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144B1 -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144B1
KR101328144B1 KR1020120020270A KR20120020270A KR101328144B1 KR 101328144 B1 KR101328144 B1 KR 101328144B1 KR 1020120020270 A KR1020120020270 A KR 1020120020270A KR 20120020270 A KR20120020270 A KR 20120020270A KR 101328144 B1 KR101328144 B1 KR 101328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unit
rear support
base memb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617A (ko
Inventor
어식
Original Assignee
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식 filed Critical 어식
Priority to KR102012002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144B1/ko
Priority to CN201280034378.2A priority patent/CN103650481A/zh
Priority to PCT/KR2012/002486 priority patent/WO2012157846A2/ko
Publication of KR2013009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617A/ko
Priority to US14/073,203 priority patent/US916719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pan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상하로 연결되는 후방 지지부재와, 디스플레이장치와,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장치를 적어도 2축 방향으로 위치이동 및 자세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디스플레이장치 및 후방 지지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음향 출력장치와 지지유닛 음향 출력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베이스부재 위에는 침대 매트리스 이불 등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베이스부재 상부에 누운 자세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시스템{A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 등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자유롭게 디스플레이장치를 감상할 수 있으며, 건강상 유익한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LCD, PDP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형 TV가 대부분의 TV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형 TV의 경우에는 종래의 CRT TV에 비하여 고화질은 물론, 대형화가 가능하며, 경량화 및 슬림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형 TV는 각 가정에서는 받침대에 의해 거실이나 방 등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벽걸이용 브라켓장치를 이용하여 벽면에 설치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형 TV의 경우에는, 설치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시청자가 바닥이나, 침대 등에 누운 자세에서는 시야각에 의해 편안하게 시청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통 각 가정에서 침대가 방안에 있고, TV는 거실 등에 설치되거나, 벽에 설치되는 것을 감안하였을 때,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는 벽 등에 설치된 TV와는 너무 멀게 이격되므로, 편안하게 시청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음향을 제대로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청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충분한 음향효과를 누리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침대에서의 사용자의 상태를 안락하고, 청정한 상태로 유지해주기 위한 수단들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오랜 시간 침대에서 생활하는 동안 주변 환경을 개선하기 어려워 건강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침대 등에 누운 상태에서도 TV 시청을 편안하게 할 수 있으며, 안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상하로 연결되는 후방 지지부재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적어도 2축 방향으로 위치이동 및 자세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음향 출력장치와; 상기 지지유닛, 상기 음향 출력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는 침대, 매트리스 또는 이불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누운 자세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쪽으로 조명을 비춰주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조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 지지부와; 상기 조명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조명; 및 상기 조명의 온/오프를 선택하는 조명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은 일반조명과, 싸이키조명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명 스위치의 조작 신호에 따라서 상기 일반조명과 사이키조명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메인 기둥과; 상기 메인 기둥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기둥과; 상기 승강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도 조절 가능한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가지는 회동조립체와; 상기 회동조립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 기둥에 대해 상기 승강 기둥을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회동조립체를 상기 승강 기둥에 대해 회동 구동시키는 회동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를 침대에 설치시 상기 보조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침대 높이에서의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원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지지유닛, 음향 출력장치 및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와; 상기 지지유닛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위치 및 초기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세팅부와; 상기 세팅부에서 세팅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팅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온/오프 구동시 상기 지지유닛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세팅위치로 자동 이동시키고,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서 멈춤 입력신호시 세팅위치로의 이동동작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되며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살균유닛과;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공기조화기능이 제어가능한 공기청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회동구동부의 구동시 설정된 회동부하 이상의 부하발생시 상기 회동구동부의 구동을 강제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침대, 매트리스 또는 요 등의 잠자리에 누워서 TV 시청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편안한 자세로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잠자리 등에 누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실내 조명을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잠자리에 누운 사용자에게만 집중적으로 조명을 제공하여 타인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사용자는 편안하게 TV시청을 할 수 있고, 분위기 있는 조명이나 황홀한 조명을 원할 경우에는 용도 및 기호에 맞게 제어하여 조명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위치 및 초기위치 세팅이 가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자동으로 사용위치 및 초기위치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사용시마다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청정장치, 