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440B1 - 점성 비틀림 댐퍼 - Google Patents

점성 비틀림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440B1
KR101228440B1 KR1020110011777A KR20110011777A KR101228440B1 KR 101228440 B1 KR101228440 B1 KR 101228440B1 KR 1020110011777 A KR1020110011777 A KR 1020110011777A KR 20110011777 A KR20110011777 A KR 20110011777A KR 101228440 B1 KR101228440 B1 KR 101228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rface
inertial
disc
damper
fluid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786A (ko
Inventor
김영철
이동환
정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11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4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06Crank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랭크축의 회전 시 발생되는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점성 비틀림 댐퍼로서, 관성원판, 및 관성원판을 수용하는 관성원판 수용부를 구비하며, 성원판 수용부에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핑유체가 충전되는 댐퍼 케이스;를 포함하며, 관성원판의 적어도 어느 일측 벽면에는 댐핑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체유동패턴이 형성되는 점성 비틀림 댐퍼가 개시된다. 이에 의해, 댐퍼 케이스에 대한 관성원판의 센터링 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의 부상 능력이 향상되어 전반적으로 댐핑 성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점성 비틀림 댐퍼{Viscous damper}
본 발명은, 점성 비틀림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댐퍼 케이스에 대한 관성원판의 센터링 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의 부상 능력이 향상되어 전반적으로 댐핑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점성 비틀림 댐퍼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 중의 하나인 자동차용 엔진의 크랭크축은 각 실린더의 동력 행정에서 얻어지는 피스톤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어 엔진의 출력을 외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크랭크축의 앞쪽과 뒤쪽 끝에는 변속기의 입력 축과도 연결될 뿐만 아니라 캠축을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 기어 또는 스프라켓과, 펌프 및 발전기 등을 구동하기 위한 크랭크축 풀리가 설치된다.
따라서 크랭크축에는 주기적으로 회전력이 작용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비틀림 진동이 발생된다. 비틀림 진동은 각 실린더의 크랭크 회전력이 클수록, 크랭크축이 길수록, 또는 강성이 작을수록 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비틀림 진동은, 크랭크축이 어느 일정한 회전수에 도달되면 축 자체의 고유진동과 공진을 일으키며, 특히 심한 진동이 되면 승차감을 나쁘게 할 뿐만 아니라 타이밍 기어나 크랭크축을 파손시키는 원인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비틀림 진동은 가능한 한 제거되어야 한다. 비틀림 진동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위, 점성 비틀림 댐퍼라 하는 것을 크랭크축 전단의 크랭크 풀리와 일체로 조합시켜서 설치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10-0980751호에는 댐퍼의 내부 열을 소산을 향상시키기 위한 냉각 채널을 포함하는 점성 비틀림 진동 댐퍼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10-0836400호에는 비틀림 진동의 감쇄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비틀림 진동을 감쇄시키는 자동차용 크랭크축의 점성 댐퍼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기술들을 비롯하여,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점성 비틀림 댐퍼들의 경우, 댐퍼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관성원판이 단순한 링(ring) 형상을 갖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댐퍼 케이스에 대한 관성원판의 센터링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의 부상 능력도 낮아져 전반적으로 댐핑 성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댐퍼 케이스에 대한 관성원판의 센터링 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의 부상 능력이 향상되어 전반적으로 댐핑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점성 비틀림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크랭크축의 회전 시 발생되는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점성 비틀림 댐퍼로서, 관성원판; 및 관성원판을 수용하는 관성원판 수용부를 구비하며, 관성원판 수용부에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핑유체가 충전되는 댐퍼 케이스;를 포함하며, 관성원판의 적어도 어느 일측 벽면에는 댐핑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체유동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비틀림 댐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성원판은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관성원판은, 전벽면; 전벽면의 후면에서 전벽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후벽면; 전벽면과 후벽면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벽면; 및 전벽면과 후벽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에 의해 형성되는 내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유동패턴은 전벽면, 후벽면, 외벽면 및 내벽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는 홈(groov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 형상의 