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873B1 -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873B1
KR101228873B1 KR1020110004587A KR20110004587A KR101228873B1 KR 101228873 B1 KR101228873 B1 KR 101228873B1 KR 1020110004587 A KR1020110004587 A KR 1020110004587A KR 20110004587 A KR20110004587 A KR 20110004587A KR 101228873 B1 KR101228873 B1 KR 101228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temperature value
output voltage
ope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117A (ko
Inventor
정병대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4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8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curved arms fixed on the wing, rolling on a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0Fault detection
    • E05Y2400/508Fault detection of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리드의 개방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출력전압으로 구동부에 전압을 인가하고,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인 경우 제1출력전압보다 높은 제2출력전압으로 구동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환경에 따라 구동부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혹독한 외부 환경에서도 트렁크리드의 개방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RUNK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외부 환경에 따라 구동부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조정할 수 있는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면부에는 일반 소화물 및 비상용 작업공구, 스페어 타이어 등이 보관되는 트렁크룸이 형성되고, 트렁크리드는 이러한 트렁크룸을 커버한다.
트렁크리드는 트렁크용 락킹장치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된다. 이러한 락킹장치를 잠금 해제하기만 하면 작은 힘으로도 쉽게 트렁크리드가 올라가도록 힌지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최근에는 운전석에 락킹버튼이 구비되고, 운전자가 락킹버튼를 조작하면 트렁크용 락킹장치가 트렁크리드를 잠금 해제하여 트렁크리드의 개방을 가능케 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차량의 외부 온도가 낮거나 차량이 급경사도로에 주정차되어 있는 경우 트렁크리드의 개방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트렁크리드가 개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외부 환경에 따라 구동부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조정하여 트렁크리드의 개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는: 트렁크리드에 일측이 결합되고, 본체브라켓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렁크힌지; 상기 트렁크힌지에 연결되고,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트렁크힌지를 회전시키며, 회전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암부재; 상기 암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암부재의 회전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온도센서부로부터 전송받은 측정온도값을 토대로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는: 트렁크리드에 일측이 결합되고, 본체브라켓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렁크힌지; 상기 트렁크힌지에 연결되고,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트렁크힌지를 회전시키며, 회전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암부재; 상기 암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암부재의 회전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차량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경사도센서부; 및 상기 경사도센서부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경사도값을 토대로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경사도값이 설정경사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은: 트렁크리드의 개방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온도값이 상기 설정온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출력전압으로 구동부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측정온도값이 상기 설정온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출력전압보다 높은 제2출력전압으로 구동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은: 트렁크리드의 개방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경사도값이 설정경사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경사도값이 상기 설정경사도값 미만인 경우 제1출력전압으로 구동부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측정경사도값이 상기 설정경사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출력전압보다 높은 제2출력전압으로 구동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환경에 따라 구동부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혹독한 외부 환경에서도 트렁크리드의 개방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별도로 구성되던 로드부재와 쇽업소버를 하나로 일체화시킬 수 있으므로 차체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렁크리드의 개방 및 폐쇄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암부재 및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에서 트렁크리드의 폐쇄 시 암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에서 트렁크리드의 개방 시 암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개방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온도센서부 및 경사도센서부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암부재 및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에서 트렁크리드의 폐쇄 시 암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에서 트렁크리드의 개방 시 암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개방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온도센서부 및 경사도센서부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1)는 트렁크힌지(10), 암부재(20), 구동부(30), 스위치부(40), 제어부(50), 온도센서부(110), 경사도센서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트렁크힌지(10)는 트렁크룸(R)을 개폐하는 트렁크리드(L)에 일측(도 1 기준 좌측)이 결합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본체브라켓(B)에 타측(도 1 기준 우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트렁크리드(L)는 래치부(60)에 의해 차체에 잠금되거나 잠금 해제된다. 이를 통해 트렁크리드(L)는 트렁크룸(R)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암부재(20)는 트렁크힌지(10)에 연결된다. 암부재(20)는 구동부(3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며, 암부재(20)의 회전 시 트렁크힌지(10)는 본체브라켓(B)과 결합되는 부분(h)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암부재(20)의 회전 시 트렁크힌지(10)의 회전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암부재(20)와 트렁크힌지(10)는 힌지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외에 핀 결합 또는 볼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암부재(20)는 회전암(21)과 완충부(22)를 포함한다. 회전암(21)은 일측(도 1 기준 좌측)이 구동부(30)와 결합되어 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회전암(21)의 타측(도 1 기준 우측)은 완충부(22)와 연결되어 구동부(30)의 동력을 완충부(22)로 전달한다.
완충부(22)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트렁크힌지(10)의 회전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러한 실린더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린더 외에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와 대체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완충부(22)는 일측(도 1 기준 우측)이 회전암(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도 1 기준 좌측)이 트렁크힌지(10)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암(21)이 회전될 때 완충부(22)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게 된다.
