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801B1 -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 - Google Patents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801B1
KR101224801B1 KR1020110085053A KR20110085053A KR101224801B1 KR 101224801 B1 KR101224801 B1 KR 101224801B1 KR 1020110085053 A KR1020110085053 A KR 1020110085053A KR 20110085053 A KR20110085053 A KR 20110085053A KR 101224801 B1 KR101224801 B1 KR 101224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over
fixed
disconnection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준
현명자
Original Assignee
현명자
유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명자, 유영준 filed Critical 현명자
Priority to KR1020110085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0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fus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오작동 발생 시 그 발생된 오작동이 과부하에 의해 퓨즈가 단선된 경우 퓨즈 홀더를 회로기판으로부터 탈거한 후 재차 몸체에 고정된 커버를 고정해제한 상태에서 또다시 퓨즈클립에 고정된 퓨즈를 제거한 후 육안으로 퓨즈를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회로기판을 확인하여 퓨즈 홀더로부터 빛이 발광되는지에 대한 여부만 알면 전자기기의 오작동이 퓨즈의 단선에 의한 것임을 바로 확인가능하게 하여 주는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에 관한 것으로,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퓨즈(1)의 양단자를 고정시켜 주는 한 쌍의 퓨즈클립(120) 및 상기 몸체(110)에 씌워지는 커버(130)로 이루어진 퓨즈 홀더에 퓨즈(1)의 단선 시 이를 안내하여 주는 단선안내수단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단선안내수단은, 상기 한 쌍의 퓨즈클립(120) 중 일측에 접촉되는 일측 컨택터(210)와; 상기 일측 컨택터(210) 쪽과 연결되는 발광소자(240)와; 일측이 상기 발광소자(240)와 연결되는 타측이 상기 한 쌍의 퓨즈클립(120) 중 타측에 접촉되는 타측 컨택터(2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Fuse holder with which the disconnection information means are equipped}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오작동 발생 시 그 발생된 오작동이 과부하에 의해 퓨즈가 단선된 경우 퓨즈 홀더를 회로기판으로부터 탈거한 후 재차 몸체에 고정된 커버를 고정해제한 상태에서 또다시 퓨즈클립에 고정된 퓨즈를 제거한 후 육안으로 퓨즈를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회로기판을 확인하여 퓨즈 홀더로부터 빛이 발광 되는지에 대한 여부만 알면 전자기기의 오작동이 퓨즈의 단선에 의한 것임을 바로 확인가능하게 하여 주는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퓨즈(Fuse)란 전자 제품의 회로 상에 설치되어 전원 및 부하를 서로 결선(結線)되게 하거나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경우 단선되어 안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퓨즈는 퓨즈 홀더에 삽입되어 회로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퓨즈 홀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퓨즈 홀더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퓨즈 홀더는 몸체(10)와, 몸체(10)의 내부 양측 쪽에 각각 설치되어 퓨즈(1)를 고정시켜 주는 퓨즈클립(20)과, 몸체(10)에 씌워지는 커버(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퓨즈(1)는 가느다란 원통형상의 유리관으로 이루어지고, 유리관의 양단부에는 도체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몸체(10)에는 퓨즈클립(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양측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10)의 양측벽의 중앙부분이 개방되어 커버(30)의 하부가 진입될 수 있게 하며, 몸체(10)의 바닥 중 수용공간(11)이 형성된 곳에는 단자관통공(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퓨즈클립(20)은 한 쌍으로,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각각 배치되는데 이때, 상부에는 퓨즈(1)의 단자부분이 접촉고정되는 U자 형상을 갖는 고정편(21)과 하부에는 단자핀(22)이 돌출된 구조를 갖고 있어, 퓨즈클립(20)의 단자핀(22)이 몸체(10)의 수용공간(11) 쪽에 형성된 단자관통공(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회로기판(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어 퓨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한다.
상기 커버(30)는 몸체(10)에 씌워질 수 있도록 양측의 중앙 부분에 결합대(31)가 구비되되, 그 구비되는 결합대(31)의 내측 하부에는 고정돌기(32)가 돌출되어 퓨즈클립(20)의 고정편(21)에 결합되는 퓨즈(1)의 중앙부분이 고정돌기(32)의 상부에 놓여져 커버(30)가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게 제공한다.
여기서 커버(30)는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이 이용되어 퓨즈(1)에 끼여질 수 있게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퓨즈홀더는 몸체(10)의 양측 수용공간(11)에 설치된 퓨즈클립(20)의 고정편(21)에 퓨즈(1)의 단자부분을 눌러 접촉고정시킨 후 커버(30)의 결합대(31)를 퓨즈(1)의 중앙부분에 위치시킨 후 눌러 결합대(31)의 내측에 돌출된 고정돌기(32)가 퓨즈(1)를 지나 퓨즈(1)의 중앙부분이 고정돌기(32)의 상부에 놓여지게 함으로써 커버(30)를 몸체(10)에 고정시킨다.
