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074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074B1
KR101227074B1 KR1020110063140A KR20110063140A KR101227074B1 KR 101227074 B1 KR101227074 B1 KR 101227074B1 KR 1020110063140 A KR1020110063140 A KR 1020110063140A KR 20110063140 A KR20110063140 A KR 20110063140A KR 101227074 B1 KR101227074 B1 KR 101227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ust collecting
mounting frame
vacuum clean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099A (ko
Inventor
조정옥
Original Assignee
조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옥 filed Critical 조정옥
Priority to KR1020110063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0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분리된 집진통들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면에 세워지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유입구와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집진부, 상기 1차집진통과 이격되어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집진부 그리고 상기 제2집진통에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cleaner}
본 발명은 상하로 분리된 집진통들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구비된 구동모터의 회전으로 흡입력을 생성하고, 이 흡인력에 의해 외부의 먼지 등 이물질을 흡입하며,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을 거름망에 통과시키거나 사이클론 방식을 통하여 공기와 이물질을 분리하여, 이물질은 집진통으로 수거하며, 분리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특히, 사이클론 방식의 진공청소기에서 집진통은 통상 원통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지게 되며, 그 내부에 쌓이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본체와 수시로 분리, 결합되는 것이다.
집진 대상은 먼지 등 소형 쓰레기이거나, 특수한 경우 공작기계 등에서 사용되는 절삭유를 수거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렇게 회수된 폐절삭유는 칩을 분리 제거한 이후에 황삭 또는 중삭의 윤활제로 재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하나의 집진통을 구비함으로써 흡입된 미세 먼지 등이 필터를 쉽게 막아버리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공장 등 미세 토사나 모래 등을 주로 흡입하는 경우나 절삭유 흡입과 같이 거친 입자물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되는 진공청소기는 필터의 마모에 따른 교체 비용이 상당한 문제점으로 대두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흡입된 거친 입자물로부터 필터의 마모를 저감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면에 세워지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유입구와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집진부, 상기 제1집진부와 이격되어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집진부 그리고 상기 제2집진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집진부는 상기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되는 캡, 상기 캡의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에는 상기 제1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하향 경사판이 결합되는 연결통, 그리고 상기 연결통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거통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절삭유를 흡입 대상물로 하는 경우에 상기 수거통에는 상기 수거통의 바닥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는 거름망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거통의 외주면에는 양단이 상기 수거통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하 방향으로 긴 투명튜브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프레임에는 상하방향의 장공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기둥부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가로바의 양 끝단에서 한 쌍의 연장편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는 상기 장공에 구속되어 승강되는 손잡이부, 일단은 상기 기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연장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로바의 하강시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가 상기 장공을 타고 상승되게 하는 링크부 그리고 상기 연장편의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거통에 형성된 거치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외주면에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돌기이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거통의 외벽면과 이격되게 고정되는 거치편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편은 상기 거치홈 위에 올려지는 가로편, 상기 가로편의 내측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이 고정 위치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돌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퍼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과 상기 수거통의 하부에는 구름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로 분리된 한 쌍의 집진부를 구비함으로써, 각 집진부마다 서로 다른 필터링 처리가 가능하며, 선행하는 집진부에서 거친 이물질을 먼저 분리배출함으로써 다음 집진부에 구비된 필터막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2회에 걸친 다단의 필터링 처리로 최종 배출되는 공기 등에 함유된 이물질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하나의 거치프레임에 한 쌍의 집진부를 모두 장착함에 따라 빈번하게 위치를 이동하는 청소 작업이 수월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수거통과 거치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수거통과 거치프레임의 연결부분을 분리한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6은 수거통이 내려진 상태를, 도 7은 수거통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것으로, (a), (b), (c)의 순서로 손잡이부가 하강됨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다만,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는 지면에 세워지는 거치프레임(1), 상기 거치프레임(1)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유입구(2a)와 제1배출구(2b)가 형성되어 있는 제1집진부(2), 상기 제1집진부(2)과 이격되어 상기 거치프레임(1)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배출구(2b)와 연통되는 제2유입구(3a)가 형성되어 있는 제2집진부(3) 그리고 상기 제2집진부(3)에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를 포함한다.
