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693B1 - 구동력이 우수한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 - Google Patents

구동력이 우수한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693B1
KR101223693B1 KR1020110058541A KR20110058541A KR101223693B1 KR 101223693 B1 KR101223693 B1 KR 101223693B1 KR 1020110058541 A KR1020110058541 A KR 1020110058541A KR 20110058541 A KR20110058541 A KR 20110058541A KR 101223693 B1 KR101223693 B1 KR 101223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ermanent magnet
vibrating body
cas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026A (ko
Inventor
조진호
임형규
성기웅
이정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8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693B1/ko
Priority to US13/524,150 priority patent/US9584923B2/en
Publication of KR20120139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6Loudspeakers using the principle of inert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영구 자석의 동일 극성을 서로 마주보게 하는 형태의 전자기 진동체에서 코일 부재의 전류 방향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는 것을 통하여 구동력을 높일 수 있는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원창 구동 진동체는 3극 타입으로 형성되는 영구 자석; 상기 영구 자석의 외주 면을 둘러싸도록 감기는 코일 부재; 및 상기 영구 자석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진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영구 자석의 중앙부에 감기는 제1 코일과 상기 영구 자석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감기는 제2 코일 및 제3 코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코일과 제3 코일은 전류 방향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은 전류 방향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를 사용하면 동일한 크기로서 기존의 전자기 진동체보다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진동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동일 부피 대비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체내에 이식되는 초소형 진동체에 의한 저전력 이식형 인공중이의 구현에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동력이 우수한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 {ROUND WINDOW DRIVING VIBRATOR OF THREE-COILS TYPE WITH EXCELLENT DRIVING FORCE}
본 발명은 정원창 구동 진동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달팽이관의 정원창 입구에 정원창 구동 진동체를 설치하여 난청자가 효과적으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진동체가 외부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구동력을 높일 수 있도록 2개의 영구 자석의 같은 극성이 서로 마주 보게 배치하고 영구 자석 주변에 3개의 코일 부재를 사용하되 코일 부재에 흐르는 전류 방향을 서로 엇갈리게 하는 2자석,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에 관한 것이다.
세계 각국은 저 출산 및 수명 연장으로 인해 고령화 사회로 발전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소음에 노출되는 빈도의 증가에 따른 난청 환자 수의 증가에 따라 청력 보상을 위한 의료 기기의 수요 및 청력 회복을 위한 이비인후과 수술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난청 환자의 청력을 보상해 주는 보청기는 사용자의 난청 정도 및 설치 위치에 따라 외부 거치형과 내부 이식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외부 거치형은 간단하게 외이의 귓바퀴에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도 난청자에게 요구되는 성능 사양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도 난청자의 경우 내부 이식형 보청기가 적합한데, 이는 중이를 대체하는 이식형 인공 중이 또는 내이를 대체하는 이식형 인공 내이로 분류할 수 있다.
이식형 인공 중이 보청기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폰 및 진동체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간단한 구조로 고도 난청자에게 효과적인 음성 신호의 전달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사람의 귀는 외이(外耳), 중이(中耳) 및 내이(內耳)로 구성되며, 이들을 따라 외부의 음향 신호가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대부분의 이식형 인공중이 보청기는 이 경로를 활용하여 달팽이관의 난원창에 진동을 인가하는 방법으로 개발 중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역방향 경로인 달팽이관의 정원창에서 진동을 인가하는 방식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때, 이식형 인공 중이 보청기의 진동체는 영구 자석과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기형 진동체와, 압전 소자와 전극을 포함하는 압전형 진동체로 구분될 수 있다. 이식형 인공 중이 보청기의 진동체를 설계할 때 우선 고려해야 할 점들은 생체 안전성과 적합성 이외에도 시술자의 수술 용이성을 위하여 가급적 작은 부피의 진동체가 바람직하며 전력 소모가 작아야 한다. 이를 위해 고성능의 진동체 개발이 필요하다. 이 중, 압전형 진동체의 경우 설계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공간 제약과 전력 소비를 최소화해야 하는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진동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고전압의 출력부를 구현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므로, 감각 신경성 난청자의 청력을 보상하기 위해 전자기형 진동체를 많이 이용하고는 있으나, 전자기형 진동체를 이용한 정원창 구동 진동 트랜스듀서는 구동력이 저조하여 특히 고주파 대역에서의 효율을 높이는 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각 신경성 난청자의 청력 보상이 용이해지도록 고주파 특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코일 부재에 흐르는 전류 방향을 서로 엇갈리게 하여 구동력을 높일 수 있는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진동체는 SNS 또는 NSN의 3극 타입으로 형성되는 영구 자석; 상기 영구 자석의 외주 면을 둘러싸도록 감기는 코일 부재; 및 상기 영구 자석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진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영구 자석의 중앙부에 감기는 제1 코일과 상기 영구 자석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감기는 제2 코일 및 제3 코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코일과 제3 코일은 전류 방향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은 전류 방향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진동체는 SNS 또는 NSN의 3극 타입으로 