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565B1 -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565B1
KR101223565B1 KR1020110005298A KR20110005298A KR101223565B1 KR 101223565 B1 KR101223565 B1 KR 101223565B1 KR 1020110005298 A KR1020110005298 A KR 1020110005298A KR 20110005298 A KR20110005298 A KR 20110005298A KR 101223565 B1 KR101223565 B1 KR 101223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driving
frame
traveling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018A (ko
Inventor
김영권
Original Assignee
김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권 filed Critical 김영권
Priority to KR102011000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565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75Tracked vehicles for ascending or descending stairs, steep slopes or vert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2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and additional grou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조로 구비된 주행어셈블리의 왕복구동에 의해 주행되고, 조향브래킷에 의해 조향되기 위한 공지의 운송수단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송수단용 구동장치는 몸체프레임과 주행모터와 복수의 주행유닛 및 주행프레임이 구비되고, 주행프레임은 암축 및 휠베이스가 고정 결합되고, 휠베이스 양단부에 승강이 통제되는 승강수단과 현가수단이 구비된 주행어셈블리가 구비되어 결합되고 암축은 조향핸들과 조향유닛 및 조향브래킷과 결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주행모터의 구동에 의해 주행유닛이 직동으로 왕복 구동되어 주행프레임 및 암축과 휠베이스가 시퀀스 되어 구동되고, 이때, 주행유닛과 연동되어 제1주행프레임과 제2주행프레임의 주행어셈블리가 각각 교번으로 상하로 승강되어 몸체프레임이 일 측으로 이동되어 주행되고, 이와 같이 주행될 때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조향유닛 및 조향브래킷과 암축이 시퀀스 되어, 각각 제1주행프레임의 제1휠베이스와 제3휠베이스의 구동거리 편차와 제2주행프레임의 제2휠베이스와 제4휠베이스의 구동거리 편차에 의해 조향되도록 구성된다.
주행유닛, 주행프레임, 휠베이스, 주행유닛하우징, 암축, 조향핸들, 조향바, 조향브래킷, 아이들롤러, 주행어셈블리

Description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DRIVE UNIT FOR TRANSPORT DEVICES}
본 발명은 무한궤도와 같이 단차진지형 승월이나 험지 주행장치로서, 회전방식이 아닌 복수로 구성된 주행어셈블리의 왕복구동에 의해 운송되는 공지의 운송수단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대표적인 것으로, 국내특허 제10-0686982호 2중 무한궤도를 이용한 단차 승월방법과 이를 이용한 험지주행장치 (Climbing Method for a Large Step with Double TrackMechanism and Structure of Mobile Platform forIrregular Terrain)가 개시되어 있다.
이 주행 장치는 주 무한궤도에 추가 장착되는 보조 무한궤도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으면서도 보조 무한궤도의 길이보다 더욱 높은 단차를 승월 할 수 있는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주행 장치의 구성은 양측에 각각 무한궤도가 설치되는 주 무한궤도장치와 양측에 추가 장착되는 보조무한궤도장치를 구비한 후, 주 무한궤도장치의 전방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편차를 가지는 위치에 보조 무한궤도장치의 회전 중심을 배치 후 단차진 지형 승월시 보조무한궤도장치가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여 주 무한궤 도장치를 단차진 지형에 들어 올림으로써 보조무한궤도장치의 길이보다 더 높은 단차의 지형을 승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수단인 험지 주행 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2중 무한궤도를 이용한 단차 승월방법과 이를 이용한 험지주행장치는 적재물의 수평이 유지되지 않아 우수하다 할 수 없다.
