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575B1 - 유가 증권 처리 장치, 유가 증권 처리 시스템 및 유가 증권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유가 증권 처리 장치, 유가 증권 처리 시스템 및 유가 증권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575B1
KR101223575B1 KR1020110041732A KR20110041732A KR101223575B1 KR 101223575 B1 KR101223575 B1 KR 101223575B1 KR 1020110041732 A KR1020110041732 A KR 1020110041732A KR 20110041732 A KR20110041732 A KR 20110041732A KR 101223575 B1 KR101223575 B1 KR 101223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securities
information
deposit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164A (ko
Inventor
가츠요시 후나이
도시야 하마사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2Record keep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가 증권의 수용(受入) 관리 성능을 높여 자동기로서의 입금 작업의 수고를 극력 저감시킬 수 있는 유가 증권 처리 장치, 유가 증권 처리 시스템 및 유가 증권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자를 특정하는 이용자 정보를 입력시키는 카드 판독부(23)와, 거래되는 수표(C)를 수용 처리하는 투입구(10)와, 상기 수표(C)의 식별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부(11)와, 상기 수표(C)의 결제 정보를 판별하는 주(主)제어부(20)와, 상기 수표(C)의 적어도 편면(片面)의 수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카메라(15)와, 상기 수표(C)를 수납하는 입금고(3A,3B,4A∼4C)와, 상기 수표 화상 데이터에, 이용자 정보와 수표(C)의 수납 장소 정보를 합성하여 기억하는 RAM(22)을 구비한 수표 입금기(1)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유가 증권 처리 장치, 유가 증권 처리 시스템 및 유가 증권 처리 방법{VALUABLE SECURITIES PROCESSING APPARATUS, VALUABLE SECURITIES PROCESSING SYSTEM AND VALUABLE SECURITIES PROCESSING METHOD}
이 발명은, 수표나 상품권 등의 유가 증권을 수용(受入) 처리하는 유가 증권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유가 증권의 결제에 수반하는 유가 증권 처리 장치, 유가 증권 처리 시스템 및 유가 증권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백화점이나 소매점 등의 유통업계에서는 매상금 관리 효율의 향상과 현금 관리에 대한 방범의 관점에서 점포 내에 매상금을 입금시켜 관리하는 매상금 입금기가 설치되고 있다.
이 매상금 입금기는, 금전출납 계원이 고객으로부터 대금으로서 수취한 지폐를 입금하기 위한 단말이지만, 점포에 따라서는 지폐뿐만 아니라, 수표나 상품권과 같은 유가 증권도 대금으로서 수취하는 경우가 있어, 지폐와 마찬가지로 수표나 상품권도 동일 단말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려는 시장 요구가 있다.
예를 들면, 수표 처리 장치에 대해서는 수표를 전용의 판독 장치에 입금시켰을 때에, 수표의 화상과 자기(磁氣) 잉크 문자를 판독하고, 이 판독 결과에 따라 장치 내부에서 수표의 분류 작업 등을 실행하고 있다. 수표의 결제 처리가 끝나면, 무효화(VOID) 처리로서 수표의 결제 처리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증 데이터를 수표의 이면에 인쇄함과 함께, 은행과 고객 또는 점포와의 거래에 의의(疑義)가 발생한 경우에 대비하여, 수표의 표면 화상 및 수표의 이면 화상인 인증 데이터의 인쇄 부분을 판독하고, 이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증거로서 보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표 처리 장치에서는, 수표의 자기 잉크 문자를 판독하는 센서와 수표의 화상을 판독하는 스캐너 외에, 인증 데이터의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표에 입혀져 있는 자기 잉크 문자나 화상의 판독 결과에 의거하여 수용된 수표를 플래퍼(flapper)로 원하는 반송처에 배분하고 있다. 또한, 배분한 반송처에 배치한 인쇄 기구로 자기 잉크 문자 및 화상의 판독 결과가 정상일 경우에, 인쇄 기구에 의해 수표에 이서를 행하고 있다. 이때, 자기 잉크 문자나 화상을 판독한 수표의 판독 결과에 판독 불능이나 판독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인쇄 기구에 의한 수표의 이서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수표류 판독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2008-10266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수표의 결제 처리에 수반하는 무효화 처리는 인쇄 기구로 이서를 행함으로써 실행하고 있지만, 이 인쇄 기구를 탑재하기 위해 수표류 판독 장치가 복잡화되어 버린다. 또한, 지폐 입금용의 장치와 공통화될 경우에는 지폐 입금시에는 필요 없는 인쇄 기구를 탑재하게 되기 때문에 제어가 복잡해지고, 부품점수의 증가도 염려되어진다.
또한, 자기 잉크 문자나 화상의 판독 결과에 의거하여 정상 수표만 처리하고 있지만, 수표가 유통 과정에서 파손되거나, 오염되면 진짜 수표임에도 불구하고 판독 불량이기 때문에 반각되어 버릴 경우가 있다. 유통업계 대상의 수표 입금기 용도에 있어서는 오염된 수표여도 점원의 입장으로서는 일단 고객으로부터 수취한 수표로, 입금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지만, 반각된 수표에 대해서는 다른 수단, 예를 들면 봉투 입금 등으로 대응하지 않을 수 없어, 시간이 걸리고, 게다가 운용이 번잡해져 버린다.
이와 같은 점에서 수표의 이서에 관하여, 이서가 인쇄된 수표의 화상을 증거로 하여 판독하는 것이 아니고, 판독한 결제 처리 전의 수표의 이면 화상과 인증 데이터를 보존하여 데이터 관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때는, 수표의 이서를 데이터상에서 행함으로써 인쇄 기구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처리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인쇄가 되어 있지 않은 수표는 얼핏 보면 처리가 끝났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할 수 없다. 특히, 수표 처리 장치는 계원에 의한 처리를 전제로 한 유인기(有人機) 대상의 장치로, 이들 장치에서 처리된 수표의 취급은 계원의 처리에 의존하게 된다.
그러나, 무인기(無人機)를 전제로 한 수표 입금기의 용도에서는 처리가 끝난 수표가 장치 내부의 정해진 복수의 장소 중, 어디에 수납하여 관리되고 있는지를 명확히 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인증 데이터의 생성은 결제가 정식으로 완료된 경우에 실행되는 것으로, 미완료의 경우에는 접수 거부되어 버리게 된다. 예를 들면,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 불량이 발생한 경우나 네트워크가 일시적으로 차단된 경우에는 인증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아, 수표의 처리는 미완료가 되어 반각되어 버리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그래서 이 발명은, 유가 증권의 수용 관리 성능을 높여 자동기로서의 입금 작업의 수고를 극력 저감시킬 수 있는 유가 증권 처리 장치, 유가 증권 처리 시스템 및 유가 증권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이용자를 특정하는 이용자 정보를 입력시키는 입력부와, 거래되는 유가 증권을 수용 처리하는 수용구와, 상기 유가 증권의 식별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유가 증권의 결제 정보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유가 증권의 적어도 편면(片面)의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유가 증권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이용자 정보와 상기 유가 증권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장소 정보를 합성하여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 유가 증권 처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유가 증권의 수용 관리 성능을 높여 자동기로서의 입금 작업의 수고를 극력 저감시킬 수 있는 유가 증권 처리 장치, 유가 증권 처리 시스템 및 유가 증권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수표 입금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수표 입금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3은 실시예 1의 수표 입금기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
도 4는 실시예 1의 표시 조작부에 표시되는 입금 접수 화면을 나타내는 표시도.
도 5는 실시예 1의 표시 조작부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표시도.
도 6은 실시예 1의 표시 조작부에 표시되는 입금 개시 화면을 나타내는 표시도.
도 7은 실시예 1의 수표 입금기와 상위 장치를 통신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수표 처리 시스템의 개략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1의 표시 조작부에 표시되는 반각된 수표의 상세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시도.
도 9는 실시예 1의 입금 접수 개시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0은 실시예 1의 통상 입금되는 식별 접수 모드의 입금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1은 실시예 1의 강제 입금 모드의 입금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2는 실시예 1의 합성 화상 데이터의 생성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3은 실시예 1의 결제 완료된 수표의 합성 화상 데이터를 나타낸 표시도.
