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493B1 -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493B1
KR101223493B1 KR1020110028047A KR20110028047A KR101223493B1 KR 101223493 B1 KR101223493 B1 KR 101223493B1 KR 1020110028047 A KR1020110028047 A KR 1020110028047A KR 20110028047 A KR20110028047 A KR 20110028047A KR 101223493 B1 KR101223493 B1 KR 101223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pital
information
medical
user
provi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287A (ko
Inventor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이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규 filed Critical 이병규
Priority to KR102011002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49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웹사이트에 접속한 소비자에게 적합한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 1 병원검색부, 제 2 병원검색부, 및 병원 정보 표시부를 포함한다. 제 1 병원검색부는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보험상품을 취급하는 보험사와 계약된 병원을 검색하고, 제 2 병원검색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의 질병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질병을 치료가능한 병원을 검색하며, 병원 정보 표시부는 제 1 병원검색부 및 제 2 병원검색부에서 공통으로 검색된 병원에 대한 병원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각 보험사별 계약한 병원 정보, 병원별 비보험 진료비 정보, 보험상품별 보험적용 질병 범위 및 지급 보험금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자신이 가입한 사 보험으로 최대한의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소비자에게 적합한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의료비 산정 체제는 개인부담금과 건강보험공단부담금(이하, 공단부담금)으로 나뉘어져 있다.
개인부담금은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들이 지급하는 돈이고, 공단부담금은 건강보험에 가입한 환자들에 대해 건강보험공단에서 병원에 지급하는 돈이다.
우리나라는 공단부담금을 지난 몇십 년간 아주 적은 인상만을 수행하여 현재에 도달하였기에, 몇십 년 전에 비해 현재의 건강보험료 인상은 미미한 수준이다.
즉, 미소한 건강보험료의 인상은 건강보험의 적자로 이어지게 되어, 현재 건강보험의 적자는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이러한 상태가 계속 유지될 경우, 향후 10년 이내에 건강보험은 민영화, 또는 건강보험의 축소가 예상된다.
건강보험의 축소란, 심각한 질병을 빼고는 대부분의 질병이 보험적용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환자들은 보험적용에서 벗어난 영역의 질병들은 사 보험을 통해서 보충할 수밖에 없게 된다.
사 보험 시대가 온다면, A 보험사 상품에 가입한 환자는 A 보험사와 계약하지 않은 병원에서는 보험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되므로, 환자는 자신이 가입한 A 보험사와 계약된 병원을 찾아가야 하는데, 어떠한 병원이 A 보험사와 계약되어 있으며, 자신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지 알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적용에 벗어나는 질병들은 비보험 진료로 분류되는데, 비보험 진료는 진료비를 나라에서 책정하는 것이 아니라, 진료를 수행하는 병원별로 진료비를 책정하는 것이므로, 병원마다 동일한 질병의 비보험 진료비가 상이하게 되는데, 환자는 병원별 비보험 진료비를 모두 알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사와 계약한 병원의 정보, 해당 병원의 비보험 진료비 정보, 및 가입한 보험상품의 보험적용 질병 범위와 지급 보험금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사 보험으로 최대한의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 1 병원검색부, 제 2 병원검색부, 및 병원 정보 표시부를 포함한다.
