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701B1 - 화물 운반용 슬링 - Google Patents

화물 운반용 슬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701B1
KR101224701B1 KR1020120102058A KR20120102058A KR101224701B1 KR 101224701 B1 KR101224701 B1 KR 101224701B1 KR 1020120102058 A KR1020120102058 A KR 1020120102058A KR 20120102058 A KR20120102058 A KR 20120102058A KR 101224701 B1 KR101224701 B1 KR 101224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variable
unit
cargo
ro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애
Original Assignee
김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애 filed Critical 김정애
Priority to KR1020120102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후크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고리와, 좌, 우로 벌어지는 한 쌍의 가변 로프부가 이루어지는 제1 로프와, 중간 고리를 매개로 각 가변 로프부와 연결되는 각 한 쌍의 지지 로프로 이루어지되 각 단부에는 고정 고리가 구비되는 제2 로프로 구성되는 화물 운반용 슬링으로서, 상기 제1 로프의 가변 로프부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위 로프가 복수 개가 구비되되, 각 단위 로프 단부에는 상기 이송 후크에 걸리는 연결부로서 고정 고리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단위 로프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송 후크와 연결하여 상기 제1 로프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 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물 운반용 슬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물 운반용 슬링{A sling for freight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화물 운반용 슬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송 후크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고리와, 좌, 우로 벌어지는 한 쌍의 가변 로프부가 이루어지는 제1 로프와, 중간 고리를 매개로 각 가변 로프부와 연결되는 각 한 쌍의 지지 로프로 이루어지되 각 단부에는 고정 고리가 구비되는 제2 로프로 구성되는 화물 운반용 슬링으로서, 상기 제1 로프의 가변 로프부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위 로프가 복수 개가 구비되되, 각 단위 로프 단부에는 상기 이송 후크에 걸리는 연결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단위 로프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송 후크와 연결하여 상기 제1 로프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 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물 운반용 슬링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 함정 작전시 헬기나 크레인 등에 사용되는 슬링(sling)은 화물이나 차량 등의 중량물을 이송시킬 때 중량물을 헬기나 크레인 등의 이송 후크에 걸어주는 연결 수단이다.
통상적인 슬링은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이송 후크(h)와 연결되는 제1 로프(10)와, 중간 고리(3)를 매개로 제1 로프와 연결되어 화물(c)을 지지하는 제2 로프(30)로 이루어진다. 제1 로프(10)는 특히 그 상부에 이송 후크(h)와의 결합을 위한 상부 고리(1)가 구비되며, 봉제에 의해 형성되는 결착부(12)를 기준으로 좌, 우 한 쌍의 가변 로프부(14, 16)로 이루어지며, 각 가변 로프부(14, 16)에는 길이 조절을 위한 버클(15, 17)이 구비된다. 제2 로프(20)는 한 쌍씩 각 중간 고리(3)에 결합되는 지지 로프(32 34, 36, 38)가 구비되며, 각 지지 로프 단부에는 지지 고리(4)가 구비된다.
