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153B1 -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153B1
KR101225153B1 KR1020110005081A KR20110005081A KR101225153B1 KR 101225153 B1 KR101225153 B1 KR 101225153B1 KR 1020110005081 A KR1020110005081 A KR 1020110005081A KR 20110005081 A KR20110005081 A KR 20110005081A KR 101225153 B1 KR101225153 B1 KR 10122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ir
processing module
hu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757A (ko
Inventor
최용호
김세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5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1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B63B29/12Self-levelling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5/00Engine beds, i.e. means for supporting engines or machines on found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6Floating storage vessels, other than vessels for hydrocarbon production and storage, e.g. for liquid carg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는 선체에 대해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지지부와, 제1지지부에 제2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처리모듈이 안착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APPARATUS FOR MAINTAINING HORIZONTALITY OF MODULE OF FLOATING OCEAN CONSTRUCTION}
본 발명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처리되어 액화천연가스(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최근에는 LNG FPSO(LN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LNG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과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특히 LNG FPSO에는 천연가스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 위치되는 탑 사이드(Top side)에 천연가스 등을 액화처리하기 위한 액화처리모듈(Liquefaction module) 등이 설치된다.
일례로, 액화처리모듈은 각종 배관 및 이 배관으로 이동하는 천연가스 등을 액화처리하기 위한 각종 처리장치들을 포함하며, 천연가스의 액화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종 배관 및 처리장치들을 수평으로 유지시켜야 한다.
그러나,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설치된 액화처리모듈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파랑이나, 바람, 조류 등의 외란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수평 유지가 어려운 실정이다.
일례로, 이러한 액화처리모듈은 약 1도 정도로 경사지게 되면, 공정효율이 30% 이상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적인 상태에서 약 1도 정도 기운 상태에서 15초를 초과하거나 동적으로 약 30초 초과하여 기울게 되면, 액화처리 공정의 효율을 크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역류 등에 의해 액화처리모듈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설치된 처리모듈을 평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및 선체에 설치된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로서, 상기 선체에 대해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제2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처리모듈이 안착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처리모듈은 천연가스를 액화처리하기 위한 액화처리모듈(Liquefaction module)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선체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고정지주부와, 상기 한 쌍의 제1고정지주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회전지주부와,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지주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지주부와 상기 제1회전지주부 사이에는 제1힌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저부는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의 회전 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고정지주부와, 상기 한 쌍의 제2고정지주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회전지주부와, 상기 한 쌍의 회전지주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처리모듈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지주부와 상기 제2회전지주부 사이에는 제2힌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해수의 유동 등에 의한 외란에 의해 수평을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도 처리모듈을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액화처리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외란에 의한 처리모듈의 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요동이 발생할 경우에도 처리모듈을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평행유지에 소요되는 동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평행유지를 위해 추진기관 등을 급격히 가동시키지 않을 수 있어 장비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의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해상에 부유하는 구조물로서 일반적인 선박과 같이 자항 능력이 있는 구조물 뿐만 아니라 해상의 일 지점에 위치 고정되어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물 등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100)는 제1지지부(110), 기저부(112), 제1고정지주부(114), 제1회전지주부(116), 제1안착부(118), 제2지지부(120), 받침부(122), 제2고정지주부(124), 제2회전지주부(126), 제2안착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선체의 내부에 천연가스 또는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탱크는 천연가스 또는 액화천연가스 등과 같은 극저온의 상태의 화물을 저장하기 위해 저장탱크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단열처리된 외부 표면을 갖는다.
또한, 선체에는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처리모듈(10)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모듈은 천연가스를 액화처리하기 위한 액화처리모듈(Liquefaction module)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처리모듈(10)을 액화처리모듈(10)이라 한다.
액화처리모듈(10)은 선체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천연가스가 저장된 천연가스 저장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액화처리모듈(10)은 각종 배관 및 이들 배관에 연결되어 천연가스 등을 액화처리하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 열교환기 등과 같은 각종 처리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화처리모듈(10)은 수평으로 유지될 경우, 천연가스의 액화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액화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액화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100)는 선체에 대해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지지부(110)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진행방향에 대해 발생하는 롤(Roll)운동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롤방향 운동에 대해 액화처리모듈(10)을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120)는 제1지지부(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110)가 회전하는 방향, 즉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120)에는 천연가스를 액화처리하기 위한 액화처리모듈(10)이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지지부(110)는 선체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기저부(foundation)(112)와 이 기저부(112)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고정지주부(114)를 포함하고, 한 쌍의 제1고정지주부(114)에는 제1회전지주부(116)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고정지주부(114)와 제1회전지주부(116) 사이에는 제1힌지부재(11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지주부(116)에는 제1안착부(118)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안착부(118)는 제1회전지주부(116)가 제1고정지주부(1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선체의 회전과 상관없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 선체가 해수의 외란 등에 의해 롤(roll) 방향으로 요동하게 되면, 기저부(112) 및 이 기저부(112)에 설치된 제1고정지주부(114)가 선체와 같이 요동하게 되며, 제1고정지주부(114)에 설치된 제1회전지주부(116) 및 제1안착부(118)는 중력에 의해 선체 및 기저부(112)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1안착부(118)는 기저부(112)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롤 방향 요동에 대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저부(112)는 선체의 상부 갑판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저부(112)가 선체의 상부 갑판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고정지주부(114)는 기저부(112)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선체의 내측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지지부(120)는 제1지지부(110)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110)의 제1안착부(118)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120)는 제1안착부(118)의 상부에 받침부(122)가 설치되고, 이 받침부(122)의 상부 양측에는 한 쌍의 제2고정지주부(124)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한 쌍의 제2고정지주부(124)에는 제2회전지주부(126)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고정지주부(124)는 제1안착부(118)가 회전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회전지주부(126)는 제1안착부(118) 및 이를 지지하는 제1회전지주부(116)가 회전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지주부(126)는 제2고정지주부(1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 제2고정지주부(124)와 제2회전지주부(126) 사이에는 제2힌지부재(12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지주부(126)의 하단부에는 액화처리모듈(10)을 안착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안착부(128)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고정지주부(124)는 받침부(12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안착부(118)의 상부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제2지지부(120)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진행방향에 대해 발생하는 피치(Pitch)운동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피치방향 운동에 대해 액화처리모듈(10)을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액화처리모듈(10)은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의 상호작용에 의해 롤방향 운동과 피치 방향 운동 및 이들의 복합된 운동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고정지주부(114)와 제2고정지주부(124) 및 제1회전지주부(124)와 제2회전지주부(126)는 원통형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도 증가 및 경량화 등을 위해 트러스(Truss) 또는 프레임(Frame)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안착부(118)와 제2안착부(128), 기저부(112), 받침부(122)는 판형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액화처리모듈(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처리모듈 100 :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110 : 제1지지부 112 : 기저부
114 : 제1고정지주부 116 : 제1회전지주부
118 : 제1안착부 120 : 제2지지부
122 : 받침부 124 : 제2고정지주부
126 : 제2회전지주부 128 : 제2안착부