도 14는 실시예 1의 합성 화상 데이터의 생성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5는 실시예 1의 보류된 수표의 합성 화상 데이터를 나타낸 표시도.
도 16은 실시예 1의 상위 장치에 표시되는 수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표시도.
도 17은 실시예 1의 수표 처리 장치와 상위 장치를 통신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수표 분류 처리 시스템의 개략 설명도.
도 18은 실시예 2의 공용 입금 모드의 입금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9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POS 시스템을 이용한 개략 구성도.
도 20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환금 기능을 구비한 수표 입금기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
이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수표 입금기(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백화점이나 소매점 등의 점포의 백야드(backyard)에 설치된다. 이 수표 입금기(1)를 이용하는 점원(이하 이용자라고 함)은 표시 조작부(24)에 표시되는 입금에 관한 정보를 확임함과 동시에, 수표 입금기(1)의 입금 거래에 필요한 조작을 당해 표시 조작부(24)의 표시 화면에 터치 입력시켜 행한다. 수표 입금기(1)에는 수표 처리부(2)가 내장되어 있고, 상부 전면(前面)에는 수표의 투입구(10)와 수표의 반각구(12)와 카드 삽입구(18)가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수표 입금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수표 입금기(1)는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수표 처리부(2)에 의해 수표(C)의 속출(繰出), 반송, 수납 등의 핸들링을 행한다. 이 수표 처리부(2)에는 투입구(10), 식별부(11), 반각구(12), 배분 게이트(13), 강제 입금고(3A,3B), 확정 입금고(4A∼4C)가 내장되어 있다.
투입구(10)는 거래되는 수표를 수용 처리하는 수용구로서 구비되어 있다. 통상은 셔터로 닫혀져 있고, 입금 거래시에 개폐 조작된다.
식별부(11)는 투입구(10)의 안쪽에 연통하는 수표 반송로상에 구비되어 있다. 이 식별부(11)에는 수표(C)의 매수를 검출하는 매수 검지 센서(14)나 수표(C)의 자기 잉크 문자를 판독하는 문자 판독 센서(16), 수표(C)의 화상을 담는 카메라(15) 등이 내장되어 있어, 투입된 수표(C)가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식별함과 동시에, 수표(C)가 반송될 때에 이들 센서(14,16) 및 카메라(15)에 의해 수표의 현재의 사용 상태가 식별 정보로서 받아들여진다. 여기에서 받아들여진 식별 정보는, 후술하는 주(主)제어부(20)로 전달된다. 주제어부(20)에서는, 정상적인 식별 결과이면 계속해서 수표의 인증을 취해 미리 정해진 수법으로 수표 입금기(1)의 운용에 활용된다.
또한, 식별부(11)에서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자기 및 광학적으로 기록된 문자 정보를 식별하면 된다. 문자 정보로서는 자기 잉크 문자 판독 장치(MICR)나 광학식 문자 판독 장치(OCR)뿐만 아니라, 바코드 등의 기호를 고유 정보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화상 이미지뿐만 아니라 수표가 가진 고유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데이터 관리상에 있어서 한층 유효해진다.
반각구(12)는 상기 투입구(10)의 근방에 구비되어 있고, 식별부(11)에서 식별 불능인 수표라고 식별된 수표를 반각 처리한다.
이 수표 처리부(2)는 상부에 투입구(10), 식별부(11), 반각구(12)를 구비하여, 이용자가 수표를 입금하는 취급 처리부로서 취급된다. 또한, 하부에 강제 입금고(3A,3B)와 확정 입금고(4A∼4C)를 구비하여, 수용된 수표를 수납 처리하는 수납 처리부로서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의 전환 부분에는 수표 배분용의 배분 게이트(13)가 배설(配設)되어 있다.
강제 입금고(3A,3B)는 수용된 수표(C)를 식별부(11)에서 식별했을 때에 이상권(異常券)으로서 접수 거부된 경우, 또는 식별부(11)의 식별 결과에 관계없이, 당해 수표를 확정하지 않은 채 강제적으로 수납시키는 경우에 이용된다.
여기에서는 양쪽의 강제 입금고(3A,3B)를 모두 이상권 수납부로 하며, 이 중 한 쪽의 강제 입금고(3A)를, 식별부(11)에서 이상권이라고 식별된 수표를 이상권으로 하여 당해 한 쪽의 강제 입금고(3A)에 수납하는 식별 이상권 전용의 입금고로 하고 있다.
또한, 다른 쪽의 강제 입금고(3B)를, 후술하는 결제 처리 서버(79)(도 7 참조)에 수표의 인증을 조회했을 때에 이용 불가라고 판별된 인증 불가 수표를 이상권으로 하여 당해 다른 쪽의 강제 입금고(3B)에 수납하는 인증 이상권 전용의 입금고로 하고 있다.
확정 입금고(4A∼4C)는 정상권(正常券) 수납부로서 이용되며, 식별부(11)의 식별 결과 및 후술하는 주제어부(20)의 인증 결과에 의거하여 정상 수표라고 확정된 수표를 수납 처리시킬 경우에 이용된다.
또한, 수표 처리부(2)는 입금 전용으로 처리하는 운용상, 일시 보류부를 생략한 구성이 가능해져, 당해 수표 입금기(1)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일시 보류부가 구성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확정 입금고(4A∼4C) 중, 하나를 일시 보류부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혹은 별도 일시 보류부를 탑재해도 된다.
도 3은 수표 입금기(1)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블록도에서, 20은 수표 입금기(1)의 각 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이다. 21은 주제어부(20)의 동작 프로그램을 기록한 ROM, 22는 주제어부(20)가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읽고 쓰기 가능하게 기록하는 RAM이다.
수표 처리부(2)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부(11), 배분 게이트(13), 강제 입금고(3A,3B), 확정 입금고(4A∼4C) 외에 투입구(10)의 수표(C)의 유무를 검지하는 투입구 검지 센서(17)가 탑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용 개시시에 투입구(10)에 수표가 투입된 것을 검지하여, 수표가 투입구(10)에 복수 있는 경우에는 1매씩 받아들여 수표의 잔존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수표 입금기(1)의 카드 삽입구(18)와 연통하는 안쪽에는 카드 판독부(23)가 구비되어 있다. 이 카드 판독부(23)에서 이용자가 입금할 때에 삽입된 ID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ID 번호나 계좌 번호 등을 기록한 카드 정보를 판독한다.
또한, 수표 입금기(1)의 상부에는 표시 조작부(24)가 구비되어 있다. 이 표시 조작부(24)는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기능과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이용자가 입금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표시시키고, 또한 입금 조작에 필요한 조작을 터치 입력시킬 경우에 사용하는 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겸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 외에, 후술하는 상위 장치(71)(도 7 참조)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25)가 구비되어 있다.
26은 RAM으로 구성되는 정보 저장부로서, 소정의 영역에 수표 화상 정보(27)와, 식별 결과 및 후술하는 결제 처리 서버(79)에서의 인증 결과에 의거하여 수표마다의 스테이터스(status) 정보를 관리하는 인증 관리 정보(28)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주제어부(20)는 수표의 수용 처리시에 이용자를 특정하는 이용자 정보와 투입구(10)로부터 수용된 수표(C)를 수납 관리하는 장소 정보로서의 수표의 수납 장소 정보를 관련지은 관련 정보를 기억시킴과 동시에, 수표(C)를 당해 장치 내부의 어느 하나의 입금고(3A,3B,4A∼4C)에 배분하여 수납시키는 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이용자 정보로서는, 이용자 본인을 특정하는 ID 카드를 카드 삽입구(18)에 삽입하여 카드 판독부(23)가 판독함으로써, 그 ID 카드로부터 이용자 본인을 특정할 수 있다. 이때, 날짜 정보와 이용자 본인을 특정한 정보를 이용자 정보로서 추가한 경우에는, 보다 정확해져 오류 없이 이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날짜 정보나 ID 정보 이외에도 시간이나 계좌 번호 등의 정보를 이용해도 된다. 이때는, 동일한 이용자여도 복수의 거래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외에도, 표시 조작부(24)에 의해 이용자 본인을 특정하는 필요 정보를 입력시켜도 된다.