또한 이 험지주행장치는 무한궤도 회동을 이용한 승월장치에서는 무한궤도가 회동되어 승월한다고 하나 구성부품 내구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차진 지형이나 갯벌이나 눈길 등 험지가 원활히 주행될 수 있는 우수한 운송수단용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음이 작아 방음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재물의 요동이 적어 승차감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면에 접촉되는 구성부품을 연질로 구성할 수 있어 노면 파손이 적은 운송수단용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수단용 구동장치는 구성부품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몸체프레임이 구비되어 몸체프레임 상부에 조향축 및 조향바를 갖는 조향유닛과 조향 유도홈을 갖는 아이들롤러가 고정 결합되어 몸체프레임이 조향되도록 구비되는 조향핸들과;
몸체프레임 하부에 주행모터가 구비되어 고정 결합되고, 복수의 주행유닛이 구비되어 하우징 내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가역적으로 직동으로 왕복 구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구비되는 주행유닛하우징과;
주행유닛 하단부에 주행프레임이 고정 결합되고, 주행프레임 양단부에 암축이 구비되어 결합되며, 암축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휠베이스와;
몸체프레임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휠베이스가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직동 왕복 구동되고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및 가이드와;
조향바 하단부에 형성된 조인트에 고정 결합되어 암축이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직동으로 왕복 구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브래킷이 상하로 변위되어 암축이 축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조향브래킷과;
상하 승강이 통제되는 승강수단과 현가수단을 갖는 주행어셈블리가 구비되어 휠베이스 양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주행모터의 구동에 의해 주행유닛이 직동 왕복 구동되어 주행프레임 및 암축과 휠베이스 및 주행어셈블리가 시퀀스 되어 구동되고, 주행유닛과 연동되어 제1주행프레임 및 제2주행프레임의 주행어셈블리가 교번되어 상하로 승강되어 몸체프레임이 일 측으로 주행되고,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조향유닛 및 조향브래킷과 암축이 시퀀스 되어, 각각 제1주행프레임의 제1휠베이스와 제3휠베이스의 구동거리 편차와 제2주행프레임의 제2휠베이스와 제4휠베이스의 구동거리 편차에 의해 조향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본 무한궤도와 보조무한궤도를 활용하여 구성되는 것보다 소음이 작아 방음성이 우수하게 되고, 또한 마모가 적어 내구성이 우수하며, 조향이 조향브래킷의 위치변위에 의해 조향됨으로서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 용도에 따라 주행어셈블리의 상하와 전후의 구동거리를 최적화할 수 있어, 단차진 지형이나 험지를 쉽게 주행할 수 있고, 본체의 요동이 적어 승차감이 우수하며, 갯벌이나 눈길 주행이 우수한 운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무한궤도는 구조상 노면 접촉부품으로 단단한 재질이 사용될 수밖에 없어 주행할 때 노면이 손상되기 쉽지만, 본 발명은 연질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어 노면의 손상 없이 주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1은 운송용 구동장치의 일부구성부품이 개략적으로 배열된 평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진으로 주행될 때의 일 실시예로,
조향브래킷(830, 840, 850, 860)의 위치가 동일하게 위치되어, 제1주행프레임(101)의 제1휠베이스(300)와 제3휠베이스(400)의 구동거리와 제2주행프레임(201)의 제2휠베이스(500)와 제4휠베이스(600)의 구동거리가 동일하게 구동되어 몸체프레임(10)이 직진으로 주행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부분적으로 결합하여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휠베이스 방향으로 조향되는 일 실시예로,