제 1 병원검색부는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보험상품을 취급하는 보험사와 계약된 병원을 검색하고, 제 2 병원검색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의 질병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질병을 치료가능한 병원을 검색하며, 병원 정보 표시부는 제 1 병원검색부 및 제 2 병원검색부에서 공통으로 검색된 병원에 대한 병원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각 보험사별 계약한 병원 정보, 병원별 비보험 진료비 정보, 보험상품별 보험적용 질병 범위 및 지급 보험금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자신이 가입한 사 보험으로 최대한의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 표시부는 정렬 조건이 현재위치 기준 정렬일 경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근접한 지역에 위치한 순으로 병원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병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위급한 환자일 경우 최단시간 내에 병원을 방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 표시부는 정렬 조건이 지역별 정렬일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병원의 병원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병원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 표시부는 정렬 조건이 진료비순 정렬일 경우, 질병의 진료비가 낮은 순서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각 병원별 비보험 진료에 대한 서로 다른 진료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험 적용을 받지 못하는 사용자가 최소한의 진료비로 진료를 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 표시부는 병원에 소속된 의료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세한 병원 정보로부터 병원의 질을 판단하여 병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표시된 병원 정보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에서 선택된 병원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교통수단으로 현재 위치에서 해당 병원까지의 최단거리를 알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인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본 발명의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접속할 경우, 경로 안내부는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으로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병원 서버 및 보험사 서버로부터 요청받은 광고 게시형태에 따라 광고를 설정하는 광고 형태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병원 서버 및 복수의 보험사 서버로부터 병원 정보 및 보험사 정보를 수신하고, 서로 계약이 체결된 병원 및 보험사에 대한 병원 정보 및 보험사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병원 정보는 적어도 병원 위치 및 비보험 진료비 정보를 포함하고, 보험사 정보는 적어도 보험상품별 보험적용 가능한 질병 범위 및 지급 가능 보험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원격진료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및 미리 설정된 의료진의 의료진 단말을 연결하는 원격진료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자신이 가입한 사 보험을 이용할 수 없을 경우에, 간단한 질병의 경우는 원격진료 서비스를 이용하여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정된 질병 진단주기에 따라 진료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진단주기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질병을 앓고 있는 사용자가 진료받는 병원에서 진료 알림 관리를 받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질병 진단주기에 따라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진료 알림 관리를 받게 되므로, 사용자가 병원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도 진단주기만 재설정하여 진료 알림 관리를 편리하게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건강보험정보 열람이 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열람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열람발생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동하며 자신의 이동통신단말로 의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각 보험사별 계약한 병원 정보, 병원별 비보험 진료비 정보, 보험상품별 보험적용 질병 범위 및 지급 보험금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므로, 사용자들이 자신이 가입한 사 보험으로 최대한의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제공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1의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제공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도 1의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제공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발명의 이해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이한 도면에서도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정보 저장부(110), 제 1 병원검색부(120), 제 2 병원검색부(130), 병원 정보 표시부(140), 경로 안내부(150), 광고 형태 설정부(160), 원격진료 제공부(170), 진단주기 관리부(180), 및 열람발생 알림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110)는 복수의 병원 서버(500) 및 복수의 보험사 서버(600)로부터 병원 정보 및 보험사 정보를 수신하고, 서로 계약이 체결된 병원 및 보험사에 대한 병원 정보 및 보험사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정보 저장부(11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병원 정보를 사전에 복수의 병원 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병원 정보 DB(112)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사와 계약되어 있는 병원을 검색하기 위해, 복수의 보험사 서버(600)로부터 보험사 정보를 수신하여 보험사 정보 DB(114)에 저장한다.
병원 정보에는 적어도 병원 위치 및 비보험 진료비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밖에 병원 홈페이지, 의료진의 약력, 장비 종류 및 개수, 진료시간 및 예약가능시간, 약도, 주차장 유무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의료진의 약력(간단히 적은 이력)과 더불어, 의료진의 상세한 이력(학력 및 경력)을 저장할 수도 있는데, 이는 병원 서버(500)로부터 소정의 수수료가 결제된 후, 병원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이력 증명서가 사실로 판별될 경우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보험사 정보에는 적어도 보험상품별 보험적용 가능한 질병 범위 및 지급 가능 보험금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저장부(110)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과 연계된 의료정보 제공 웹사이트(20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DB(116)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인터넷을 통해 웹사이트(200)에 접속할 수 있는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단말이 될 수 있으며, 웹사이트(200)는 사용자 단말(300)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이 접속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회원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이 웹사이트(200)에 회원가입을 하며 입력한 정보가 될 수 있거나, 비회원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이 단순히 웹사이트(200)에 접속하여 검색 조건에 따라 입력한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사 및 보험상품, 사용자의 질병, 주소, 사용자의 신상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웹사이트(200)에 입력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제어하여 입력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정보를 입력하는 행위는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고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 1 병원검색부(12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거나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보험상품을 취급하는 보험사와 계약된 병원을 검색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사가 'A 보험사'의 'a 보험상품'이라면, 제 1 병원검색부(120)는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정보들 중에서 'A 보험사'와 계약한 병원들을 검색한다.
