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598A -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598A
KR20120040598A KR1020100102104A KR20100102104A KR20120040598A KR 20120040598 A KR20120040598 A KR 20120040598A KR 1020100102104 A KR1020100102104 A KR 1020100102104A KR 20100102104 A KR20100102104 A KR 20100102104A KR 20120040598 A KR20120040598 A KR 20120040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ree
buckle
belts
s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희
Original Assignee
김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희 filed Critical 김광희
Priority to KR1020100102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0598A/ko
Publication of KR2012004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8Band-type s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1)을 운반하기 위한 슬링벨트의 구조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수목(1)의 기둥(2)에 개재되어 감싸면서 조여주도록 띠(11)와 버클(15A)(15B)로 이루어진 제1벨트(10); 상기 수목(1)의 수목분(3)에 개재되어 띠(21)와 버클(25A)(25B)로 이루어진 제2벨트(20); 및 상기 제1벨트(10)와 제2벨트(20)의 띠(11)(21) 상에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고리부(31)(35)를 지니는 제3벨트(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수의 벨트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무게중심을 찾기가 용이하면서 하중을 고르게 분산하여 안정성이 확보되고, 버클을 사용하여 풀림을 방지하여 수목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고 하중변화에 따른 슬립을 억제하여 수목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Woody plant transportation sling belt of structures}
본 발명은 슬링벨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벨트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무게중심을 찾기가 용이하면서 하중을 고르게 분산하여 안정성이 확보되고, 버클을 사용하여 풀림을 방지하여 수목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고 하중변화에 따른 슬립을 억제하여 수목의 손상을 방지하는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수목은 조경사업에 있어 오늘날 현대사회에 이르러 도시환경을 아름답고 유용하고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인문적ㆍ과학적 지식을 응용하여 토지를 계획ㆍ설계ㆍ관리하는 예술인 조경사업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연환경에서 자란 수목을 도시환경으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반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수목을 운반하기 위한 벨트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종래에는 수목(1)의 뿌리 주위로 구덩이를 파고, 뿌리를 보호하기 위한 천으로 감싸는 수목분(3)이 형성되고, 제1벨트(4)를 통하여 수목분(3)으로 감아 조인 다음, 제2벨트(5)를 기둥(2)의 적당한 위치에 감아 조인다. 그리고 제2벨트(5)는 제1벨트(4)를 함께 묶어 운반 할 준비를 완료한다. 한편 제1벨트(4), 제2벨트(5)는 각각 수목(1)상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임구를 사용하여 조일 수 있으나 대개 묶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이 대다수이다.
이때, 수목(1)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수목(1)을 승하강 후크(걸고리)를 지닌 크레인과 함께 구덩이를 파기 위한 굴삭기가 동원되고, 원거리 운반시, 수목(1)을 적재하기 위한 트럭이 필요하다. 이후 수목(1)을 운반할 준비가 완료되면, 크레인에 부착된 후크를 제1벨트(4)의 일단에 걸고 지면으로부터 수목(1)을 상승시켜 식재될 장소로 이동하거나, 트럭에 적재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조를 통해 수목(1)을 운반하게 되면 제1벨트(4)의 적절한 길이를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이에 따른 하중에 의한 작용점의 변화로 제2벨트(5)가 이동하여 기둥의 외피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즉,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목(1)은 대개 흙을 포함하는 수목분(3)에 하중이 가장 많이 인가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수목분(3)을 지탱하는 제1벨트(4)가 실질적으로 수목(1)을 지탱한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제2벨트(5)는 수목(1)이 약 45°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유도하면서 수목(1)의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수목(1)을 운반하기 위해 상승시키면 기둥(2)을 조인 제2벨트(5)가 슬립이 발생하여 나무껍질을 손상시키고, 완벽한 무게중심을 잡지 못할 경우 수직방향으로 상승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힘의 중심이 흐트러지게 됨에 따라 운반시 수목(1)을 지면으로 낙상하여 파손하는 단점이 있었다. 더구나 원거리 운반시 트럭에 수목(1)을 적재하기 위해 눕혀야 가능하기 때문에 수목(1)을 약 45ㅀ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운반하여야 된다.