일 측의 조향브래킷(830, 850)은 하강되고 일 측의 조향브래킷(840, 860)은 상승되어 제1주행프레임(101)의 제1휠베이스(300)와 제3휠베이스(400)의 구동거리 편차와 제2주행프레임(201)의 제2휠베이스(500)와 제4휠베이스(600)의 구동거리 편차에 의해 제1휠베이스(300) 방향으로 조향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부분적으로 결합하여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용 구동장치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측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주행프레임(101) 및 제3암축(140)과 제3휠베이스(400)와 제2지지프레임(730) 및 가이드(731)와 제4지지프레임(740) 및 가이드(741)와 조향바의 조인트(824)와 조향브래킷(840)이 결합되고, 제1주행유닛(100)이 우측으로 구동되고, 조인트(824)가 상승되어 조향브래킷(840)이 최상위에 위치되어 제3휠베이스(400)가 최대로 좌측으로 이송된 모습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주행유닛(100)이 우측으로 구동되고, 조인트(824)가 하강되어 조향브래킷(840)이 최하위에 위치되어 제3휠베이스(400)가 최소로 좌측으로 이송된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측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주행프레임(101) 및 제3암축(140)과 제3휠베이스(400)와 제2지지프레임(730) 및 가이드(731)와 제4지지프레임(740) 및 가이드(741)와 조향바(820)의 조인트(824)와 조향브래킷(840)이 결합되어, 제1주행유닛(100)이 좌측으로 구동되고, 조향브래킷(840)이 최상위에 위치되어 제3휠베이스(400) 및 주행어셈블리(412, 422)가 우측으로 최대로 이송된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측 단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용 구동장치가 직진으로 주행되는 일실시예로,
제1주행프레임(101)의 제1휠베이스(300) 주행어셈블리(312) 및 제3휠베이스(400) 주행어셈블리(412)가 승강되고, 제2주행프레임(201)의 제2휠베이스(500) 주행어셈블리(512) 및 제4휠베이스(600) 주행어셈블리(612)가 하강되어 노면에 접촉되고, 조향브래킷(830, 840, 850, 860)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구동거리가 동일해 직진으로 주행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정단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용 구동장치가 조향되어 주행되는 일실시예로,
노면에 접촉된 제2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512)가 최하위에 위치된 조향브래킷(850)에 의해 구동거리가 최소로 전후로 구동되고, 제4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612)가 최상위에 위치된 조향브래킷(860)에 의해 구동거리가 최대로 전후로 구동되어 제2휠베이스 방향으로 조향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정단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용 구동장치가 직진으로 주행되는 일실시예로,
노면에 접촉된 제1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312)와 제3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412)가 동일 선상에 위치된 조향브래킷(830, 840)에 의해 구동거리가 동일해, 직진으로 주행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정단면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용 구동장치가 조향되어 주행되는 일실시예로,
노면에 접촉된 제1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312)가 최상위에 위치된 조향브래킷(830)에 의해 구동거리가 최대로 전후로 구동되고, 제3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 (412)가 최하위에 위치된 조향브래킷(840)에 의해 구동거리가 최소로 전후로 구동되어 제3휠베이스 방향으로 조향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정단면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핸들(12) 및 아이들롤러(13)와 조향유닛(812, 822) 및 조향바(810, 820)와 조향브래킷(830, 840, 850, 860)이 결합된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평단면도이며,
도13은 종래기술의 2중 무한궤도를 이용한 단차승월 방법과 이를 이용한 험지주행 장치의 개략적인 일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블록선도이다.