유체유동패턴은, 전벽면, 후벽면, 외벽면 및 내벽면의 해당 벽면에서 라인(lin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라인 형상의 유체유동패턴은 전벽면, 후벽면, 외벽면 및 내벽면의 해당 벽면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홈 형상의 유체유동패턴은, 전벽면, 후벽면, 외벽면 및 내벽면의 해당 벽면에서 엠보싱(emboss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라인은, 전벽면과 내벽면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전벽면과 외벽면이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되는 라인, 전벽면과 내벽면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내벽면과 후벽면이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되는 라인, 내벽면과 후벽면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후벽면과 외벽면이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되는 라인, 및 전벽면과 외벽면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외벽면과 후벽면이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되는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 케이스에 대한 관성원판의 센터링 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의 부상 능력이 향상되어 전반적으로 댐핑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성 비틀림 댐퍼의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성원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성 비틀림 댐퍼에서 관성원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점성 비틀림 댐퍼에서 관성원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점성 비틀림 댐퍼에서 관성원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점성 비틀림 댐퍼에서 관성원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점성 비틀림 댐퍼에서 관성원판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점성 비틀림 댐퍼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점성 비틀림 댐퍼에서 관성원판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점성 비틀림 댐퍼에서 관성원판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점성 비틀림 댐퍼의 사시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점성 비틀림 댐퍼의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성 비틀림 댐퍼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성원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점성 비틀림 댐퍼는, 관성원판(100a)과, 관성원판(100a)이 수용되는 댐퍼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성원판(100a)은, 크랭크축(310)의 회전 시 발생되는 비틀림 진동을 관성의 작용에 의하여 댐핑시키기 위해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비틀림 진동에 대해 살펴본다. 엔진 가동에 의해 크랭크축(310)이 회전하면 큰 가속도에 의해 회전 방향의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의 비틀림이 발생된다. 이처럼 크랭크축(310)의 회전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하면 비틀림각에 비례하는 복원력이 작용하는데, 이 복원력에 의한 진동이 비틀림 진동이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비틀림 진동은 관성원판(100a)에 의해 흡수된다.
관성원판(100a)은 링(ring) 형상을 갖는다. 즉 관성원판(100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벽면(101), 전벽면(101)의 후면에서 전벽면(101)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후벽면(102), 전벽면(101)과 후벽면(102)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벽면(103), 그리고 전벽면(101)과 후벽면(102)을 관통하는 관통홀(105)에 의해 형성되는 내벽면(104)을 갖는 링 형상으로 제작된다.
댐퍼 케이스(200)는 관성원판(100a)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장소로서 점성 비틀림 댐퍼의 외관을 이룬다. 댐퍼 케이스(200)는 댐핑하려는 축(예를 들면, 도1의 크랭크축(3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 케이스(200)는, 한국특허등록번호 10-0803132호(이하, '3132호'라고 함)에 예시된 댐퍼 케이스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 발명이 상기 '3132호'에 개시된 댐퍼 케이스에만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러한 댐퍼 케이스(200)는 관성원판(100a)이 비틀림 진동을 흡수할 때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댐퍼 케이스(200)에 형성되는 통공(230, 도 1 참조)을 통해 방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케이스(200)의 일측에는 크랭크축(310)이 연결된다. 크랭크축(310)의 반대편에는 덮개(240)가 댐퍼 케이스(200)에 결합될 수 있다.
댐퍼 케이스(200) 내에 관성원판(100a)이 수용되기 위해 댐퍼 케이스(200)에는 관성원판(100a)이 수용되는 관성원판 수용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관성원판 수용부(210)에는 실리콘 오일로서의 댐핑유체(220)가 충전된다. 댐핑유체(220)는 관성원판 수용부(210)의 내부 및 외부를 넘나들면서 관성원판(100a)이 비틀림 진동을 잘 댐핑할 수 있도록, 즉 비틀림 진동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실리콘 오일로서의 댐핑유체(220)는 오일의 점성력에 의해 관성원판(100a)에 전달되는 비틀림 진동의 감쇠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축(310)의 회전 시 발생되는 비틀림 진동은 관성원판(100a)의 변형에 의해 감쇠(흡수)되는데, 이때에 관성원판(100a)과 댐퍼 케이스(200)는 댐핑유체(220)를 사이에 두고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열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댐퍼 케이스(200)에 형성되는 통공(230)을 통해 방출된다.