구동부(30)는 모터부(31)와 기어부(32)를 포함한다. 모터부(31)는 베이스플레이트(34)에 고정 설치되고, 동력을 생성한다. 모터부(31)는 기어부(32)로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동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제어가 용이한 서보모터를 사용한다.
모터부(31)는 생성된 동력을 구동축(31a)을 통해 기어부(32)에 전달한다. 기어부(32)는 모터부(31)에 일측이 결합되고, 회전암(21)에 타측이 결합되어 모터부(31)에서 생성되는 동력을 회전암(21)으로 전달한다. 기어부(32)는 구동기어(35), 연결기어(36), 출력기어(37), 축기어(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기어(35)는 베이스플레이트(34)와 하우징(33)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 장착되고, 모터부(31)의 구동축(31a)을 통해 모터부(31)와 결합된다. 구동기어(35)는 모터부(31)의 구동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과 같이 양방향으로 회전된다.
연결기어(36)는 베이스플레이트(34)와 하우징(33)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 장착된다. 연결기어(36)는 구동기어(35)와 맞물리는 기어와 종동기어(37)와 맞물리는 기어가 각각 구비된다. 연결기어(36)는 구동기어(35)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구동기어(35)와 종동기어(37) 사이에 위치되어 모터부(31)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종동기어(37)는 베이스플레이트(34)와 하우징(33)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 장착되고, 연결기어(36)와 맞물려 회전된다. 종동기어(37)의 내부에는 관통부(37a)가 구비된다.
축기어(38)는 종동기어(37)의 관통부(37a)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관통부(37a)에 형성되는 치형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치형이 형성된다. 따라서 축기어(38)는 관통부(37a)를 통해 종동기어(37)와 맞물리게 된다.
축기어(38)의 일단부는 하우징(33)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암(21)과 연결된다. 이로써 모터부(31)의 구동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 동력은 기어부(32)를 통해 회전암(21)으로 전달된다.
스위치부(40)는 트렁크리드(L)에 대한 개폐신호를 송출한다. 스위치부(40)는 차량 내부 또는 트렁크리드(L)의 노출 부위에 설치되거나, 원격조정기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스위치부(4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따라 구동부(3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50)는 구동부(30) 외에 트렁크리드(L)에 대한 잠금 기능을 담당하는 래치부(60)도 제어할 수 있다.
온도센서부(110)는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온도값을 제어부(5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부(110)가 차량의 전방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온도센서부(110)는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차량 어디에 장착되더라도 무방하다.
제어부(50)는 온도센서부(110)로부터 전송받은 측정온도값을 토대로 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인 경우 구동부(30)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상승시킨다.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인 경우 구동부(30)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제1출력전압으로 유지하게 되면, 구동부(30)가 작동되더라도 트렁크리드(L)가 개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출력전압을 제2출력전압으로 높여 인가한다(도 9 참조).
여기서 설정온도값은 출력전압을 제1출력전압으로 유지하였을 때 트렁크리드(L)의 개방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는 임계온도값으로 정의한다. 일 예로, 구동부(30)에 제1출력전압을 인가하였으나 트렁크리드(L)의 개방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의 차량의 외부 온도, 구체적으로 외부 온도의 최대값을 설정온도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온도가 설정온도값 이하인 경우 트렁크리드(L)의 개방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구동부(30)에 제2출력전압을 인가하고, 외부 온도가 설정온도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구동부(30)에 제1출력전압을 인가하여 트렁크리드(L)를 개방한다.
경사도센서부(120)는 차량의 경사도를 측정하고, 측정경사도값을 제어부(5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도센서부(120)가 차량의 후방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따라서 경사도센서부(120)는 차량의 경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차량 어디에 장착되더라도 무방하다.
제어부(50)는 경사도센서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경사도값을 토대로 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측정경사도값이 설정경사도값 이상인 경우 구동부(30)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상승시킨다.
측정경사도값이 설정경사도값 이상인 경우 구동부(30)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제1출력전압으로 유지하게 되면, 구동부(30)가 작동되더라도 트렁크리드(L)가 개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출력전압을 제2출력전압으로 높여 인가한다(도 10 참조).
여기서 설정경사도값은 출력전압을 제1출력전압으로 유지하였을 때 트렁크리드(L)의 개방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는 임계경사도값으로 정의한다. 일 예로, 구동부(30)에 제1출력전압을 인가하였으나 트렁크리드(L)의 개방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의 차량의 경사도, 구체적으로 경사도의 최소값을 설정경사도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경사도가 설정경사도값 이상인 경우 트렁크리드(L)의 개방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구동부(30)에 제2출력전압을 인가하고, 차량의 경사도가 설정경사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구동부(30)에 제1출력전압을 인가하여 트렁크리드(L)를 개방한다.