또한, 제1벨트(4)가 수목분(3)을 감아 조이고 남는 부위로 제2벨트(5)와 결속하게 되는데, 다양한 크기를 지닌 수목분(3)에 대응하기 위해 일일이 작업자가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적당한 길이를 남겨야 되는 문제점이 있고, 제2벨트(5)도 마찬가지로 기둥에 개재하는 위치에 따라 수목(1) 운반시 기울기가 상당한 변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이러한 작업은 다양한 종류 및 크기에 따른 수목(1)에 그에 따른 하중의 작용점에 대한 완벽한 정답이 없어 한 번에 찾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시행착오를 거쳐야 되는 불가피한 상황으로 인해 이에 따른 제1벨트(4)와 제2벨트(5)를 풀고 묶는 과정을 되풀이 할 때, 일반적으로 묶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면 작업시간이 현저히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벨트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무게중심을 찾기가 용이하면서 하중을 고르게 분산하여 안정성이 확보되고, 버클을 사용하여 풀림을 방지하여 수목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고 하중변화에 따른 슬립을 억제하여 수목의 손상을 방지하는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목을 운반하기 위한 슬링벨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목의 기둥에 개재되어 감싸면서 조여주도록 띠와 버클로 이루어진 제1벨트; 상기 수목의 수목분에 개재되어 띠와 버클로 이루어진 제2벨트; 및 상기 제1벨트와 제2벨트의 띠 상에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고리부를 지니는 제3벨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벨트와 제2벨트는 상기 띠의 일단을 버클과 버클 사이를 교차되게 연결하고, 상기 띠를 당기면 당길 수로 더욱 더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벨트는 띠 상에 위치 조정이 가능한 클립과, 상기 클립 상에 연결되는 보조벨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벨트는 하부에 기둥을 보호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지니면서 기둥의 지름에 따라 길이를 조정하는 고리를 지니는 완충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링벨트는 다수의 벨트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무게중심을 찾기가 용이하면서 하중을 고르게 분산하여 안정성이 확보되고, 버클을 사용하여 풀림을 방지하여 수목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고 하중변화에 따른 슬립을 억제하여 수목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수목을 운반하기 위한 벨트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을 운반하기 위한 슬링벨트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링벨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결속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슬링벨트의 주요부 중 제1벨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결속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을 운반하기 위한 슬링벨트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링벨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결속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슬링벨트의 주요부 중 제1벨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수목(1)을 운반하기 위한 사용되는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에 관련되는 것으로, 특히 수목을 운반함에 있어 안정성 확보와 함께 수목의 손상을 방지하는 슬링벨트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슬링벨트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는데, 이는 와이어로프 보다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어 수목(1)을 조여주면서 운반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벨트(10)는 상기 수목(1)의 기둥(2)에 개재되어 감싸면서 조여주도록 띠(11)와 버클(15A)(15B)로 이루어진다. 제1벨트(10)는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지닌 띠(11)로 이루어지는데, 띠(11)의 일측 끝단에는 아이부(EYE)가 형성되고, 아이부 상에 버클(15A)(15B)을 개재하여 봉제하여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1벨트(10)는 수목(1)의 기둥(2)에 감싸면서 조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후술하는 제3벨트(30)와 함께 서로 연계하여 감싸면서 버클(15A)(15B)을 통하여 조여준다. 