살균유닛 등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청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베이스부재와 후방 지지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베이스부재(110)와, 베이스부재(110)의 일단에 설치되는 후방지지부재(120)와, 후방지지부재(120)에 설치되는 지지유닛(130)과, 상기 지지유닛(130)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장치(140)와, 살균유닛(150), 음향출력장치(160), 제어장치(170), 공기 청정장치(180), 조명장치(19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공간(111)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후방 지지부재(120)를 통해 전달되는 음향진동이 베이스부재(110)의 빈 공간(111) 내로 전달되면서 진동효과를 발휘하게 되어, 음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베이스부재(110)의 일단에는 후방 지지부재(12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부재(112,11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12,113)는 베이스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뒤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베이스부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20) 위에 설치되며, 그 위에 매트리스(10)가 놓일 수 있다. 물론, 베이스부재(110)는 바닥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위에 매트리스(10)를 올려놓고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후방 지지부재(120)는 베이스부재(110)의 일단에 상하로 직립되거나,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결합부재(112,113)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후방 지지부재(120)도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하단부에는 결합부재(112,113)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121,12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1,123)는 결합공 또는 결합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결합부재(112,113)를 결합부(121,123)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결합부재(112,113) 및 결합부(121,123) 각각에 형성된 체결공(112a,113a)(121a,123a)에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후방지지부재(120)를 베이스부재(1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합방법 이외에도, 베이스부재(110)와 후방지지부재(120)의 결합방법은 다양한 예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지지부재(12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받침대(12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받침대(125)는 도 1과 같이 베이스부재(110)를 침대(20) 위에 설치할 경우에, 침대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조절하여, 후방 지지부재(120)의 하중을 바닥에 대해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 받침대(125)는 후방 지지부재(120)의 장착부(126)에 나사 결합되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조립시에는 나사 결합정도에 따라서 보조 받침대(125)의 높이를 침대(20) 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유닛(130)은 후방 지지부재(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 기둥(131)과, 메인 기둥(131)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기둥(132)과, 승강 기둥(13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조립체(133)와, 상기 회동조립체(133)와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4)를 구비한다.
메인 기둥(131)에는 승강 기둥(132)이 상하로 슬라이딩 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조립체(13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승강기둥(132)은 메인 기둥(131) 내에 설치되는 별도의 승강 구동부(211)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 구동될 수 있으며, 승강구동부(211)는 제어장치(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211)는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니어모터, 또는 스핀들모터에 연결된 리드스크류를 이용하여 승강기둥(132)을 승강시키거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승강기둥(132)을 승강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승강기둥(132)의 상부에는 회동조립체(13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조립체(133)는 평상시에는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위치를 후방 지지부재(120)로부터 이격시키거나 접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관절부(133a)와 링크부(133b)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절부(133a) 각각은 제어장치(170)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됨으로써, 링크부(133b)들 간의 각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관절부(133a) 각각에는 회동구동부(212)가 설치됨으로써,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회동구동부(212)는 관절부(133a)마다 설치되는 스핀들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핀들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열이 스핀들모터 링크부(133b)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관절부(133a)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링크부들(133b) 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관절부(133a)에 의해 연결된 링크부들(133b)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스핀들모터가 고정되고, 다른 링크부에는 스핀들모터의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기어열을 통해 전달받는 종동기어부가 고정됨으로써, 링크부들(133b)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핀들모터의 구동시 구동축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서 스핀들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킴으로써, 관절부(133a)가 완전히 꺾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회동구동부(212)의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장치(170)에서 제어할 수도 있다. 즉, 관절부(133a)가 완전히 꺾여서 더 이상 회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핀들모터에 설정기준 이상의 부하가 작용하게 되며, 이와 같이 설정기준 이상의 부하가 작용될 경우에는 스핀들모터의 구동을 중지시켜서 관절부(133a) 및 회동구동부(2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구동부(212)의 구성 및 동작기술은 산업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구성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에 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134)는 회동조립체(133)와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연결하되, 회동조립체(133)에 대해서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관절 및 링크부를 가질 수 있으며, 관절 및 링크부의 각도조절은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앞서 설명한 회동조립체(133)의 회동구동을 위한 회동구동부(212)와 같이 제어장치(170)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구동부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40)는 LCD TV, PDP TV, LED TV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사이즈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전방으로 화면이 노출되도록 연결부재(134)에 디스플레이장치(140)의 배면이 연결된다.