이후, 원하는 회로기판에 고정시켜 사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퓨즈 홀더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의 경우 배전판, VCR 및 전자레인지 등 다양한 전자기기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기판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자기기 오작동 발생 시 그 오작동이 퓨즈(1) 단선에 의한 것인지를 알고자 한다면 회로기판에 설치된 퓨즈 홀더를 탈거(脫去)한 후 몸체(10)에 고정된 커버(30)를 고정해제한 후 퓨즈클립(20)의 고정편(21)에 고정된 퓨즈(1)를 제거한 상태에서 육안으로 퓨즈(1)를 확인해야만 퓨즈(1)의 단선에 의한 오작동인지를 인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퓨즈(1)는 설치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연속적으로 다수개를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전자기기의 오작동 발생 시 퓨즈(1)의 단선에 의한 오작동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종래의 퓨즈 홀더들을 앞에서 언급한 과정대로 일일이 제거한 후 확인해야 하는 폐단이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 오작동 발생 시 그 오작동이 퓨즈의 단선에 의한 것인 경우 이를 안내하여 주는 안내기능을 갖는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퓨즈의 양단자를 고정시켜 주는 한 쌍의 퓨즈클립 및 상기 몸체에 씌워지는 커버로 이루어진 퓨즈 홀더에 퓨즈의 단선 시 이를 안내하여 주는 단선안내수단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단선안내수단은, 상기 한 쌍의 퓨즈클립 중 일측에 접촉되는 일측 컨택터와; 상기 일측 컨택터 쪽과 연결되는 발광소자와; 일측이 상기 발광소자와 연결되는 타측이 상기 한 쌍의 퓨즈클립 중 타측에 접촉되는 타측 컨택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 컨택터와 상기 발광소자 사이에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가 구비된다.
상기 정류부와 상기 발광소자 사이에는 정류된 전원을 전압변환하는 저항부;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에는 수용구멍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커버의 수용구멍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오작동 발생 시 그 발생된 오작동이 과부하에 의해 퓨즈가 단선된 경우 퓨즈 홀더를 회로기판으로부터 탈거한 후 재차 몸체에 고정된 커버를 고정해제한 상태에서 또다시 퓨즈클립에 고정된 퓨즈를 제거한 후 육안으로 퓨즈를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회로기판을 확인하여 퓨즈 홀더로부터 빛이 발광되는지에 대한 여부만 알면 전자기기의 오작동이 퓨즈의 단선에 의한 것임을 바로 확인가능하게 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회로기판 상에 여러 개의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가 설치된 경우에는 어떤 퓨즈 홀더에서 퓨즈의 단선이 발생 되었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일일이 퓨즈 홀더를 탈거하여 퓨즈 홀더 내에 고정된 퓨즈의 확인과정이 필요 없이 바로 해당 퓨즈의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퓨즈 홀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퓨즈 홀더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퓨즈(1)의 양단자를 고정시켜 주는 한 쌍의 퓨즈클립(120) 및 상기 몸체(110)에 씌워지는 커버(130)로 이루어진 퓨즈 홀더에 있어서, 커버(130)에 퓨즈(1)의 단선 시 이를 안내하여 주는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것이다.
여기서, 퓨즈(1)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양단부에 도체가 결합된 원통형상의 유리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양단부에 도체가 결합된 막대형상 등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몸체(110)에는 후술되는 퓨즈클립(120)의 단자핀(122)이 관통되는 단자관통공(111)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진다.
상기 퓨즈클립(120)은 원통 형상의 퓨즈(1)가 탄력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퓨즈(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탄성지지구(121) 및 그 탄성지지구(121)의 중앙 부분에 관통되어 걸려지는 단자핀(122)으로 이루어져, 탄성지지구(121의 중앙 부분에 관통되어 걸려지는 단자핀(122)을 몸체(110)의 단자관통공(111)을 통해 관통시켜 노출시킨 상태에서 리벳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회로기판(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어 퓨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한다.
