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329B1 - 가맹점 간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가맹점 간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329B1
KR101229329B1 KR1020100111368A KR20100111368A KR101229329B1 KR 101229329 B1 KR101229329 B1 KR 101229329B1 KR 1020100111368 A KR1020100111368 A KR 1020100111368A KR 20100111368 A KR20100111368 A KR 20100111368A KR 101229329 B1 KR101229329 B1 KR 101229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point cache
merchant
purchase
se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589A (ko
Inventor
김영걸
Original Assignee
김성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억 filed Critical 김성억
Priority to KR1020100111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3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centr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VAN) 사의 카드 단말기를 통한 결제 시스템 또는 인터넷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포인트 캐쉬를 이용하여 가맹점 간 결제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결제 수행 시스템은 결제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결제 승인 정보를 전송하는 밴(VAN)사 서버, 상기 밴사 서버로부터 결제 대금을 포함한 결제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판매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구매 가맹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를 확인하고, 상기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가 상기 결제 대금보다 적지 않으며 상기 거래 대금에 대한 판매 수수료와 구매 수수료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가맹점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맹점 간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between Affiliated Store}
본 발명은 밴(VAN) 사의 카드 단말기를 통한 결제 시스템 또는 인터넷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포인트 캐쉬를 이용하여 가맹점 간 결제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상거래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결제 방식이 등장하여 실용화되고 있다. 이 중에서 후불식 결제방식으로 사용자의 신용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신용카드와 선불식 결제방식으로 사용자가 충전된 금액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불카드는 현금을 대체하는 대표적 신규 결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선불카드의 경우 기본적으로 비금융권에서 발급되는 것으로 일정 금액에 대한 결제가 가능하지만 해당 금액을 소진 한 후에는 다시 충전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전자지갑 혹은 전자화폐라고 불리는 새로운 충전식 결제 방식이 등장하였다. 이는 반도체칩 등의 전자적인 방식으로 일정한 금액의 가치를 저장하여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방식과 단순히 교통요금이나 식대 등의 결제에 사용되는 방식, 혹은 이들을 혼용하는 방식이 있다.
현재 전자화폐라 칭해지는 것은 현금의 가치를 표현하는 수단을 디지털정보로 한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화폐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거래 활동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전자화폐는 다양한 분류와 종류가 있으나, 최근에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은행 계좌의 잔고에 대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은행에서 발급하는 직불카드나 이를 개량하여 은행업무 시간 외에도 신용카드 가맹점이나 온라인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 체크카드가 실시간 결제를 위해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실시간 결제 특성 때문에 체크카드를 대표적인 전자화폐로 간주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현재 유통 구조에서 재화나 서비스 구입 시 현금이나 신용카드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기존 카드 포인트 카드의 경우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디스카운트 카드로 특정 가맹점에서 물건을 구매 시 일정 금액을 할인해주는 카드가 존재한다. 이 경우 대부분의 디스카운트 카드(통신사의 멤버십 카드와 같은)는 할인율이 낮다. 또한, 도/소매업 법인에 대한 디스카운트 카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캐쉬백 카드(정립형 카드)로 현금이나 신용 카드를 사용할 경우 사용 금액의 일정 부분을 포인트로 정립하고 정립된 포인트를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이다. 