제 2 병원검색부(13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의 질병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질병을 치료가능한 병원을 검색한다.
예컨대, 사용자의 질병이 '폐렴'이라면, 제 2 병원검색부(130)는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정보들 중에서 '폐렴'을 치료가능한 병원들을 검색한다.
병원 정보 표시부(140)는 제 1 병원검색부(120) 및 제 2 병원검색부(130)에서 공통으로 검색된 병원에 대한 병원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한다.
즉, 제 1 병원검색부(120)에서 검색된 'A 보험사'와 계약한 병원들과, 제 2 병원검색부(130)에서 검색된 '폐렴'을 치료가능한 병원들 중, 공통으로 검색된 병원의 목록 및 병원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설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는데, 병원 정보로는 홈페이지, 의료진의 약력, 장비 종류 및 개수, 진료시간 및 예약 가능시간, 약도, 주차장 유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병원 정보 표시부(140)는 정렬 조건이 현재위치 기준 정렬일 경우, 사용자 단말(300)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근접한 지역에 위치한 순으로 병원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병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위급한 환자일 경우 최단시간 내에 병원을 방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 표시부(140)는 정렬 조건이 지역별 정렬일 경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병원의 병원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병원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 표시부(140)는 정렬 조건이 진료비순 정렬일 경우, 질병의 진료비가 낮은 순서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각 병원별 비보험 진료에 대한 서로 다른 진료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험 적용을 받지 못하는 사용자가 최소한의 진료비로 진료를 받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정렬 조건에는 병원 규모, 병원 개설일, 병원 인기도, 진료시간, 우선적 링크, 쿠폰 제공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정렬 조건이 병원 규모 순일 경우, 병원 정보 표시부(140)는 병원 규모(대학병원, 개인병원 등) 순으로 병원을 정렬할 수 있고, 정렬 조건이 병원 개설일일 경우, 병원 정보 표시부(140)는 개설된 지 오래된 병원 순으로 정렬할 수 있으며, 정렬 조건이 병원 인기도순일 경우, 병원 정보 표시부(140)는 인기도 순으로 병원을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정렬 조건이 진료 시간순일 경우, 병원 정보 표시부(140)는 진료시간(토요일 진료, 일요일 진료, 또는 야간진료 등) 순으로 병원을 정렬할 수 있고, 정렬 조건이 우선적 링크일 경우, 병원 정보 표시부(140)는 우선적 링크로 등록된 병원 별로 정렬할 수 있으며, 정렬 조건이 쿠폰 제공일 경우, 병원 정보 표시부(140)는 쿠폰을 제공하는 병원 별로 정렬할 수 있다.
이때, 사전에 미리 설정된 수수료를 결제한 병원 서버(500)에 대한 병원 정보를 우선적 링크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 표시부(140)는 표시된 병원 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선택된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병원에 소속된 의료진의 정보 조회가 선택되면, 병원 정보 표시부(14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해당 의료진의 상세한 학력 및 경력(증명서가 포함될 수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광고 문구, 병원 인테리어 등으로 병원을 판단하는 게 아니라, 병원에 소속된 의료진들의 학력 및 경력과 같이 상세한 병원 정보를 확인하여 병원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병원검색부(120), 제 2 병원검색부(130), 및 병원 정보 표시부(140)의 구성으로 인해, 각 보험사별 계약한 병원 정보, 병원별 비보험 진료비 정보, 보험상품별 보험적용 질병 범위 및 지급 보험금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자신이 가입한 사 보험으로 최대한의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로 안내부(150)는 웹사이트(200)에 표시된 병원 정보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300)의 현재위치에서 선택된 병원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교통수단으로 현재 위치에서 해당 병원까지의 최단거리를 알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인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할 경우, 경로 안내부(150)는 사용자 단말(300)로 실시간으로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광고 형태 설정부(160)는 웹사이트(200)의 광고란에 광고 게시를 원하는 병원 서버(500) 및 보험사 서버(600)로부터 요청받은 광고 게시형태에 따라 광고를 설정하여 게시하며, 이때, 광고 게시형태에 따른 미리 설정된 수수료를 병원 서버(500) 및 보험사 서버(600)로부터 수납할 수 있다.
