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801B1 - 측정호퍼용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측정호퍼용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801B1
KR101225801B1 KR1020110028130A KR20110028130A KR101225801B1 KR 101225801 B1 KR101225801 B1 KR 101225801B1 KR 1020110028130 A KR1020110028130 A KR 1020110028130A KR 20110028130 A KR20110028130 A KR 20110028130A KR 101225801 B1 KR101225801 B1 KR 101225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hopper
load cell
hopper
weigh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343A (ko
Inventor
이동규
최주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8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80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16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18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by valves or flaps in the container botto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02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14Arrangements for determination of, or compensation for, the tare weight of an unloaded container, e.g. of a disposable contain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1Testing or calibrating of weigh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Abstract

측정호퍼용 검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측정호퍼용 검사장치는: 측정호퍼에 놓여져서 로드셀에 의해 무게가 측정되는 분동부와, 측정호퍼와 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분동부를 이동시키는 견인부 및 견인부를 제어하여 분동부를 이동시키며, 로드셀의 정상 작동여부를 측정하는 검사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측정호퍼용 검사장치{INSPECTION APPARATUS FOR MEASURING HOPPER}
본 발명은 측정호퍼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호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로드셀의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호퍼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로에 담겨있는 쇳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동시에 쇳물의 성분을 조절하기 위하여, 전로에 부원료를 투입한다.
제강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원료는,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호퍼로 이송된다.
공급호퍼로 이송된 부원료는 측정호퍼로 이송되며, 측정호퍼의 하측에 구비된 로드셀에 의해 부원료의 무게가 측정된다.
부원료의 무게가 설정된 무게에 도달하면, 공급호퍼에 구비된 밸브부재가 개방되므로, 공급호퍼에서 전로로 부원료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로드셀의 정상 작동여부를 자동화장치에 의해 측정 가능하므로, 검사작업의 작업능률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정호퍼용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는: 측정호퍼에 놓여져서 로드셀에 의해 무게가 측정되는 분동부와, 측정호퍼와 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분동부를 이동시키는 견인부 및 견인부를 제어하여 분동부를 이동시키며, 로드셀의 정상 작동여부를 측정하는 검사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부는, 측정호퍼에서 연장되어 분동부를 관통하는 가이드바 및 가이드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견인부는, 분동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권선하는 권선부재 및 권선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제어부와 연결되며, 로드셀의 작동상태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는, 견인부에 의해 이동되는 분동부가 측정호퍼에 놓이므로, 로드셀과 연결된 검사제어부에서 로드셀의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검사작업의 작업능률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가 측정호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동부가 측정호퍼에 놓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강공정에 사용되는 측정호퍼용 검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가 측정호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동부가 측정호퍼에 놓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1)는, 측정호퍼(14)에 놓여져서 로드셀(30)에 의해 무게가 측정되는 분동부(40)와, 측정호퍼(14)와 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분동부(40)를 이동시키는 견인부(60) 및 견인부(60)를 제어하여 분동부(40)를 이동시키며, 로드셀(30)의 정상 작동여부를 측정하는 검사제어부(7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강공정은, 전로(26)에 담겨있는 쇳물의 제강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원료를 전로(26)에 투입한다.
부원료를 공급하는 공급호퍼(10)는, 연결배관(12)이나 컨베이어에 의해 측정호퍼(14)와 연결된다.
측정호퍼(14)는, 연결배관(12)과 연결된 커버부재(16)와, 커버부재(16)의 하측(도 1기준)에 연결되는 호퍼몸체(18)를 포함한다.
커버부재(16)와 호퍼몸체(1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부재로 생산된 후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호퍼몸체(18)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호퍼몸체(18)의 하부에는 밸브부재(20)가 설치되어 부원료의 이동을 제어한다.
호퍼몸체(18)와 연결된 공급배관(22)은 메인배관(24)과 연결되며, 공급배관(22) 또는 메인배관(24)을 통해 이동된 물질은 전로(26)로 이동된다.
측정호퍼(14)의 하부에는 로드셀(30)이 설치되므로, 측정호퍼(14)에 담긴 부원료 등의 무게를 측정한다.
로드셀(30)은 검사제어부(70)와 연결되어 측정값을 전달하며, 검사제어부(70)는 로드셀(30)의 측정값을 표시부(72)를 통해 출력한다.