이 경우 현금이나 신용 카드의 사용량에 따라 포인트가 정립되고,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이 한정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사용 중인 포인트 카드는 현금이나 신용 카드를 대신하여 100% 포인트로만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가맹점 간 물물 교환 시스템을 구축하여 각 가맹점 간 거래 시 자신의 물건 또는 서비스의 교환 역할을 포인트 캐쉬로 대체함으로써 가맹점의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고, 가맹점 간 거래를 활성화를 이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결제 관리 프로세서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결제 대금을 포함한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판매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구매 가맹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가 상기 결제 대금보다 적지 않으며 상기 거래 대금에 대한 판매 수수료와 구매 수수료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결제를 요청한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결제에 대한 승인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결제 수행 시스템은 결제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결제 승인 정보를 전송하는 밴(VAN)사 서버, 상기 밴사 서버로부터 결제 대금을 포함한 결제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판매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구매 가맹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를 확인하고, 상기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가 상기 결제 대금보다 적지 않으며 상기 거래 대금에 대한 판매 수수료와 구매 수수료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가맹점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결제 수행 시스템은 온라인 가맹점 서버로부터 요청받은 결제 승인 정보를 전송하는 온라인 가맹점 결제 처리부, 상기 온라인 가맹점 결제 처리부로부터 결제 대금을 포함한 결제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판매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구매 가맹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를 확인하고, 상기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가 상기 결제 대금보다 적지 않으며 상기 거래 대금에 대한 판매 수수료와 구매 수수료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가맹점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물교환 시스템은 가맹점 간 거래 시 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포인트 캐쉬의 결제를 통하여 가맹점의 물건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가맹점 간 거래에 포인트 캐쉬를 사용함으로써 각 가맹점은 자신이 판매하는 물건 또는 서비스를 원가에 판매 또는 구매하는 효과와 함께 필요한 물건 구매 시 사용되었던 현금이나 신용 카드를 대신하여 포인트 캐쉬를 사용함으로써 구매 가맹점의 현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간 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가맹점의 매출 증가와 가맹점 관리 서버를 통한 가맹점의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물 교환 시스템의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물 교환 시스템의 도시한 다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제 관리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물물 교환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필요한 재화 또는 서비스를 교환하기 위하여 도,소매업을 영위하는 가맹점을 본 시스템의 회원사로 등록하고, 본 시스템에 등록된 회원사 간 거래를 위하여 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포인트 캐쉬를 이용하여 결제함으로써 회원사 간 거래 시 물물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사는 자신이 판매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담보로 타 회원사에서 판매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한 회원사에 다수의 회원사가 이용하고 이용 금액을 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포인트 캐쉬로 지불하는 형태의 유통 구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간 물물 교환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다른 가맹점 간 물물 교환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도 1에 의하면 물물 교환 시스템은 복수의 가맹점(100, 102), VAN사 서버(110), 가맹점 관리 서버(120)를 포함한다. 물론 물물 교환 시스템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다양한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가맹점(100, 102)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가맹점 관리 서버(120)에 회원으로 등록한다. 이를 위해 가맹점(100, 102)은 가맹점 관리 서버(120)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상술한 정보는 회원의 식별자/패스워드, 상호명, 사업자 등록 번호, 주소지, 유선 전화 번호, 이동통신단말 전화번호 등이 포함된다. 입력되는 정보는 물론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필수입력 이외에 추가 입력 정보는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가맹점의 의사에 따라 입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가맹점(100, 102)은 가맹점 관리 서버(120)에 회원으로 등록한 후, 가맹점 관리 서버(120)로부터 포인트 캐쉬 카드를 제공받는다. 포인트 캐쉬 카드는 회원의 등급에 따라 일정한 포인트 캐쉬를 제공받는다. 즉, 가맹점 관리 서버(120)는 우수한 회원에게는 많은 포인트 캐쉬를 제공하며, 신규 회원 또는 등급이 낮은 회원에게는 적은 포인트 캐쉬를 제공한다.