광고 게시형태로는 진료 공동구매를 수행하는 형식, 의료진의 약력을 홍보하는 형식, 쿠폰을 발행하는 형식 등이 있을 수 있다.
원격진료 제공부(17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원격진료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 및 미리 설정된 의료진의 의료진 단말(400)을 연결할 수 있다.
원격진료 서비스는 웹사이트(200) 상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원격진료 제공부(170)는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에게만 원격진료를 제공할 수 있다.
원격진료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의 조건으로는, 본인인 사용자, 문진으로 진단이 가능한 질병을 앓고 있는 사용자, 원격진료를 신청하는 이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원격진료 제공부(170)에 의해 사용자 단말(300)과 의료진 단말(400)이 연결되면, 의료법에 저촉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사용자는 의료진의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진료를 수행하는 의료진들은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로부터 고용된 복수의 페이닥터가 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황에 따라 24시간 상담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원격진료 제공부(170)는 의료진에 의한 사용자의 진료 후, 의료진 단말(400)로부터 입력된 처방전, 용법, 부작용이 설명된 안내서 등을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전송된 처방전으로 약을 구입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원격진료 제공부(170)는 사용자 단말(300)로 약국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세한 진료를 원할 경우에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격진료 제공부(170)는 정보 제공을 신청한 약국으로 소정의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고, 약국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 또는 상세한 진료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다.
만약, 의료진의 진료시, 간단한 문진만으로 완치가능한 질병이 아닐 경우에, 원격진료 제공부(170)는 의료진 단말(400)로부터 입력된 진료 의뢰서(상위 병원으로 진료를 의뢰하도록 함)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진료 제공부(170)의 구성으로 인해, 사 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사용자, 자신이 가입한 사 보험을 이용할 수 없는 사용자, 또는 국외에 거주하는 사용자와 같이 병원을 방문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 간단한 질병에 한해서 원격진료 서비스를 이용하여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진료를 받게 할 수 있다.
진단주기 관리부(18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설정된 질병 진단주기에 따라 진료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고혈압, 당뇨, 심장 질환 등의 만성적인 질병 또는 정기적인 치료를 요하는 질병은 관리가 중요하지만,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 생계나 집안의 일로 인해 생각날 때 병원을 방문하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관리를 받지 못하여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다.
때문에, 최근에는 환자가 내원하는 병원에서 메시지나, 이메일, 전화를 통해 진료 시기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환자가 이사 등의 이유로 해당 병원을 변경하고자 할 때, 일정 기간 동안은 진료 알림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된다.
진단주기 관리부(180)는 주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질병을 앓고 있는 사용자가 진료받는 병원에서 진료 알림 관리를 받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질병 진단주기에 따라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진료 알림 관리를 받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진단주기 관리부(180)는 사용자가 병원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도 설정된 질병 진단주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로운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진료 알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진단주기가 변경될 경우에도 사용자로부터의 진단주기 재설정만으로, 변경된 진단주기에 따라 진료 알림 관리를 편리하게 받도록 할 수 있다.
열람발생 알림부(190)는 사용자의 건강보험정보 열람시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700)로부터 열람발생 신호가 전송되면, 미리 설정된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열람발생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보험사가 사용자의 보험가입 승인 적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700)에서 사용자의 건강보험정보를 열람할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동의하에 제 3자로부터 사용자의 건강보험정보가 열람 되어, 열람발생 알림부(190)로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700)로부터 열람발생 신호가 전송되면, 열람발생 알림부(190)는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열람발생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보험정보가 열람 되었다는 사실을 알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수수료를 결제한 사용자 단말(300)의 경우에, 열람발생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300)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예컨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하며 자신의 사용자 단말(이동통신단말, 300)로 의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한 의료정보 제공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복수의 병원 서버(500) 및 복수의 보험사 서버(600)로부터 병원 정보 및 보험사 정보를 수신하고, 서로 계약이 체결된 병원 및 보험사에 대한 병원 정보 및 보험사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S100).