형성되는 영구 자석;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영구 자석을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영구 자석의 외측 면을 둘러싸도록 감기는 코일 부재; 상기 영구 자석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영구 자석의 타단과 연결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영구 자석의 중앙부에 감기는 제1 코일과 상기 영구 자석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감기는 제2 코일 및 제3 코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코일과 제3 코일은 전류 방향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은 전류 방향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는 영구 자석의 외주 면을 둘러싸도록 감기는 코일 부재의 전류 방향이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하는 것을 통하여 구동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를 사용하면 동일한 크기로 기존의 전자기 진동체보다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 진동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동일 부피 대비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체내에 이식되는 초소형 진동체에 의한 저전력 이식형 인공중이의 구현에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난원창 구동에 비해 낮은 부하효과를 갖고 이식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여 수술이 간편하기 때문에 감각 신경성 난청자의 청력 보상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지지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지지판에 대한 변형예들을 확대하여 나타낸 각각의 평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력이 우수한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진동체(100)는 영구 자석(110), 코일 부재(120), 진동판(130) 및 지지판(1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원창 구동 진동체(100)는 진동 전달 부재(150) 및 진동 제어 부재(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자석(110)은 동일한 극성이 상호 마주보도록 부착되는 한 쌍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영구 자석(110)은 중앙부가 정극성(+)이고, 상부 및 하부가 부극성(-)인 SNS의 3극 타입일 수 있다. 반대로, 영구 자석(110)은 중앙부가 부극성(-)이고, 상부 및 하부가 정극성(+)인 NSN의 3극 타입일 수도 있다. 이러한 영구 자석(110)은 원통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육면체 또는 육각 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코일 부재(120)는 영구 자석(110)의 외주 면을 둘러싸도록 감긴다. 이러한 코일 부재(120)와 영구 자석(110)은 적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코일 부재(120)는 영구 자석(110)의 중앙부에 감기는 제1 코일(122)과, 상기 영구 자석(1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감기는 제2 및 제3 코일(124, 1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코일(124)과 제3 코일(126)은 전류 방향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코일(122)과 제2 및 제3 코일(124, 126)은 전류 방향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코일(122)과 제2 및 제3 코일(124, 126)의 전류 방향을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할 경우 영구 자석(110)에 의해 각 코일(122, 124, 126)이 받는 힘을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영구 자석(110)과 제1, 제2, 제3 코일(122, 124, 126)을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정원창 구동 진동체(100)의 최대 구동력을 유발할 수 있다.
진동판(130)은 영구 자석(110)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진동판(130)은 영구 자석(110)과 코일 부재(120)에 의해 발생한 진동을 전달받는다.
지지판(140)은 영구 자석(110)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판(140)은 밀봉을 위하여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재질로는 강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전달 부재(150)는 진동판(130)과 영구 자석(110) 사이에 배치되고, 진동 제어 부재(152)는 지지판(140)과 영구 자석(11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진동 전달 부재(150)는 강성이 있는 물질이나 탄성이 있는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진동 전달 부재(150)의 재질은 영구 자석(110)의 진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탄성이 있는 물질보다는 강성이 있는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 제어 부재(152)는 강성이 있는 물질이나 탄성이 있는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 형태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 형태로 진동 전달 부재(150) 및 진동 제어 부재(152)를 형성하는 것은 개인마다 다른 난청 특성에 맞추어 정원창 구동 진동체(100)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여 난청자가 효과적으로 소리를 청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으로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원창 구동 진동체(100)는 코일 부재(120)의 제1 코일(122)로 제1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류 공급 라인(미도시)과, 제2 및 제3 코일(124, 126)로 제1 극성과 상반된 제2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전류 공급 라인(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코일(122)과 제2 및 제3 코일(124, 126)의 전류 방향은 항상 서로 반대가 되게 교류 전류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 자석(110)은 N극과 N극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자석(110a, 110b)으로 이루어진 SNS의 3극 타입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영구 자석(110)은 S극과 S극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는 NSN의 3극 타입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력을 높이기 위해 제1 코일(122)과 제2 및 제3 코일(124, 126)은 전류 방향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제2 및 제3 코일(122, 124, 126)에 도 3과 같이 전류를 인가할 경우, 제1 코일(122)은 영구 자석(110)의 N극에서 나오는 자력선(B)과 코일들(122, 124, 126)에 흐르는 전류(I)에 의해 플래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도 3에 나타난 방향으로 힘(F)을 받는다. 그리고, 제2 및 제3 코일(124, 126)은 영구 자석(110)의 S극으로 들어가는 자력선(B)과 코일들(122, 124, 126)에 흐르는 전류(I)에 의하여 도 3의 방향으로 힘(F)을 받는다.