거치프레임(1)은 하부를 구성하는 바닥부(12)와, 바닥부 위에 제1집진부(2), 제2집진부(3)의 외경보다 폭 넓게 이격된 한 쌍의 기둥부(11)를 포함한다. 이때, 기둥부들(11)의 상단에는 손잡이대(111)가 구비되어 있다. 바닥부와 기둥부는 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2)에는 구름부재들(W)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구름부재(W)는 캐스터나 회전바퀴로 이루어진다. 캐스터나 회전바퀴에는 회전을 방지하는 공지된 구성의 스톱퍼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대와 구름부재는 작업자가 진공청소기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바닥부(12)에는 보관통(121)이 더 결합된다. 보관통(121)은 제1집진부(2)의 제1유입구(2a) 전방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보관통(121)은 제1집진부(2)와는 이격되어 있어 제1집진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는 아니한 것이다. 보관통에는 제1유입구(2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호스(H)를 말아 보관할 수 있다. 또는 기타 청소용 소도구를 담을 수도 있다.
외부에서 흡입한 집진대상물은 1차적으로 제1집진부(2)로 유입된다. 제1집진부(2)에서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이클론에 의하여 입자물을 분리한다. 이후 제1집진부(2)를 통과하며 1차 필터링 처리된 다음에는 제2집진부(3)로 흡입되어 2차 필터링 처리된다.
이때, 제1집진부(2)에 의하여 흡입한 입자물의 처리는 사이클론 방식 외에도 필터망, 습식 스크러버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집진부(3)에 의한 2차 필터링 처리는 필터망으로 이루어지거나, 제1집진부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집진부에서 1차 필터링 처리되고, 순차적으로 제2집진부에서 2차 필터링 처리되면서 집진대상물에 함유된 여과처리가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일례로, 공기와 먼지 등 이물질을 흡입하는 경우에 제1집진부에서 1차 처리하여 비교적 큰 입자물을 흡입한 공기 중에서 분리배출하고, 제2집진부에서는 고운 미세 입자물을 2차로 추가 분리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최종 배출되는 공기에 잔여하는 오염물이 거의 없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다른 예로, 절삭유를 흡입하는 경우, 절삭유와 절삭 칩은 제1집진부에서 걸러내고, 제2집진부에서는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한 기름 방울을 걸러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2단으로 구비된 집진부에 의하여 최종 배출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나 절삭유 등의 이물질의 제거 효과가 증가된다.
더하여, 제1집진부와 제2집진부 각각에서 필터링 처리 방식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필터링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절삭유를 흡입하는 경우에 제1집진부는 필터용 망이 필요없는 사이클론 방식을 채택하여 절삭유와 공기를 분리하고, 제2집진부에서는 필터망을 사용하여 1차 필터링 처리된 후에 공기 중에 잔여하는 잔여 기름 방울을 여과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구동부(4)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구동부(4)는 제2집진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그에 따라 외부와의 압력 구배가 형성되며, 제1집진부(2)의 제1유입구(2a)에서 외부의 공기 등 집진대상물이 제1집진부(2)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 구동부(4)는 제2집진부(3)의 개방된 상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와,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휘하는 흡입날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모터와 흡입날개의 구성은 공지된 다른 진공청소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진공청소기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조립된 진공청소기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거치프레임(1)의 상부에는 제2집진부(3)가 결합되고, 거치프레임(1)의 하부에는 제1집진부(2)가 결합된다.
이때, 제1집진부(2)는 캡(21), 연결통(22), 수거통(23)을 포함한다.
캡(21)은 제1집진부(2)의 뚜껑에 해당되는 부재로, 거치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프레임(1)의 양 기둥부에는 지지브래킷(211)이 결합되며, 캡(21)은 이 지지브래킷(211)에 고정된다.