상기 커버(130)는 몸체(110)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인 직육면체 형상을 갖으며, 하면이 개방되고, 그 개방된 내측의 양쪽에 걸림대(131)가 돌출되어 몸체(110)에 씌워질 시 몸체(110)의 양측 하부 모서리에 걸림으로써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몸체(110), 퓨즈클립(120) 및 커버(130)는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배전판, VCR 및 전자레인지 등의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시 요구되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선안내수단은 크게 일측 컨택터(210), 발광소자(240) 및 타측 컨택터(250)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의 구성 중 일측 컨택터(210) 및 타측 컨택터(250)는 한 쌍의 퓨즈클립(120) 중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촉되어, 퓨즈(1)의 양측 단자가 접촉된 한 쌍의 퓨즈클립(120)의 탄성지지구(121)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중 과부하에 의해 퓨즈(1)가 단선된 경우 후술되는 발광소자(240)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시켜 줄 수 있도록 통전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상기 발광소자(240)는 일측 컨택터(210) 쪽과 도선을 통해 연결되어, 과부하에 의해 퓨즈(1)가 단선된 경우 일측 컨택터(210)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공급받아 발광됨으로써, 관리자가 전자기기의 오작동이 퓨즈(1)의 단선에 의한 경우 퓨즈 홀더를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탈거(脫去)한 후 재차 몸체(110)에 고정된 커버(130)를 고정해제한 상태에서 또다시 퓨즈클립(120)에 고정된 퓨즈(1)를 제거한 후 육안으로 퓨즈(1)를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수행할 필요 없이 발광된 발광소자(240)를 통해 바로 퓨즈(1)의 단선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발광소자(240)의 경우 관리자의 인지가 보다 용이하도록 커버(13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커버(130)에는 수용구멍(132)이 관통형성되고, 발광소자(240)는 커버(130)의 수용구멍(132)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240)는 필라멘트 발광전구, 네온전구, 형광전구, LED 및 E/L 발광체 등 다양한 발광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가 장착되는 전자기기로는 배전판, VCR 및 전자레인지 등 다양한 분야의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바, 이와 같은 다양한 분야의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은 주로 22V나 110V 등의 교류전원이 이용되기 때문에 직류전원으로 작동하는 발광소자(240)인 LED를 위해 정류기능이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일측 컨택터(210)와 발광소자(240) 사이에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220)인 다이오드가 도선을 통해 연결되어 제공되어진다.
또한, 일측 컨택터(210)를 통해 통전되는 전원의 전압레벨이 고전압인 경우 전압강하를 해주거나 또는 이와 반대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즉, 원하는 소정레벨의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류부(220)와 발광소자(240) 사이에 정류된 전원을 전압변환하는 저항부(230)가 도선을 통해 연결되어 제공되어진다.
그리고 단선안내수단을 구성하는 일측 컨택터(210), 정류부(220), 저항부(230) 및 타측 컨택터(250)의 배치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130)에 배치되거나 또는 몸체(1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선안내수단의 배치구조는 제조적인 측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는 몸체(110)의 양측에 설치된 퓨즈클립(120)의 탄성지지구(121)에 퓨즈(1)의 단자부분을 눌러 접촉고정시킨 후 커버(130)를 몸체(110)에 씌우면 커버(130)의 내측 하부에 돌출된 걸림대(131) 상에 몸체(110)의 바닥면 가장자리 부분이 놓여지게 됨으로써 커버(130)를 몸체(110)에 고정시킨다.
이후, 원하는 회로기판에 고정시켜 사용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회로기판에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가 설치된 전자기기를 사용 시 퓨즈(1)가 단선되지 않으면 전류는 퓨즈(1)를 통해서 흐른다.
그런데, 전자기기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자기기의 전자부품의 보호를 위해 공급되는 과전류로 인해 퓨즈(1)의 단선이 발생되면, 일측 퓨즈클립(120)의 단자핀(122)을 통해 탄성지지구(121)로 흐르는 전류는 퓨즈(1)로 흐를 수 없어 퓨즈클립(120)의 탄성지지구(121)와 접촉된 일측 컨택터(210)로 공급된다.
일측 컨택터(210)로 공급되는 전류는 도선을 통해 정류부(220)로 공급되어 직류로 정류되고, 정류부(220)를 통해 정류된 직류전원은 도선을 통해 저항부(230)로 공급되어, 원하는 전압레벨로 변압되어 도선을 통해 발광소자(240)로 공급됨으로써 발광소자(240)가 발광될 수 있게 제공한다.
이로 인해, 퓨즈(1)의 단선이 발생된 해당 퓨즈 홀더를 이루는 커버(130)에서는 발광소자(240)로부터 빛이 발광된다.
이 때문에, 관리자는 전자기기의 오작동이 전자기기의 오작동이 퓨즈(1)의 단선에 의한 것임을 알고자 할 경우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가 설치된 회로기판을 확인하여 빛의 발광 여부만 알면 전자기기의 오작동이 퓨즈(1)의 단선에 의한 것임을 바로 알 수 있다.