이러한 흐름에 의한 댐핑 성능이 보다 향상되기 위해서는, 일단 관성원판(100a)이 비틀림 진동을 잘 흡수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관성원판 수용부(210) 내에 배치된 관성원판(100a)이 관성원판 수용부(210)의 내벽면에 접촉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관성원판(100a)은 관성원판 수용부(210) 내에서 댐핑유체(220)의 충전 공간을 사이에 두고 관성원판 수용부(210)의 내벽면과 일정한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야 한다. 특히, 관성원판(100a)은 댐핑유체(220)에 의해 관성원판 수용부(210) 내에서 부상된 상태로 관성원판 수용부(210) 내의 중앙 영역(센터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야만 관성원판(100a)의 좌우 혹은 전후 유동폭이 커지면서 변형에 의한 비틀림 진동을 보다 잘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댐퍼 케이스(200)의 관성원판 수용부(210)에 대한 관성원판(100a)의 센터링 능력과, 관성원판 수용부(210) 내에서의 관성원판(100a)의 부상 능력은 중요한 요인일 수 있는데, 이러한 관성원판(100a)의 센터링 능력과 부상 능력을 종래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관성원판(100a)에 댐핑유체(220)의 유동을 위한 소정의 유체유동패턴(110a)을 형성시키고 있다.
종래와 달리 관성원판(100a)에 유체유동패턴(110a)이 형성되면 유체유동패턴(110a) 쪽으로의 댐핑유체(220)의 유동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댐퍼 케이스(200)의 관성원판 수용부(210)에 대한 관성원판(100a)의 센터링 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100a)의 부상 능력이 향상되며, 특히 오일의 점성력에 의해 관성원판(100a)에 전달되는 비틀림 진동의 감쇠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댐핑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관성원판(100a)에 형성되는 유체유동패턴(110a)에 대해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고 있는 유체유동패턴(110a)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원판(100a)의 전벽면(101)에서 관성원판(100a)의 반경 방향을 따라 라인(line) 형태의 장방형 홈(groove)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들에서, 전벽면(101)에 형성된 장방형 홈은 내벽면(104)의 단부로부터 외벽면(103)의 단부까지 형성되고, 내벽면(104)에 형성된 장방형 홈은 전벽면(101)의 단부로부터 후벽면(102)의 단부까지 형성되며, 외벽면(103)에 형성된 장방형 홈은 후벽면(102) 단부로부터 전벽면(101)의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부는 면과 면이 만나는 부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내벽면(104)의 단부는 전벽면(101)이나 후벽면(102)과 만나는 부분일 수 있으며, 다른 면들의 단부도 같은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방형 홈 형상의 라인은, 전벽면(101)과 내벽면(104)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전벽면(101)과 상기 외벽면(103)이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된 라인, 전벽면(101)과 내벽면(104)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내벽면(104)과 후벽면(102)이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된 라인, 내벽면(104)과 후벽면(102)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후벽면(102)과 외벽면(103)이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된 라인, 전벽면(101)과 외벽면(103)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외벽면과 후벽면(102)이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된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라인일 수 있다.
이처럼, 비틀림 진동의 진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라인 형태의 유체유동패턴(110a)은 관성원판(100a)의 전벽면(101)의 센터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유체유동패턴(110a) 쪽으로의 댐핑유체(220)의 유동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댐퍼 케이스(200)의 관성원판 수용부(210)에 대한 관성원판(100a)의 센터링 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100a)의 부상 능력이 향상된다. 특히 오일의 점성력에 의해 관성원판(100a)에 전달되는 비틀림 진동의 감쇠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댐핑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원의 도면들에서 유체유동패턴(110a)은 그 개수를 임의로 정하여 도시하였지만 유체유동패턴(110a)의 개수와 폭, 그리고 깊이 등은 설계치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점성 비틀림 댐퍼의 작용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엔진 가동에 의해 크랭크축(310)이 회전하면 큰 가속도에 의해 회전 방향의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의 비틀림이 발생된다.
