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551B1 -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551B1
KR101229551B1 KR1020110069096A KR20110069096A KR101229551B1 KR 101229551 B1 KR101229551 B1 KR 101229551B1 KR 1020110069096 A KR1020110069096 A KR 1020110069096A KR 20110069096 A KR20110069096 A KR 20110069096A KR 101229551 B1 KR101229551 B1 KR 10122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unit
rear support
display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383A (ko
Inventor
어식
Original Assignee
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식 filed Critical 어식
Priority to KR102011006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551B1/ko
Priority to CN201280034378.2A priority patent/CN103650481A/zh
Priority to PCT/KR2012/002486 priority patent/WO2012157846A2/ko
Publication of KR2013000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551B1/ko
Priority to US14/073,203 priority patent/US916719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상하로 연결되는 후방 지지부재와, 디스플레이장치와,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장치를 적어도 2축 방향으로 위치이동 및 자세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디스플레이장치 및 후방 지지유닛에 설치되는 음향 출력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되며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살균유닛 및 지지유닛, 음향 출력장치, 살균유닛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베이스부재 위에는 침대, 매트리스, 이불 등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누운 자세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시스템{A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 등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자유롭게 디스플레이를 감상할 수 있으며, 건강상 유익한 기능들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LCD, PDP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형 TV가 대부분의 TV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형 TV의 경우에는 종래의 CRT TV에 비하여 고화질은 물론, 대형화가 가능하며, 경량화 및 슬림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형 TV는 각 가정에서는 받침대에 의해 거실이나 방 등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벽걸이용 브라켓장치를 이용하여 벽면에 설치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형 TV의 경우에는, 설치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시청자가 바닥이나, 침대 등에 누운 자세에서는 시야각에 의해 편안하게 시청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통 각 가정에서 침대가 방안에 있고, TV는 거실 등에 설치되거나, 벽에 설치되는 것을 감안하였을 때,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는 벽 등에 설치된 TV와는 너무 멀게 이격되므로, 편안하게 시청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음향을 제대로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청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충분한 음향효과를 누리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침대에서의 사용자의 상태를 안락하고, 청정한 상태로 유지해주기 위한 수단들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오랜 시간 침대에서 생활하는 동안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개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침대 등에 누운 상태에서도 TV 시청을 편안하게 할 수 있으며, 안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상하로 연결되는 후방 지지부재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적어도 2축 방향으로 위치이동 및 자세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후방 지지유닛에 설치되는 음향 출력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되며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살균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 상기 음향 출력장치, 상기 살균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는 침대, 매트리스, 이불 등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누운 자세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기둥과; 상기 메인 기둥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기둥과; 상기 승강 기둥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장 설치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자세 변경 가능하게 연결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메인 기둥에 대해 상기 승강 기둥을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승강 기둥에 대해 회동 구동시키는 회동구동부와; 상기 회동구동부에 대해 상기 연장부재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상하 및 좌우 방향 각각으로 각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공기조화기능이 제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후방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적외선 스캔하여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조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스피커와;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스피커; 및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전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제3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원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지지유닛, 살균유닛, 공기청정기, 적외선 체온측정기 및 음향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리모트콘트롤러와; 상기 지지유닛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위치 및 초기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세팅부와; 상기 세팅부에서 세팅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팅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온/오프 구동시 상기 지지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세팅위치로 자동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변경하는 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는 TV 화면 또는 PC 화면이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침대, 매트리스 또는 요 등의 잠자리에 누워서 TV 시청 또는 PC 등의 화면을 볼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편안한 자세로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잠자리 등에 누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실내조명을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잠자리에 누운 사용자에게만 집중적으로 조명을 제공하여 타인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사용자는 편안하게 TV시청 또는 PC 등의 화면을 이용할 수 있고, 분위기 있는 조명을 원할 때는 은은한 조명을 제공하여 용도 및 기호에 맞게 조명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위치 및 초기위치 세팅이 가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자동으로 사용위치 및 초기위치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사용시마다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청정장치, 자외선 살균유닛 및 적외선 체온측정기를 부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청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체온을 측정하여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부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와 후방 지지부재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모트 콘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베이스부재(11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일단에 설치되는 후방 지지부재(120)와, 후방 지지부재(120)에 설치되는 지지유닛(130)과, 상기 지지유닛(130)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장치(140)와, 살균유닛(145)과, 음향출력장치(150)와, 제어장치(16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빈 공간(111)이 형성(도 3 참조)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 지지부재(120)를 통해 전달되는 음향진동이 빈 공간(111) 내로 전달되면서 진동효과를 발휘하게 되어, 음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일단에는 후방 지지부재(12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부재(112,113)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재(112,113)는 베이스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뒤 결합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베이스부재(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 또는 매트리스(10)의 밑에 깔아서 설치된다.