특히, 회로기판 상에 여러 개의 본 발명의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가 설치된 경우에는 어떤 퓨즈 홀더에서 퓨즈(1)의 단선이 발생 되었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일일이 퓨즈 홀더를 탈거하여 퓨즈 홀더 내에 고정된 퓨즈(1)의 확인과정이 필요 없이 바로 해당 퓨즈(1)의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퓨즈 10,110 : 몸체
11 : 수용공간 12,111 : 단자관통공
20,120 : 퓨즈클립 21 : 고정편
22,122 : 단자핀 30,130 : 커버
31 : 결합대 32 : 고정돌기
121 : 탄성지지구 131 : 걸림대
132 : 수용구멍 210 : 일측 컨택터
220 : 정류부 230 : 저항부
240 : 발광소자 250 : 타측 컨택터

Claims (4)

  1.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퓨즈(1)의 양단자를 고정시켜 주는 한 쌍의 퓨즈클립(120) 및 상기 몸체(110)에 씌워지는 커버(130)로 이루어진 퓨즈 홀더에 퓨즈(1)의 단선 시 이를 안내하여 주는 단선안내수단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단선안내수단은,
    상기 한 쌍의 퓨즈클립(120) 중 일측에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13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는 일측 컨택터(210)와;
    상기 커버(13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된 상기 일측 컨택터(210)와 연결되는 것으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220)와;
    상기 커버(13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된 상기 정류부(220)와 연결되는 것으로, 정류된 전원을 전압변환하는 저항부(230)와;
    상기 커버(13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된 상기 저항부(230)와 연결되는 발광소자(240)와;
    일측이 상기 발광소자(24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한 쌍의 퓨즈클립(120) 중 타측에 접촉되는 타측 컨택터(2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130)에는 수용구멍(132)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240)는 상기 커버(130)의 수용구멍(132)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130)의 개방된 내측 양쪽에는 걸림대(131)를 돌출시켜, 상기 몸체(110)에 씌워질 시 상기 몸체(110)의 양측 하부 모서리에 걸림으로써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85053A 2011-08-25 2011-08-25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 KR101224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053A KR101224801B1 (ko) 2011-08-25 2011-08-25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053A KR101224801B1 (ko) 2011-08-25 2011-08-25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801B1 true KR101224801B1 (ko) 2013-01-21

Family

ID=4784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053A KR101224801B1 (ko) 2011-08-25 2011-08-25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8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6633A (zh) * 2018-04-11 2018-08-07 天立电机(宁波)有限公司 一种熔断器承载装置
KR20190001716U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운영 퓨즈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트랜스포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897Y1 (ko) * 1987-04-15 1991-09-16 대우전자 주식회사 퓨즈 홀더
JP2007287392A (ja) * 2006-04-13 2007-11-0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ヒューズ
JP2007311086A (ja) 2006-05-17 2007-11-2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ヒューズホルダ及びヒュー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897Y1 (ko) * 1987-04-15 1991-09-16 대우전자 주식회사 퓨즈 홀더
JP2007287392A (ja) * 2006-04-13 2007-11-0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ヒューズ
JP2007311086A (ja) 2006-05-17 2007-11-2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ヒューズホルダ及びヒュー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716U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운영 퓨즈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트랜스포머
KR200490528Y1 (ko) * 2017-12-28 2019-11-26 주식회사 운영 퓨즈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트랜스포머
CN108376633A (zh) * 2018-04-11 2018-08-07 天立电机(宁波)有限公司 一种熔断器承载装置
CN108376633B (zh) * 2018-04-11 2024-04-26 天立电机(宁波)有限公司 一种熔断器承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3627B2 (en) Light strands
US9705259B2 (en) Electrical connector part having a resistance coding
US9615414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US7705706B2 (en) Plug with replaceable fuse
TW201310793A (zh) 插座組合
KR101224801B1 (ko) 단선안내수단이 구비된 퓨즈 홀더
US10050390B1 (en) Light emitting power line plug having a power cord with a translucent cladding
TW201036285A (en) Protection against electric shock circuit of the socket
TWI407928B (zh) 傢俱(三)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US7347714B2 (en) Electronic device assembly having securing feature
KR101269536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20160104982A1 (en) Connecting device for electronic appliance
JP6811395B2 (ja) 照明器具
US20090034267A1 (en) Led lamp
CN210016058U (zh) 灯带连接器以及相应的灯带组件
CN212229465U (zh) 无线开关接收器与设备控制组件
KR20060022978A (ko)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KR100973357B1 (ko) 릴레이 구분 접속 기능을 구비한 릴레이 소켓 구조
KR20150084197A (ko) 직관 램프
KR101178127B1 (ko) Led 조명등기구
KR20110002402A (ko) 형광등 홀더 조립체
KR101477393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090034254A1 (en) Led lamp
KR101205016B1 (ko) 전원 연결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