이처럼 크랭크축(310)의 회전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하면 비틀림각에 비례하는 복원력이 작용하는데, 이 복원력에 의해 비틀림 진동이 발생된다.
발생된 비틀림 진동은 관성원판(100a)에 전달되고, 관성원판(100a)이 변형되면서 비틀림 진동이 감쇠된다. 특히, 관성원판(100a)에 형성되는 유체유동패턴(110a) 쪽으로 댐핑유체(220)의 유동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비틀림 진동을 감쇠시키는 관성원판(100a)의 센터링 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100a)의 부상 능력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오일의 점성력에 의해 관성원판(100a)에 전달되는 비틀림 진동의 감쇠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크랭크축(310)의 비틀림 진동이 관성원판(100a)에 전달되는 구체적인 구성은 종래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관하여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관성원판(100a)에 의한 비틀림 진동의 운동에너지는 댐핑유체(220)를 사이에 둔 댐퍼 케이스(200)에서 열에너지로 변환된다. 그리고는 댐퍼 케이스(200)에 형성된 통공(230, 도 1 참조)을 통해 방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에 점성 비틀림 댐퍼에 따르면, 댐퍼 케이스(200)에 대한 관성원판(100a)의 센터링 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100a)의 부상 능력이 향상되어 전반적으로 댐핑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관성원판(100b~100i)에 형성되는 유체유동패턴(110b~110i)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관성원판(100b)에 형성되는 유체유동패턴(110b)이 관성원판(100b)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라인(line) 형태의 홈(groove) 형상을 가지며, 관성원판(100b)의 후벽면(102)에 형성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관성원판(100c)에 형성되는 유체유동패턴(110c)이 관성원판(100c)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라인(line) 형태의 홈(groove) 형상을 가지며, 관성원판(100c)의 전벽면(101)과 후벽면(102) 모두에 형성되고 있다.
도 3을 비롯하여 도 4 및 도 5처럼, 유체유동패턴(110a~110c)은 전벽면(101)과 후벽면(102)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쪽 모두에 마련되어, 댐퍼 케이스(200)에 대한 관성원판(100a~100c)의 센터링 효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100a~100c)의 부상 능력이 향상되는데 도움을 주어 전반적으로 댐핑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관성원판(100d)에 형성되는 유체유동패턴(110d)이 라인(line) 형태의 홈(groove) 형상을 가지되 관성원판(100d)의 외벽면(103)에 형성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관성원판(100e)에 형성되는 유체유동패턴(110e)이 라인(line) 형태의 홈(groove) 형상을 가지되 관성원판(100e)의 내벽면(104)에 형성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관성원판(100f)에 형성되는 유체유동패턴(110f)이 라인(line) 형태의 홈(groove) 형상을 가지되 관성원판(100f)의 내벽면(104) 및 외벽면(103) 모두에 형성되고 있다.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는 달리 도 4 내지 도 8처럼, 유체유동패턴(110d~110f)은 내벽면(104) 및 외벽면(103)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쪽 모두에 마련되어, 댐퍼 케이스(200)에 대한 관성원판(100d~100f)의 센터링 효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100d~100f)의 부상 능력이 향상되는데 도움을 주어 전반적으로 댐핑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관성원판(100g)에 형성되는 유체유동패턴(110g)이 관성원판(100d)의 전벽면(101)에 형성되되 관성원판(100d)의 전벽면(101)에서 오목한 엠보싱(embossing) 형상으로 마련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관성원판(100h)에 형성되는 유체유동패턴(110h)이 관성원판(100h)의 후벽면(102)에 형성되되 관성원판(100h)의 후벽면(102)에서 오목한 엠보싱(embossing) 형상으로 마련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관성원판(100i)에 형성되는 유체유동패턴(110i)이 관성원판(100i)의 전벽면(101)과 후벽면(102) 모두에 형성되되 관성원판(100i)의 전벽면(101)과 후벽면(102)에서 오목한 엠보싱(embossing) 형상으로 마련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성원판(100j)의 유체유동패턴(110j)은, 관성원판(100j)의 전벽면(101), 후벽면(102), 외벽면(103), 및 내벽면(104)에 관성원판(100j)의 전벽면(101)의 센터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벽면(101), 