트렁크힌지(10)는 트렁크리드(L)에 한 쌍이 이격되어 장착되고, 암부재(20)는 각각의 트렁크힌지(10)에 설치된다. 구동부(30)는 한 쌍의 트렁크힌지(10) 중 어느 일측에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트렁크리드(L)가 폐쇄된 상태(도 1, 도 5)에서 운전자가 트렁크리드(L)의 개방을 위해 스위치부(40)를 조작하면, 스위치부(40)는 개방신호를 제어부(5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제어부(50)는 전송된 신호를 토대로 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한다. 동시에 제어부(50)는 래치부(60)를 작동시켜 트렁크리드(L)를 차체로부터 잠금 해제시킨다.
제어부(50)는 구동부(30)의 구동축(31a)을 회전시킴으로써 트렁크리드(L)의 개방 작동을 시작한다. 구동축(31a)이 회전되면 구동축(31a)과 연결되는 구동기어(35)가 회전된다.
구동기어(35)의 회전은 연결기어(36)와 종동기어(37)를 통해 축기어(38)에 전달된다. 축기어(38)가 회전되면 축기어(38)와 결합되는 회전암(2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암(21)과 결합되는 완충부(22)는 상측으로 이동된다(도 5, 도 6 참조).
완충부(22)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트렁크힌지(10)는 본체브라켓(B)과 힌지 결합되는 부분(h)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트렁크룸(R)을 개방하게 된다(도 7 참조).
완충부(22)는 회전암(21)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상측으로의 이동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회전암(21)이 정지된 상태(도 1, 도 5)에서 갑작스레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회전암(21)과 완충부(22) 사이 그리고 완충부(22)와 트렁크힌지(10) 사이에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 완충부(22)는 길이가 줄어들면서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한다. 이후 완충부(22)는 길이가 차츰 복원되면서 트렁크힌지(10)를 회전시키게 된다.
모터부(31)가 일정시간 구동되어 트렁크리드(L)의 개방각이 최대치에 도달하게 되면(도 7),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모터부(31)의 구동은 정지된다. 이때 완충부(22)는 길이가 늘어나면서 모터부(31)의 정지 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고, 차츰 길이가 복원되면서 트렁크힌지(10)를 지지한다.
트렁크리드(L)가 개방된 상태(도 6, 도 7)에서 운전자가 트렁크리드(L)의 폐쇄를 위해 스위치부(40)를 조작하면, 스위치부(40)는 폐쇄신호를 제어부(5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제어부(50)는 전송된 신호를 토대로 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0)는 구동부(30)의 구동축(31a)을 개방신호를 전송받았을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트렁크리드(L)의 폐쇄 작동을 시작한다. 구동축(31a)이 회전되면 구동축(31a)과 연결되는 구동기어(35)가 회전된다.
구동기어(35)의 회전은 연결기어(36)와 종동기어(37)를 통해 축기어(38)에 전달되고, 축기어(38)가 회전되면 축기어(38)와 결합되는 회전암(2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회전암(21)과 결합되는 완충부(22)는 하측으로 이동된다(도 5, 도 6 참조).
완충부(22)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트렁크힌지(10)는 본체브라켓(B)과 힌지 결합되는 부분(h)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트렁크룸(R)을 폐쇄하게 된다(도 1 참조).
완충부(22)는 회전암(21)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하측으로의 이동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회전암(21)이 정지된 상태(도 6, 도 7)에서 갑작스레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회전암(21)과 완충부(22) 사이 그리고 완충부(22)와 트렁크힌지(10) 사이에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 완충부(22)는 길이가 늘어나면서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한다. 이후 완충부(22)는 길이가 차츰 복원되면서 트렁크힌지(10)를 회전시키게 된다.
모터부(31)가 일정시간 구동되어 트렁크리드(L)가 래치부(60)에 걸리게 되면, 제어부(50)는 모터부(31)를 정지시키고, 동시에 래치부(60)를 작동시켜 트렁크리드(L)가 래치부(60)에 잠금되도록 한다.
이하 도 9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스위치부(40)를 통해 트렁크리드(L)의 개방 명령이 입력되면, 온도센서부(110)를 통해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한다(S10). 온도센서부(110)는 측정온도값을 제어부(50)로 전송하고, 제어부(50)는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20).
제어부(50)는 측정온도값과 설정온도값을 비교하여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출력전압으로 구동부(30)에 전압을 인가한다(S30). 이러한 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해 트렁크리드(L)는 개방 작동이 진행된다.