또한, 캡(21)의 상면에는 제1배출구(2b)가 형성되어 있다. 제1배출구(2b)에는 진공청소기의 정면을 향하여 절곡된 엘자관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엘자관에는 제2집진부(3)의 제2유입구(3a)와 연결되는 플렉시블관(도시 생략)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통(22)은 상하가 개방된 원통부재이다. 연결통(22)의 내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하향경사판(221)이 결합된다. 이 하향경사판(221)은 원형 단면을 가짐에 따라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집진부(2)에서 사이클론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하향경사판(221)은 상하가 개방된 원뿔대의 형상을 가지며, 상단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가 연결통(22)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연결통(22)의 상단 둘레에 실링고무(S)가 올려진 상태에서 캡(2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캡(21)과 연결통(22)의 결합은, 연결통(22)의 외측면 둘레에 구비된 클램프들(P)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클램프는 캡과 연결통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다른 공지된 결합수단으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연결통(22)에는 제1유입구(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유입구(2a)의 위치는 연결통(22)에 결합되는 하향경사판(221)의 중간 높이이다. 즉 제1유입구를 통하여 연결통의 내부로 진입하는 공기 등은 하향경사판의 경사면 외측을 타고 흐르도록 강제되는 것이다.
더하여 연결통(22)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유입구(2a)의 일단부는 연결통(22)이 형성하는 원형단면과 접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유입구(2a)로 들어온 공기 등은 연결통(22)의 내면과 하향경사판(221)의 외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로써 제1집진부(2)의 내부에는 사이클론 현상이 발생 된다.
한편, 수거통(23)은 연결통(22)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거통(23)은 연결통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통부재로, 도면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다.
수거통(23)의 하부에는 구름부재(W)가 구비된다. 이때, 구름부재(W)는 수거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복수가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연결통과 분리된 수거통을 작업자가 힘들이지 아니하고도 옮길 수 있게 된다. 이때, 수거통의 이동이 더욱 용이하도록, 수거통에는 손잡이가 더 구비된다.
수거통(23)과 연결통(22)이 접하는 일단면에는 실링고무(S)가 개재된다. 이러한 실링고무(S)는 수거통의 상단에 결합되거나 연결통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 실링고무(S)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으로 압축 변형이 가능한 것이며,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되는 것이다.
수거통(23)과 연결통(22)의 분리 가능한 결합은, 전술된 바와 같이, 클램프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이들 간의 결합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하여, 수거통(23)에는 수거통(23)의 바닥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는 거름망체(231)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거름망체(231)는, 진공청소기의 집진대상물이 절삭유인 경우에 주요한 것이다.
거름망체(231)는 그물망으로 짜인 바구니 형태로, 도면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다. 거름망체(231)에 형성된 체눈은 절삭유가 통과되면서, 그에 함유된 절삭 칩은 걸러내는 것이다.
거름망체(231)의 상단 둘레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는 수거통의 내면에서 돌출된 걸림턱(도시 생략)에 걸리는 것이다. 이로써, 수거통의 바닥과 이격된 거름망체에 걸린 절삭 칩에서 절삭유가 흘러 내릴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름망체(231)에는 작업자가 잡아 올리기 편리하도록 파지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지부는 철사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수거통(23)의 외주면에는 양단이 수거통(23)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하 방향으로 긴 투명튜브(233)가 장착된다. 이 투명튜브(233)는 흡입대상물이 절삭유인 경우에 수거통에 채워지는 절삭유의 수위를 확인하는데 주요한 것이다. 투명튜브를 통하여 외부에서 수거통에 모인 절삭유의 양을 확인하여 수거통을 비울 때를 가늠할 수 있게 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거통과 연결통의 분리 가능한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수거통(23)의 구름부재가 지면에 닿아 있는 상태는 연결통(22)과 분리된 상태이다. 즉, 수거통(23)의 상단 높이는 연결통(22)의 하단보다는 낮은 것이다. 거치프레임(1)과 수거통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을 통하여 수거통을 들어올려 높이를 고정하면 연결통(22)과 수거통(23)은 서로 접하면서 빈틈 없이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수단은 기둥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5), 링크부(6), 걸림부(7) 및 수거통(23)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거치대(8)를 포함한다.