로드셀(30)은 측정호퍼(14) 및 측정호퍼(14)의 내측에 담긴 부원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셀(30)은, 커버부재(16)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로드셀(30)의 하부는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호퍼(14)는 로드셀(30)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측정호퍼(14)의 상부에 무게추인 분동부(40)가 위치한다.
분동부(40)는, 측정호퍼(14)에 놓여져서 로드셀(30)에 의해 무게가 측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무게추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동부(4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이하 도 3기준)에는 견인부(6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고리(44)가 구비된다.
이러한 분동부(40)의 무게는 로드셀(30)에 의해 측정이 이루어지는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분동부(40)의 무게는 200kg이다.
분동부(40)는, 견인부(60)에 의해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분동부(40)가 하강하여 측정호퍼(14)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거나, 분동부(40)가 상승하여 측정호퍼(14)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분동부(40)의 상하 이동은 가이드부(50)에 의하여 안내되며, 분동부(40)와, 분동부(40)에 연결되는 가이드부(50) 및 견인부(60)의 개수는, 측정호퍼(14)와 로드셀(3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동부(40)는 측정호퍼(14)의 상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분동부(40)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50)도 측정호퍼(14)의 상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부(50)는, 측정호퍼(14)에서 연장되어 분동부(40)를 관통하는 가이드바(52) 및 가이드바(5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4)를 포함한다.
가이드바(52)의 하측(도 2기준)은 측정호퍼(14)의 커버부재(16)에 연결되며, 가이드바(52)의 상측은 연결부재(54)에 연결된다.
분동부(40)의 양측에 구비된 연결공(42)을 통해 가이드바(52)가 설치되므로, 분동부(40)의 회전은 구속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만 허용된다.
가이드바(52)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4)에 의하여, 측정호퍼(14)의 상측에 가이드바(52)가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연결부재(54)는, 분동부(40)에 연결된 와이어(68)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기술사상 안에서, 링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견인부(60)는, 측정호퍼(14)와 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분동부(4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견인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60)는, 분동부(40)와 연결되는 와이어(68)를 권선하는 권선부재(62)와, 권선부재(62)와 축 연결되는 감속기(64) 및 감속기(64)와 축 연결되어 권선부재(6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66)를 포함한다.
구동부재(66)와 감속기(64)는 측정호퍼(14)의 상측에 지지되며, 구동부재(66)의 동작에 의해 권선부재(62)가 회전되어 와이어(68)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린다.
와이어(68)의 하부에 걸림후크(69)가 연결되며, 걸림후크(69)는 분동부(40)의 상측에 구비된 연결고리(44)에 연결된다.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60)의 구동부재(66)는 검사제어부(70)에 연결되어 동작이 제어된다.
로드셀(30)은 검사제어부(70)로 측정값을 전달하며, 검사제어부(70)는, 구동부재(66)와 밸브부재(20) 및 표시부(72)의 동작을 제어한다.
검사제어부(70)는, 견인부(60)를 제어하여 분동부(40)를 이동시키며, 로드셀(3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설정된 값과 비교하므로, 로드셀(30)의 정상 작동여부를 측정한다.
표시부(72)는, 검사제어부(70)와 연결되어 로드셀(30)의 작동상태를 출력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모니터를 포함한 다양한 출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52)를 따라 분동부(40)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분동부(40)의 연결공(42)을 통해 가이드바(52)가 설치된다.
측정호퍼(14)의 상측과 이격된 상태로 분동부(40)가 설치되며, 측정호퍼(14)의 하부는 로드셀(30)에 의해 지지된다.
공급호퍼(10)를 통해 공급되는 부원료는 측정호퍼(14)에 저장되며, 이러한 부원료의 무게는 로드셀(30)에 의해 측정되어 검사제어부(70)로 이송된다.
측정호퍼(14)로 공급된 부원료의 무게가 설정된 무게에 도달하면, 검사제어부(70)는 밸브부재(20)를 개방하여 측정호퍼(14)에서 공급배관(22)으로 부원료를 이송시킨다.
공급배관(22)을 통해 메인배관(24)으로 이송된 부원료는 전로(26)로 공급되어 제강품질을 향상시킨다.
한편, 로드셀(30)의 정상 작동여부를 체크하는 경우, 측정호퍼(14)의 내측을 비운 상태에서, 구동부재(66)를 동작시킨다.
구동부재(66)의 동작으로 감속기(64) 및 권선부재(62)가 동작되어 와이어(68)가 풀리면서, 분동부(40)는 가이드바(52)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동부(40)는 측정호퍼(14)의 커버부재(16)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되며, 이러한 분동부(40)의 무게는 로드셀(30)에 의하여 측정된다.
로드셀(30)은 검사제어부(70)로 분동부(40)의 무게를 전송하며, 검사제어부(70)는, 저장된 분동부(40)의 무게와, 로드셀(30)에 의해 측정된 분동부(40)의 무게를 비교하여 로드셀(30)의 정상 작동여부를 체크한다.
검사제어부(70)는, 로드셀(30)의 정상 작동여부를 표시부(72)를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하므로, 자동화장치를 이용해 로드셀(30)의 정상 작동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호퍼용 검사장치(1)는, 견인부(60)에 의해 이동되는 분동부(40)가 측정호퍼(14)에 놓이므로, 로드셀(30)과 연결된 검사제어부(70)에서 로드셀(30)의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검사작업의 작업능률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강공정에 사용되는 측정호퍼용 검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측정호퍼가 사용되는 다른 제품의 제조공정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측정호퍼용 검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측정호퍼용 검사장치 10: 공급호퍼
12: 연결배관 14: 측정호퍼
16: 커버부재 18: 호퍼몸체
20: 밸브부재 22: 공급배관
24: 메인배관 26: 전로
30: 로드셀 40: 분동부
42: 연결공 44: 연결고리
50: 가이드부 52: 가이드바
54: 연결부재 60: 견인부
62: 권선부재 64: 감속기
66: 구동부재 68: 와이어
69: 걸림후크 70: 검사제어부
72: 표시부