따라서 수목(1)을 운반하기 위한 승강시, 수목(1)의 하중을 분산하고 약 45°의 각도로 기울어져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벨트(10)는 띠(11) 상에 위치 조정이 가능한 클립(41)(42)과, 상기 클립(41)(42)상에 연결되는 보조벨트(40)를 더 구비한다. 보조벨트(4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띠(11)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제3벨트(30)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보조벨트(40)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상으로 한 쌍의 결속홈이 형성된 클립(41)(42)으로 각각 연결한다. 즉, 클립(41)(42)의 결속홈으로 보조벨트(40)를 삽입하고, 타측의 결속홈으로 제1벨트(10)의 띠(11)를 삽입한다. 따라서 띠(11)를 중심으로 보조벨트(40)는 위치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보조벨트(40)는 제1벨트(10)가 수목(1)의 기둥(2)에 감싸면서 제3벨트(30)와 함께 조여 수목(1)을 운반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1벨트(10)가 제3벨트(30)를 동시에 감싸는 구조로 연결하게 되면 수목(1)의 운반을 위한 상승시에 제3벨트(30)의 하중이 제1벨트(10)에 고스란히 전달되어 하중의 작용점의 변화로 기둥(2)으로부터 제1벨트(10)가 슬립되는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제3벨트(30)를 제1벨트(10)와 보조벨트(40) 사이로 통과시켜 제3벨트(30)의 하중을 보조벨트(40)로 전달되어 하중의 작용점이 변경되더라도 보조벨트(40) 상에서 슬립이 발생되도록 하여 기둥(2)의 외피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벨트(40)는 제1벨트(10)로부터 탈장착이 가능하여 수목(1)의 크기와 종류에 의한 하중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벨트(10)는 하부에 기둥(2)을 보호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지니면서 기둥(2)의 지름에 따라 길이를 조정하는 고리(51)를 지니는 완충패드(50)를 구비한다. 완충패드(50)는 직물내에 고무와 같은 연질재를 삽입한것으로 제1벨트(10)의 하부에 장착하여 기둥(2)의 외피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완충패드(50)는 제1벨트(10)와 동일한 넓이로 형성할 수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벨트(10) 보다 더 넓은 크기로 형성하여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벨트(10)는 후술하는 제3벨트(30)에 의해 하중에 의한 작용점을 부여받으면서 수목(1)이 상승하게 되면 각도 변화에 따라 그 작용점 또한 변경되면서 제1벨트(1)는 기둥(2)을 중심으로 수목분(3)의 방향인, 하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발생됨에 따라 완충패드(50)를 통하여 수목(1)의 기둥(2)으로 마찰력을 증대시켜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설령 슬립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완충패드(50)로 인해 기둥(2)의 외피인 나무껍질을 보호하여 수목(1)의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이때, 완충패드(50)는 제1벨트(1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는데, 수목(1)의 종류와 크기와 따른 기둥(2)의 지름에 대한 다양하게 대응하므로 길이를 조정하는 다수의 고리(51)를 구비하여 제1벨트(10)를 착탈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수목(1)의 기둥(2) 지름이 완충패드(50)의 길이 보다 작을 경우에는 완충패드(50)가 내부로 감길 수 있도록 제1벨트(10)가 삽입된 고리(51)에서 이탈시켜 길이를 조절하면서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벨트(20)는 상기 수목(1)의 수목분(3)에 개재되어 띠(21)와 버클(25A)(25B)로 이루어진다. 제2벨트(20)는 도시된 것처럼 전술한 제1벨트(10)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지닌 띠(21)로 이루어지는데, 띠(21)의 일측 끝단에는 아이부가 형성되고, 아이부 상에 버클(25A)(25B)을 개재하여 봉제하여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2벨트(20)는 수목(1)을 운반하기 위해 뿌리부분을 천으로 감싸 수목분(3)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제3벨트(30)와 함께 수목분(3)을 감싸면서 버클(25A)(25B)을 통하여 조여준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벨트(10)와 제2벨트(20)는 상기 띠(11)(21)의 일단을 버클(15A)(25A)과 버클(15B)(25B) 사이를 교차되게 연결하고, 상기 띠(11)(21)를 당기면 당길 수로 더욱 더 단단히 고정된다. 즉, 수목(1)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제1벨트(10)와 제2벨트(20)가 기둥(2)과 수목분(3)에 각각 감싸면서 조이되, 수목(1)을 승강시에 하중에 의한 제1벨트(10)와 제2벨트(20)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더불어 하중의 무게중심을 잡기 위해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야 되기 때문에 제1벨트(10)와 제2벨트(20)의 풀림도 쉽게 가능해야 된다.