밴사 서버(110)는 가맹점에서 요청한 거래를 가맹점 관리 서버(120)와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밴사 서버(110)는 가맹점에서 요청한 거래 정보를 가맹점 관리 서버(120)로 제공하며, 가맹점 관리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은 결제 승인 여부에 따라 해당 거래에 대한 결제를 최종적으로 수행한다. 밴사 서버(110)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가맹점 관리 서버(120)는 회원으로 등록한 가맹점의 정보를 저장하며, 각 가맹점별로 포인트 캐쉬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가맹점 관리 서버(120)는 각 가맹점별로 판매 포인트 캐쉬와 구매 포인트 캐쉬를 제공한다. 가맹점 관리 서버(120)는 밴사 서버(110)로부터 요청받은 결제와 관련하여 판매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구매 가맹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를 비교하여 거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관리 서버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도 2에 의하면, 가맹점 관리 서버는 밴사 결제 시스템 연동부(200), 인터넷 결제 시스템 연동부(210), 결제 관리 프로세서(220),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30)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31),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232),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데이터베이스(233), 가맹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234), 가맹점 수수료 관리 데이터베이스(235)를 포함한다. 이하 가맹점 관리 서버의 각 구성에 대해 순차적으로 알아보도록 하며, 결제 관리 프로세서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밴사 결제 시스템 연동부(200)는 밴사 서버로부터 결제를 요청받으며, 요청받은 결제에 대한 승인 여부를 제공한다. 즉, 밴사 결제 시스템 연동부(200)는 밴사 서버와 가맹점 관리 서버를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넷 결제 시스템 연동부(210)는 인터넷 가맹점의 서버로부터 결제를 요청받으며, 요청받은 결제에 대한 승인 여부를 제공한다. 즉, 인터넷 결제 시스템 연동부(210)는 인터넷 가맹점 서버와 가맹점 관리 서버를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31)는 회원들의 ID,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와 상호명, 사업자 등록 번호, 주소지, 유선 전화 번호,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신상정보를 저장한다.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232)는 각 회원사별로 제공한 판매 포인트 캐쉬와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233)는 각 회원사별로 제공한 구매 포인트 캐쉬와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가맹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234)는 각 가맹점의 위치,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판매하는 물건, 가격, 가맹점의 사진 등 가맹점의 정보를 저장한다. 가맹점 수수료 관리 데이터베이스(235)는 각 가맹점별로 판매 수수료, 구매 수수료를 저장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가맹점 수수료는 각 가맹점별로 판매 수수료만 부과하거나, 구매 수수료만 부과하거나, 판매 수수료와 구매 수수료를 함께 부과할 수 있다. 또한, 각 가맹점의 신용 등급에 따라 수수료율을 달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간 물물 교환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간 물물 교환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도 3에 의하면 물물교환 시스템은 오프라인 가맹점, 가맹점에 설치되어 있는 카드 단말기, 밴사 서버, 가맹점 관리 서버, 온라인 가맹점, 온라인 가맹점의 서버, 인터넷 결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하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거래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 후, 온라인 가맹점에서 거래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본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은 가맹점A(오프라인 가맹점)(100)에서 물품은 구매하고, 구매 대금을 포인트 캐쉬 카드로 결제한다. 가맹점A(100)는 회원이 제공한 포인트 캐쉬 카드를 설치되어 있는 카드 단말기(300)에 리더한다.
카드 단말기(300)는 리더한 포인트 캐쉬 카드의 정보와 구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밴사 서버(110)로 제공하면, 밴사 서버(110)는 제공받은 정보를 가맹점 관리 서버(120)로 제공한다. 가맹점 관리 서버(120)는 가맹점A(100)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회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 물품 대금을 비교하여 해당 결제의 승인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본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은 가맹점B(온라인 가맹점)(102)에서 물품은 구매하고, 구매 대금을 포인트 캐쉬 카드로 결제하기 위해 관련 정보를 입력한다. 가맹점B(102)의 인터넷 결제 시스템(320)은 입력한 포인트 캐쉬 카드의 정보와 구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가맹점 관리 서버(120)로 제공한다. 가맹점 관리 서버(120)는 가맹점B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회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 물품 대금을 비교하여 해당 결제의 승인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한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와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한 회원의 잔여 구매 포인트와 재화나 서비스의 대금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해당 거래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진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진행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400단계에서 밴사 서버는 밴사 결제 시스템 연동부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구매한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 물론 상술한 단계 이전에 본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은 오프라인 가맹점의 카드 단말기 리더기에 포인트 캐쉬 카드를 접촉시킨다.
S402단계에서 밴사 결제 시스템 연동부는 밴사 서버로부터 요청받은 결제 승인을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요구한다. S404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구매 회원 및 판매 회원 정보를 요구한다.