또한, 투입된 수표에 관해서는, 투입구 검지 센서(17)의 검지 신호에 의해 수표가 수용되었음을 확인한다. 또한, 식별부(11)에서 수표의 권종(券種), 매수의 식별 결과 정보에 의해 수용된 수표의 상태를 1매씩 식별한다. 또한, 이때 식별한 수표의 권종, 예를 들면 정액 수표이면 가치 정보를 아울러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상위 장치(71)와 통신함으로써 인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수표의 표면 및 이면의 적어도 편면의 수표 화상 데이터를 카메라(15)에 의해 취득하고, 이 취득한 수표 화상 데이터에 이용자 정보와 수표가 수납되는 수납 장소 정보를 합성하여 기억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 합성 정보는 ROM(21)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용자 정보와 수납 장소 정보를 합성하여 전자 데이터로서 RAM(22)에 기억 관리시킴으로써 거래시의 이력을 얻을 수 있어, 입금 운용시의 증거로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수표의 수납 장소 정보는 수표를 강제 입금고(3A,3B)나 확정 입금고(4A∼4C)에 수납시켰을 때의 입금고의 장소를 특정함과 동시에, 그 입금고 내에서도 수납된 정렬 매수의 순위까지 정확하게 특정하여 수납 관리한다.
이와 같은 입금 기능을 가짐으로써, 수표 수용시의 거래 이력을 확보하여 수표(C)를 장치 내부의 강제 입금고(3A,3B) 또는 확정 입금고(4A∼4C)에 배분하여 수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수표를 장치 내에 이력이 남는 형태로 수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처리가 끝났음을 나타내기 위해 수표 1매마다 인쇄 기구를 이용하여 이서할 필요도 없어, 처리 장치로서는 인쇄 기구가 불필요해져 구성을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처리된 수표는 강제 입금고(3A,3B)나 확정 입금고(4A∼4C)에 수납되기 때문에 미처리 수표와의 혼재도 발생하지 않는다. 처리가 끝난 수표를 확인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수납 장소 정보로부터 소재가 명확해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식별 정보로부터는 장치가 오류 없이 수표를 인식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제어부(20)는 수표의 수용 처리시에, 식별부(11)의 식별 결과에 의거하여 정상권으로서 접수 허가된 수표를 상기 확정 입금고(4A∼4C)에 수납시키고, 이상권으로서 접수 거부된 수표를 반각구(12)에 반각하는 식별 접수 모드를 구비하는 한편, 수용된 수표를 식별부(11)의 식별 결과나 인증 여부를 나타내는 판별 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강제 입금고(3A,3B)에 수납시켜, RAM(22)에 상기 관련지어진 관련 정보를 기억시키는 강제 수납 모드 중 어느 한 쪽에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식별 접수 모드는 식별부(11)에서 수표를 접수하여 식별했을 때에, 적정하게 판독된 정상 수표임을 확정하면 도입 처리하고, 이상 수표가 있으면 반각한다는 통상의 입금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이하, 통상 입금 모드라고 함).
상기 강제 수납 모드는 수용된 수표를 식별부(11)의 식별 결과에 관계없이 장치 내부에 수납 처리시키는 강제적인 수납 처리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주제어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2가지 모드 선택 기능을 가짐으로써, 정상 수표인 경우에는 접수 허가하여 확정 입금고(4A∼4C)에 수납시킨다. 이때, 가령 유통 과정에서 손상된 수표가 혼입해 있을 경우를 상정하면, 통상 입금 모드의 경우이면 식별부(11)가 이상 수표라고 오(誤)식별하여 반각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반각된 수표에 대해서는 강제 수납 모드로 하여 다시 강제 수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반각된 수표를 확실히 장치 내부에 수납하여, 장치 내부에서 모든 수표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봉투 입금 방식 등, 다른 운용 순서에 의지할 필요가 없어져, 거래 운용 순서가 간이화된다. 또한, 반각된 미확정의 수표를 강제 입금고(3A,3B)에 수납함으로써, 정상권과 구별하여 수납할 수 있어, 수표를 정사(精査)할 때에 정상 수표와 이상 수표가 혼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제 수납시킨 수표의 권종과 매수를 이용자 입력 수단으로서의 표시 조작부(24)를 이용하여 입력 지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반각된 수표의 재접수시에, 그 반각된 수표를 어느 권종이 몇 매라고 지정 입력시켜 이용자가 지시한 정보를 이용자 정보의 일부로서 기억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 표시 조작부(24)에 대해서는 통상 입금 모드에 있어서, 입금시의 입금 매수나 권종을 입력시켜 조합(照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제어부(20)에는 상기 통상 입금 모드에 의해 반각된 수표가 있을 때, 당해 반각된 수표의 재접수시에, 상기 통상 입금 모드를 실행할지 상기 강제 수납 모드를 실행할지를 이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하는 선택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선택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정상이 아니라고 판정되어 반각된 이상권에 대하여, 이용자가 당해 이상권을 장치 내부에 강제적으로 수납시킬지 말지를 선택시킬 수 있다.
도 4는 표시 조작부(24)에서 수표를 입금 안내하는 입금 접수 화면(41)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입금 접수 화면(41)은 입금 접수 버튼(42)을 표시하고 있으며, 이 입금 접수 버튼(42)이 눌림으로써 상기 통상 입금 모드에 의한 수표의 입금 거래가 실행된다.
도 5는 표시 조작부(24)에서 거래 모드를 선택 입력시키는 선택 입력 화면(51)을 나타내고 있다. 이 선택 입력 화면(51)은 상기 입금 접수 화면(41)에서 거래 개시되는 통상 입금 모드를 실행했을 때에, 이상권이기 때문에 반각된 수표가 있을 때, 당해 반각된 수표의 재접수시에, 통상 입금 모드를 실행할지 강제 수납 모드를 실행할지를 이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52는 통상 입금 버튼이며, 통상 입금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눌린다. 이 통상 입금 모드에서는 입금된 수표(C)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식별한 후, 네트워크 경유로 결제 처리 서버(79)(도 7 참조)에서 유효성을 확인하고, 유효한 경우에만 입금 처리가 행해진다. 53은 강제 입금 버튼이며, 통상 입금의 결과, 반각된 수표에 대하여 강제 입금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눌린다.
도 6은 표시 조작부(24)에서의 통상 입금 모드 선택 후의 입금 개시 화면(61)이다.
62는 개시/종료 버튼이며, 투입구(10)에 수표(C)를 장전한 후, 입금 처리를 개시 또는 종료할 경우에 눌린다. 63은 표시 입력 영역이며, 통상 입금 모드시에는 입금되는 수표의 권종, 매수, 합계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이 되고, 강제 입금 모드시에는 강제 입금되는 수표의 권종, 매수, 합계 금액을 이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영역이 되는 표시 입력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통상 입금 모드여도, 이용자에 의해 권종이나 매수 등의 입금 정보를 입력시켜 이용자와의 관련 정보를 증가시켜 조합 정보를 가일층 높이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용자는 상세 버튼(64)에 의해, 입금된 수표(C)가 식별부(11)를 통과할 때에 취득한 수표의 식별 정보를 상세히 표시시킬 수 있다.
도 7은 앞서 설명한 수표 입금기(1)와 상위 장치(71)를 접속하여 구성되는 수표 처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수표 입금기(1)에 접속되는 상위 장치(71)는 식별 정보와, 판별 정보와, 수납 장소 정보와, 이용자 정보를 관련지은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7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어부(72)는 통신부(73)를 통해 앞서 설명한 수표 입금기(1)의 통신부(25)와 접속되어 있어, ROM(74)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거래 데이터를 제어하고, 그 제어 데이터를 RAM(75)에서 판독 가능하게 기억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72)가 관리하고 있는 수표의 수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여 관리자에게 시인(視認)시키는 표시부(76)와, 관리자에 의한 지시 정보를 입력 허용시키는 관리자 입력부(7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위 장치(71)는, 예를 들면 수표의 화상을 액정 표시하는 표시부(76)와 키보드 등의 관리자 입력부(77)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위 장치(71)는 수표 입금기(1)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어 인증 데이터의 작성을 행한다. 상위 장치(71)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78) 경유로 수표(C)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결제 처리 서버(79)와 접속되어 있다. 이 상위 장치(71)는 수표 입금기(1)의 문자 판독 센서(16)로 판독한 수표 데이터를 수표 입금기(1)로부터 수신하여, 결제 처리 서버(79)에 송신한다. 이 결제 처리 서버(79)의 응답에 의거하여 상위 장치(71)는 수표(C)의 인식을 행하여 수표(C)가 유효한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 인증했을 때의 판별 결과를 판별 정보로 하고, 수용된 수표의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해 식별 결과와 함께 구해진다.