먼저, 거치대(8)는 수거통(23)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거치대(8)의 위치는 기둥부(11)에 대응되는 것이다. 거치대(8)는 수거통(23)의 외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판형 부재일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5)는 가로바(51)와, 상기 가로바의 양 끝단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편(52)을 포함한다. 연장편(52)의 이격 간격은 기둥부(11)의 내측면의 이격 간격과 사실상 동일한 것이다. 손잡이부(5)는 작업자가 가로바(51)를 잡고 작동시키는 부재로, 결합수단을 작동시키는 수단이 된다.
가로바(51)는 봉의 형상을 가지며, 잡기 용이하도록 완만한 굴곡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장편(52)은 평면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부는 하나의 봉체를 적당히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나란한 양 끝단부는 압착하여 서로 평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연장편(52)은 기둥부(11)의 내측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장공(112)에 구속되어 승강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연장편(52)은 장공(112)에서 자유 회전도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장편(52)과 장공(112)의 연결은 볼트, 와셔, 너트 등 일반적인 결합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더하여,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장공을 타고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부분의 마모를 저감하기 위하여 베어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링크부(6)는 그 일단(61)이 상기 기둥부(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62)은 연장편(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로바(51)의 하강시 연장편(52)의 끝단부가 장공(112)을 타고 상승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링크부(6)의 일단(61)은 장공(112)의 수직 하부 방향에 형성된 관통공(113)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링크부(6)의 타단(62)은 연장편(52)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링크부(6)의 타단(62)은 장공(112)과 결합된 연장편(52)의 끝단부 위치보다, 가로바(51)에 가까운 중간부분에서 힌지결합된다. 이때, 링크부 양 끝단의 힌지결합은 전술된 바와 같이 볼트, 너트, 와셔, 베어링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가로바(51)의 하강시 연장편(52)의 끝단부가 장공(112)을 타고 상승하며, 반대로 가로바(51)의 상승시에는 연장편(52)의 끝단부가 장공(112)을 타고 하강하게 된다.
한편, 걸림부(7)는 연장편(52)의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고, 수거통(23)에 형성된 거치대(8)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이다.
일례로, 걸림부는 장공에 결합되는 연장편의 각 끝단부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하여 거치대에는 돌기에 대응하여 상부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거치대에 돌기가 구비되고, 연장편의 끝단부에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걸림부와 거치대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걸림부(7)는 외주면에 거치홈(711)이 형성되어 있고 연장편(52)의 끝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돌기(71)일 수 있다. 더하여, 거치대(8)는 상기 수거통(23)의 외벽면과 이격되게 고정되는 거치편(81)을 포함하면서, 이 거치편(81)은 하측 일부분이 절개되어 가로편(811), 삽입홈(812), 스톱퍼편(813)을 차례로 형성할 수 있다.
원통돌기(71)는 연장편(52)이 장공(112)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가능하므로,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지면에 놓이는 수거통을 기둥부 사이로 밀어 넣으면 가로편(811)은 원통돌기(71)의 거치홈(711)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후, 수거통(23)을 더욱 밀어 넣으면, 원통돌기(71)의 거치홈(711)이 수직으로 형성된 스톱퍼편(813)에 걸리므로, 수거통이 더 이상 진입할 수 없게 된다.