도면에 도시한바와 같이 운송수단용 구동장치는 주행모터(11)의 양측에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직동으로 왕복 구동되는 주행유닛(100, 200)이 주행프레임(101, 201) 및 암축(930, 940, 950, 960)과 주행어셈블리(312, 322, 412, 422, 512, 522, 612, 622)가 시퀀스 되어 구동되고, 제1주행프레임(101) 및 제2주행프레임(201)의 주행어셈블리가 주행유닛과 연동되어 각각 동시에 상하 직동으로 승강되어 몸체프레임(10)이 일 측으로 주행되고, 조향핸들(12)의 조작에 의해 조향유닛(812, 822) 및 조향바(810, 820)와 조향브래킷(830, 840, 850, 860) 및 암축(930, 940, 950, 960)이 시퀀스 되어, 각각 제1휠베이스(300)와 제3휠베이스(400)의 구동거리 편차와 제2휠베이스(500)와 제4휠베이스(600)의 구동거리 편차에 의해 조향되도록 구성되는 운송수단용 구동장치로 대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2는 주행모터(11)가 구비되어 몸체프레임(10)에 고정 결합 되고, 제1주행유닛(100) 및 제1주행프레임(101)이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가역적으로 왕복구동 되도록 주행유닛하우징(16) 내에 결합되고, 제1주행프레임(101) 양단부에 제1암축(130) 및 제3암축(140)이 구비되어 결합되며, 제1암축(130) 하단부에 제1휠베이스(300)가 고정되어 결합되고, 제3암축(140) 하단부에 제3휠베이스(400)가 고정되어 결합되며, 제1휠베이스(300)는 제2가이드(712) 및 제6가이드(722)와 결합되어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가역적으로 왕복 구동되도록 구비되고, 제3휠베이스(400)는 제4가이드(731) 및 제8가이드(741)와 결합되어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가역적으로 왕복 구동되도록 구비되며, 제2주행프레임(201) 양단부에 제2암축(150) 및 제4암축(160)이 구비되어 결합되고, 제2암축 하단부에 제2휠베이스(500)가 고정되어 결합되며, 제4암축(160) 하단부에 제4휠베이스(600)가 고정되어 결합되고, 제2휠베이스(500)는 제1가이드(711) 및 제5가이드(721)와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가역적으로 왕복 구동되도록 고정되어 결합되며, 제4휠베이스(600)는 제3가이드(732) 및 제7가이드(742)와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가역적으로 왕복 구동되도록 고정 결합된 일부구성부품을 보인 모습의 평단면도이고,
본 발명에 따른 도4는 몸체프레임(10) 하측에 주행유닛하우징(16)이 구비되어 주행모터(11)의 구동에 의해 제1주행유닛(100)과 제2주행유닛(200)이 주행유닛하우징 내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왕복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어 결합되고, 주행유닛(100, 200) 하측에 각각 주행프레임(101, 201)이 구비되어 결합되며, 주행프레임 양단부에 암축(130, 140, 150, 160)이 구비되어 결합되고, 암축 하단부에 휠베이스(300, 400, 500, 600)가 구비되어 결합되며, 휠베이스는 각각 구비된 가이 드(711, 712, 721, 722, 731, 732, 741, 742)에 결합되어 왕복으로 구동되도록 지지되어 결합되고, 휠베이스 양단부에는 직동솔레노이드(411, 421, 611, 621)를 갖는 주행어셈블리(412, 422, 612, 622)가 고정 결합되어 주행유닛(100)과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구비된 일부구성부품을 보인 모습의 측단면도이며,
본 발명에 따른 도5는 제1주행유닛(100)과 제1주행프레임(101)이 우측으로 구동되고, 제3휠베이스(400)의 주행어셈블리(412, 422)는 상승되어 좌측으로 구동되며, 조향브래킷(840)은 최상위에 위치되어 휠베이스(400)의 구동거리가 최대로 구동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보인 모습의 측단면도이고,
본 발명에 따른 도6은 제1주행프레임(101)이 우측으로 구동되고, 제3휠베이스(400)의 주행어셈블리(412, 422)는 상승되어 좌측으로 구동되며, 조향브래킷(840)이 최하위에 위치되어 제3휠베이스(400)의 구동거리가 최소로 이송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보인 모습의 측단면도이며,
본 발명에 따른 도7은 제1주행유닛(100)과 제1주행프레임(101)이 좌측으로 구동되고, 제3휠베이스(400)의 주행어셈블리(412, 422)가 하강되어 우측으로 구동되며, 조향브래킷(840)이 최상위에 위치되어 제3휠베이스(400)의 구동거리가 최대로 이송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보인 모습의 측단면도이고,
본 발명에 따른 도8은 몸체프레임(10) 상측에 원통형상으로 외주연에 조향유도홈(14)이 형성된 아이들롤러(13)를 갖는 조향핸들(12)이 구비되어 고정축(15)에 축 고정되어 회동되고, 조향핸들 양측에 조향유닛(812, 822)이 구비되어 일 측(815, 825)은 조향유도홈(14)과 결합되어 구동되고, 일 측(811, 821)은 조향바 (810, 820)와 결합되어 조향축(814, 824)에 고정 결합되어 조향핸들(12)의 조작에 의해 조향바(810, 820)가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상하로 승강되도록 구비되고, 조향바(810, 820) 하단부에 조인트(834, 844, 854, 864)가 형성되어 조향브래킷(830, 840, 850, 860)과 고정 결합되고, 조향브래킷은 암축(130, 140, 