또한, 이 상위 장치(71)에는 다수 대(臺)의 수표 입금기(1)를 원격 감시할 수 있도록 통신 접속되어 있어, 이 상위 장치(71)측으로부터 관리자가 임의로 원격 위치에 있는 수표 입금기(1)의 정사를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수표 입금기(1)로부터 상위 장치(71)에 대하여, 수표의 결제 요구 정보를 송신하고, 상위 장치(71)로부터 결제 처리 서버(79)로 더 송신하며, 당해 결제 처리 서버(79)로부터 상위 장치(71)가 결제 회답을 수신하고, 이에 의거하여 수표 입금기(1)에서는 수표의 유효성이나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제어부(20)는 수표의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별했을 때, 당해 수표의 금액 정보에 따른 출금액을 출금 허가시키는 거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수표로부터 환금된 금액이 출금되거나, 해당하는 계좌에 출금액이 가산된다.
이와 같이 상위 장치(71)에는 수표 입금기(1)의 RAM(22)으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결제 처리 서버(79)로부터 수표의 유효성의 적부(適否) 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수표의 정보를 표시부(76)에 의해 관리자에게 시인시키고, 또한 관리자에 의해 지시되는 지시 정보를 관리자 입력부(77)에 의해 입력 조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있어서 수표 화상 데이터는 직감적으로 알기 쉽고, 또한 거래시의 이력 정보가 된다. 또한, 관리자는 정사시에, 수납부의 수표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수표 화상 데이터상에서 수표의 권종이나 매수의 식별 결과에 의거하여, 식별할 수 없었던 항목에만 주의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면, 수표 입금기(1)에 직접 관계하지 않아도 정확하고 용이하게 정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확인 작업의 효율이 좋고, 화상 데이터 주체의 운용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집중 관리 센터와 같은 원격 시설에서 복수의 장치를 대상으로 한 정사 작업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모두 화상 데이터상에서 관리할 수 있으므로 상위 장치(71)로부터 관리자가 식별하거나, 필요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불명한 수표에 대해서는 수작업에 의지하지 않고, 화상상에서 명료하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능률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수표 입금기(1)에 이상권으로서 수납한 수표에 대해서, 관리자가 육안에 의한 정사가 가능함으로써, 손권(損券) 수표 등 종래의 장치에서는 식별 불능 수표로서 취급하지 않았던 수표를 정상 수표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표 운용상에서의 편리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통상 입금 모드시에 상세 버튼(64)이 눌림으로써 표시되는 수표 상세 화면(81)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수표 상세 화면(81)은 식별부(11)에서 취득된 수표의 표리 화상(82), 수표의 화상으로부터 자기 잉크 문자 부분만을 잘라낸 자기 잉크 문자 확대 화상(83), 자기 잉크 문자 확대 화상(83)으로부터 식별부(11)의 문자 판독 센서(16)가 인식한 자기 잉크 문자 인식 결과(84), 수표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한 식별 결과(85), 결제 처리 서버(79)에 의해 정상적으로 결제가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결제 처리 정보(86)를 표시한다.
자기 잉크 문자 확대 화상(83)과 자기 잉크 문자 인식 결과(84)는 용이하게 견주어 볼 수 있도록 나열하여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자신이 입금한 수표에 대해서 오류 없이 자기 잉크 문자가 인식되어 있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잉크 문자의 일부분에 오물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인식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식별 결과(85), 결제 처리 정보(86)를 표시시킴으로써 인식할 수 없었던 경우의 원인이 명확해지고, 특히 강제 입금시에는 어느 수표가 어느 처리까지 완료되어 있는지를 한눈에 이해 가능해진다. 87은 항목 전환 버튼, 88은 수표 전환 버튼이다.
이와 같이 표시하면, 거래된 모든 화상을 이용자가 그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강제 입금시에 있어서도 이용자는 한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이용자의 납득성을 얻을 수 있다. 즉, 강제 입금 모드를 선택했을 때의 강제 수납되는 반각 수표의 데이터를 이용자에게 명료하게 확인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9∼도 12는 수표 입금시의 수용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각 스텝은 주제어부(20)가 실행하는 처리이다.
도 9는 입금 접수 개시시의 플로우 차트이다. 통상, 수표 입금기(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조작부(24)에 입금 접수 화면(41)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입금 접수 화면(41)(스텝 S1)의 입금 접수 버튼(42)이 눌려지기를 대기하고 있다. 이 입금 접수 버튼(42)이 이용자에 의해 눌려지면(스텝 S2), 수표의 입금 접수가 개시되어, 투입구(10)에 투입된 수표는 당해 투입구(10)로부터 내부로 받아들여지고, 식별부(11)에서 식별된다(스텝 S3).
이때, 식별 불능인 수표가 있으면(스텝 S4), 그 미식별의 수표를 반각구(12)에 반각한다(스텝 S5). 이 반각된 수표가 있을 때에는, 재접수하는 화면을 표시 조작부(24)에 표시한다(도 5 참조). 그리고, 통상 입금 모드나 강제 입금 모드를 선택시킨다(스텝 S6). 통상 입금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스텝 S3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3∼스텝 S6).
한편, 강제 입금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그 반각된 수표를 강제 입금시켜 모든 수표를 받아들이게 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입금 거래가 종료된다. 또한, 스텝 S4에서 식별부(11)가 식별했을 때에 식별 불능인 수표가 없으면(스텝 S4 : NO), 모두 정상 수표라고 판정하여 거래 종료된다. 또한, 스텝 S7 및 스텝 S8 : NO에서 일정 시간 경과해도, 통상 입금 모드 또는 강제 입금 모드의 어느 쪽도 선택되지 않으면, 반각 수표의 입금 처리를 중지했다고 판정하여 거래 종료된다(스텝 S7 : NO, 스텝 S8 : NO).
도 10은 통상 입금 모드에서의 입금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용자가 통상 입금 버튼(52)을 선택한 후, 투입구(10)에 수표(C)를 투입하여 개시/종료 버튼(62)을 누르면, 주제어부(20)는 투입구 검지 센서(17)의 검지 출력에 의해 투입구(10)에 수표(C)가 있고, 또한 수표(C)의 입금 지시가 있다고 판단하여(스텝 S11 : YES), 수표(C)를 식별부(11)로 반송한다(스텝 S12). 식별부(11)에서는 수표(C)의 매수, 권종, 자기 잉크 문자 등의 수표 데이터를 식별한다(스텝 S13).
아울러, 식별부(11)는 카메라(15)에 의해 수표(C)의 표리 전체의 양면 화상을 취득한다(스텝 S14). 주제어부(20)는 식별부(11)에 의해 수표(C)가 정상이라고 식별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스텝 S15), 정상이라고 식별되어 있으면(스텝 S15 : YES), 식별부(11)에서 취득한 수표 데이터는 상위 장치(71)로부터 인터넷을 경유하여 결제 처리 서버(79)에 송신되어, 수표(C)의 유효성이 판별된다(스텝 S16).
수표(C)가 유효하다고 판별되면(스텝 S16 : YES), 수표(C)를 식별부(11)로부터 지정된 확정 입금고(4A∼4C)로 반송한다(스텝 S17). 반송 후에는, 투입구(10)에 수표(C)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하여(스텝 S18), 투입구(10)에 아직도 수표(C)가 있으면(스텝 S18 : NO), 상술한 스텝 S12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스텝 S15에 있어서, 식별부(11)에 의해 수표(C)가 이상이라고 식별되어 있으면(스텝 S15 : NO), 수표(C)를 식별부(11)로부터 반각구(12)로 반송하여 반각한다(스텝 S19).