화물(c)은 이러한 구성의 슬링에 지지된 상태로 이송 후크(h)에 의해 필요한 장소까지 운송된다. 한편, 슬링이 연결되는 화물의 고정 위치가 일정하지 않거나, 또는 화물의 전, 후면부의 수직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에 슬링의 각 로프 길이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로 화물을 운송하면 무게 중심이 맞지 않아 기울어지거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 슬링은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어느 하나의 가변 로프부 길이를 버클(15, 17)을 사용하여 조절함으로써 무게 중심을 ㅈ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가변 로프부의 일 측면을 버클에 끼운 다음, 화물의 하중이 전달되면 버클과 가변 로프부의 일 측면이 강하게 밀착되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버클을 사용하는 이러한 구성은, 화물의 하중을 버클과 가변 로프부의 일 측면이 밀착되어 발생하는 마찰력만으로 감당해야 한다는 점에서 화물이 일정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하중으로 인해 가변 로프부가 풀릴 개연성이 있으며, 나아가 화물의 하중이 버클에 집중된다는 점에서 과도한 하중으로 인해 버클이 손상될 수 있다. 이는 슬링을 이용하여 운송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며, 나아가 자칫 버클로부터 가변 로프부가 풀리거나 버클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운송 중에 화물이 낙하하여 안전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032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357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거나 또는 슬링과 연결되는 화물의 각 고정 위치가 수직 높이를 달리하는 경우, 나아가 화물이 일정 중량을 초과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운송을 매개할 수 있는 화물 운반용 슬링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결착부(12)와 이송 후크(h)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결착부(12)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고리(1)와 상기 결착부(12)에서 좌, 우로 벌어지는 한 쌍의 가변 로프부(14, 16)로 이루어지는 제1 로프(10)와, 중간 고리(3)를 매개로 상기 제1 로프(10)의 각 가변 로프부(14, 16)와 연결되는 각 한 쌍의 지지 로프(32, 34, 36, 38)로 이루어지되 각 단부에는 하부 고리(4)가 구비되는 제2 로프(30)로 구성되는 화물 운반용 슬링으로서, 상기 제1 로프(10)의 가변 로프부(14,16)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위 로프(22)가 구비되되, 각 단위 로프 단부에는 상기 이송 후크(h)와의 연결을 위한 고정 고리(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단위 로프(22)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송 후크와 연결하여 상기 제1 로프(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 로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제1 로프(10)는 단일 로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 로프부(14, 16)는 봉제된 상기 결착부(12)를 기준으로 좌, 우로 분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가변 로프부에 복수 개의 단위 로프를 구성하고, 그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위 로프를 이송 후크와 직접 결합하여 가변 로프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슬링과 연결되는 화물의 고정 위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안정적인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고리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고정 고리를 단위 로프의 단부에 구비되고, 이 고정 고리를 이송 후크와 직접 연결하는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상당 중량체의 화물이라도 안전 사고 없이 안정적인 운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슬링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슬링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
도 3은 종래 화물용 운반용 슬링의 일 구성도.
도 4는 종래 화물 운반용 슬링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슬링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로프(10)와, 중간 고리(3)를 매개로 상기 제1 로프(10)와 연결되는 제2 로프(30), 그리고 상기 제1 로프(10)에 구비되는 보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1 로프(10)는 이송 후크(h)와의 결합을 위해 상부 고리(1)가 구비되는 결착부(12)와, 상기 결착부(12)를 기준으로 분지되는 좌, 우 가변 로프부(14, 16)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착부(12)는 두 개의 로프를 일체화시킨 부분으로서 봉제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고리(1)는 결착부(12)에 의해 형성되는 매듭 부위(11)에 관통 삽입되며, 관련 업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형상의 고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변 로프부(14, 16)의 각 단부에는 중간 고리(3)와의 결합을 위한 매듭 부위(15, 17)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로프(10)는 단일 구성의 로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부 고리(1)를 기준으로 가변 로프부(14, 16)는 상호 대향하게 되며, 결착부(12)에 의해 상부에는 매듭 부위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결착부(12)는 봉제 작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가변 로프부(14, 16)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변 로프부에 종래 버클과 같이 가변 로프부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보조 로프(20)가 구비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보조 로프(20)는 복수 개의 단위 로프(2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단위 로프(22)는 선택되는 어느 가변 로프부의 일 측면에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변 로프부의 일 측면, 바람직하게는 가변 로프부의 외 측면에 복수 개의 단위 로프가 고정 결합되되 상호 간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구비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가변 로프부 모두에 복수 개의 단위 로프가 구비되며, 단위 로프 상호 간의 간격은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 달리 가변 로프부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변 로프부에 복수 개의 단위 로프가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며, 나아가 복수 개의 단위 로프들 사이 간격이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보조 로프(20)에 있어, 각 단위 로프(22)의 단부에는 이송 후크(h)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는 고정 고리(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 고리(2)는 각 단위 로프의 단부에 구비되는 매듭 부위(26)를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가변 로프부 및 그 가변 로프부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 로프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위 로프의 고정 고리를 이송 후크에 직접 연결하면, 그 가변 로프부의 전체 길이는 선택된 단위 로프가 위치하는 지점만큼 타 가변 로프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즉, 화물에 있어 슬링과 연결되는 각 고정 위치가 일정하지 않거나, 또는 각 고정 위치의 수직 높이가 불규칙한 경우에는 가변 로프부 및 단위 로프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에 의해 화물의 하중은 슬링 각 부분에 적절하게 배분될 수 있다.