S406단계에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구매 회원 및 판매 회원에 대한 정보를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회원 정보를 제공받은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S408단계에서 밴사 결제 시스템 연동부로 현재 결제가 진행 중임을 통보하면, 밴사 결제 시스템 연동부는 S410단계에서 밴사 서버로 현재 결제가 진행 중임을 통보한다.
S412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한 회원의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를 조회한다. S414단계에서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한 회원의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를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S416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한 회원의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를 조회한다. S418단계에서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한 회원의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를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은 구매한 회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와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은 판매한 회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가 결제 대금보다 같거나 많은 경우, S420단계로 이동한다.
S420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해당 구매 회원의 구매 포인트 캐쉬의 차감을 요청하면, S422단계에서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구매 회원의 구매 포인트 캐쉬를 차감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S424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해당 판매 회원의 판매 포인트 캐쉬의 차감을 요청하면, S426단계에서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판매 회원의 판매 포인트 캐쉬를 차감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S428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해당 결제에 대한 수수료를 계산하고, 가맹점 수수료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계산한 수수료의 저장을 요청하면, S430단계에서 가맹점 수수료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결제에 대한 수수료를 저장한다.
S432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승인 번호를 생성하고,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결제 승인 정보를 저장하도록 요청한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S434단계에서 요청받은 결제 승인 정보를 저장하고, 결제 승인 정보가 정상적으로 저장되었음을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S436단계에서 밴사 결제 시스템 연동부로 결제 완료를 통보하면, 밴사 결제 시스템 연동부는 S438단계에서 밴사 서버로 결제 승인을 통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매 포인트 캐쉬와 판매 포인트 캐쉬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진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진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진행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500단계에서 인터넷 결제 처리부는 인터넷 결제 시스템 연동부로 온라인 가맹점에서 구매한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
S502단계에서 인터넷 결제 시스템 연동부는 인터넷 결제 처리부로부터 요청받은 결제 승인을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요구한다. S504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구매 회원 및 판매 회원 정보를 요구한다.
S506단계에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구매 회원 및 판매 회원에 대한 정보를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회원 정보를 제공받은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S508단계에서 인터넷 결제 시스템 연동부로 현재 결제가 진행 중임을 통보한다.
S510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한 회원의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를 조회한다. S512단계에서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한 회원의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를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S514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한 회원의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를 조회한다. S516단계에서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한 회원의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를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은 구매한 회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와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은 판매한 회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가 결제 대금보다 같거나 많은 경우, S518단계로 이동한다.
S518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해당 구매 회원의 구매 포인트 캐쉬의 차감을 요청하면, S520단계에서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구매 회원의 구매 포인트 캐쉬를 차감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S522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해당 판매 회원의 판매 포인트 캐쉬의 차감을 요청하면, S524단계에서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판매 회원의 판매 포인트 캐쉬를 차감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S526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해당 결제에 대한 수수료를 계산하고, 가맹점 수수료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계산한 수수료의 저장을 요청하면, S528단계에서 가맹점 수수료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결제에 대한 수수료를 저장한다.
S530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승인 번호를 생성하고,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결제 승인 정보를 저장하도록 요청한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S532단계에서 요청받은 결제 승인 정보를 저장하고, 결제 승인 정보가 정상적으로 저장되었음을 결제 관리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S534단계에서 인터넷 결제 시스템 연동부로 결제 완료를 통보하면, 인터넷 결제 시스템 연동부는 S536단계에서 인터넷 결제 처리부로 결제 승인을 통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매 포인트 캐쉬와 판매 포인트 캐쉬를 이용하여 온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진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제 관리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제 관리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S600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결제 승인을 요구받는다. S602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구매 가맹점(회원)의 정보를 확인하고, S604단계에서 판매 가맹점의 정보를 확인한다.
S606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구매 가맹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를 확인하며, S608단계에서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매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를 확인한다.
S610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판매 가맹점 정보, 구매 가맹점 정보, 판매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 구매 가맹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를 확인하여 결제 승인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결제 승인 가능하면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S612단계로 이동하고, 결제 승인이 불가능하면 S624단계로 이동한다.