식별부(11)에서 이상이라고 식별된 수표(C)는, 복수의 판정 항목 중 적어도 1개의 항목을 만족하지 않은 수표이다. 예를 들면, 수표 입금기(1)에서 취급 불가능해진 권종의 수표나 진짜 수표이지만, 주름이 잡혀 있거나 오물이 붙어 있는 것처럼 손상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기 잉크 문자를 인식할 수 없는 수표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스텝 S16에 있어서, 수표(C)가 유효하다고 판별되지 않은 경우(스텝 S16 : NO), 마찬가지로 수표(C)를 식별부(11)로부터 반각구(12)로 반송하여 반각한다(스텝 S19). 또한, 수표(C)가 유효하다고 판별되지 않은 경우란, 예를 들면 결제 처리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경우 등 통신상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가 포함된다.
수표(C)를 반각구(12)로 반각하면(스텝 S19), 주제어부(20)는 투입구(10)의 수표(C)가 모두 없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스텝 S20), 투입구(10)에 아직도 수표(C)가 있으면(스텝 S20 : NO), 스텝 S12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에 대하여, 투입구(10)의 수표(C)가 모두 없어지면(스텝 S18 : YES, 스텝 S20 : YES), 속출을 종료하고, 표시 입력 영역(63)에 수표(C)의 권종, 매수, 합계 금액을 표시한다.
또한, 이용자는 반각구(12)에 반송된 수표(C)를 투입구(10)에 재투입하고, 개시/종료 버튼(62)을 다시 눌러도 된다. 몇 번, 통상 입금 모드로 입금 처리를 행해도 반각구(12)로 반각되는 수표(C)에 대해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강제 입금 모드로 입금 처리를 행한다.
도 11은 강제 입금 모드의 입금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용자는 강제 입금 버튼(53)을 선택한 후, 표시 입력 영역(63)에 강제 입금으로 입금하는 권종 정보 및 매수 정보를 입력하고(스텝 S21), 투입구(10)에 수표(C)를 투입하여 개시/종료 버튼(62)을 누르면, 주제어부(20)는 투입구 검지 센서(17)의 검지 출력에 의해 투입구(10)에 수표(C)가 있고, 또한 수표(C)의 입금 지시가 있다고 판단하여(스텝 S21 : YES), 수표(C)를 투입구(10)로부터 식별부(11)로 반송한다(스텝 S22).
식별부(11)에서는 매수 검지 센서(14)와 문자 판독 센서(16)에 의해 수표의 매수, 권종, 자기 잉크 문자 등의 수표 데이터를 식별한다(스텝 S23). 아울러, 식별부(11)는 카메라(15)에 의해 수표(C)의 표리 화상을 취득한다(스텝 S24).
그 후, 스텝 S25에 있어서, 주제어부(20)는 투입구(10)로부터 수표가 정상적으로 속출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2매 인출이나 식별 성능에 영향이 있는 큰 스큐(skew) 상태의 경우 등 정상적인 인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스텝 S25 : NO), 수표(C)를 반각구(12)로 반송한다(스텝 S27). 한편, 정상적인 속출 상태라고 판단되면(스텝 S25 : YES), 주제어부(20)는 식별부(11)에 의해 수표(C)가 정상이라고 식별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여(스텝 S26), 정상이라고 식별되면(스텝 S26 : YES) 수표(C)를 강제 입금고(3B)에 강제 수납한다(스텝 S29).
또한, 식별부(11)에 의해 수표(C)가 이상이라고 식별되면(스텝 S26 : NO) 수표(C)를 강제 입금고(3A)에 강제 수납한다(스텝 S28).
수표(C)가 반각구(12), 또는 확정 입금고(4A∼4C), 혹은 강제 입금고(3A,3B)로 반송된 후에는 투입구(10)의 수표(C)가 모두 없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스텝 S30) 투입구(10)에 아직도 수표(C)가 남아 있으면(스텝 S30 : NO), 상술한 스텝 S22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대하여, 투입구(10)의 수표(C)가 모두 없어지면(스텝 S30 : YES) 강제 입금을 종료한다. 또한, 이용자는 반각구(12)로 반송된 수표(C)를 투입구(10)에 다시 투입하고, 개시/종료 버튼(62)을 다시 눌러 재처리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하면,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 불량이나 통신 상태의 불량 등에 의한 결제 처리의 미완료에 관계없이, 모든 수표를 일단 수표 입금기(1) 내에 보유시킬 수 있으므로 방범상으로도 유효하며, 또한 통상의 입금 처리와 동일한 장치로 강제 입금할 수 있으므로, 운용 순서도 번잡해지지 않는다.
또한, 장치의 관리자에게 있어서는 강제 입금고 내의 지폐는 적어도 매수가 확정되어 있어, 장치의 관리자는 화상 데이터상에서 권종과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 및 결제 처리 서버에서의 처리 상황에 주력하여 정사하면 되어, 관리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식별시에 정상이 아닌 수표와 결제 처리시에 정상이 아닌 수표를 구별하여 입금고별로 구분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수표를 정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표 입금기(1)와 결제를 행하는 결제 처리 서버(79)간에서의 통신 상태가 불통이 된 경우에도, 정상권과 구분하여 강제 입금고(3A,3B)에 수납함으로써, 통신 이상 때문에 반각된 수표를 이용자가 갖고 돌아가는 일 없이, 장치 내부로 거두어들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에 통상 입금 모드를 종료한 후에 실행되는 데이터상에서의 무효화 처리 순서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이 무효화 처리 순서는 입금이 종료된 후, 식별부(11)에 내장된 카메라(15)에 의해 수표의 표리 전체 화상을 취득한다. 이 취득한 수표의 표리 화상에 이용자의 ID 번호, 이용한 수표 입금기(1)의 단말 번호, 날짜 등의 이용자 정보와, 식별부(11)에 의한 식별 데이터로서 자기 잉크 문자의 인식 결과와, 결제 처리 서버(79)에서 결제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증 데이터와, 판독한 수표가 수납된 입금고의 장소 정보를 합성하여, 수표 1매마다 합성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스텝 S31).
다음으로, 합성 화상 데이터에 개찬 방지의 처리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전자 투명 무늬 넣기(digital watermarking)를 부여한다(스텝 S32). 전자 투명 무늬 넣기 이외에도 합성 화상 데이터마다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합성 화상 데이터(131)를 생성할 경우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식별부(11)에서 취득한 수표의 표리 화상(82)(도 8 참조)의 이면에 이서 화상 정보로서 이용자 정보(132), 식별 데이터(133), 수납 장소 정보(134), 인증 데이터(135)를 덧쓴다. 도 13에서는 상부에 각 텍스트 데이터로서 이용자 정보(132)와 식별 데이터(133)와 수납 장소 정보(134)와 인증 데이터(135)를 수표의 형상에 걸맞는 긴 형상의 프레임 내에 정렬시켜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하부에 수표의 표리 화상을 좌우로 나열하여 표시하고, 표면측은 기존의 금액 표시부(136)나 자기 잉크 문자 영역(137) 등의 표시가 입혀져 있다. 또한, 이면측은 백지이지만, 이 백지에 상술한 텍스트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덧씀으로써 수표 이면의 형상에 걸맞는 합성 화상 데이터(131)가 입혀져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즉, 수표의 이면은 백지이지만, 그 수표의 결제 완료 정보 등을 화상 데이터에 의해 확보하여 수표의 이용 정보를 화상 관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 정보(132)는 수표 입금기(1)에 의한 당해 거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며, 예를 들면 날짜나 시간, 수표 입금기(1)의 단말 번호, 또는 이용자의 ID 번호나 계좌 번호여도 된다.
식별 데이터(133)는 자기 잉크 문자의 인식 결과이다. 수표의 표리 화상(82)과 합성함으로써, 식별부(11)가 오류 없이 자기 잉크 문자를 인식한 것이 데이터상, 육안으로 확인 가능해진다.
또한, 수납 장소 정보(134)는 수표가 어디에 수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입금 처리 후에 만일 의의가 발생한 경우에도 수표의 현물과 데이터를 연결할 수 있어, 매체 관리상 유효하다.