Claims (5)

  1. 측정호퍼에 놓여져서 로드셀에 의해 무게가 측정되는 분동부;
    상기 측정호퍼와 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분동부를 이동시키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동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로드셀의 정상 작동여부를 측정하는 검사제어부; 및
    상기 분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측정호퍼에서 연장되어 상기 분동부를 관통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호퍼용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분동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권선하는 권선부재; 및
    상기 권선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호퍼용 검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로드셀의 작동상태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호퍼용 검사장치.
KR1020110028130A 2011-03-29 2011-03-29 측정호퍼용 검사장치 KR10122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130A KR101225801B1 (ko) 2011-03-29 2011-03-29 측정호퍼용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130A KR101225801B1 (ko) 2011-03-29 2011-03-29 측정호퍼용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343A KR20120110343A (ko) 2012-10-10
KR101225801B1 true KR101225801B1 (ko) 2013-01-23

Family

ID=4728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130A KR101225801B1 (ko) 2011-03-29 2011-03-29 측정호퍼용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8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778A (ja) * 1997-11-05 1999-05-25 Mitsubishi Heavy Ind Ltd 荷重監視装置
JP2001228041A (ja) 2000-02-21 2001-08-24 Meidensha Corp ロードセル検量装置
KR20050005343A (ko) * 2003-07-01 200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평량장치의 교정용 분동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778A (ja) * 1997-11-05 1999-05-25 Mitsubishi Heavy Ind Ltd 荷重監視装置
JP2001228041A (ja) 2000-02-21 2001-08-24 Meidensha Corp ロードセル検量装置
KR20050005343A (ko) * 2003-07-01 200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평량장치의 교정용 분동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343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13188Y (zh) 多输送机接续物料循环式多功能皮带秤自动校验系统
CN202156879U (zh) 废滤芯更换转运容器载荷测量及过载保护装置
ITBO940169U1 (it) Miscelatore di prodotti generalmente collocati in contenitori e gruppo di sostegno e serraggio per almeno uno di tali contenitori,
CN105540444B (zh) 物料密闭输送系统和热解反应系统
CN108190392A (zh) 一种带式输送机液压张紧力动态测量与反馈方法
CN105834350B (zh) 一种链条的自动生产系统
CN111361955B (zh) 一种自动连续输砂装置
CN205823263U (zh) 一种液压夹紧装置
CN101992496A (zh) 一种张紧机构调节装置
CN212882745U (zh) 一种球磨机全自动加球系统
CN205575458U (zh) 智能施工升降机
US8596344B2 (en) Handling device for pipes
CN103363847B (zh) 一种鞭炮自动安全生产系统
KR101537391B1 (ko) 카운터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41137B1 (ko) 고로 장입용 벨트 컨베이어의 와이어 로프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225801B1 (ko) 측정호퍼용 검사장치
CN206643468U (zh) 一种热压机
CN104555476A (zh) 一种移动式自定位具有自控启闭阀门的投料装置
CN106017660A (zh) 一种大吨位替代砝码标定校准装置
CN206023076U (zh) 一种硬电缆注入系统
CN110207968A (zh) 一种电梯油压缓冲器测试塔流水线
CN106058742B (zh) 一种硬电缆注入系统
CN107052103A (zh) 自动上料的卧式卷绕设备
CN109883683B (zh) 一种起重机械金属结构应力应变测试演示系统
CN203865917U (zh) 一种水泥熟料放散机提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