S612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구매 가맹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에서 해당 거래 대금을 차감하고, S614단계에서 판매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에서 해당 거래 대금을 차감한다. 물론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차감할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가 부족하다면 S624단계로 이동한다.
S616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구매 결제 수수료를 계산하여, 가맹점 수수료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구매 결제 수수료를 저장한다. S618단계에서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판매 결제 수수료를 계산하여, 가맹점 수수료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판매 결제 수수료를 저장한다.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S620단계에서 결제 승인 번호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S622단계에서 결제 승인 정보를 외부로 제공한다. 물론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결제 승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결제 승인 거절 통보를 외부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판매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구매 가맹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가 거래 대금보다 같거나 많은 경우에만 결제가 진행된다. 따라서 본 서비스의 가맹점은 결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항상 구매 포인트 캐쉬와 판매 포인트 캐쉬를 관리하고 있어야 하며, 구매 포인트 캐쉬와 판매 포인트 캐쉬 중 어느 하나라도 부족한 경우에는 원활한 거래를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오프라인 가맹점 102: 온라인 가맹점
110:밴사 서버 120: 가맹점 관리 서버
200: 밴사 결제 시스템 연동부 210: 인터넷 결제 시스템 연동부
220: 결제 관리 프로세스 230: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결제 관리 프로세서와 가맹점 관리 서버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맹점 관리 서버에서 회원으로 가입한 가맹점에 구매 포인트 캐쉬와 판매 포인트 캐쉬를 제공하는 단계;
    재화나 용역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 가맹점이 재화나 용역을 판매하는 판매 가맹점에서 구매한 재화나 용역을 구매하고, 상기 판매 가맹점이 구매한 재화나 용역에 대한 결제 대금에 대한 승인을 외부 장치로 요청하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결제 대금을 포함한 결제 요청이 상기 결제 관리 프로세서에 접수되면, 상기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판매 포인트 캐쉬와 구매 포인트 캐쉬를 제공받은 판매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판매 포인트 캐쉬와 구매 포인트 캐쉬를 제공받은 구매 가맹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결제 관리 프로세서는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판매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판매 수수료, 구매 가맹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와 구매 수수료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단계;
    상기 결제 관리 프로세서가 제공받은 상기 판매 가맹점의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구매 가맹점의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가 상기 결제 대금보다 적지 않으면 상기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에서 상기 결제 대금을 차감하는 단계;
    상기 결제 관리 프로세서가 상기 결제 대금에 대한 판매 수수료와 구매 수수료를 계산하여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에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결제 관리 프로세서가 결제를 요청한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결제에 대한 승인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공받는 상기 판매 포인트 캐쉬와 구매 포인트 캐쉬는 상기 판매 가맹점 또는 상기 구매 가맹점이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에 가맹점으로 가입한 기간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가맹점 관리 서버는,
    판매 가맹점 및 구매 가맹점을 포함한 각 가맹점별 판매 수수료와 구매 수수료를 저장하는 가맹점 수수료 관리 데이터베이스;
    판매 가맹점 및 구매 가맹점을 포함한 각 가맹점별 판매 포인트 캐쉬를 저장하고 있는 판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
    판매 가맹점 및 구매 가맹점을 포함한 각 가맹점별 구매 포인트 캐쉬를 저장하고 있는 구매 포인트 캐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수행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결제 대금을 포함한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판매 가맹점과 구매 가맹점의 정보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수행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의 정보는 상기 가맹점이 등록된 가맹점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수행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판매 포인트 캐쉬와 잔여 구매 포인트 캐쉬가 상기 결제 대금보다 적으면,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결제에 대한 승인 거절을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수행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111368A 2010-11-10 2010-11-10 가맹점 간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1229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368A KR101229329B1 (ko) 2010-11-10 2010-11-10 가맹점 간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368A KR101229329B1 (ko) 2010-11-10 2010-11-10 가맹점 간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830A Division KR101417359B1 (ko) 2012-10-11 2012-10-11 가맹점간 물물교환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89A KR20110011589A (ko) 2011-02-08