인증 데이터(135)는 당해 수표의 결제 처리가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정보이며, 인증 데이터 내에는 예를 들면 은행명이나 은행 번호, 처리 날짜, 처리 번호가 포함된다. 또한, 이 인증 데이터(135)는 결제 처리 서버(79)로부터의 응답에 의거하여, 상위 장치(71)로부터 당해 인증 데이터가 수신된다. 그리고, 이 인증 데이터(135)에 의해 당해 수표는 결제 처리가 완료되어 있음이 명확해진다.
이상의 순서에 의하면, 수표 처리부(2)에 인쇄 헤드가 탑재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합성 화상 데이터(131)는 이서가 인쇄된 수표에 대해서 다시 스캐너 등으로 화상화된 경우와 등가인 화상 데이터가 될 뿐만 아니라, 원래의 수표는 입금고 내에서 확실히 관리되어, 미처리의 수표와 섞일 가능성은 없다.
또한, 이용자 정보(132), 식별 데이터(133)를 모두 합성함으로써, 이용자 정보, 합성 화상 데이터, 현물의 수표, 3가지를 오류 없이 관련짓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찬 방지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합성 화상 데이터(131)의 신뢰성을 보증할 수 있어, 수표의 결제 후의 처리를 데이터만으로 행하는 운용에 있어서도 증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14에 강제 입금 거래 종료 후의 데이터 처리 순서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강제 입금이 종료된 후, 식별부(11)에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15)에 의해 촬영한 수표의 표리 화상에, 이용자의 ID 번호, 이용한 수표 입금기(1)의 단말 번호, 날짜 등의 이용자 정보와, 식별 데이터로서 판독한 자기 잉크 문자의 인식 결과와, 수표가 수납된 입금고의 정보를 합성하여, 수표 1매마다 합성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스텝 S41).
이들 합성되는 정보를 관련짓는 방법으로서, 시인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표 화상상의 번호나 주요 표시부를 피한 부분에 이용자 정보를 덧씀으로써 이용자 정보 부여의 화상 데이터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강제적으로 수납된 수표의 적어도 편면의 수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취득 수단으로서 CCD 카메라 등의 선명하게 촬영 가능한 카메라(15)로 취득하고, 그 카메라(15)로 취득한 상기 수표 화상 데이터를 수표의 정보로서 기억하는 것이다.
이 수표의 화상 데이터는, 수표의 표면 전체와 이면 전체의 양면을 화상 이미지로 하여 포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화상 데이터가 거래 처리상의 보조적인 역할인 것이 아니라, 현물의 수표에 대용하여 운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표가 그 후의 운용에서 필요 없어진다. 종이 매체가 아무래도 필요해진 경우에는, 그 화상 이미지를 인쇄하면 된다.
이에 따라, 어떤 수표라도, 입금된 수표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증거로서의 이력을 남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제 입금고(3A,3B)나 확정 입금고(4A∼4C) 내의 수표가, 정사시에 누구에 의해 입금된 것인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이용자 정보를 텍스트 데이터로 하여 보존하고, 텍스트 데이터와 수표 화상 데이터를 일괄의 데이터로서 관리해도 된다. 즉, 텍스트 데이터와 수표 화상 데이터를 합성시켜도 된다. 이때, 개찬 방지를 도모하여 이용자 정보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당해 변환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수표 화상 데이터에 합성시키면 된다. 이 합성시에는 합성 수단으로서의 주제어부(20)에 의해 합성시킬 수 있다(도 13). 이에 따라, 관련지어진 복수의 파일을 여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화상 데이터에 모든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관리상에서도 형편이 좋을 뿐만 아니라,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거래 데이터에 전자 투명 무늬 넣기를 부여함으로써 개찬 방지의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스텝 S42). 이때는, 수표 화상 데이터에 전자 정보를 매립함으로써 개찬 방지가 가능해져, 화상 데이터의 신뢰성 및 증거성을 한층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자 투명 무늬 넣기 이외에도 거래 데이터마다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한편, 강제 입금 모드시의 합성 화상 데이터(151)의 생성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식별부(11)에서 취득된 수표의 표리 화상(82)에 덧쓰기할 때, 도 15에서는 상부에 각 텍스트 데이터로서 이용자 정보(152)와 식별 데이터(153)와 수납 장소 정보(154)와 인증 데이터(155)를 수표의 형상에 걸맞는 긴 형상의 프레임 내에 정렬시켜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하부에 수표의 표리 화상을 좌우로 나열하여 표시하고 있다. 이 중, 이면의 백지면상에, 상술한 텍스트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덧쓰기한 합성 화상 데이터(151)를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식별 데이터(153)로서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 불량이 발생했을 때에는, 인식 불량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도록, 인식할 수 없었던 자릿수 부분만을 「*」로 표시해도 된다. 또한, 인증 데이터(155)로서는 수표가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결제 처리를 할 수 없어, 결제 처리가 미완료(보류)라는 취지가 덧쓰여짐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순서에 의하면, 수표의 표리의 화상을 전자 데이터로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행한 입금 거래의 이력을 확실히 남길 수 있음과 동시에, 이용자가 입금 처리를 행한 후, 관리자가 입금 거래의 정사를 행하기까지의 사이에 거래 데이터의 개찬이 행해지고 있지 않는 보증이 되어, 신뢰성이 있는 확실한 데이터로서 이용자 및 관리자가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접수한 수표에 대해서, 이용자나 결제 처리의 스테이터스 정보가 얼핏 보아 이해 가능하다. 결제 처리가 보류된 수표에 대해서 개별의 입금고에서 확실히 관리되기 때문에 결제 처리가 끝난 수표와 섞일 가능성도 없다.
다음으로, 수표 입금기(1)의 관리자에 의한 강제 입금 수표의 정사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관리자는 수표 입금기(1)의 표시 조작부(24)를 조작하여 강제 입금 거래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확인, 정사해도 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자는 수표 입금기(1)와 접속된 상위 장치(71)를 조작하여, 강제 입금 거래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확인, 정사해도 된다.
도 16은 상위 장치(71)의 표시 조작부(24)에 표시된 상세한 수표의 표시도이다.
161은 상위 장치(71)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강제 입금에 의해 접수된 수표에 관하여, 식별부(11)에 의해 취득된 수표의 표리 화상(82), 수표의 화상으로부터 자기 잉크 문자 부분만을 잘라낸 자기 잉크 문자 확대 화상(83), 식별부(11)의 문자 판독 센서(16)가 인식한 자기 잉크 문자의 인식 결과(84), 식별부(11)에 의해 수표가 정상(OK)인지 아닌지(NG)를 판별한 식별 결과(85), 결제 처리 서버(79)에 의해 정상적으로 결제가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미)를 나타내는 결제 처리 정보(86), 인식 결과(84)를 수정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수정 버튼(162), 재결제를 행하기 위한 재결제 버튼(163)을 구비하여 표시된다.
관리자는 확대 화상(83)과 인식 결과(84)를 비교하여, 인식 결과에 오류나 인식할 수 없는 번호 자릿수가 있을 경우에, 수정 버튼(162)을 눌러, 확대 화상(83)을 육안 확인 결과에 따라 수정을 행한다.
또한, 결제 처리가 미완료로 되어 있는 거래에 대해서는 재결제 버튼(163)을 누름으로써, 결제 처리 서버(79)와 통신을 행하여 결제를 완료시킨다. 완료된 거래에 대해서는 통상 입금 모드로 입금한 거래와 데이터상, 동일 취급하고, 도 13에서 나타낸 합성 화상 데이터(131)를 작성한다. 재결제 처리에 의해서도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강제 입금고 내의 현물 지폐를 확인하면 된다. 또한, 이때, 관리자가 확인하려는 강제 입금 거래의 수표를 강제 입금고로부터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수표를 처리하는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도 17은 인자(印字) 허용하는 수표 처리 장치(17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강제 입금고(3A,3B)가 회수되는 장소에 설치된다. 수표 처리 장치(171)는 내부에 수표(C)를 투입하는 투입구(172), 식별부(11), 스태커(stacker)(173,174), 배분 게이트(175)를 내장하고, 수표 처리 장치(171)는 상위 장치(71)와 접속되어 있다. 관리자는 강제 입금고(3A,3B)로부터 수표(C)를 꺼내어 투입구(172)에 투입하면, 투입구(172)로부터 속출된 수표는 식별부(11)로 반송되어 표리 화상이 취득된다.