150, 160)과 결합되어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암축이 상하로 승강되도록 고정 결합되며, 몸체프레임(10) 하측에 주행유닛하우징(16)이 구비되어 주행모터(11)의 구동에 의해 제1주행유닛(100) 및 제2주행유닛(200)이 주행유닛하우징 내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왕복으로 구동되도록 거장 결합되고, 주행유닛(100, 200) 하측에 각각 주행프레임(101, 201)이 구비되어 결합되며, 주행프레임 양단부에 암축(130, 140, 150, 160)이 고정 결합되어 조향브래킷(830, 840, 850, 860)과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상하로 승강되도록 결합되고, 암축 하단부(301, 401, 501, 601)에 휠베이스(300, 400, 500, 600)가 고정 결합되며, 휠베이스는 각각 구비된 가이드(711, 712, 721, 722, 731, 732, 741, 742)에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가역적으로 직동으로 왕복 구동되도록 지지되어 결합된 일부구성부품을 보인 모습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수단용 구동장치의 일실시 예로,
도4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1주행프레임(101)의 제1휠베이스(300) 주행어셈블리(312, 322) 및 제3휠베이스(400) 주행어셈블리(412, 422)가 상승되어 좌측으로 구동되고, 이때 제2주행프레임(201)의 제2휠베이스(500) 주행어셈블리(512, 522) 및 제4휠베이스(600) 주행어셈블리(612, 622)는 하강되어 우측으로 이송되며, 제1주행프레임(101) 및 제2주행프레임(201)의 왕복구동에 의해 휠베이스(300, 400, 500, 600)가 왕복 구동되고, 이때 주행어셈블리(312, 322, 412, 422, 512, 522, 612, 622)가 교번으로 승강되어 노면에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몸체프레임(10)이 주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행프레임(101)의 제1휠베이스(300) 주행어셈블리(312, 322) 및 제3휠베이스(400) 주행어셈블리(412, 422)가 상승되어 전진되고, 제2주행프레임(201)의 제2휠베이스(500) 주행어셈블리(512, 522) 및 제4휠베이스(600) 주행어셈블리(612, 622)는 하강되어 노면에 접촉되어 후진되며, 이때 제2주행프레임(201)의 구동에 의해 몸체프레임(10)이 전진되고, 도10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2주행프레임(201)의 제2휠베이스(500) 주행어셈블리(512, 522) 및 제4휠베이스(600) 주행어셈블리(612, 622)는 상승되어 전진되고, 제1주행프레임(101)의 제1휠베이스(300) 주행어셈블리(312, 322) 및 제3휠베이스(400) 주행어셈블리(412, 422)가 하강되어 노면에 접촉되어 후진되며, 이때 제1주행프레임(101)의 구동에 의해 몸체프레임(10)이 전진되어,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도8과 도10에 도시한바와 같이 교번으로 구동되어 주행어셈블리(312, 322, 412, 422, 512, 522, 612, 622)가 일 측으로 구동될 때는 노면에 접촉되어 몸체프레임(10)이 전진되고, 또 다른 일 측으로 구동될 때는 상승되어 노면에 접촉되지 않아 원위치로 복귀되어 이동하고자하는 일 측으로만 주행되고, 제1조향바(810)의 조향브래킷(830, 850)과 제2조향바(820)의 조향브래킷(840, 860)이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어 직진으로 주행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5 및 도6과 도9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핸들(12)의 조작에 의해 조향브래킷(830, 840, 850, 860)이 승강되어 휠베이스(300, 400, 500, 600)의 구동거리가 조절되어 조향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주행모터를 구동시키면, 도1 및 도7에 도시한바와 같이 주행모터(11)가 제1주행유닛(100) 및 제2주행유닛(200)을 밀거나, 도2 및 도5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1주행유닛 및 제2주행유닛을 당기어, 제1주행유닛 및 제2주행유닛이 왕복으로 구동되고,
이때, 도8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1주행프레임(101)의 제1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312) 및 제3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412)는 상승되고, 제2주행프레임(201)의 제2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512) 및 제4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612)가 하강되어 노면에 접촉되며 구동되어, 제2주행프레임에 의해 몸체프레임(10)이 전진되고, 도10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2주행프레임의 제2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512) 및 제4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612)가 상승되고, 제1주행프레임의 제1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312) 및 제3휠베이스 주행어셈블리(412)는 하강되어 노면에 접촉되며 구동되어, 몸체프레임(10)은 제1주행프레임(101)에 의해 전진된다,