이후, 손잡이부(5)를 조작하여 가로바(51)를 내리면, 원통돌기(71)가 상승하며 삽입홈(812)에 파지된다. 더하여 원통돌기(71)의 추가 상승으로 수거통(23)을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된다. 죽, 원통돌기(71)가 삽입홈(812)에 끼워짐에 따라 수거통(23)은 기둥부 사이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연결통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거치대(8)는 거치편(81)을 포함하는 브래킷으로 제작되어, 양측은 수거통에 고정되고, 거치편(81)은 수거통(23)의 외벽과 이격된다. 이때, 거치편(81)과 수거통(23)의 외벽과의 공간에 원통돌기(71)의 일부가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결합수단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5은 손잡이부가 들려진 상태로, 수거통을 진공청소기에서 외부로 분리할 수 있는 상태이다(도 8의 (a) 참고). 도면을 기준으로 가로바가 들림에 따라 링크부(6)는 오른쪽으로 회전되어 있으며, 연장편(52)의 끝단부는 장공(112)을 타고 최대로 내려온 상태이다. 결국, 원통돌기(71)가 삽입홈의 아래로 내려가 있으므로, 수거통을 진공청소기에서 빼낼 수 있다.
한편, 도 6은 손잡이부(5)가 내려진 상태로, 수거통을 올려 연결통과 밀착시킨 상태이다(도 8의 (c) 참고). 도면을 기준으로, 가로바가 내려감에 따라 링크부(6)는 일단(61)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이에 연장편(52)의 끝단부는 장공(112)의 상부로 상승되고, 그에 따라 연장편(52)의 끝단에 구비된 원통돌기(71)가 삽입홈에 끼워진 채로 상승하여 수거통이 상승된다.
이때, 가로바는 더욱 하강하며, 링크부(6)의 타단(62)에 형성된 회전축은 장공(112)과 링크부(6) 일단의 회전축이 형성하는 가상 연결선(L)을 통과한다. 구체적으로, 링크부(6)와 연장편(52)이 연결된 회전축 중심(A)은, 장공(112)과 연장편(52) 끝단부의 힌지축 중심(B)과 링크부(6)와 기둥부(11)의 힌지축 중심(C)을 잇는 가상 연결선(L)을 통과하여 더욱 왼쪽으로 치우쳐지게 위치된다.
이로써, 수거통(23)의 하중이 연장편(52)의 끝단부에 수직 하방으로 작용할 때에, 수거통(23)의 하중은 왼쪽으로 치우쳐진 링크부(6)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도록 강제하는 것이고, 그에 따라 연장편(52)은 장공(112)과 결합된 그 끝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된다. 결국, 수거통의 하중은 링크부와 연장편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손잡이부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각도까지 회전된 상태에서 수거통의 상승된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손잡이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손잡이부가 바닥부에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기둥부에 손잡이부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도록 돌출된 구조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하로 분리된 한 쌍의 집진부를 구비함으로써, 각 집진부마다 서로 다른 필터링 처리가 가능하며, 최종 배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더하여, 하나의 거치프레임에 한 쌍의 집진부를 모두 장착함에 따라 빈번하게 위치를 이동하는 청소 작업이 수월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청소 중에 무거운 수거통을 비워야 할 때에,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수거통을 올리거나 내려 손쉽게 분리하거나 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리성이 크게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10 : 진공청소기
1 : 거치프레임
1 : 기둥부 111 : 손잡이대 112 : 장공 113 : 관통공
12 : 바닥부 121 : 보관통
2 : 제1집진부
2a : 제1유입구 2b : 제1배출구 21 : 캡 211 : 지지브래킷
22 : 연결통 2221 : 하향경사판 23 : 수거통
231 : 거름망체 232 : 파지부 233 : 투명튜브
3 : 제2집진부 3a : 제2유입구
4 : 구동부
5 : 손잡이부 51 : 가로바 52 : 연장편
6 : 링크부 61 : 일단 62 : 타단
7 : 걸림부 71 : 원통돌기 711 : 거치홈
8 : 거치대 81 : 거치편 811 : 가로편 812 : 삽입홈 813 : 스톱퍼편
H : 흡입호스 S : 실링고무 P : 클램프 W : 구름부재 L : 연결선
A,B,C : 중심

Claims (7)

  1. 지면에 세워지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유입구와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집진부,
    상기 제1집진부와 이격되어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집진부 그리고
    상기 제2집진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집진부는
    상기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되는 캡,
    상기 캡의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에는 상기 제1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하향 경사판이 결합되는 연결통, 그리고
    상기 연결통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거통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프레임에는 상하방향의 장공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기둥부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가로바의 양 끝단에서 한 쌍의 연장편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는 상기 장공에 구속되어 승강되는 손잡이부.