상기 후방 지지부재(120)는 베이스부재(110)의 일단에 상하로 직립되게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재(112,113)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러한 후방 지지부재(120)도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부재(112,113)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121,12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1,123)는 결합공 또는 결합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부재(120)와 베이스부재(110)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로킹유닛으로서, 후방 지지부재(120) 내부에는 복수의 로킹후크(126a)를 가지는 로킹부재(126)와, 로킹부재(126)를 로킹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127)과, 로킹부재(126)를 로킹 해제위치로 강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후방 지지부재(120)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해제버튼(125) 및 상기 결합부재(112,113) 각각에 형성되는 로킹부(112a,113a)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재들(112,113)을 결합부(121,123)로 삽입되도록 결합하게 되면, 결합부재들(112,113)의 로킹부(112a,113a) 즉, 로킹홈에 로킹후크(126a)가 삽입되어 로킹결합되고, 로킹결합된 상태는 스프링(127)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결합부재들(112,113)을 결합부(121,123)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후방 지지부재(120)의 측면으로 돌출된 해제버튼(125)을 강제로 눌러서 로킹후크(126a)가 로킹부(112a,113a)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상태에서 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유닛(130)은 후방 지지부재(12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기둥(131)과, 상기 메인 기둥(131)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기둥(132)과, 상기 승강 기둥(13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133)와, 상기 회동부재(133)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장 설치되는 연장부재(134) 및 연장부재(134)의 단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자세 변경 가능하게 연결지지하는 연결부재(135)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기둥(131)은 후방 지지부재(120)의 일측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메인 기둥(131)에는 리모트 콘트롤러(161)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31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둥(131)에는 승강 기둥(132)이 상하로 슬라이딩 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 부재(13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 기둥(132)은 메인 기둥(131) 내에 설치되는 별도의 승강구동부(171)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구동부(171)는 상기 제어장치(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171)는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니어모터, 또는 스핀들모터에 연결된 리드스크류를 이용하여 승강 기둥(132)을 승강시키는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기둥(132)의 상부에는 회동부재(13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동부재(133)는 평상시에는 디스플레이장치(140)를 도 1과 같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사용자가 도 3과 같이 침대 위에 누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시청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시선 전방으로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동부재(133)는 회동구동부(172)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회동구동부(172)는 승강 기둥(132)에 설치되어 구동시 회동부재(133)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핀들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열이 스핀들모터와 회동부재(133) 사이에 설치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회동구동부(172)의 기술 구성 또한 산업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구성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도면 및 기술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장부재(134)는 회동부재(133)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대략 중간 부분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재(134)도 왕복구동부(173)에 의해 회동부재(133)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왕복구동부(173)는 승강구동부(17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133)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왕복구동부(173) 및 회동구동부(172)도 제어장치(16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134)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135)가 설치되어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자세 변경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35)는 상기 연장부재(134)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상하 및 좌우 방향 각각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각도조절 구동부(17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 구동부(174)는 일반적으로 방범용 CCTV 카메라의 팬/틸팅 구동을 위해 설치되는 팬/틸팅 장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팬/틸팅장치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기술구성이므로, 자세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 구동부(174)도 제어장치(16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제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40)는 LCD TV, PDP TV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사이즈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전방으로 화면이 노출되도록 연결부재(135)에 디스플레이장치(140)의 배면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40)와 연결부재(135)의 연결 관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팬/틸팅 장치와 같은 각도조절 구동부(174)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 좌우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고, 수동으로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살균유닛(145)은 자외선 램프 또는 적외선 램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형태 및 배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나오는 파장을 이용해 침대 또는 매트리스 등이 놓인 잠자리 등에 서식하는 각종 유해세균 및 미생물을 살균 및 소독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자외선은 인체가 과도하게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피부암 등의 부작용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직접 조사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침대를 이용하지 않는 시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및 소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청결한 상태의 매트리스 또는 이부자리 등의 잠자리에 들 수 있게 된다.