취득한 표리 화상과, 강제 입금시에 취득한 수표의 표리 화상(82)을 상위 장치(71) 경유로 비교함으로써, 수표 처리 장치(171)는 관리자가 확인을 필요로 하는 강제 입금 거래시의 수표만을 특정의 스태커(예를 들면 174)에 배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결제 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수표에 대해서는, 수표 처리 장치(171)에 의해 한데 모아 이서 인쇄 처리를 행해도 된다. 그때에는 배분 게이트(175)에 의해 배분된 수표가 인쇄 헤드(176)를 통과할 때에 이서 인쇄를 행한다.
이서의 내용은 인증 데이터(135,155)까지를 포함한 합성 화상 데이터(151)와 동일한 내용이어도 되고, 데이터상에서 상세한 것은 관리되고 있으므로 단순히 결제가 종료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고정된 문구여도 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하면 복수의 강제 입금 거래 수표가 혼재한 강제 입금고 내에서 특정의 거래분의 수표만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어, 관리자의 강제 입금 거래의 정사 수고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서의 인증 데이터가 필요해진 경우에는, 인쇄 헤드(176)로 인쇄함으로써 인쇄 기구에 특화된 간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수표 입금기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수표 입금기는 간소한 구성으로 실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 발명에 관계되는 유가 증권의 처리 장치에 대해서, 수표를 입금하는 수표 입금기로 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이외에, 상품권이나 쿠폰권 등, 이서 처리가 필요해지는 모든 유가 증권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수표 입금기(1)는, 최초 입금 모드로 수표를 접수하여, 거래 개시했을 때에 판독 불능인 반각 수표가 발생했을 때에, 다시 통상 입금 모드로 할지, 강제 입금 모드로 이행할지를 선택시키는 입금 모드를 이용자에 의해 선택시킨다는 방법으로 대처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처음부터 강제 입금 모드로 수표를 접수하여 입금 처리를 실행시키는 운용 프로그램을 채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그 방법을 후술하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2]
이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수표 입금기(1)와 비교하여 구조는 동일하며, 제어 프로그램이 일부 상이한 구성예이다. 이 때문에, 제어 프로그램의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실시예 2의 제어 프로그램은, 수표의 수용 처리시에 통상 입금 모드와 강제 입금 모드의 쌍방의 입금 모드 기능을 갖는 공용 모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표가 입금된 경우, 정상권은 확정 입금고(4A∼4C)에 수납하고, 딸려나옴 등으로 입금 매수가 확정 불능인 경우, 이상권은 증거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반각하도록 하고, 매수를 확정할 수 있었던 이상권의 경우에는 한 쪽의 강제 입금고(3A)에 수납하도록 하고, 인증을 취할 수 없는 이상권의 경우에는 다른 쪽의 강제 입금고(3B)에 수납하도록 수표의 스테이터스 상태에 따라 장치 내부에 세밀하게 배분하여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후의 수표의 취급이 간단화된다.
도 18은 통상 입금 모드와 강제 입금 모드를 구비한 공용 모드에서의 입금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용자는 강제 입금 버튼(53)을 선택한 후, 표시 입력 영역(63)에 강제 입금으로 입금하는 권종 정보 및 매수 정보를 입력하고(스텝 S51), 투입구(10)에 수표(C)를 투입하여 개시/종료 버튼(62)을 누르면, 주제어부(20)는 투입구 검지 센서(17)의 검지 출력에 의해 투입구(10)에 수표(C)가 있고, 또한 수표(C)의 입금 지시가 있다고 판단하여(스텝 S51 : YES), 수표(C)를 투입구(10)로부터 속출하여 식별부(11)로 반송한다(스텝 S52).
식별부(11)에서는 매수 검지 센서(14)와 문자 판독 센서(16)에 의해 수표의 매수, 권종, 자기 잉크 문자 등의 수표 데이터를 식별한다(스텝 S53). 아울러, 식별부(11)는 카메라(15)에 의해 수표(C)의 표리 화상을 취득한다(스텝 S54).
그 후, 스텝 S55에 있어서, 주제어부(20)는 투입구(10)로부터 수표가 정상적으로 속출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2매 인출이나 식별 성능에 영향이 있는 큰 스큐 상태의 경우 등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속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스텝 S55 : NO), 수표(C)를 반각구(12)로 반송한다(스텝 S59).
한편, 속출이 정상이라고 판단되면(스텝 S55 : YES), 주제어부(20)는 식별부(11)에 의해 수표(C)가 정상이라고 식별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여(스텝 S56), 정상이라고 식별되면(스텝 S56 : YES), 식별부(11)에서 취득한 수표 데이터는 상위 장치(71)로부터 인터넷을 경유하여 결제 처리 서버(79)로 송신되어 수표(C)의 유효성을 판별한다(스텝 S57).
수표(C)가 유효하다고 판별되면(스텝 S57 : YES), 수표(C)를 식별부(11)로부터 지정된 예를 들면 확정 입금고(4A)로 반송한다(스텝 S58).
또한, 상술한 스텝 S56에서, 식별부(11)에 의해 수표(C)가 이상이라고 식별되면(스텝 S56 : NO), 수표(C)를 강제 입금고(3A)에 수납한다(스텝 S60). 식별부(11)에서 취득한 수표 데이터가 유효하다고 판별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57 : NO), 수표(C)를 강제 입금고(3B)에 수납한다(스텝 S61).
수표(C)가 반각구(12), 또는 확정 입금고(4A∼4C), 혹은 강제 입금고(3A, 3B)로 반송된 후에는, 투입구(10)의 수표(C)가 모두 없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스텝 S62), 투입구(10)에 아직도 수표(C)가 있으면(스텝 S62 : NO), 상술한 스텝 S52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대하여, 투입구(10)의 수표(C)가 모두 없어지면(스텝 S62 : YES), 공용 모드의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이용자는 반각구(12)로 반송된 수표(C)가 있을 경우에는, 그 반각된 수표(C)를 투입구(10)에 다시 투입하고, 개시/종료 버튼(62)을 다시 눌러 재처리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장치의 관리자에게 있어서는 입금고 내의 지폐는 적어도 매수가 확정되어 있어, 장치의 관리자는 화상 데이터상으로부터 권종과 자기 잉크 문자의 판독, 및 결제 처리 서버에서의 처리 상황에 주력하여 정사하면 되어 관리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식별시에 정상이 아닌 수표와 결제 처리시에 정상이 아닌 수표를 입금고에 의해 구분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수표를 정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수표의 스테이터스 상태에 따라 장치 내부에 세밀하게 배분하여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그 후의 수표의 취급이 간단화되는 이점이 있다.
도 19는 앞서 설명한 수표 입금기(1)와 POS(판매 시점 정보 관리) 시스템(191)을 접속하여 구성한 이용자의 입금 이용 능률의 향상을 도모한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수표 입금기(1)를 POS 시스템(191)에 접속하여 구성한 경우, 이용자의 POS 단말(192)로부터 사전에 입력하여 데이터를 수집시킨 입금 데이터는 POS 통신망(193)을 통해 POS 서버(194)에 의해 관리된다. 이 POS 서버(194)와 수표 입금기(1)를 통신 회선으로 접속함으로써, 이용자의 POS 단말(192)과 수표 입금기(1)를 연동시킬 수 있어, 수표 입금기(1)에서의 매상금의 입금 조작 전에 이용자의 ID 카드에 의거하여 매수 정보와 권종 정보를 온라인에서 능률적으로 취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수표 입금기(1)에서의 입금 조작시에 이용자가 입금하는 수표 다발의 권종과 매수를 이용자가 파악해 두고, 또한 입금 시점에서 입력 조작하는 바와 같은 입력 조작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어 능률적인 입금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 실시예 3의 수표 입금기는 실시예 1의 수표 입금기(1)의 입금 구성에 화폐의 출금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수표 입금기(1)와 비교하여 현금에 의한 출금 기능을 구비한 것이 다르고, 그 외는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다른 구성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0은 실시예 1에서 기술한 수표 입금기(1)의 도 3에 나타내는 제어부의 제어 블록도를 참조하면, 이 구성에 더하여 수표에 대한 환금 기능을 갖게 한 화폐 처리부(201)를 새롭게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 화폐 처리부(201)는 환금용의 화폐를 수납하는 화폐 수납부(202)와, 당해 화폐 수납부(202)로부터 화폐를 출금하는 화폐 출금구(20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주제어부(20)가 수표를 받아들였을 때에, 그 받아들인 수표를 정상권이라고 식별함과 동시에, 그 수표의 결제가 완료된 시점에서, 이용자에 의해 현금에 의한 출금액의 요청이 있었음을 확인하면, 주제어부(20)는 당해 수표의 금액 정보에 따른 출금액을 화폐 수납부(202)로부터 화폐 출금구(203)로 출금시킨다.
