예 2 및 3의 연신사에 비해 작을 뿐 아니라, 온도 및 하중별 신장율 차이도 비교예 2의 연신사에 비해 작음이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실시예 6 내지 10의 PET 연신사는 이에 걸리는 온도 및 하중의 급격히 높아져도 형태 변형의 거의 일어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6 내지 10의 PET 연신사는 우수한 형태안정성을 가지므로, 이를 이용해 차량의 주행 속도가 갑자기 높아져도 그 자체 및 그를 포함한 타이어의 변형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타이어 코오드의 제공을 가능케 함이 확인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타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Claims (8)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90몰% 이상 포함하고, 180 ℃ 및 20g/1000d 초하중 하에서 2분 열처리한 후에, 2.0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 5.0~7.0%의 신장율을 나타내고, 4.5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 11.0~14.0%의 신장율을 나타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전에, 2.0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 2.0~2.6%의 신장율을 나타내고, 4.5kg/1000d의 하중을 주었을 때 5.0~7.0%의 신장율을 나타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연신사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4. 제 3 항에 있어서,
    5 내지 8g/d의 강도, 1.5 내지 5.0%의 중신(@4.5kgf) 및 10 내지 25%의 절신을 나타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5. 제 3 항에 있어서,
    총 섬도 1000 내지 5000 데니어, 1 내지 3 플라이 및 200 내지 500 TPM인 폴 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6. 제 3 항에 있어서,
    캡플라이용 코오드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7. 제 3 항에 따른 타이어 코오드를 포함하는 공기주입식 타이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오드를 캡플라이에 적용한 공기주입식 타이어.
KR1020090027234A 2008-03-31 2009-03-3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및 타이어 KR101231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1647 WO2009123413A2 (en) 2008-03-31 2009-03-31 Draw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ber, pet tire cord, and tire comprising thereof
EP09726815A EP2257663B1 (en) 2008-03-31 2009-03-31 Draw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ber, pet tire cord, and tire comprising thereof
EP12156699.6A EP2458047B1 (en) 2008-03-31 2009-03-31 Draw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ber, PET tire cord, and tire comprising thereof
PL09726815T PL2257663T3 (pl) 2008-03-31 2009-03-31 Rozciągane włókno z poli(tereftalanu etylenu) (PET), kord oponowy z PET i opona zawierająca ten kord
CN2009801108415A CN101981240B (zh) 2008-03-31 2009-03-31 被拉伸的聚对苯二甲酸乙二醇酯(pet)纤维、pet轮胎帘线及包含pet轮胎帘线的轮胎
US12/935,509 US9045589B2 (en) 2008-03-31 2009-03-31 Drawn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pet tire cord, and tire comprising thereof
US14/078,047 US9441073B2 (en) 2008-03-31 2013-11-12 Drawn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pet tire cord, and tire compri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60 2008-03-31
KR20080029560 2008-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747A KR20090104747A (ko) 2009-10-06
KR101231094B1 true KR101231094B1 (ko) 2013-02-07

Family

ID=4153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234A KR101231094B1 (ko) 2008-03-31 2009-03-3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및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590B1 (ko) * 2010-09-17 2014-05-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40352273A1 (en) * 2011-12-30 2014-12-04 Kolon Industries, Inc. Poly(ethyleneterephthalate) drawn fiber, poly(ethyleneterephthalate) tire-co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13B1 (ko) * 1988-05-09 1995-07-20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법
KR20050020885A (ko) * 2003-08-22 2005-03-04 주식회사 효성 힘-변형곡선을 이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이의 제조방법
KR100660488B1 (ko) 2002-05-27 2006-12-22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섬유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80112160A (ko) * 2007-06-20 2008-12-24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이의 제조 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13B1 (ko) * 1988-05-09 1995-07-20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법
KR100660488B1 (ko) 2002-05-27 2006-12-22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섬유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020885A (ko) * 2003-08-22 2005-03-04 주식회사 효성 힘-변형곡선을 이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이의 제조방법
KR20080112160A (ko) * 2007-06-20 2008-12-24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이의 제조 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747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942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및 이를포함하는 타이어
JP5641931B2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延伸糸、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タイヤコード、こ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タイヤ
KR101205944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이의 제조 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1205945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이의 제조 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US9045589B2 (en) Drawn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pet tire cord, and tire comprising thereof
JP5134948B2 (ja) 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20080113034A (ko) 공기입 안전 타이어
KR101231093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미연신사, 연신사,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JP5093874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205948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타이어
KR101231094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및 타이어
KR101231095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코오드 및 타이어
KR101381970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JP4986783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271586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1231096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및 타이어
KR101920703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의 제조방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및 타이어 코오드
KR101205943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오드, 및 이를포함하는 타이어
JP4953639B2 (ja) 高性能空気入りタイヤ
KR101228128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코오드 및 타이어
JP2011084193A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08044396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