적외선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은 가시광선이나 자외선과 같은 전자기파로서,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다. 적외선의 주파수가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의 고유진동수와 거의 같은 정도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물질에 적외선이 부딪히면 전자기적 공진현상을 일으켜 적외광파의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물질에 흡수된다. 즉, 이러한 열 작용은 인체를 대상으로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사용자의 건강, 미용 및 질병예방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살균유닛(145)의 살균 시간 세팅, 자외선 램프 및 적외선 램프의 온/오프 등은 제어장치(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장치(150)는 제1스피커(151), 제2스피커(152) 및 제3스피커(15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스피커(151)는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양측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스피커(151)는 디스플레이장치(140)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2스피커(152)는 후방 지지부재(120)의 상단에 복수 지점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제2스피커(152)는 사용자의 후방에서 음향을 출력하여 음향효과를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스피커(153)는 후방 지지부재(120)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3스피커(153)는 우퍼스피커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스피커(153)에서 발생되는 음향주파수는 상기 결합부재(113)를 통해 베이스부재(110)로 전달될 수 있으며, 따라서 베이스부재(110) 내의 공간(111)을 통해 음향주파수가 진폭을 확장시켜 사용자에게 웅장하면서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음향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내지 제3스피커(151,152,153) 각각의 음향 출력크기는 상기 제어장치(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부재(120)에는 공기청정장치(21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오염된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정화된 신선한 공기로 바꿔주므로 사용자는 쾌적하고 청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 조명을 비추는 조명장치(1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180)는 제1조명(181) 및 제2조명(182)을 구비한다.
제1조명(181)은 후방 지지부재(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방 지지부재(120)의 전방으로 조명을 비추게 된다. 이러한 제1조명(181)은 침실의 은은한 분위기를 원할 때 즉, 주로 무드등의 조명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2조명(182)는 별도의 브라켓 등에 의해 메인 기둥(13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하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조명(182)은 독서를 하거나, TV 또는 PC 등의 디스플레이 등을 시청할 경우 즉, 집중적으로 밝은 조명을 원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조명장치(180)는 LED 조명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160)의 제어동작에 의해 온/오프 구동 가능하고, 또한, 조명장치(180)의 조명광의 조도를 제어장치(160)에서 제어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40)에는 체온 측정기(2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체온 측정기(220)는 적외선을 스캔하여 체온을 감지 및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체온 측정기(22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브라켓 등에 의해 메인 기둥(13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하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온 측정기(220)는 제어장치(160)의 제어동작에 의해 온/오프 구동 가능하다. 또한, 후방 지지부재(120) 및 지지유닛(130) 등에 다양하게 설치가능하다.
상기 제어장치(160)는 리모트 콘트롤러(161)와, 세팅부(162), 저장부(163) 및 제어부(164)를 구비한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161)는 상기 승강구동부(171)를 제어하기 위한 제1조작부(161a)와, 회동구동부(172)를 제어하기 위한 제2조작부(161b)와, 왕복구동부(173)를 제어하기 위한 제3조작부(161c)와, 각도조절 구동부(174)를 제어하기 위한 제4조작부(161d)와,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스위치(161e)와, 조명장치(180)의 온/오프 및 조도조절을 위한 조명조작부(161f)와, 살균유닛(145)의 온/오프 및 살균시간 조절을 위한 살균조작부(161g)와, 체온측정기(220)의 온/오프 및 스캔각도 조절을 위한 체온측정조작부(161h)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리모트 콘트롤러(161)에는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이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세팅부(162)는 디스플레이장치(140)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161)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한 후방 지지부재(120) 등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세팅부(162)는 사용자가 지지유닛(130)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시청위치를 설정한 후, 이 설정된 시청위치를 사용자별로 세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리모트 콘트롤러(16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세팅부(162)를 조작함으로써 위치값을 세팅할 수 있다. 그리고 세팅부(162)에서 세팅된 정보는 상기 저장부(163)에 사용자별로 저장됨으로써, 사용자별로 미리 세팅된 위치값에 따라서 또는 가장 최근에 세팅된 위치값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온/오프 동작시 세팅위치로 이동되고, 초기위치(도 1의 상태)로 복귀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4)는 리모트 콘트롤러(161)에서 발생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승강구동부(171), 회동구동부(172), 왕복구동부(173), 각도조절 구동부(174), 음향 출력장치(150), 디스플레이장치(140), 살균유닛(145) 및 체온측정기(2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온 또는 오프 동작시 미리 세팅된 위치로 디스플레이장치(140)가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오프 동작시 초기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위치를 세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16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40)의 높이, 길이, 회전각도, 자세 등을 조정한 이후에, 스위치(161e)의 온버튼부를 약 3초간 누르면 현상태가 자동저장된다. 따라서 다음부터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온시킬 경우에는, 제어부(164)는 미리 저장된 세팅정보를 근거로 하여 모든 구동부가 자동으로 구동제어되어 세팅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40)를 도 1a와 같이 초기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스위치(161e)의 오프버튼부를 약 3초간 누르면, 제어부(164)는 현상태의 위치값을 자동으로 저장하여 세팅된다. 따라서 다음부터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164)는 디스플레이장치(140)를 미리 저장된 세팅값에 따라서 초기위치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하면, 침대에 설치하거나, 또는 그 베이스부재(110) 위에 매트리스나 이불 등을 덮은 상태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침대, 매트리스 또는 요 등에 누워서 TV 시청이나 PV 화면을 볼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편안한 자세로 디스플레이장치(140,14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40,140')의 사용뿐만 아니라, 살균유닛(145), 공기청정장치(210) 및 체온측정기(22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 체크 및 쾌적한 상태로 잠자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잠자리 등에 누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40,140')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거실, 방 등에 설치된 조명을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잠자리에 누운 사용자에게만 집중적으로 조명을 제공하여 타인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편안하게 TV시청 또는 PC 화면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40,140')의 사용위치 및 초기위치를 세팅하여 둠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40,140')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사용위치 및 초기위치로 자동으로 위치조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사용시마다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베이스부재 120..후방 지지부재