제어부(50)는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인 경우 제1출력전압보다 높은 제2출력전압으로 구동부(30)에 전압을 인가한다(S40). 차량의 외부 온도가 설정온도값 이하인 경우에는 구동부(30)에 제1출력전압을 인가하는 것만으로는 트렁크리드(L)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없으므로, 제1출력전압보다 높은 제2출력전압을 구동부(30)에 인가하여 트렁크리드(L)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도 10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스위치부(40)를 통해 트렁크리드(L)의 개방 명령이 입력되면, 경사도센서부(120)를 통해 차량의 경사도를 측정한다(S110). 경사도센서부(120)는 측정경사도값을 제어부(50)로 전송하고, 제어부(50)는 측정경사도값이 설정경사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20).
제어부(50)는 측정경사도값과 설정경사도값을 비교하여 측정경사도값이 설정경사도값 미만인 경우 제1출력전압으로 구동부(30)에 전압을 인가한다(S130). 이러한 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해 트렁크리드(L)는 개방 작동이 진행된다.
제어부(50)는 측정경사도값이 설정경사도값 이상인 경우 제1출력전압보다 높은 제2출력전압으로 구동부(30)에 전압을 인가한다(S140). 차량의 경사도가 설정경사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구동부(30)에 제1출력전압을 인가하는 것만으로는 트렁크리드(L)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없으므로, 제1출력전압보다 높은 제2출력전압을 구동부(30)에 인가하여 트렁크리드(L)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트렁크힌지 20 : 암부재
21 : 회전암 22 : 완충부
30 : 구동부 40 : 스위치부
50 : 제어부 110 : 온도센서부
120 : 경사도센서부

Claims (6)

  1. 트렁크리드에 일측이 결합되고, 본체브라켓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렁크힌지;
    상기 트렁크힌지에 연결되고,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트렁크힌지를 회전시키며, 회전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암부재;
    상기 암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암부재의 회전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온도센서부로부터 전송받은 측정온도값을 토대로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
  3. 삭제
  4. 삭제
  5. 트렁크리드의 개방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온도값이 상기 설정온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출력전압으로 구동부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측정온도값이 상기 설정온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출력전압보다 높은 제2출력전압으로 구동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6. 삭제
KR1020110004587A 2011-01-17 2011-01-17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28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587A KR101228873B1 (ko) 2011-01-17 2011-01-17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587A KR101228873B1 (ko) 2011-01-17 2011-01-17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117A KR20120083117A (ko) 2012-07-25
KR101228873B1 true KR101228873B1 (ko) 2013-02-01

Family

ID=4671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587A KR101228873B1 (ko) 2011-01-17 2011-01-17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8838B2 (ja) 2019-01-30 2022-01-05 株式会社デンソー 開閉体制御装置
KR102127071B1 (ko) * 2019-06-12 2020-06-25 (주) 솔리티 디지털 도어록의 지문 인식 모듈 보호 커버 회동 모터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299A (ko) * 1996-12-10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KR20040003521A (ko) * 2002-07-03 2004-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지원장치
JP2006104706A (ja) * 2004-10-01 2006-04-20 Honda Motor Co Ltd 自動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299A (ko) * 1996-12-10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KR20040003521A (ko) * 2002-07-03 2004-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지원장치
JP2006104706A (ja) * 2004-10-01 2006-04-20 Honda Motor Co Ltd 自動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117A (ko)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86862B (zh) 具有铰接连杆机构的动力摆门致动器
US20200300022A1 (en) Power swing door actuator with integrated door check mechanism
US10655378B2 (en) Power side door actuator with rotating drive nut
US8366175B2 (en) Door checker drive mechanism
JP5612484B2 (ja) 自動車ドアロック
US10801245B2 (en) Power door with toothed rod crank mechanism
KR101327737B1 (ko) 테일게이트 인너핸들의 구조
US20180258682A1 (en) Power swing door drive actuator
RU2608941C2 (ru) Отсоединяемый силовой привод для задних откидных бортов
EP3153651A1 (en) Powe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WO2017029234A1 (en) Actuator for vehicle doors
KR20160099519A (ko) 자동차의 모터 구동형 해치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1228873B1 (ko) 트렁크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023096A1 (en) Automatic vehicle closure system
KR20110096883A (ko) 트렁크 자동개폐장치
GB2543385B (en) Assistance system for vehicle door
KR101228872B1 (ko) 트렁크 개폐장치
JP2009005494A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
WO2017029235A1 (en) Vehicle door
CN209483014U (zh) 车辆转门控制装置及汽车
KR101228870B1 (ko) 트렁크용 개폐장치
CN206844872U (zh) 车用玻璃锁及具有该玻璃锁的玻璃锁设备
JP5347247B2 (ja) 車両用開閉装置
KR101259783B1 (ko) 트렁크용 개폐장치
KR101228869B1 (ko) 차량용 후드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