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698B1 -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698B1
KR101223698B1 KR1020110063586A KR20110063586A KR101223698B1 KR 101223698 B1 KR101223698 B1 KR 101223698B1 KR 1020110063586 A KR1020110063586 A KR 1020110063586A KR 20110063586 A KR20110063586 A KR 20110063586A KR 101223698 B1 KR101223698 B1 KR 101223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transducer
connection member
adsorption
garden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565A (ko
Inventor
조진호
이정현
임형규
이상흔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6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69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8Manufacture of hous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의 진동막은 일반적으로 정원창 멤브레인보다 넓기 때문에,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와 정원창 간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필요하다. 연결부재는 충격에 의해 초기 접촉상태에서 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흡착력이 우수하며, 생체 조직에 손상주지 않도록 생체적합성이 있는 부드러운 물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연결부재의 형상을 조절하면 주파수 특성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를 설계하여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와 결합함으로써 난청자 고유의 청각 특성에 적합한 주파수 특성을 구현하여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의 자체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정원창의 멤브레인(membrane)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의 뼈대를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와 연결되는 진동 전달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CONNECTION MEMBER FOR ROUND WINDOW DRIVING TRANSDUCER WITH EXCELLENT VIBRATING DELIVERY EFFICIENCY}
본 발명은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원창의 멤브레인 형태를 고려하여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를 설계하는 것을 통해 흡착력이 우수하면서도 진동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세계 각국은 저 출산 및 수명 연장으로 인해 고령화 사회로 발전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소음에 노출되는 빈도의 증가에 따른 난청 환자 수의 증가로 청력 보상을 위한 의료 기기의 수요 및 청력 회복을 위한 이비인후과 수술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난청 환자의 청력을 보상해 주는 보청기는 사용자의 난청 정도 및 설치 위치에 따라 외부 거치형과 내부 이식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외부 거치형은 간단하게 외이의 귓바퀴에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도 난청자에게 요구되는 성능 사양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도 난청자의 경우 내부 이식형 보청기가 적합한데, 이는 중이를 대체하는 이식형 인공중이 또는 내이를 대체하는 이식형 인공 내이로 분류할 수 있다.
이식형 인공중이 보청기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폰 및 진동자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간단한 구조로 고도 난청자에게 효과적인 음성 신호의 전달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사람의 귀는 외이(外耳), 중이(中耳) 및 내이(內耳)로 구성되며, 이들을 따라 외부의 음향 신호는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대부분의 이식형 인공중이 보청기는 이 경로를 활용하여 와우관의 난원창에 진동을 인가하는 방법으로 개발 중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역방향 경로인 와우관의 정원창에서 진동을 인가하는 방식이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식형 인공중이 보청기의 진동자로 이용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는 이소골과 연결되는 난원창의 하부에 배치되는 정원창에 부착되어 진동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내이로 음향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는 전자기형 또는 압전형으로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는 큰 진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진동체의 단면적이 정원창의 면적에 비해 넓게 제작된다. 그리고 정원창은 정원창와 (round window niche)로 덮여있기 때문에,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와 정원창은 직접 연결되기 어렵다. 따라서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별도의 부재가 필요하며, 대부분 진동막의 형태에 맞추어 원통 형태로 제작하여 정원창에 밀착한다
그러나, 단순히 원통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이용할 경우,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정원창의 멤브레인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흡착력이 저조한 관계로 외부 충격의 발생시 정원창의 멤브레인에 부착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가 이탈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와 정원창 간의 흡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진동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에 추가 부착되는 연결부재의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감각 신경성 난청자 개개인의 청력 특성에 적합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의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정원창의 멤브레인(membrane)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의 뼈대를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와 연결되는 진동 전달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정원창의 멤브레인(membrane)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둘 이상으로 나뉘어진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를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몸체; 상기 분기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와 각각 연결되는 진동 전달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는 정원창 입구에 설치하여 고주파 특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진동체와 연결부재의 조합에 의하여 감각 신경성 난청자의 청력에 맞는 최적의 공진 주파수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감각 신경성 난청자의 난청 정도에 맞게 맞춤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은 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정원창에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흡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체의 귀는 외이, 중이 및 내이로 구분될 수 있다. 외이에는 외부의 소리를 모아주는 귀바퀴(미도시), 귀바퀴에 의하여 모아진 소리를 고막(20)으로 유도하는 외이도(1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중이에는 외이도(10)로 들어온 소리를 인체 조직의 진동으로 변환시키는 고막(20), 큰 충격음에 대하여 청각 기능을 보호함과 더불어 보통의 소리에 대하여 증폭시키는 이소골(3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내이에는 반고리관(50), 유스타키오관(60), 와우관(4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중, 와우관(40)은 위쪽의 전정계, 그리고 아래쪽의 고실계로서 막에 의해 구분된다. 전정계는 난원창(42)에 의하여, 고실계는 정원창(44)에 의하여 중이와 접하고 있으며, 이 두 창에는 탄력성이 있는 격막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정원창에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100)는 연결부재(200)를 매개로 정원창(도 1의 44)의 입구,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원창 입구의 내측에 배치되는 멤브레인(46)에 부착된다.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100)는 하우징(110), 지지판(120), 진동체(130), 진동판(140) 및 커버 부재(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되 밑면으로부터 윗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하우징(11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생체 적합성 재질인 티타늄 계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120)은 하우징(11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며, 생체 적합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판(120)은 강성이 있는 물질이나 탄성이 있는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지지판(120)은 생체 적합성 재질 중에서도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재질로는 SUS(stainless steel), 티타늄(Ti) 등이 있을 수 있다. 즉, 진동체(110)의 진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탄성이 있는 물질보다는 강성이 있는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지판(120)의 재질로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이용할 경우에는 강성이 있는 물질을 이용할 때보다 진동체(130)의 특성이 떨어지기는 하나, 진동체(130)의 특성과 더불어 주파수 특성을 가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지지판(120)은 반드시 설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무방하다. 만일, 지지판(120)을 설계하지 않을 경우에는 하우징(110)의 재질로는 강성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진동체(130)는 지지판(1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진동체(130)로는 영구 자석과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기형 진동체 또는 압전 소자와 전극을 포함하는 압전형 진동체가 이용될 수 있다.