KR101229329B1 true KR101229329B1 (ko) 2013-02-04

Family

ID=4377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368A KR101229329B1 (ko) 2010-11-10 2010-11-10 가맹점 간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473A (ko) * 2018-04-24 2019-11-01 김욱현 타임 딜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606B1 (ko) * 2012-07-18 2013-06-28 김상용 복권 발급 기능을 가지는 결제 대행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499590B1 (ko) * 2013-08-28 2015-03-19 박성순 이종 가맹점간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93458B1 (ko) * 2014-01-08 2014-05-12 한국물물교환결제시스템 주식회사 물물교환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WO2016137028A1 (ko) * 2015-02-25 2016-09-01 (주)아이쿱스 이종 가맹점 사이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3424A (ja) 1997-04-10 1998-10-23 Asukii Samushingu Good:Kk 電子通貨システム
KR20000024490A (ko) * 2000-02-16 2000-05-06 서문훈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고유번호에 의한 가상화폐의발급 및 유통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20000049835A (ko) * 2000-05-02 2000-08-05 박병선 인터넷 채팅을 통한 실시간 입찰 방법
KR20070122103A (ko) * 2006-06-23 2007-12-28 박종호 기업간의 전자상거래 중개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3424A (ja) 1997-04-10 1998-10-23 Asukii Samushingu Good:Kk 電子通貨システム
KR20000024490A (ko) * 2000-02-16 2000-05-06 서문훈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고유번호에 의한 가상화폐의발급 및 유통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20000049835A (ko) * 2000-05-02 2000-08-05 박병선 인터넷 채팅을 통한 실시간 입찰 방법
KR20070122103A (ko) * 2006-06-23 2007-12-28 박종호 기업간의 전자상거래 중개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473A (ko) * 2018-04-24 2019-11-01 김욱현 타임 딜러 장치
KR102122979B1 (ko) * 2018-04-24 2020-06-15 김욱현 타임 딜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89A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418B1 (ko) 휴대용 소비자 기기들을 충전하고 재충전하는 방법 및시스템
JP6032617B2 (ja) クレジット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US10546287B2 (en) Closed system processing connection
US20070156579A1 (en) System and method of reducing or eliminating change in cash transaction by crediting at least part of change to buyer's account over electronic medium
US20120330744A1 (en) Real-Time Multi-Merchant Multi-Payer Multi-Bucket Open Loop Debit Card, Credit Card or Mobile Payment Device Value Tracking and Discount Process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1502486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refundable taxes
JP6059319B1 (ja) 代金支払管理システム、及び代金支払管理方法
JP5068284B2 (ja) クレジットカード番号を用いたプリペイド決済システム及びプリペイド決済の方法
KR101229329B1 (ko) 가맹점 간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JP2002366862A (ja) Icカード及び電子マネー入金システム
JP6785646B2 (ja) 引落処理装置
KR20130089717A (ko) 외상 쿠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10764A (ko) 디지털화폐의 발행 및 유통 관리를 위한 전자지갑시스템을 이용한 국가간 디지털화폐 사용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357974A1 (en) Payment processing
KR101709438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417359B1 (ko) 가맹점간 물물교환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JP2005317040A (ja) Icカード及び電子マネー入金システム
JP2005189938A (ja) クレジットの利用ポイントを電子マネー化したクレジット決済処理システム及びクレジット決済処理方法
KR101473593B1 (ko) 전자적지불결제수단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393458B1 (ko) 물물교환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1179697B1 (ko) 쿠폰 구매 결제에 대응한 리펀드 서비스 방법
KR20010113307A (ko)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상거래 방법
KR20170119177A (ko) 잔돈적립 서버 및 잔돈적립 프로그램
KR101740195B1 (ko) 잔돈적립 서버 및 잔돈적립 프로그램
CN113869893A (zh) 一种资源核销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