따라서, 영구 자석(110)에 의한 자력선(B)의 분포에 따라 제1 코일(122)과 제2 및 제3 코일 (124, 126)의 전류 방향을 항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가할 경우, 상기의 코일들(122, 124, 126)이 항상 같은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안된 정원창 구동 진동체(100)는 상기 코일들(122, 124, 126)이 완전히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물리적 구속이 없는 영구 자석(110)은 코일들(122, 124, 126)이 받는 힘(F)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코일들(122, 124, 126)에 교류 전류를 인가할 경우 영구 자석(110)은 상하 진동을 일으키게 되며, 이때 생성된 진동은 진동 전달 부재(150)를 통하여 진동판(130)에 전달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는 영구 자석의 외주 면을 둘러싸도록 감기는 코일 부재의 전류 방향을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는 것을 통하여 구동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동일한 크기로 기존의 전자기 진동체보다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진동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동일 부피 대비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체내에 이식되는 초소형 진동체에 의한 저전력 이식형 인공중이의 구현에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난원창 구동에 비해 낮은 부하효과를 갖기 때문에, 복잡한 수술 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감각 신경성 난청자의 청력 보상에 유리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200)는 영구 자석(210), 코일 부재(220), 진동판(230) 및 지지판(2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원창 구동 진동체(200)는 진동 전달 부재(250) 및 케이스(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자석(210)은 SNS의 3극 타입으로 형성되며,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영구 자석(210)은 NSN의 3극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코일 부재(220)는 영구 자석(210)의 중앙부에 감기는 제1 코일(222)과 상기 영구 자석(2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감기는 제2 코일(224) 및 제3 코일(2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코일(224)과 제3 코일(226)은 전류 방향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코일(222)과 제2 및 제3 코일(224, 226)은 전류 방향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진동판(230)은 영구 자석(210)의 일단에 연결되며, 후술할 케이스(26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지지판(240)은 영구 자석(210)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판(240)은 후술할 케이스(260)에 의하여 밀봉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케이스(260)에 의하여 내장되는 지지판(240)은 탄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지지판(240)을 탄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진동 제어 부재의 역할을 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제어 부재가 별도로 설계될 필요가 없다.
이때, 도 5는 도 4의 지지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지지판에 대한 변형예들을 확대하여 나타낸 각각의 평면도들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40)은 몸체(242)와, 상기 몸체(242)의 일부를 절개하는 절개부(244)와, 상기 몸체(242)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연장되되,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굴곡부(246)를 포함하는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240)은 몸체(242)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영구 자석(210)의 구동에 의한 떨림을 제어하는 진동 제어 핀(24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242)는 원형, 타원형 및 사각형, 오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242)를 일 예로 나타내었으며, 이 경우, 몸체(242)는 절개부(244)에 의하여 원형 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절개부(244)는 진동 제어 핀(248)을 사이에 두고 2개가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변형예들과 같이, 지지판(240)은 몸체(242)와, 상기 몸체(242)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4개 또는 6개의 절개부(244)와, 상기 몸체(242)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연장되되,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굴곡부(246)를 갖는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변형예들에 따른 지지판(240) 역시, 몸체(242)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영구 자석(210)의 구동에 의한 떨림을 제어하는 진동 제어 핀(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진동 전달 부재(250)는 진동판(230)과 영구 자석(21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진동 전달 부재(250)는 강성이 있는 물질이나 탄성이 있는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진동 전달 부재(250)의 재질은 영구 자석(210)의 진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탄성이 있는 물질보다는 강성이 있는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 형태로 진동 전달 부재(250)를 형성하는 것은 개인마다 다른 난청 특성에 맞추어 정원창 구동 진동체(200)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여 난청자가 효과적으로 소리를 청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만일, 진동 전달 부재(250)만으로 영구 자석(210)과 코일 부재(220)에 의해 발생한 진동을 정원창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에는 진동판(230)을 생략하는 것도 무방하다.