따라서, 도8과 도10에 도시한바와 같이 교번 구동되어, 주행어셈블리(312, 322, 412, 422, 512, 522, 612, 622)가 일 측으로 이송될 때는 하강되어 노면에 접촉되고, 다른 일 측으로 이송될 때는 상승되어 노면에 접촉되지 않고 원위치로 복귀되어, 제1주행프레임(101)의 주행어셈블리(312, 322, 412, 422)와 제2주행프레임(201)의 주행어셈블리(512, 522, 612, 622)가 교번 구동되어 몸체프레임(10)이 일 측으로 직진 주행되고,
이때, 사용자가 조향핸들(12)을 조작하면 도9와 도11에 도시한바와 같이 조향핸들에 의해 조향바(810, 820)가 하강되거나 상승되어 조향브래킷(830, 840, 850, 860)이 변위되어 제1휠베이스(300) 및 제3휠베이스(400)의 구동거리 편차와 제2휠베이스(500) 및 제4휠베이스(600)의 구동거리 편차에 의해 조향되어 주행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은 조향핸들(12) 및 조향유닛(813, 823)과 조향바(810, 820) 및 조향브래킷(830, 840, 850, 860)이 구비되어 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주행어셈블리(312, 322, 412, 422, 512, 522, 612, 622)가 좌우로 구동되어 조향되도록 구비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어셈블리(312, 322, 412, 422, 512, 522, 612, 622)가 제1주행프레임(101)의 주행어셈블리(312, 322, 412, 422)와 제2주행프레임(201)의 주행어셈블리(512, 522, 612, 622) 두 조로 구비되어 교번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주행어셈블리가 한조(312, 322, 412, 422)는 구동되고 한조(512, 522, 612, 622)는 승강만 구동되도록 구비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한궤도와 같이 회전되지 않고 휠베이스(300, 400, 500, 600)가 왕복운동으로 구동되어 주행됨으로서, 저소음과 내구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구동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운송용 구동장치의 일부구성부품이 개략적으로 배열된 평단면도이고,
도2는 몸체프레임이 직진으로 주행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부분적으로 결합하여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3은 제1휠베이스 방향으로 조향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부분적으로 결합하여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측단면도이며,
도5는 제1주행유닛이 우측으로 구동되고, 제3휠베이스와 주행어셈블리가 좌측으로 최대거리 이송된 모습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6은 제3휠베이스가 좌측으로 최소거리 이송된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측 단면도이며,
도7은 제1주행유닛이 좌측으로 구동되고, 제3휠베이스 및 주행어셈블리가 우측으로 최대거리가 이송된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확대해 보인 모습의 측 단면도이고,
도8은 조향브래킷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직진으로 주행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정단면도이며,
도9는 제2휠베이스와 제4휠베이스의 구동거리 편차에 의해, 제2휠베이스 방향으로 조향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정단면도이고,
도10은 동일 선상에 위치된 조향브래킷에 의해 구동거리가 동일해, 직진으로 주행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확대해 보인 모습의 정단면도이며,
도11은 제1휠베이스와 제3휠베이스의 구동거리 편차에 의해 제3휠베이스 방향으로 조향되는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정단면도이고,
도12는 조향핸들 및 아이들롤러와 조향유닛 및 조향바와 조향브래킷이 결합된 상태의 일부구성부품을 발췌하여 보인 모습의 평단면도이며,
도13은 종래기술의 2중 무한궤도를 이용한 단차 승월방법과 이를 이용한 험지주행장치의 개략적인 일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블록선도이다.