130..지지유닛 140,140'..디스플레이장치
145..살균유닛 150..음향 출력장치
160..제어장치 180..조명장치
210..공기청정장치 220..체온측정기

Claims (9)

  1.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상하로 연결되는 후방 지지부재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적어도 2축 방향으로 위치이동 및 자세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후방 지지유닛에 설치되는 음향 출력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되며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살균유닛;
    상기 지지유닛, 상기 음향 출력장치, 상기 살균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후방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적외선 스캔하여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기;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는 침대, 매트리스, 이불 등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누운 자세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기둥과;
    상기 메인 기둥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기둥과;
    상기 승강 기둥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장 설치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자세 변경 가능하게 연결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메인 기둥에 대해 상기 승강 기둥을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승강 기둥에 대해 회동 구동시키는 회동구동부와;
    상기 회동구동부에 대해 상기 연장부재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상하 및 좌우 방향 각각으로 각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공기조화기능이 제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조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스피커와;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스피커; 및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전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제3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원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지지유닛, 살균유닛, 공기청정기, 적외선 체온측정기 및 음향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리모트콘트롤러와;
    상기 지지유닛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위치 및 초기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세팅부와;
    상기 세팅부에서 세팅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팅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온/오프 구동시 상기 지지유닛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세팅위치로 자동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변경하는 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는 TV 화면 또는 PC 화면이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10069096A 2011-05-13 2011-07-12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22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096A KR101229551B1 (ko) 2011-07-12 2011-07-12 디스플레이 시스템
CN201280034378.2A CN103650481A (zh) 2011-05-13 2012-04-03 显示系统
PCT/KR2012/002486 WO2012157846A2 (ko) 2011-05-13 2012-04-03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4/073,203 US9167192B2 (en) 2011-05-13 2013-11-06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096A KR101229551B1 (ko) 2011-07-12 2011-07-12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383A KR20130008383A (ko) 2013-01-22
KR101229551B1 true KR101229551B1 (ko) 2013-02-05

Family

ID=4783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096A KR101229551B1 (ko) 2011-05-13 2011-07-12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5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784A (ja) * 1996-05-08 1997-11-18 Toransapooto:Kk 病院等における看護システム
JPH11167459A (ja) 1997-12-04 1999-06-22 Isao Shirayanagi システムパソコン
JP2003330571A (ja) * 2002-05-09 2003-11-21 Sbs Joho System:Kk ベッドサイド端末
KR20050099402A (ko) * 2004-04-10 2005-10-13 (주)하드램 건강 침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784A (ja) * 1996-05-08 1997-11-18 Toransapooto:Kk 病院等における看護システム
JPH11167459A (ja) 1997-12-04 1999-06-22 Isao Shirayanagi システムパソコン
JP2003330571A (ja) * 2002-05-09 2003-11-21 Sbs Joho System:Kk ベッドサイド端末
KR20050099402A (ko) * 2004-04-10 2005-10-13 (주)하드램 건강 침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383A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192B2 (en) Display system
US9226593B2 (en) System of adjustable bed control via a home network
US9737155B2 (en) System for tandem bed communication
CA30547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ontrolled environment
CN102068370A (zh) 一种集休息娱乐一体式多媒体生活仓
KR101328144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229551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235787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JPH0666932B2 (ja) 画像投影装置
JP2914568B1 (ja) テレビ取付け装置及びテレビ付き床頭台
JP2009005746A (ja) ベッド
JPH07109477B2 (ja) 液晶画像表示装置
KR102093277B1 (ko)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다기능 베드쇼파
JP2007295497A (ja) 前後チルト機能付電動リフト式テレビ設置台
CN212613957U (zh) 一种多功能休息床
KR100875552B1 (ko) 플로팅 침대
JP2003298978A (ja) 映像投射システム
JP7118104B2 (ja) 寝台装置
KR20150004567A (ko) 자동 살균 기능을 갖는 침대 및 그 침대를 이용하는 살균 방법
JP2016180876A (ja) 映像投影システムを備えた寝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