따라서 수목(1)의 기둥(2)과 수목분(3)을 감싸 조이기 위해서는 제1벨트(10)와 제2벨트(20)의 띠(11)(21)의 일단을 도 4a 내지 도 4c처럼 버클(15A)(25A)과 버클(15B)(25B) 사이를 교차되게 연결하고, 도 5a처럼 연결된 띠(11)(21)의 일단을 기둥(2)과 수목분(3)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잡아 당겨 준다. 이처럼 제1벨트(10)와 제2벨트(20)의 띠(11)(21)가 당겨지면 버클(15A)(25A)과 버클(15B)(25B)이 띠(11)(21)에 의해 상호 압착되어 교차된 띠(11)(21)를 결속하게 된다. 이후, 제3벨트(30)를 통하여 제1벨트(10)와 제2벨트(20)의 띠(11)(21)가 당겨지면 도 5b처럼 되면 띠(11)(21)가 일방향으로 펴지면서 결속부위가 2배로 증가하게 되고 당기는 힘의 비례되는 엄청난 결속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무게중심을 잘못 잡아 수목(1)의 기둥(2)과 수목분(3)을 감싸 조이던 제1벨트(10)와 제2벨트(20)를 재차 풀어야 될 경우, 도 5a처럼 일방향의 띠(11)(21)를 직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회동시키게 되면 결속부위가 감소하게 되어 쉽게 해체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3벨트(30)는 상기 제1벨트(10)와 제2벨트(20)의 띠(11)(21) 상에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고리부(31)(35)를 지닌다. 제3벨트(30)는 도시된 것처럼 전술한 제1벨트(10)와 제2벨트(20)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지닌 띠(21)로 이루어지는데, 다만 띠(21)의 양 끝단에는 아이부가 아닌 고리부(31)(35)가 형성되게 봉제하여 일체로 구비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결속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을 이용하여 사용 상태에 있어, 먼저 도 7처럼 제2벨트(20)를 제3벨트(30)의 고리부(31) 상으로 삽입하거나 제3벨트(30)를 두 겹으로 하여 걸어둔다. 이어서 도 8처럼 제2벨트(20)를 수목분(3)의 중앙에 위치되게 개재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이 제2벨트(20)의 띠(21)의 버클(25a)과 버클(25b) 사이를 교차되게 연결한 다음 다시 띠(21)를 당겨 수목분(3)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밀착 고정한다.