    일단은 상기 기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연장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로바의 하강시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가 상기 장공을 타고 상승되게 하는 링크부 그리고
    상기 연장편의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거통에 형성된 거치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수거통에는
    상기 수거통의 바닥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는 거름망체가 더 포함되는 진공청소기.
  4. 제1항에서,
    상기 수거통의 외주면에는 양단이 상기 수거통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하 방향으로 긴 투명튜브가 장착되어 있는 진공청소기.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걸림부는 외주면에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돌기이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거통의 외벽면과 이격되게 고정되는 거치편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편은
    상기 거치홈 위에 올려지는 가로편,
    상기 가로편의 내측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이 고정 위치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돌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퍼편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7. 제1항에서,
    상기 거치프레임과 상기 수거통의 하부에는 구름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진공청소기.
KR1020110063140A 2011-06-28 2011-06-28 진공청소기 KR101227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140A KR101227074B1 (ko) 2011-06-28 2011-06-28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140A KR101227074B1 (ko) 2011-06-28 2011-06-28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099A KR20130002099A (ko) 2013-01-07
KR101227074B1 true KR101227074B1 (ko) 2013-01-28

Family

ID=4783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140A KR101227074B1 (ko) 2011-06-28 2011-06-28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0548A (zh) * 2016-10-19 2017-03-22 宁波创蓝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化工厂局部清灰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501Y1 (ko) * 2004-04-20 2004-07-30 오영자 이중의 걸름망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KR100500833B1 (ko) * 2003-05-24 2005-07-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이중사이클론 집진장치
JP2005211350A (ja) * 2004-01-29 2005-08-11 Sanrisu-Kiki Co Ltd 乾湿両用バキュームクリーナ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833B1 (ko) * 2003-05-24 2005-07-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이중사이클론 집진장치
JP2005211350A (ja) * 2004-01-29 2005-08-11 Sanrisu-Kiki Co Ltd 乾湿両用バキュームクリーナー
KR200357501Y1 (ko) * 2004-04-20 2004-07-30 오영자 이중의 걸름망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099A (ko)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6948A1 (en) Canister vacuum arrangement
KR20130063655A (ko) 자동필터 구조를 갖는 산업진공청소기
CN112007408A (zh) 一种市政工程用污水处理装置
KR101227074B1 (ko) 진공청소기
CN211114029U (zh) 一种用于园林节水的雨水收集过滤装置
KR200465595Y1 (ko) 집진통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청소기
CN110420531A (zh) 用于车间防粉尘爆炸的通风除尘设备
KR101760885B1 (ko) 몸체의 승강 구조가 구비된 산업용 진공 청소기
CN215327303U (zh) 离心式雨水收集过滤器
KR20130002156U (ko) 진공청소기
CN210465428U (zh) 一种土壤生态修复用土壤检测装置
CN209668707U (zh) 一种叉车自动吸尘器
CN113813700A (zh) 一种净水器冲洗系统及冲洗方法
KR102271605B1 (ko) 산업용 방폭 청소기
CN217646030U (zh) 一种饲料生产用新型除尘器
KR200497656Y1 (ko) 폐기물수집운반차량의 작업자 탑승룸 발판구조
CN108939668A (zh) 一种工厂污水废渣分离设备
JP2001058165A (ja) 清掃車
CN215962502U (zh) 一种水利工程用的细沙回收一体机
CN109011828B (zh) 一种生物制药提取设备
CN117137379A (zh) 一种防止污水箱堵塞的手推式洗地机
CN220537455U (zh) 一种拔盖机
CN208365538U (zh) 一种生活垃圾综合处理设备
KR102444358B1 (ko) 집진기 및 건습식 겸용 청소기
CN214437610U (zh) 一种便于移动的除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