진동판(140)은 진동체(130)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면을 커버한다.
커버 부재(150)는 원형 테 구조 또는 다각형 모양의 테 형태로 이루어진 커버 몸체(152)와 상기 커버 몸체(15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핀(154)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몸체(152)는 진동판(140)과 결합되며, 고정 핀(154)은 정원창 입구의 벽면에 고정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100)는 커버 부재(15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핀(154)에 의하여 정원창 입구의 벽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200)는 정원창의 멤브레인(도 3의 46)에 부착되어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도 2의 10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정원창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연결부재(200)는 실리콘, 티타늄, 형상기억합금 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진동 시 정원창의 멤브레인의 손상이 되지 않도록 딱딱한 물질 보다는 생체적합성이 있는 부드러운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200)는 몸체(210), 진동 전달부(220) 및 흡착부(230)를 포함한다.
몸체(210)는 원통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설계 목적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200)로는 생체적합성이 있는 탄성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재(200)의 경우, 몸체(210)의 길이(d1)와 직경(d2)을 제어하여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를 적절히 조절할 경우 난청자의 청력 특성에 맞추어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이때, 몸체(210)의 길이(d1)는 정원창와의 깊이보다 길게, 그리고 몸체(210)의 두께(d2)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정원창와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 전달부(220)는 상기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와 연결되는 몸체(210)의 일단을 말하며, 몸체(210)에 비해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파수 특성 조절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진동 전달부(220)는 진동판(도 2의 140)의 중앙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진동체(도 1의 130)로부터의 진동이 진동판의 중심 부근에 집중되어 큰 변위를 얻을 수 있으며, 진동 전달에 불필요한 운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흡착부(230)는 정원창 멤브레인에 부착되는 몸체(210)의 일단을 말하며, 몸체(210)에 비해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파수 특성 조절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흡착부(230)는 매끄럽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정원창 멤브레인과의 흡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흡착 돌기와 홈(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함.)을 포함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4의 흡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230)의 표면에는 멤브레인(도 4의 46)과의 흡착력을 높이기 위한 흡착 돌기(232)와 상기 흡착 돌기(232)의 주변에 배치되는 흡착 홈(234)이 구비된다.
흡착 돌기(232)는 흡착부(230)의 표면에 랜덤하게 분산 배치되고, 흡착 홈(234)은 흡착 돌기(232)의 주변에 배치되어 흡착 돌기(232)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흡착부(230)의 표면에 흡착 돌기(232)와 흡착 홈(234)을 형성할 경우, 흡착부(230)의 표면과 멤브레인 간의 접촉 면적이 확장되는 데 기인하여 흡착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흡착부(23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단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중 원형으로 형성하는 좋다. 이는 정원창 입구의 내측에 배치되는 멤브레인이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는 흡착부의 표면에 흡착 돌기 및 흡착 홈을 형성하는 것을 통해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재의 길이 및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감각 신경성 난청자의 청력에 따라 주파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300)는 몸체(310), 진동 전달부(320) 및 흡착부(330)를 포함한다.
몸체(310)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나뉘어진 분기부(312)와 상기 분기부(312)를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부(314)를 갖는다. 이때, 도 7에서는 2개의 분기부(312)를 갖는 몸체(310)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분기부(312)는 2개 이상을 가질 수도 있다.
