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029B1 -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029B1
KR101225029B1 KR1020110002754A KR20110002754A KR101225029B1 KR 101225029 B1 KR101225029 B1 KR 101225029B1 KR 1020110002754 A KR1020110002754 A KR 1020110002754A KR 20110002754 A KR20110002754 A KR 20110002754A KR 101225029 B1 KR101225029 B1 KR 101225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switch
lighting device
wir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1420A (ko
Inventor
조세진
Original Assignee
조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진 filed Critical 조세진
Priority to KR1020110002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0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는 전자석부 및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석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시동키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1 배선 상에 설치되고, 상기 시동키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여자/소자된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차량 배터리와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를 연결시키는 제2 배선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석부의 자기장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여자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로의 전원을 단속시킨다.

Description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DISCHARGE OF BATTER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끄고 차량의 실내등과 같은 조명 장치를 끄지 않고 하차한 경우에도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양한 조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실내등, 운전석등, 전조등, 미등, 안개등 등과 같은 조명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조명 장치들 중에서 전조등이나 실내등과 같은 조명등은 차량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전원이 공급되므로, 운전자가 상기 전조등이나 상기 실내등 등을 끄지 않고 하차하여 장시간 조명을 켜진 상태로 방치하게 되면 배터리가 방전되어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차량의 조명 장치를 끄지 않고 하차한 경우에도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는 전자석부 및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석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시동키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1 배선 상에 설치되고, 상기 시동키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여자/소자된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차량 배터리와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를 연결시키는 제2 배선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석부의 자기장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여자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로의 전원을 단속시킨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는 릴레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제1 배선에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코일을 보호하기 위한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는 상기 제1 배선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제1 전자석 단자 및 제2 전자석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석 단자는 상기 시동키 스위치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전자석 단자는 접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는 상기 제2 배선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제1 스위치 단자 및 제2 스위치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단자는 상기 배터리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스위치 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절연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실내등 조명 장치, 운전석등 조명 장치, 전조등 조명 장치, 미등 조명 장치 또는 안개등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등 조명 장치는 실내등을 상시 점등 모드, 상시 소등 모드 및 자동제어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실내등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동키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상기 실내등 조명 장치의 상기 동작 모드에 관계없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실내등 조명 장치로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는, 상기 차량 배터리와 상기 조명 장치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제3 배선을 갖는 선택 모드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모드 회로부는 상기 제3 배선의 일단부와 상기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운전자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는 상기 제3 배선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제3 스위치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 배터리와 차량 조명 장치들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운전자가 상기 조명 장치를 끄지 않고 하차한 경우에도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들이다.
도 4는 단품으로 제작된 도 1의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 방전 장치를 나타내는 내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내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차량에 장착되는 운전자 선택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100)는 전자석부(110), 스위치부(120), 및 전자석부(110)와 스위치부(120)를 차량 배터리(10)와 조명 장치들에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조명 장치는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100)를 통해 배터리(10)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100)는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과는 독립적으로 배터리(10)와 상기 조명 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배터리(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단속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석부(110)는 시동키 스위치(20)에 연결되는 제1 배선(10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배선(102)의 양단부에는 시동키 스위치(20)에 연결된 제1 전자석 단자(130)와 접지를 위한 제2 전자석 단자(13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석부(110)는 릴레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석부가 릴레이 코일에 의해 구현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통전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전자석부(110)는 시동키 스위치(20)의 온(on)/오프(off)에 따라 여자/소자될 수 있다. 시동키 스위치(20)가 온(on)되면, 전자석부(110)는 여자되어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시동키 스위치(20)가 오프(off)되면, 전자석부(110)는 소자되어 자기장이 소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석부(110)는 제1 배선(102)에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코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회로(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 회로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석부(110)는 차량 내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스위치부(120)는 차량 배터리(10)와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200a, 200b, 200c, 200d, 200e)를 연결시키는 제2 배선(104)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배선(104)의 양단부에는 배터리(10)에 연결된 제1 스위치 단자(140)와 상기 조명 장치와 연결된 제2 스위치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단자는 제1 내지 제5 단자들(142a, 142b, 142c, 142d, 142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 단자는 차량의 종류 및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차량 조명 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자(142a)는 실내등 조명 장치(200a)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자(142b)는 운전석등 조명 장치(200b)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단자(142c)는 전조등 조명 장치(200c)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단자(142d)는 미등 조명 장치(200d)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5 단자(142e)는 안개등 조명 장치(200e)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 내부에는 조명등에 연결된 릴레이 등과 같은 보호 회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부(120)는 전자석부(110)의 자기장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전자석부(1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부(120)는 전자석부(110)의 여자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로의 전원을 단속시킬 수 있다.