Claims (8)

  1. 선체 및 선체에 설치된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처리모듈이 안착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선체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고정지주부와,
    상기 한 쌍의 제1고정지주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회전지주부와,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지주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안착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천연가스를 액화처리하기 위한 액화처리모듈(Liquefaction modu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지주부와 상기 제1회전지주부 사이에는 제1힌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6.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의 회전 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고정지주부와,
    상기 한 쌍의 제2고정지주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회전지주부와,
    상기 한 쌍의 회전지주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처리모듈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지주부와 상기 제2회전지주부 사이에는 제2힌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8. 삭제
KR1020110005081A 2011-01-18 2011-01-18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KR101225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081A KR101225153B1 (ko) 2011-01-18 2011-01-18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081A KR101225153B1 (ko) 2011-01-18 2011-01-18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757A KR20120083757A (ko) 2012-07-26
KR101225153B1 true KR101225153B1 (ko) 2013-01-22

Family

ID=4671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081A KR101225153B1 (ko) 2011-01-18 2011-01-18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714B1 (ko) * 2012-08-08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솔리드형 밸러스트 장치
CN109519655A (zh) * 2018-11-22 2019-03-2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一种自适应变形基座
CN113064453B (zh) * 2021-02-21 2023-10-10 武汉市燃气热力规划设计院有限公司 储罐制造过程中的储罐上表面水平度的控制系统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166A (en) 1976-08-21 1978-06-06 Shonosuke Iida Horizontal posture maintenance structure
JPH09136075A (ja) * 1995-11-13 1997-05-27 Nobuo Kurosawa 乗り物搭載用食品残滓処理装置
KR200165352Y1 (ko) * 1997-11-18 2000-01-15 전병찬 유수분리기의 수평조절장치
KR100956092B1 (ko) 2008-03-03 201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설비의 구조물 수평 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부유식 해양 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166A (en) 1976-08-21 1978-06-06 Shonosuke Iida Horizontal posture maintenance structure
JPH09136075A (ja) * 1995-11-13 1997-05-27 Nobuo Kurosawa 乗り物搭載用食品残滓処理装置
KR200165352Y1 (ko) * 1997-11-18 2000-01-15 전병찬 유수분리기의 수평조절장치
KR100956092B1 (ko) 2008-03-03 201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설비의 구조물 수평 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부유식 해양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757A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2347B2 (ja) タンク支持構造及び浮体構造物
AU2016259407B2 (en) Floating LNG Plant
CA2957401C (en) Pump tower of liquefied gas storage tank
KR101225153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처리모듈 수평유지 장치
JP2016520468A5 (ko)
JP2010265938A (ja) 液化ガス貯蔵システム
KR20110138869A (ko) 다방향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지지구조
EP3196114B1 (en) Floating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KR102478353B1 (ko) 선박용 액화수소 저장탱크
KR101390854B1 (ko) 유체저장용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운반선
US10144491B2 (en) Floating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KR20130055603A (ko) 액체 안정 장치
KR20170009024A (ko) Lng탱크용 분리방지 서포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고정형 lng탱크 고정장치
US20200003489A1 (en) Method for air cooled, large scale, floating lng production with liquefaction gas as only refrigerant
KR200481081Y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터릿 시스템
KR20120001494A (ko) 흡입관을 가지는 터릿 타입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0986258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갖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KR20090131330A (ko) 회전 유동을 유발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액화가스저장탱크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KR20110073007A (ko) 선박용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20003251U (ko) 터릿을 가지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130000267A (ko) Lng 저장탱크 조립체
KR20170050382A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20170064782A (ko) Lng 화물창의 횡동요 방지를 위한 탄성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화물창
KR20210071557A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선의 액화천연가스 이송 시스템
KR20150001204U (ko) 냉각 드레인 드럼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구조를 갖는 해상부유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