케이스(260)는 상측이 개방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영구 자석(210)을 내장한다. 이러한 케이스(260)는 생체에 적합한 재질, 일 예로 티타늄(Ti)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 부재(220)는 케이스(260)의 내측에 배치되며, 영구 자석(210)의 외측 면을 둘러싸도록 감긴다.
이때, 도 4에서는 케이스(260)의 내측에 영구 자석(210)이 내장되고, 진동판(230)이 케이스(26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즉,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진동판(230)은 영구 자석(210)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케이스(260)의 상측이 밀봉되도록 상기 케이스(260)의 상측과 결합되는 형태 또는 케이스(260)의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장착될 수 있다.
진동 전달 효율 면에서는 진동판(230)을 케이스(260)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조가 유리하고, 신뢰성 측면에서는 영구 자석(210)이 밀봉되도록 진동판(230)을 케이스(260)에 결합하는 구조가 유리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진동체는 진동판이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뿐만 아니라 케이스와 이격되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영구 자석과 코일 부재에 의하여 생성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진동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진동체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진동체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바, 중복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진동체(300)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진동체(도 4의 200)와 다르게, 영구 자석(310)과 코일 부재(320) 사이에 케이스(360)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360)를 영구 자석(310)과 코일 부재(320) 사이에 배치할 경우, 코일 부재(320)의 제1, 제2 및 제3 코일(322, 324, 326)을 케이스(360)의 외주면을 따라 감기도록 설계하는 것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360)가 영구 자석(310)과 코일 부재(320) 사이에 배치되므로, 케이스(360)의 재질은 코일 부재(320)를 따라 인가되는 자력선(B)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물질, 즉 비자성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 정원창 구동 진동체 110, 210, 310 : 영구 자석
120, 220, 320 : 코일 부재 122, 222, 322 : 제1 코일
124, 224, 324 : 제2 코일 126, 226, 326 : 제3 코일
130, 230, 330 : 진동판 140, 240, 340 : 지지판
150, 250, 350 : 진동 전달 부재 152 : 진동 제어 부재
260, 360 : 케이스 242 : 몸체
244 : 절개부 246 : 굴곡부
248 : 진동 제어 핀

Claims (14)

  1. 중앙부가 부극성(-)이고, 상부 및 하부가 정극성(+)인 NSN의 3극 타입으로 형성되는 영구 자석;
    상기 영구 자석의 외주 면을 둘러싸도록 감기는 코일 부재; 및
    상기 영구 자석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진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영구 자석의 중앙부에 감기는 제1 코일과 상기 영구 자석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감기는 제2 코일 및 제3 코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코일과 제3 코일은 전류 방향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은 전류 방향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진동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상기 진동판과 영구 자석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진동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상기 영구 자석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진동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상기 지지판과 영구 자석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진동체.
  7. SNS 또는 NSN의 3극 타입으로 형성되는 영구 자석;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영구 자석을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영구 자석의 외측 면을 둘러싸도록 감기는 코일 부재;
    상기 영구 자석의 일단에 연결되는 진동판; 및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영구 자석의 타단과 연결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영구 자석의 중앙부에 감기는 제1 코일과 상기 영구 자석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감기는 제2 코일 및 제3 코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코일과 제3 코일은 전류 방향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은 전류 방향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진동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코일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진동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코일 부재와 상기 영구 자석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영구 자석의 외측 면을 둘러싸도록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진동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비자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진동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진동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케이스의 상측이 밀봉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측과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진동체.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부를 절개하는 절개부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연장되되,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진동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진동 제어 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진동체.