더욱이, 고정 고리가 직접 이송 후크에 연결되면, 고정 고리가 상부 고리를 온전히 대체하여 고정 고리와 연결되는 가변 로프부 및 그 가변 로프부에 연결되는 지지 로프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화물이 상당한 중량체라 할지라도 용이하게 그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버클이 가변 로프부의 일 측과 밀착된 상태에서 그 밀착 마찰력으로 화물의 하중을 지지함에 따라, 마찰력이 지탱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무게를 가지는 화물만을 운송할 수 있었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미설명 도면부호 24는 가변 로프부와의 결합 부위로서, 단위 로프는 봉제 작업을 통해 가변 로프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프(30)는 운송 대상으로서 화물(c)과 직접 결합되는 부분이며, 중간 고리(3)를 매개로 각 제1 로프(10)와 한 쌍씩 연결되는 지지 로프(32, 34, 36, 38)로 이루어진다. 즉, 제2 로프 중 한 쌍의 지지 로프(32, 34)는 일 중간 고리(3)를 매개로 제1 로프의 일 가변 로프부(14)와 연결되며, 제2 로프 중 다른 한 쌍의 지지 로프(36, 38)는 타 중간 고리(3)를 매개로 제1 로프의 타 가변 로프부(16)와 연결된다. 각 지지 로프의 단부에는 화물과의 연결을 위한 하부 고리(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전술한 구성 및 작용 상태도를 보여주는 도 2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살펴본다.
운송의 대상이 화물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슬링이 연결되는 화물의 각 고정 위치가 동일한 수직 높이로 이루어진다면 보조 로프(20)의 작용이 없더라도 간단히 제1 로프(10)의 상부 고리(1)를 이송 후크(h)에 연결하고, 제2 로프(30)의 각 하부 고리(4)를 화물의 각 고정 위치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운송이 가능하다. 하지만, 화물의 형상이 불규칙하거나, 또는 슬링이 연결되는 화물의 각 고정 위치가 수직 높이를 달리하는 경우에는 보조 로프(20)의 작용이 필요하다.
먼저, 가변 로프부(14, 16) 중에서 어느 가변 로프부의 길이 조절이 필요할지를 결정한다. 길이 조절이 필요한 가변 로프부가 정해지면, 이에 부가하여 어느 정도의 길이 조절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가변 로프부의 길이 조정은 가변 로프부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단위 로프(22) 중에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즉, 화물에 있어 고정 위치의 수직 높이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단위 로프(22)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한 단위 로프를 선택하고 그 고정 고리(2)를 이송 후크(h)에 연결하면 된다. 그러면, 각 가변 로프부(14, 16)는 서로 길이가 달라지고, 이와 동시에 화물에 직접 결합되는 제2 로프(20)의 각 지지 로프(32, 34, 36, 38)의 결합 높이도 달라져 화물의 하중은 각 로프에 균등하게 배분된, 즉 적절한 무게 중심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 후크에 의해 운송될 수 있다. 만일, 이와 달리 화물에 있어 슬링이 연결되는 고정 위치의 수직 높이가 크게 차이가 난다면 복수 개의 단위 로프(22)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로프를 선택하고 그 고정 고리(2)를 이송 후크(h)에 연결하면 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화물의 형상이 아무리 복잡하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슬링이 연결되는 그 고정 위치가 서로 다른 수직 높이를 가진다 할지라도, 가변 로프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 로프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단위 로프에 구비되는 고정 고리를 이송 후크와 간단히 연결하는 작업만으로 이송 후크에 매달린 화물의 무게 중심을 적절하게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위 로프에 구비되는 고정 고리(2)를 이송 후크(h)에 걸기만 하면 고정 고리(2) 자체가 상부 고리(1)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즉, 종래 버클을 사용하여 길이 조절을 하는 경우 화물의 중량이 다소 무거운 경우에는 버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지지하고 있는 가변 로프부가 버클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은 고정 고리 자체를 이송 후크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중량체의 화물을 운송하더라도 가변 로프부가 풀려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상부 고리 2 : 고정 고리
3 : 중간 고리 4 : 하부 고리
10 : 제1 로프 12 : 결착부
14, 16 : 가변 로프부 20 : 보조 로프
22 : 단위 로프 30 : 제2 로프
32, 34, 36, 38 : 지지 로프

Claims (3)

  1. 결착부(12)와 이송 후크(h)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결착부(12)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고리(1)와 상기 결착부(12)에서 좌, 우로 벌어지는 한 쌍의 가변 로프부(14, 16)로 이루어지는 제1 로프(10)와, 중간 고리(3)를 매개로 상기 제1 로프(10)의 각 가변 로프부(14, 16)와 연결되는 각 한 쌍의 지지 로프(32, 34, 36, 38)로 이루어지되 각 단부에는 하부 고리(4)가 구비되는 제2 로프(30)로 구성되는 화물 운반용 슬링으로서,
    상기 제1 로프(10)의 가변 로프부(14,16)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위 로프(22)가 구비되되, 각 단위 로프 단부에는 상기 이송 후크(h)와의 연결을 위한 고정 고리(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단위 로프(22)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송 후크와 연결하여 상기 제1 로프(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 로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물 운반용 슬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프(10)는 단일 로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 로프부(14, 16)는 봉제된 상기 결착부(12)를 기준으로 좌, 우로 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슬링.