상기 살균유닛(150)은 자외선램프 또는 적외선 램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형태 및 배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나오는 파장을 이용해 침대 또는 매트리스 등이 놓인 잠자리 등에 서식하는 각종 유해세균 및 미생물을 살균 및 소독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자외선은 인체가 과도하게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피부암 등의 부작용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직접 조사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침대를 이용하지 않는 시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및 소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청결한 상태의 매트리스 또는 이부자리 등의 잠자리에 들 수 있게 된다.
적외선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은 가시광선이나 자외선과 같은 전자기파로서,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다. 적외선의 주파수가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의 고유진동수와 거의 같은 정도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물질에 적외선이 부딪히면 전자기적 공진현상을 일으켜 적외광파의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물질에 흡수된다. 즉, 이러한 열 작용은 인체를 대상으로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사용자의 건강, 미용 및 질병예방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살균유닛(150)의 살균 시간 세팅, 자외선 램프 및 적외선 램프의 온/오프 등은 제어장치(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장치(160)는 제1 및 제2스피커(161,16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스피커(161)는 한 쌍이 후방 지지부재(1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후방 지지부재(120)에는 스피커 장착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제1스피커(161)를 후방 지지부재(120)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지지부재(120)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받침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2스피커(162)는 후방 지지부재(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매트리스(10)에 일부분이 덮이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음향진동이 매트리스(10)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고, 베이스부재(110) 쪽으로도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후방 지지부재(120)에는 공기청정장치(18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장치(180)는 오염된 공기를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된 신선한 공기로 바꿔주므로 사용자는 쾌적하게 청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장치(180)도 제어장치(17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구비된 스위칭수단에 동작이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장치(190)는 후방 지지부재(120)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 지지부(191)와, 조명 지지부(191)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192,193,194) 및 조명의 온/오프를 선택하는 조명스위치(195)를 구비한다. 상기 조명 지지부(191)는 후방 지지지부재(1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그 조명 지지부(191)에 지지된 조명들(192,193,194)에 의해 조명광이 비치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의 조명(192,193,194)은 서로 다른 종류의 조명광을 출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조명(192)은 일반적인 백색광을 내는 조명으로서, 조명스위치(195)의 조작에 의해서면 온/오프 제어되는 일반적인 조명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조명(193)은 소위 싸이키 조명과 일반조명으로 변환 가능한 조명으로써 조명스위치(195) 또는 제어장치(170)의 조작에 의해 일반조명과 싸이키조명 중 어느 하나로 택일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싸이키조명으로 전환시에는,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온/오프 제어됨으로써 황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나머지 하나의 조명(194)은 취침용 조명으로서 그 조도가 가장 낮은 광을 출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복수의 조명들(192,193,194)은 제어장치(170)의 제어동작에 의해서 조도가 조절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위치에 추가적인 조명이 더 설치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복수의 조명들(192,193,194)은 LED 조명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조명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70)는 리모트 컨트롤러(171)와, 세팅부(172), 저장부(173) 및 제어부(174)를 구비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71)는 상기 승강구동부(211)와, 회동구동부(212), 살균유닛(150), 공기청정장치(180) 및 조명장치(190)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조작버튼을 구비하여 각각의 장치들을 원격에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세팅부(172)는 디스플레이장치(140)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171)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한 후방 지지부재(120) 등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세팅부(172)는 사용자가 지지유닛(130)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시청위치를 설정한 후, 이 설정된 시청위치를 사용자별로 세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7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세팅부(172)를 조작함으로써 위치값을 세팅할 수 있다. 