후벽면(102), 외벽면(103), 및 내벽면(104)에 각각 형성된 유체유동패턴(110j)은 서로 동일한 크기나 모양을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크기나 모양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관성원판(100j)의 모든 면에 모두에 마련되어, 댐퍼 케이스(200)에 대한 관성원판(j)의 센터링 효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100j)의 부상 능력이 향상되는데 도움을 주어 전반적으로 댐핑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성원판(100k)의 유체유동패턴(110k)은, 관성원판(100k)의 전벽면(101), 후벽면(102), 외벽면(103), 및 내벽면(104)에 관성원판(100k)의 전벽면(101)의 센터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벽면(101), 후벽면(102), 외벽면(103), 및 내벽면(104)에 각각 형성된 유체유동패턴(110k)은 오목한 엠보싱(embossing)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면에 각각 형성된 엠보싱들은 그 크기나 배열과 같은 구체적인 파라미터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체유동패턴으로서 엠보싱과 장방형 홈을 서로 번갈아 가면서 관성원판(100k)의 전벽면(101), 후벽면(102), 외벽면(103), 및/또는 내벽면(104)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로써, 댐퍼 케이스(200)에 대한 관성원판의 센터링 효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관성원판의 부상 능력이 향상되는데 도움을 주어 전반적으로 댐핑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a~100k : 관성원판 110a~110k : 유체유동패턴
200 : 댐퍼 케이스 210 : 관성원판 수용부
220 : 댐핑유체 230 : 통공
240 : 덮개 310 : 크랭크축

Claims (7)

  1. 크랭크축의 회전 시 발생되는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점성 비틀림 댐퍼로서,
    관성원판(100j); 및
    상기 관성원판(100j)을 수용하는 관성원판 수용부(210)를 구비하며, 상기 관성원판 수용부(210)에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핑유체(220)가 충전되는 댐퍼 케이스(200);를 포함하며,
    상기 크랭크축(310)의 회전 시 발생되는 비틀림 진동을 흡수할 때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한 통공(230)이 상기 댐퍼 케이스(20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성원판(100j)은 링(ring)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성원판(100j)은, 전벽면(101), 후벽면(102), 외벽면(103), 및 내벽면(104)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면(103)은 상기 전벽면(101)과 상기 후벽면(102)의 외주가 연결된 외주면이고, 상기 내벽면(104)은 상기 전멱면(101)과 상기 후벽면(102)의 내주가 연결된 내주면이며,
    상기 관성원판(100j)의 상기 전벽면(101), 상기 후벽면(102), 상기 외벽면(103), 및 상기 내벽면(104) 각각에는 상기 크랭크축(310)의 회전 시 발생되는 비틀림 진동 방향과 수직 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라인 형상의 유체유동패턴(110j)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비틀림 댐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동패턴(110j)은 함몰되게 형성되는 홈(groove)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비틀림 댐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벽면(101)에 형성된 상기 유체유동패턴(110j)은
    상기 전벽면(101)과 상기 내벽면(104)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전벽면(101)과 상기 외벽면(103)이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되는 라인 형상이고,
    상기 내벽면(104)에 형성된 상기 유체유동패턴(110j)은
    상기 전벽면(101)과 상기 내벽면(104)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벽면(104)과 상기 후벽면(102)이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되는 라인 형상이고,
    상기 후벽면(102)에 형성된 상기 유체유동패턴(110j)은
    상기 내벽면(104)과 상기 후벽면(102)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후벽면(102)과 상기 외벽면(103)이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되는 라인 형상이며, 그리고
    상기 외벽면(103)에 형성된 상기 유체유동패턴(110j)은
    상기 전벽면(101)과 상기 외벽면(103)이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외벽면(103)과 상기 후벽면(102)이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되는 라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비틀림 댐퍼.