KR1020110058541A 2011-06-16 2011-06-16 구동력이 우수한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 KR101223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541A KR101223693B1 (ko) 2011-06-16 2011-06-16 구동력이 우수한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
US13/524,150 US9584923B2 (en) 2011-06-16 2012-06-15 Three-coil type round window driving vibrator having excellent driving fo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541A KR101223693B1 (ko) 2011-06-16 2011-06-16 구동력이 우수한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026A KR20120139026A (ko) 2012-12-27
KR101223693B1 true KR101223693B1 (ko) 2013-01-21

Family

ID=4735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541A KR101223693B1 (ko) 2011-06-16 2011-06-16 구동력이 우수한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84923B2 (ko)
KR (1) KR101223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802B1 (ko) 2019-11-08 2021-01-15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이식형 보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901696A0 (en) 2003-04-09 2003-05-01 Cochlear Limited Implant magnet system
SE531177C2 (sv) 2007-05-24 2009-01-13 Cochlear Ltd Distans för implantat
KR101548344B1 (ko) 2014-03-13 2015-09-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
JP6548931B2 (ja) * 2015-03-25 2019-07-24 日本エレクトロニクス・サービス株式会社 ダイナミックスピーカ装置
KR101660715B1 (ko) * 2015-06-09 2016-09-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 기구를 구비한 벨로우즈 정원창 구동 진동체
US10130807B2 (en) 2015-06-12 2018-11-20 Cochlear Limited Magnet management MRI compatibility
US20160381473A1 (en) 2015-06-26 2016-12-29 Johan Gustafsson Magnetic retention device
KR101722443B1 (ko) * 2015-07-24 2017-04-04 (주) 코모텍 진동 발생 장치
US10917730B2 (en) 2015-09-14 2021-02-09 Cochlear Limited Retention magnet system for medical device
US10576276B2 (en) 2016-04-29 2020-03-03 Cochlear Limited Implanted magnet management in the face of external magnetic fields
US11595768B2 (en) 2016-12-02 2023-02-28 Cochlear Limited Retention force increasing components
KR102150086B1 (ko) * 2018-11-06 2020-09-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전도 진동 트랜스듀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1710A1 (en) * 1993-07-01 1995-01-12 Ball Geoffrey R Implantable magnetic hearing aid transducer
KR100859979B1 (ko) * 2007-07-20 2008-09-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브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한 정원창 구동 방식의 인공중이
US20090092271A1 (en) * 2007-10-04 2009-04-09 Earlens Corporation Energy Delivery and Microphone Placement Methods for Improved Comfort in an Open Canal Hearing Ai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067B1 (ko) * 1998-12-30 2001-09-29 조진호 중이 이식형 보청기의 트랜스듀서
DE19923403C2 (de) * 1999-05-21 2002-11-14 Phonak Ag Staefa Vorrichtung zum mechanischen Ankoppeln eines in einer Mastoidhöhle implantierbaren elektromechanischen Hörgerätewandlers
EP1422971B1 (de) * 2002-11-20 2012-11-07 Phonak Ag Implantierbarer Wandler für Hörsysteme und Verfahren zum Abstimmen des Frequenzganges eines solchen Wandlers
KR100610192B1 (ko) * 2004-10-27 2006-08-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전형 진동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1710A1 (en) * 1993-07-01 1995-01-12 Ball Geoffrey R Implantable magnetic hearing aid transducer
KR100859979B1 (ko) * 2007-07-20 2008-09-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브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한 정원창 구동 방식의 인공중이
US20090092271A1 (en) * 2007-10-04 2009-04-09 Earlens Corporation Energy Delivery and Microphone Placement Methods for Improved Comfort in an Open Canal Hearing A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802B1 (ko) 2019-11-08 2021-01-15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이식형 보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23066A1 (en) 2012-12-20
KR20120139026A (ko) 2012-12-27
US9584923B2 (en)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93B1 (ko) 구동력이 우수한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
US20220030363A1 (en) Removable attachment of a passive transcutaneous bone conduction device with limited skin deformation
CN104521248B (zh) 用于骨传导听力植入物的磁装置
US6217508B1 (en) Ultrasonic hearing system
JP2009526612A (ja) 聴覚を改善するための骨伝導装置
KR20110086804A (ko) 듣기용 밸런스드 아마추어 장치 및 방법
CN104320748A (zh) 颅骨振动单元
US10856091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with expanded magnetic flux functionality
KR101296714B1 (ko) 중이 특성이 반영된 정원창 구동 진동체 및 이를 이용한 보청기
US9980066B2 (en) Bone conduction transducer system with adjustable retention force
KR102150086B1 (ko) 골전도 진동 트랜스듀서
US20240187800A1 (en) Removable attachment of a passive transcutaneous bone conduction device with limited skin deformation
US20220201411A1 (en) Passive Hearing Implant
KR101223698B1 (ko)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