그리고 세팅부(172)에서 세팅된 정보는 상기 저장부(173)에 사용자별로 저장됨으로써, 사용자별로 미리 세팅된 위치값에 따라서 또는 가장 최근에 세팅된 위치값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온/오프 동작시 세팅위치로 이동되고, 초기위치로 복귀이동될 수 있다. 또한, 세팅 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복귀동작시에,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171)를 조작함으로써, 초기위치로의 복귀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74)는 리모트 컨트롤러(171)에서 발생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승강구동부(211), 회동구동부(212), 음향 출력장치(160), 디스플레이장치(140), 살균유닛(150), 공기청정장치(18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온 또는 오프 동작시 미리 세팅된 위치로 디스플레이장치(140)가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오프 동작시 초기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위치를 세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7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40)의 높이, 길이, 회전각도, 자세 등을 조정한 이후에, 리모트 컨트롤러(171)에 스위치의 온버튼부를 약 3초간 누르면 현상태가 자동저장된다. 따라서 다음부터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온시킬 경우에는, 제어부(174)는 미리 저장된 세팅정보를 근거로 하여 모든 구동부가 자동으로 구동제어되어 세팅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71)의 오프버튼부를 약 3초간 누르면, 제어부(174)는 현상태의 위치값을 자동으로 저장하여 세팅된다. 따라서 다음부터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174)는 디스플레이장치(140)를 미리 저장된 세팅값에 따라서 초기위치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74)는 상기 회동구동부(212)를 구동제어하여 회동조립체()를 회동구동시켜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위치를 조절할 때, 회동구동부(212)에 미리 설정된 부하 이상의 크기로 부하가 작용할 경우, 회동구동부(212)를 강제로 정지시킨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사용하다가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때, 또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회동구동부(212)를 구동시킬 때, 디스플레이장치(140)에 사람이 부딪히거나 할 경우, 회동구동부(212)에 일정 부하가 작용하게 되며, 작용하는 부하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에는 제어부(174)는 회동구동부(212)의 고장은 물론, 사람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회동구동부(212)의 구동을 강제로 정지시킨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하면, 침대에 설치하거나, 또는 그 베이스부재(110) 위에 매트리스나 이불 등을 덮은 상태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침대, 매트리스 또는 요 등에 누워서 TV 시청이나 TV 화면을 볼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편안한 자세로 디스플레이장치(140,14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사용뿐만 아니라, 살균유닛(150), 공기청정장치(18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 체크 및 쾌적한 상태로 잠자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잠자리 등에 누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40)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거실, 방 등에 설치된 조명을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잠자리에 누운 사용자에게만 집중적으로 조명을 제공하여 타인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편안하게 TV시청 또는 PC 화면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사용위치 및 초기위치를 세팅하여 둠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40)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사용위치 및 초기위치로 자동으로 위치조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사용시마다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디스플레이 시스템 110..베이스부재
120..후방 지지부재 130..지지유닛
140..디스플레이장치 150..살균유닛
160..음향출력장치 170..제어장치
180..공기청정장치 190..조명장치

Claims (9)

  1.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상하로 연결되는 후방 지지부재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적어도 2축 방향으로 위치이동 및 자세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음향 출력장치와;
    상기 지지유닛, 상기 음향 출력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쪽으로 조명을 비춰주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조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는 침대, 매트리스 또는 이불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누운 자세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 지지부와;
    상기 조명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조명; 및
    상기 조명의 온/오프를 선택하는 조명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은 일반조명과, 싸이키조명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명 스위치의 조작 신호에 따라서 상기 일반조명과 사이키조명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상하로 연결되는 후방 지지부재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적어도 2축 방향으로 위치이동 및 자세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음향 출력장치와;
    상기 지지유닛, 상기 음향 출력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는 침대, 매트리스 또는 이불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누운 자세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메인 기둥과;