KR1020110011777A 2011-02-10 2011-02-10 점성 비틀림 댐퍼 KR101228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777A KR101228440B1 (ko) 2011-02-10 2011-02-10 점성 비틀림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777A KR101228440B1 (ko) 2011-02-10 2011-02-10 점성 비틀림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786A KR20120091786A (ko) 2012-08-20
KR101228440B1 true KR101228440B1 (ko) 2013-02-07

Family

ID=4688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777A KR101228440B1 (ko) 2011-02-10 2011-02-10 점성 비틀림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698A (ko) * 2017-02-14 2018-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스코스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82965B (zh) * 2022-06-24 2023-07-14 山东交通学院 一种阻尼扭转减振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5664A (ja) * 1986-04-30 1987-11-07 Fuji Kiko Co Ltd プ−リ−
JPS62270845A (ja) * 1986-05-15 1987-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粘性ダンパ
KR100598539B1 (ko) * 2004-07-12 2006-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크랭크축의 점성댐퍼풀리
US7597029B2 (en) * 2002-10-15 2009-10-06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Damper assembly with reinforcing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5664A (ja) * 1986-04-30 1987-11-07 Fuji Kiko Co Ltd プ−リ−
JPS62270845A (ja) * 1986-05-15 1987-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粘性ダンパ
US7597029B2 (en) * 2002-10-15 2009-10-06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Damper assembly with reinforcing plate
KR100598539B1 (ko) * 2004-07-12 2006-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크랭크축의 점성댐퍼풀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698A (ko) * 2017-02-14 2018-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스코스 댐퍼
KR102347752B1 (ko) 2017-02-14 2022-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스코스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786A (ko) 201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998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20080045551A (ko) 자동차용 크랭크축의 점성 댐퍼
JP6017970B2 (ja) 内燃機関のバランサ装置
US8146457B2 (en) Disk pendulum vibration damper
KR101366107B1 (ko) 축진동 유압식 진동 댐퍼 겸용 유연 커플링
US5979390A (en) Assembly for transmitting rotational movements and for damping torsional vibrations
US9091316B2 (en) Dampers for crankshafts of reciprocating engines and reciprocating engines comprising the same
KR101228440B1 (ko) 점성 비틀림 댐퍼
IT9047880A1 (it) Dispositivo ammortizzatore di torsione ad ammortizzatore dinamico, in particolare per autoveicoli.
JP2007315416A (ja) ビスカスラバーダンパー
KR101011111B1 (ko) 댐퍼플라이휠
KR20170003224A (ko) 비스코스 댐퍼
KR101072610B1 (ko) 차량용 토션 댐퍼
KR100936985B1 (ko) 플라이휠을 구비한 2기통 엔진의 크랭크샤프트
CN109372944A (zh) 一种硅油减振器及发动机
KR20180093698A (ko) 비스코스 댐퍼
JP2011169269A (ja) 内燃機関における低騒音ギヤ構造
KR102121074B1 (ko) 엔진 크랭크 축 비틀림 진동 흡수기 냉각시스템
KR101361415B1 (ko) 댐퍼 플라이휠
CN103671703A (zh) 带皮带轮硅油减振器
KR100598539B1 (ko) 자동차용 크랭크축의 점성댐퍼풀리
KR100457295B1 (ko) 크랭크축의 비틀림 진동을 감쇄하는 토셔널 댐퍼 풀리
KR100222714B1 (ko) 차량의 댐퍼풀리용 토션진동저감장치
KR101079940B1 (ko) 진동 감쇠를 위한 삼중 질량 플라이휠
KR101316829B1 (ko) 오일펌프를 구비한 밸런스 샤프트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