이어서, 도 9처럼 제3벨트(30)를 제1벨트(10)의 보조벨트(40) 사이로 삽입하여 수목(1)의 기둥(2)으로 제1벨트(10)를 감싸 조인다. 이때, 제1벨트(10)에 보조벨트(4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기둥(2)과 제3벨트(30)를 동시에 감싸 조이면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방법과 같이 제1벨트(10)의 띠(11)의 버클(15a)과 버클(15b) 사이를 교차되게 연결한 다음 다시 띠(11)를 당겨 기둥(2)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밀착 고정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고 크레인의 후크와 제3벨트(30)의 고리부(35)를 연결하여 수목(1)을 상승하여 운반하면 된다. 이때, 제3벨트(30)가 제2벨트(20)와 두 겹으로 연결시 고리부(31)(35)가 형성되기 때문에 크레인의 후크와 모두 연결하면 된다. 물론 이러한 제1벨트(10), 제2벨트(20), 제3벨트(30)를 수목(1)에 결속하는 방법과 순서는 당업자를 통해 충분히 변형가능하나, 상기한 방법을 토대로 결속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외에도, 도면 및 청구항에 적시하지 않았지만, 제1벨트(10)와 제2벨트(20) 및 제3벨트(30)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수목을 운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는 중량이 큰 수목을 운반할 때 보다 안전성을 확보하여 운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슬링벨트는 다수의 벨트, 즉 제1ㆍ2ㆍ3벨트로(10)(20)(30)를 개별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무게중심을 찾기가 용이하면서 하중을 고르게 분산하여 안정성이 확보되고, 버클(15A)(15B)(25A)(25B)에 의해 풀림을 방지하여 수목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고 하중변화에 따른 슬립을 억제하여 수목의 손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수목 2: 기둥
3: 수목분 10: 제1벨트
11: 띠 15A,15B: 버클
20: 제2벨트 21: 띠
25A,25B: 버클 30: 제3벨트
31,35: 고리부 40: 보조벨트
41, 42: 클립 50: 완충패드
51: 고리

Claims (4)

  1. 수목(1)을 운반하기 위한 슬링벨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목(1)의 기둥(2)에 개재되어 감싸면서 조여주도록 띠(11)와 버클(15A)(15B)로 이루어진 제1벨트(10);
    상기 수목(1)의 수목분(3)에 개재되어 띠(21)와 버클(25A)(25B)로 이루어진 제2벨트(20); 및
    상기 제1벨트(10)와 제2벨트(20)의 띠(11)(21) 상에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고리부(31)(35)를 지니는 제3벨트(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10)와 제2벨트(20)는 상기 띠(11)(21)의 일단을 버클(15A)(25A)과 버클(15B)(25B) 사이를 교차되게 연결하고, 상기 띠(11)(21)를 당기면 당길 수로 더욱 더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10)는 띠(11) 상에 위치 조정이 가능한 클립(41)(42)과, 상기 클립(41)(42)상에 연결되는 보조벨트(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10)는 하부에 기둥(2)을 보호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지니면서 기둥(2)의 지름에 따라 길이를 조정하는 고리(51)를 지니는 완충패드(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KR1020100102104A 2010-10-19 2010-10-19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KR20120040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104A KR20120040598A (ko) 2010-10-19 2010-10-19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104A KR20120040598A (ko) 2010-10-19 2010-10-19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598A true KR20120040598A (ko) 2012-04-27

Family

ID=4614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104A KR20120040598A (ko) 2010-10-19 2010-10-19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05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701B1 (ko) * 2012-09-14 2013-01-21 김정애 화물 운반용 슬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701B1 (ko) * 2012-09-14 2013-01-21 김정애 화물 운반용 슬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16675A (en) Plant container
US2440712A (en) Loading sling
US2749957A (en) Tobacco carrier
US5368353A (en) Plant carrying device
US4185862A (en) Self-stabilizing multiple sling system and method
KR20120040598A (ko) 수목 운반용 슬링벨트의 구조
CN210746453U (zh) 一种树木移植垂直吊装装置
NO860674L (no) Stropp.
CN209702249U (zh) 一种物流运输过程中防止货物掉落的地牛
US3829144A (en) Cargo sling
CN103395682B (zh) 带土球树木的起吊方法
CN203860159U (zh) 一种提高树木移植成活率的保护袋
RU195283U1 (ru) Упаковочный строп с самозатягивающейся петлей
JP3151026U (ja) 樹木移植用根鉢保持枠
KR101145307B1 (ko) 대형수목 이식 공법
CN205511284U (zh) 一种苗木吊带
US20160207742A1 (en) Lif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CN214570072U (zh) 多功能吊装保护带
CN210366610U (zh) 一种吊网网袋
JP7409228B2 (ja) 梱包袋
TWM456080U (zh) 樹木移植帶
KR200494382Y1 (ko) 화분 운반용 벨트
JPH0237819Y2 (ko)
RU212023U1 (ru) Строп пакетирующий текстильный кольцевой
GB2403940A (en) A cover for palletised g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