    상기 메인 기둥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기둥과;
    상기 승강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도 조절 가능한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가지는 회동조립체와;
    상기 회동조립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둥에 대해 상기 승강 기둥을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회동조립체를 상기 승강 기둥에 대해 회동 구동시키는 회동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상하로 연결되는 후방 지지부재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적어도 2축 방향으로 위치이동 및 자세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음향 출력장치와;
    상기 지지유닛, 상기 음향 출력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 위에는 침대, 매트리스 또는 이불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누운 자세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를 침대에 설치시 상기 보조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침대 높이에서의 상기 후방 지지부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원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지지유닛, 음향 출력장치 및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와;
    상기 지지유닛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위치 및 초기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세팅부와;
    상기 세팅부에서 세팅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팅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온/오프 구동시 상기 지지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세팅위치로 자동 이동시키고,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서 멈춤 입력신호시 세팅위치로의 이동동작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되며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살균유닛과;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공기조화기능이 제어가능한 공기청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회동구동부의 구동시 설정된 회동부하 이상의 부하발생시 상기 회동구동부의 구동을 강제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20020270A 2011-05-13 2012-02-28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328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270A KR101328144B1 (ko) 2012-02-28 2012-02-28 디스플레이 시스템
CN201280034378.2A CN103650481A (zh) 2011-05-13 2012-04-03 显示系统
PCT/KR2012/002486 WO2012157846A2 (ko) 2011-05-13 2012-04-03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4/073,203 US9167192B2 (en) 2011-05-13 2013-11-06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270A KR101328144B1 (ko) 2012-02-28 2012-02-28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617A KR20130098617A (ko) 2013-09-05
KR101328144B1 true KR101328144B1 (ko) 2013-11-13

Family

ID=4945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270A KR101328144B1 (ko) 2011-05-13 2012-02-28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536A (ko) 2014-12-04 2016-06-14 권정연 멀티미디어를 구비한 침대
CN110390552A (zh) * 2018-04-23 2019-10-29 麒盛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家居体验及推荐设备
CN110260120B (zh) * 2019-07-19 2024-03-08 国网山东省电力公司威海供电公司 一种营销数据展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0571A (ja) * 2002-05-09 2003-11-21 Sbs Joho System:Kk ベッドサイド端末
KR20050099402A (ko) * 2004-04-10 2005-10-13 (주)하드램 건강 침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0571A (ja) * 2002-05-09 2003-11-21 Sbs Joho System:Kk ベッドサイド端末
KR20050099402A (ko) * 2004-04-10 2005-10-13 (주)하드램 건강 침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617A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192B2 (en) Display system
US8069512B2 (en) Adjustable bed frame
CN103876903B (zh) 一种眼科手术床
EP2648672B1 (en) Device for multisensory stimulation
KR101591069B1 (ko) 책상 프레임의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와 그 제어장치
KR101328144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CN203777246U (zh) 一种眼科手术床
CN107080636A (zh) 一种便于高度调节的舒适性多功能医疗床
KR20170111335A (ko) 이온냉온기 기능을 구비한 led 피부 치료기
CN211273190U (zh) 一种多功能太赫兹理疗屋
CN209106627U (zh) 一种坐躺两用一体式电脑座舱
CN105975013A (zh) 一种新型高度可调节的计算机显示器
KR101235787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8720387A (zh) 一种坐躺两用一体式电脑座舱
KR101229551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8612985A (zh) 一种计算机显示器放置装置
EP1669006A1 (en) Inflation control
KR101874322B1 (ko) 웜기어를 이용한 휴대용 상체 리프트 기구
CN210300281U (zh) 一种高浓度负离子保健椅
JP2007295497A (ja) 前後チルト機能付電動リフト式テレビ設置台
KR200254854Y1 (ko) 이동형 적외선 방사판
CN219501862U (zh) 一种近红外治疗仪
CN215741203U (zh) 一种心理医学用患者康复辅助治疗装置
CN213823202U (zh) 一种理疗灯
CN217082274U (zh) 一种多功能可转向落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