시동키 스위치(20)가 온(on)되면 전자석부(110)가 자기장을 형성하고, 스위치부(120)는 상기 자기장에 의해 제2 배선(104)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회로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시동키 스위치(20)가 오프(off)되면 전자석부(110)가 소자되고, 스위치부(120)는 제2 배선(104)에 전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배선(102)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전류가 흐르고, 상기 조명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배선(104)에는 상대적으로 큰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부(120)는 상대적으로 작은 전류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므로, 과전류에 의한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100)는, 예를 들면, 실내등 조명 장치(200)에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가 상기 실내등 조명 장치에만 연결되어 있지만, 차량의 종류 및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전조등이나 운전석등과 같은 다른 조명 장치들에도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등 조명 장치(200)는 실내등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실내등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내등 컨트롤러는 실내등이 상시 점등 모드, 상기 소등 모드 및 자동제어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실내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키 스위치(20)가 온(on)되면 전자석부(110)는 여자되어 자기장을 형성하고, 스위치부(120)는 상기 자기장에 의해 접점과 연결되어 전원이 배터리(10)로부터 실내등 조명 장치(200)에 공급되어 실내등 조명 장치(200)가 동작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키 스위치(20)가 오프(off)되면 전자석부(110)는 소자되어 자기장이 소멸되고, 스위치부(120)는 접점과 떨어지게 되어 전원이 배터리(10)로부터 실내등 조명 장치(20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등 조명 장치(200)의 동작 모드들에 관계없이, 시동키 스위치(20)가 오프(off)된 경우에 스위치부(120)가 실내등 조명 장치(200)로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등 조명 장치(200)가 상시 점등 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때, 운전자가 시동키를 엔진 키실린더로부터 빼고 하차한 경우라도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100)는 배터리(10)로부터 실내등 조명 장치(2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10)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 위해 시동키 스위치를 온(on)하게 되면, 전자석부(110)의 코일에 자기장이 발생하여 배터리(10)에 연결된 스위치부(120)를 제2 배선(104)의 접점으로 끌어당겨 자동차의 각종 조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운전자는 각종 조명 장치의 조명등을 원하는 대로 온(on)/오프(off) 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가 차량 운행을 마친 후에 시동키 스위치를 오프(off)하면, 전자석부(110)의 코일에 전원이 차단되어 자기장이 소멸하고 스위치부(120)가 배터리(10)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실수로 차량의 각종 조명 장치의 조명등을 끄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소등되며 차량 배터리 방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단품으로 제작된 도 1의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배터리 방전 장치를 나타내는 내부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내부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100)는, 하우징(106) 내에 수용되는 전자석부(110) 및 스위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부(110)는 제1 배선(102)에 설치되고, 스위치부(120)는 제2 배선(104)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부(120)는 하우징(106)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자석부(110)의 자기장 범위 내에 있도록 전자석부(110)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석부(110)를 선택적으로 자화시키기 위하여 제1 배선(102)의 양단부에 구비된 제1 전자석 단자(130)와 제2 전자석 단자(132)는 하우징(106)의 일측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전자석 단자(130)는 시동키 스위치(20)에 접속될 수 있고, 제2 전자석 단자(132)는 접지될 수 있다.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2 배선(104)의 양단부에 구비된 제1 스위치 단자(140)와 제2 스위치 단자는 하우징(106)의 일측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단자(140)는 배터리(10)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제2 스위치 단자의 제1 내지 제5 단자들(142a, 142b, 142c, 142d, 142e)은 차량의 종류 및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차량 조명 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100)는 하우징(106)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절연 부재들(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부재(108)는 상기 단자들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간의 전기적 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100)는, 하우징(106) 내에 수용되며 제1 배선(102)과 제2 배선(104)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150) 상에는 베이스부(160)가 실장될 수 있고, 베이스부(160) 상에 전자석부(110)와 스위치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전자석 단자(130)는 상기 제1 배선의 제1 라인(102a)에 의해 전자석부(11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제2 전자석 단자(132)는 상기 제1 배선의 제2 라인(102b)에 의해 전자석부(110)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단자(140)는 상기 제2 배선의 제3 라인(104a)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의 접점(122)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치 단자(142a, 142b, 142c, 142d, 142e)는 제4 라인(104b)에 의해 스위치부(120)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120)의 일단부는 전자석부(110)의 자기력에 의해 당겨져 접점(122)과 접촉하여 제2 배선(104)을 통전시키게 된다. 스위치부(120)의 타단부는 탄성 부재(16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치부(120)의 일단부는, 전자석부(110)가 소자되면 탄성 부재(162)에 의해 접점(122)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제2 배선(104)에 전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석부(110)의 여자 여부에 따라 스위치부(120)가 제2 배선(104)에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1은 차량에 장착되는 운전자 선택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는 운전자 선택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선택 모드 회로부를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의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101)는 선택 모드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모드 회로부는 차량 배터리(10)와 조명 장치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제3 배선(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모드 회로부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전자석부(110)와 스위치부(120)의 동작 여부에 관계없이 차량의 조명 장치에 직접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배선(172)의 양단부에는, 운전자 선택 스위치(30)에 의해 배터리(10)에 연결될 수 있는 제3 스위치 단자(170) 및 상기 조명 장치와 연결된 제2 스위치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스위치 단자(170)는 운전자 선택 스위치(30)에 의해 배터리(10)와 연결될 수 있다. 운전자 선택 스위치(30)의 제1 단자(32)는 배터리(10)에 연결될 수 있고, 운전자 선택 스위치(30)의 제2 단자(34)는 제3 스위치 단자(170)에 연결될 수 있다. 운전자 선택 스위치(30)는 운전자가 편의를 고려하여 차량의 대시 보드의 원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운전자 선택 스위치(30)를 온(on)하면, 제3 배선(170)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 선택 모드가 온(on)되어 상기 조명 장치에 전원이 직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운전자가 운전자 선택 스위치(30)를 오프(off)하면, 제3 배선(170)에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운전자 선택 모드는 오프(off)되어, 스위치부(120)는 전자석부(110)의 여자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로의 전원을 단속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는 상기 운전자 선택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 배터리와 차량 조명 장치들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운전자가 상기 조명 장치를 끄지 않고 하차한 경우에도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배터리 20 : 시동키 스위치
30 : 운전자 선택 스위치
100. 101 :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102 : 제1 배선 104 : 제2 배선
106 : 하우징 108 : 절연 부재
110 : 전자석부 112 : 보호 회로
120 : 스위치부 130 : 제1 전자석 단자
132 : 제2 전자석 단자 140 : 제1 스위치 단자
142 : 제2 스위치 단자 150 : 회로 기판
160 : 베이스부 170 : 제3 스위치 단자
172 : 제2 배선 200 : 조명 장치