이와 같은 환금 기능을 구비한 수표 입금기를 이용하면 편리성이 향상하여 운용 능률이 좋은 수표 입금기로서 운용 성능이 더 높아진다.
이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의 실시 양태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수표 입금기(1)와 결제 처리 서버(79)를 상위 장치(71)를 통해 접속한 구성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수표 입금기 자체로 관리자에 의한 정사 가능한 관리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해도 되고, 직접 결제 처리 서버(79)에 접속하여 운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1 : 수표 입금기 2 : 수표 처리부
3A,3B : 강제 입금고 4A∼4C : 확정 입금고
10 : 투입구 11 : 식별부
15 : 카메라 20 : 주제어부
22 : RAM 23 : 카드 판독부
24 : 표시 조작부 71 : 상위 장치
82 : 수표 표리 화상 131,151 : 합성 화상 데이터
132,152 : 이용자 정보 133,153 : 식별 데이터
134,154 : 수납 장소 정보 135,155 : 인증 데이터

Claims (10)

  1. 이용자를 특정하는 이용자 정보를 입력시키는 입력부와,
    거래되는 유가 증권을 수용(受入) 처리하는 수용구와,
    상기 유가 증권의 식별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유가 증권의 적어도 편면(片面)의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유가 증권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이용자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유가 증권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장소 정보를 합성하여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 유가 증권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의거하여 접수 허가된 상기 유가 증권을 정상권(正常券)으로 하고,
    상기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의거하여 접수 거부된 상기 유가 증권을 이상권(異常券)으로 하며,
    상기 유가 증권이 상기 정상권인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시키고, 상기 이상권인 경우에는 반각시키는 제어 수단과,
    상기 반각된 이상권이 있을 때, 당해 이상권의 재접수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재접수 수단을 구비한 유가 증권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의거하여 접수 허가된 상기 유가 증권을 정상권으로 하고,
    상기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의거하여 접수 거부된 상기 유가 증권을 이상권으로 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정상권을 수납하는 정상권 수납부와,
    상기 이상권을 수납하는 이상권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가 증권의 수용 처리시에,
    상기 정상권을 상기 정상권 수납부에 수납시키고,
    상기 이상권을 상기 이상권 수납부에 수납시키는 배분 수단을 구비한 유가 증권 처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화폐를 수납하는 화폐 수납부와,
    상기 화폐 수납부로부터 화폐를 출금하는 화폐 출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가 증권을 정상권이라고 식별한 경우, 당해 유가 증권의 금액 정보에 따른 출금액을 상기 화폐 수납부로부터 상기 화폐 출금구로 출금 허가시키는 유가 증권 처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는,
    상기 유가 증권의 표면 전체 및 이면 전체를 촬영하여 취득한 화상인 유가 증권 처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에,
    전자 투명 무늬 넣기(digital watermarking) 처리하는 전자 투명 무늬 넣기 수단을 구비한 유가 증권 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자기(磁氣) 정보 또는 광학 정보 중, 적어도 한 쪽의 정보에 의해 기록된 문자 정보를 식별하는 유가 증권 처리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합성된 상기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켜 관리자에게 시인(視認)시키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자에 의해 지시 정보를 입력 허용시키는 구성을 더 구비한 유가 증권 처리 장치.
  9. 유가 증권을 처리하는 유가 증권 처리 장치와, 당해 유가 증권 처리 장치와 통신 접속한 유가 증권 관리 장치를 구비한 유가 증권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가 증권 처리 장치에는,
    이용자를 특정하는 이용자 정보를 입력시키는 입력부와,
    거래되는 유가 증권을 수용 처리하는 수용구와,
    상기 유가 증권의 식별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유가 증권의 적어도 편면의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유가 증권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이용자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유가 증권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장소 정보를 합성하여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가 증권 관리 장치에는,
    상기 유가 증권 처리 장치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합성된 상기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관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관리하고 있는 합성된 상기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여 관리자에게 시인시키는 표시부와,
    상기 합성된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자에 의해 지시 정보를 입력 허용시키는 관리자 입력부를 구비한 유가 증권 처리 시스템.
  10. 이용자를 특정하는 이용자 정보를 취득하는 이용자 정보 취득 스텝과,
    거래되는 유가 증권을 수용 처리하는 수용 스텝과,
    상기 유가 증권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유가 증권의 적어도 편면의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스텝과,
    상기 유가 증권을 수납부에 수납하는 수납 스텝과,
    상기 유가 증권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이용자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유가 증권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장소 정보를 합성하여 기억하는 기억 스텝을 구비한 유가 증권 처리 방법.
KR1020110041732A 2010-08-31 2011-05-03 유가 증권 처리 장치, 유가 증권 처리 시스템 및 유가 증권 처리 방법 KR101223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94648A JP5478431B2 (ja) 2010-08-31 2010-08-31 有価証券処理装置、有価証券処理システムおよび有価証券処理方法
JPJP-P-2010-194648 2010-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164A KR20120021164A (ko) 2012-03-08
KR101223575B1 true KR101223575B1 (ko) 2013-01-17

Family

ID=4590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732A KR101223575B1 (ko) 2010-08-31 2011-05-03 유가 증권 처리 장치, 유가 증권 처리 시스템 및 유가 증권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78431B2 (ko)
KR (1) KR1012235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825A (ko) * 2003-12-11 2005-06-16 (주)한컴기술연구소 수표업무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표업무처리방법
KR20060118262A (ko) * 2005-05-16 2006-11-23 엘지엔시스(주)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1900B2 (ja) * 2004-05-12 2011-06-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小切手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小切手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825A (ko) * 2003-12-11 2005-06-16 (주)한컴기술연구소 수표업무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표업무처리방법
KR20060118262A (ko) * 2005-05-16 2006-11-23 엘지엔시스(주)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53589A (ja) 2012-03-15
KR20120021164A (ko) 2012-03-08
JP5478431B2 (ja)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342B1 (ko) 유가 매체 처리 장치, 유가 매체 처리 시스템 및 유가 매체 처리 방법
KR101445202B1 (ko) 지폐 처리 장치
US7903863B2 (en) Currency bill tracking system
JP4166098B2 (ja) 紙幣取扱装置
US20030139994A1 (en) Financial institution system
KR101554252B1 (ko) 지폐일련번호 인식을 통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
WO2013137012A1 (ja) 有価媒体処理装置
RU2602379C2 (ru) Машина для оперирования деньгами, система для оперирования деньгами и способ оперирования деньгами
KR20120018268A (ko) 지폐 거래 처리 장치
JP6175255B2 (ja) 有価媒体処理装置、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及び有価媒体処理方法
JPH1049728A (ja) 自動取引装置
RU2650744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бумажными листами,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бумажными листами
KR20060055395A (ko) 금전처리장치
KR101043579B1 (ko) 자동 입출금기의 지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08801A (ko) 현금/수표 통합 입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현금/수표 인식방법
KR101223575B1 (ko) 유가 증권 처리 장치, 유가 증권 처리 시스템 및 유가 증권 처리 방법
JP2014220001A (ja) 紙幣処理装置
KR100490782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의지로장표처리방법및장치
WO2020031512A1 (ja) 取引装置
WO2021192468A1 (ja) 貨幣取扱装置、認証サーバおよび認証システム
KR100534090B1 (ko) 동전 및 지폐 입금 단말기의 입금 방법
KR20080062605A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실시간 수표 처리 방법
KR101022428B1 (ko) 자동 입출 예입 장치
JP2005258737A (ja) 貨幣取引装置
JP5592131B2 (ja) 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