KR1020120102058A 2012-09-14 2012-09-14 화물 운반용 슬링 KR101224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058A KR101224701B1 (ko) 2012-09-14 2012-09-14 화물 운반용 슬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058A KR101224701B1 (ko) 2012-09-14 2012-09-14 화물 운반용 슬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701B1 true KR101224701B1 (ko) 2013-01-21

Family

ID=4784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058A KR101224701B1 (ko) 2012-09-14 2012-09-14 화물 운반용 슬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7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62U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부속시설물 운반용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8094A (en) * 1979-12-13 1981-07-17 Sekisui Chemical Co Ltd Hoisting method
JP3004731U (ja) * 1994-05-30 1994-11-22 大成建設株式会社 多点吊り治具
KR20020082713A (ko) * 2001-04-25 200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밸런서블 와이어 슬링
KR20120040598A (ko) * 2010-10-19 2012-04-27 김광희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8094A (en) * 1979-12-13 1981-07-17 Sekisui Chemical Co Ltd Hoisting method
JP3004731U (ja) * 1994-05-30 1994-11-22 大成建設株式会社 多点吊り治具
KR20020082713A (ko) * 2001-04-25 200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밸런서블 와이어 슬링
KR20120040598A (ko) * 2010-10-19 2012-04-27 김광희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62U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부속시설물 운반용 지그
KR200496742Y1 (ko) * 2020-12-28 2023-04-13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부속시설물 운반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74137A (zh) 袋装货可调专用吊梁
CN204588439U (zh) 一种绳网吊笼
CN202609767U (zh) 袋装货可调专用吊梁
CN104909045A (zh) 一种可调直径的筒体吊装运输装置
KR101224701B1 (ko) 화물 운반용 슬링
US2356146A (en) Equalizing sling
CN206494642U (zh) 一种新型无吊装平台的设备安全吊装装置
JP7015250B2 (ja) 昇降システム、およびこのような昇降システムのためのキャリア要素
US20150021945A1 (en) Safety sling
CN201074158Y (zh) 用于吊运立式钢卷的吊带组件
CN205346607U (zh) 一种自均载四腿吊具
CN208394627U (zh) 可调节式夹持吊具
CN209306818U (zh) 货物吊装架
CA2950684C (en) Hoisting frame for overweight lifting
KR200440323Y1 (ko) 차량 운반용 슬링
KR200407842Y1 (ko) 크레인용 보조걸이구
TWI500571B (zh) Can be hung in the crane of the spreader
CN217627095U (zh) 一种叉车后配重用吊架
CN202284113U (zh) 用于卷钢的c形钢复位吊具
KR101432534B1 (ko) 무게중심 인양형 인양장치
CN210655810U (zh) 一种新型吊具防脱扣
US20160207742A1 (en) Lif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CN203159142U (zh) 用于吊装袋装物资的吊叉
CN202245829U (zh) 吊装活塞缸的固定结构以及工程机械
JP6747471B2 (ja) 補助シー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