Claims (14)

  1.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시동키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1 배선 상에 설치되고, 상기 시동키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여자/소자되는 전자석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차량 배터리와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를 연결시키는 제2 배선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석부의 자기장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여자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로의 전원을 단속시키는 스위치부;
    상기 제1 배선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제1 전자석 단자 및 제2 전자석 단자; 및
    상기 제2 배선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제1 스위치 단자 및 제2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석 단자는 상기 시동키 스위치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전자석 단자는 접지되며,
    상기 제1 스위치 단자는 상기 배터리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스위치 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는 릴레이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제1 배선에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코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절연 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차량의 실내등, 운전석등, 전조등, 미등 및 안개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 조명 장치는 실내등을 상시 점등 모드, 상시 소등 모드 및 자동제어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실내등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키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상기 실내등 조명 장치의 상기 동작 모드에 관계없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실내등 조명 장치로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터리와 상기 조명 장치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제3 배선을 갖는 선택 모드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모드 회로부는 상기 제3 배선의 일단부와 상기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운전자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선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제3 스위치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1020110002754A 2011-01-11 2011-01-11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10122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754A KR101225029B1 (ko) 2011-01-11 2011-01-11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754A KR101225029B1 (ko) 2011-01-11 2011-01-11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420A KR20120081420A (ko) 2012-07-19
KR101225029B1 true KR101225029B1 (ko) 2013-01-22

Family

ID=4671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754A KR101225029B1 (ko) 2011-01-11 2011-01-11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0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992Y1 (ko) * 1997-08-30 2000-09-01 정몽규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992Y1 (ko) * 1997-08-30 2000-09-01 정몽규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420A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0374B2 (en) Vehicle-mounted load controller, vehicle-mounted headlight device, and vehicle-mounted taillight device
US6483246B2 (en) Direction-indication-lamp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6452337B1 (en) Lamp circuit for automobiles
KR101225029B1 (ko)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JP4823988B2 (ja) 車両用灯光具の制御回路及び車両用灯光具
JP7294181B2 (ja) 光源制御装置
JP2005343409A (ja) 車両の灯具構造
JP2012183901A (ja) 車両用電源装置
JP7294180B2 (ja) 光源制御装置
KR200298861Y1 (ko) 안개등 점등 릴레이
KR20000004257U (ko) 차량 배터리의 방전 방지 장치
KR100372451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장치
KR100401772B1 (ko) 주간 운행등이 적용된 자동차용 고광도 헤드 램프 제어 회로
KR100848371B1 (ko) 자동차의 턴 시그널 스위치용 접촉 단자
KR100410496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구동회로
KR200355122Y1 (ko) 차량의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KR100471797B1 (ko) 자동차용램프단선경보회로
KR20000020673U (ko) 자동차용 점등 장치
JP2004122986A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の点灯装置
CN115610312A (zh) 雾灯控制电路及车辆
KR200221786Y1 (ko) 자동차 자동 소등 장치
JP3066734U (ja) 自動車のライトの主電球が球切れのときリレ―スイッチで副電球が点灯するライト
JPH0811625A (ja) コーナリングランプ兼クリアランスランプ点灯制御装置
JP2010116079A (ja) 車灯制御装置
JPS62152940A (ja) 車両用フラツシヤ−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