Claims (6)

  1. 운송수단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화물이 적재되고 구성부품이 고정 결합되어 지지되는 몸체프레임이 구비되어 상부에는 조향축 및 조향바를 갖는 조향유닛과 조향유도홈을 갖는 아이들롤러가 구비되어 몸체프레임에 축 고정되는 조향핸들과;
    몸체프레임 하부에 주행모터가 구비되어 고정 결합되고, 주행모터 양측에 복수의 주행유닛이 구비되어 하우징 내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가역적으로 직동왕복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주행유닛하우징과;
    중심부는 주행유닛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양단부는 암축과 결합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주행프레임과;
    상단부는 주행프레임 양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휠베이스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암축과;
    암축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가이드와 결합되어 가이드 내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직동 왕복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휠베이스와;
    몸체프레임 하단부에 다수의 지지대가 구비되어 고정 결합되고, 지지대와 고정 결합되고 휠베이스와 결합되어 휠베이스가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직동으로 왕복 구동될 수 있도록 결합 지지되는 지지프레임 및 가이드와;
    조향바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조인트가 구비되고, 구비된 조인트와 고정 결합되고 암축과 결합되어 암축이 브래킷 내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직동으 로 구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변위되어 암축이 축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향브래킷과;
    휠베이스 양단부에 승강이 통제되어 승강되는 승강수단과 현가수단을 갖는 발이 구비되어 고정 결합되는 주행어셈블리와;
    주행유닛과 주행어셈블리가 복수로 구비되어 주행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고, 주행유닛과 주행어셈블리가 시퀀스 되어 몸체프레임이 주행되고,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조향유닛 및 조향브래킷과 암축 및 휠베이스가 시퀀스 되어 조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휠베이스가 직동 왕복으로 구동되어 주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주행어셈블리가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조향브래킷이 상하로 승강되어 조향되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한조의 주행프레임 및 주행어셈블리는 구동되고, 한조는 주행어셈블리만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주행어셈블리가 전후좌우 사방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KR1020110005298A 2011-01-19 2011-01-19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KR101223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298A KR101223565B1 (ko) 2011-01-19 2011-01-19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298A KR101223565B1 (ko) 2011-01-19 2011-01-19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018A KR20120084018A (ko) 2012-07-27
KR101223565B1 true KR101223565B1 (ko) 2013-01-22

Family

ID=4671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298A KR101223565B1 (ko) 2011-01-19 2011-01-19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5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82B1 (ko) 2005-08-30 2007-02-26 한국원자력연구소 2중 무한궤도를 이용한 단차 승월방법과 이를 이용한 험지주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82B1 (ko) 2005-08-30 2007-02-26 한국원자력연구소 2중 무한궤도를 이용한 단차 승월방법과 이를 이용한 험지주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018A (ko) 201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3494B (zh) 换轨穿梭车
US10273754B2 (en) Mobile drilling rig
CN105346959B (zh) 一种车身成型夹具随机切换装置
CN106741275B (zh) 滑动式升降越障机器人
CN204688246U (zh) 用于履带支重轮框架的惰轮组件及履带支重轮框架
CN105329335A (zh) 一种六轮机器人底盘和机器人
CN101096887A (zh) 四向传输机构
CN1136116C (zh) 允许沿一个导轨行驶的车辆的车轴横向偏移的双向导向装置
JP2012188182A (ja) 荷役車両
CN206156685U (zh) 路轨两用平台车
CN109334793B (zh) 一种轮履交替式全地形车
CN101250950B (zh) 新型门式起重机平面移动停车设备
KR101223565B1 (ko) 운송수단용 구동장치
JP5478138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搬送敷設装置
CN101177977A (zh) V型夹臂式液压行走小车
CN109384050A (zh) 一种铝型材生产的叠空框输送机构
CN2885999Y (zh) 平面移动式停车设备
CN114670940A (zh) 站立-倾倒变形履带机器人底盘
KR100939899B1 (ko) 이동식 레일 시공방법 및 장치
JP3385378B2 (ja) 高床式運搬車のクローラベルトの張り調節装置
CN201362255Y (zh) 一种双向轨道运输车
CN103510436A (zh) 底座板模板快速转运装置及其快速转运工艺
CN204456079U (zh) 灌注桩机的底部移位机构
CN104975739B (zh) 用于仓储式停车设备的叉式交换机构
CN108942016B (zh) 一种火车轮轮面用堆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