진동 전달부(320)는 분기부(312)의 단부에서 상기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로 연결되는 부위이며 경우에 따라 분기부(312)보다 돌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진동 전달부(320)는 진동판의 중앙 부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진동체로부터의 진동이 진동판의 중심 부근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흡착부(330)는 정원창 멤브레인에 연결되는 부위이며 연결부(314)로부터 돌출되거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흡착부(330)의 표면에는 멤브레인과의 흡착력을 높이기 위한 흡착 돌기(미도시)와, 흡착 돌기의 주변에 배치되는 흡착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흡착 돌기는 흡착부의 표면에 랜덤하게 분산 배치되며, 흡착 홈은 흡착 돌기의 주변에 배치되어 흡착 돌기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의 진동판과 연결되는 연결부재의 진동 전달부를 복수로 나누어 설계할 경우, 일 실시예에 비하여 진동판과의 접촉 부분이 분산되는 효과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정원창의 멤브레인에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구동 트랜스듀서 110 : 하우징
120 : 지지판 130 : 진동체
140 : 진동판 150 : 커버 부재
152 : 커버 몸체 154 : 고정 핀
200 : 연결부재 210 : 몸체
220 : 진동 전달부 230 : 흡착부

Claims (11)

  1.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정원창의 멤브레인(membrane)에 전달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뼈대를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와 연결되는 진동 전달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되는 흡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부의 표면에는 상기 멤브레인과의 흡착력을 높이기 위한 흡착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실리콘, 티타늄 및 형상기억합금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돌기는
    상기 흡착부의 표면에 랜덤하게 분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표면에는
    상기 흡착 돌기의 주변에 배치되는 흡착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의 단면 구조 중 선택된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트랜스듀서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진동체; 및
    상기 진동체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트랜스듀서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진동체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SUS(stainless steel) 및 티타늄(Ti)을 포함하는 강성 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10.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정원창의 멤브레인(membrane)에 전달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으로 나뉘어진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를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몸체;
    상기 분기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와 각각 연결되는 진동 전달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표면에는
    상기 멤브레인과의 흡착력을 높이기 위한 흡착 돌기와,
    상기 흡착 돌기의 주변에 배치되는 흡착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KR1020110063586A 2011-06-29 2011-06-29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KR101223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586A KR101223698B1 (ko) 2011-06-29 2011-06-29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586A KR101223698B1 (ko) 2011-06-29 2011-06-29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65A KR20130002565A (ko) 2013-01-08
KR101223698B1 true KR101223698B1 (ko) 2013-01-21

Family

ID=4783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586A KR101223698B1 (ko) 2011-06-29 2011-06-29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6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3788A1 (en) * 1993-07-01 2001-06-14 Ball Geoffrey R. Implantable and external hearing system having a floating mass transducer
KR100859979B1 (ko) * 2007-07-20 2008-09-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브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한 정원창 구동 방식의 인공중이
KR20090051868A (ko) * 2007-11-20 2009-05-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간편 설치가 가능한 정원창 구동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를이용한 이식형 보청기
US20100010569A1 (en) * 2008-03-31 2010-01-14 Cochlear Limited Mechanical semicircular canal stimul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3788A1 (en) * 1993-07-01 2001-06-14 Ball Geoffrey R. Implantable and external hearing system having a floating mass transducer
KR100859979B1 (ko) * 2007-07-20 2008-09-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브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한 정원창 구동 방식의 인공중이
KR20090051868A (ko) * 2007-11-20 2009-05-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간편 설치가 가능한 정원창 구동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를이용한 이식형 보청기
US20100010569A1 (en) * 2008-03-31 2010-01-14 Cochlear Limited Mechanical semicircular canal stim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65A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1520B2 (en) Round window driving transducer for easy implantation and implantable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0859979B1 (ko) 튜브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한 정원창 구동 방식의 인공중이
US8211174B2 (en) Transtympanic vibration device for implantable hearing ai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same
CA2934915C (en) Hearing aid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canal and hearing aid system
US20040116772A1 (en) Surgically implantable hearing aid
US20090281367A1 (en) Trans-tympanic membrane transducer and implantable hearing aid system using the same
KR101223693B1 (ko) 구동력이 우수한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
US20120215057A1 (en) Multi-mode hearing prosthesis
JP2005516505A (ja) 補聴器
US10412511B2 (en) Hearing aid
US200601785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placement of sensing and driver assemblies to improve hearing loss
EP2681931B1 (en) Middle ear implant for otosclerosis
KR101296714B1 (ko) 중이 특성이 반영된 정원창 구동 진동체 및 이를 이용한 보청기
KR101223698B1 (ko)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CN110430848A (zh) 通过圆窗进行机械耳蜗刺激的中耳植入物耦合器
EP3856329B1 (en) Passive hearing implant
Peng et al. Implantable Hearing Devices
KR20140018932A (ko) 임플란트 가능한 변환기에서의 진동 작동을 위한 라인 전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