이때, 병원 정보는 적어도 병원 위치 및 비보험 진료비 정보를 포함하고, 보험사 정보는 적어도 보험상품별 보험적용 가능한 질병 범위 및 지급 가능 보험금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과 연결된 웹사이트(20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상품 정보(보험사 및 보험상품 이름)가 직접 입력되거나 선택되면(S110),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해당 보험상품의 개시일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2).
보험상품의 개시일이 경과하여 사용자가 해당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태라면,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보험상품을 취급하는 보험사와 계약된 병원을 검색한다(S114).
다음으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질병이 직접 입력되거나 선택되면(S120),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된 질병이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상품으로 보험을 적용받을 수 있는 질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
선택한 질병이 보험적용을 받을 수 있는 질병이라면,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검색한다(S124).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단계 S114 및 단계 S124에서 공통으로 검색된 병원들, 즉,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사와 계약을 맺고, 사용자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병원들의 병원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표시한다(S130).
이때, 정렬 조건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설정될 수 있으며, 현재위치 기준 정렬, 지역별 정렬, 진료비순 정렬, 병원 규모 순 정렬, 병원 개설일 순 정렬, 병원 인기도순 정렬, 진료시간 순 정렬, 우선적 링크 등록 별 정렬, 쿠폰 제공 별 정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정렬 조건에 따른 병원 목록 및 병원 정보 표시의 예를 들어보면, 정렬 조건이 현재위치 기준 정렬일 경우,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300)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근접한 지역에 위치한 순으로 병원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고, 정렬 조건이 지역별 정렬일 경우,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병원의 병원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렬 조건이 진료비순 정렬일 경우,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질병의 진료비가 낮은 순서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정렬 조건이 병원 규모 순일 경우,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병원 규모(대학병원, 개인병원 등) 순으로 병원을 정렬할 수 있고, 정렬 조건이 병원 개설일 순일 경우,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개설된 지 오래된 병원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정렬 조건이 병원 인기도순일 경우,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인기도 순으로 병원을 정렬할 수 있고, 정렬 조건이 진료 시간순일 경우,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진료시간(토요일 진료, 일요일 진료, 또는 야간진료 등) 순으로 병원을 정렬할 수 있으며, 정렬 조건이 우선적 링크별 또는 쿠폰 제공 별일 경우,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우선적 링크로 등록되거나 쿠폰을 제공하는 병원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단계 S112 또는 단계 S122에서, 사용자의 보험상품이 보험가입 이후 소정 기간이 경과하지 않아서 보험혜택을 적용받을 수 없는 상태이거나, 사용자의 보험상품이 보험혜택을 적용받을 수는 있지만, 사용자의 질병이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상품으로 보장받을 수 없는 질병일 경우, 해당 사용자는 보험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즉, 이러한 사용자는 비보험으로 진료를 수행할 수밖에 없으며, 비보험으로 진료를 수행할 경우 진료비의 부담이 커질 수 있으므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비보험 진료 수행 여부를 확인한다(S140).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비보험 진료를 원하지 않는 신호가 입력되면 그대로 종료하고, 비보험 진료 수행을 원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직접 입력되거나 선택되는 사용자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검색한다(S142, S144).
다음으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단계 S144에서 검색된 병원의 병원 정보를 상술한 단계 S130과 같이, 정렬 조건에 따라 표시한다(S150).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상술한 단계 S130 및 단계 S150 이후에,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병원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병원에 대한 상세 정보(병원 홈페이지 연결, 및 과목, 진료 별 수수료 정보, 예약, 의료진 프로필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에서 해당 병원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한 의료정보 제공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 원격진료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원격진료 서비스는 사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사용자들에게 경미한 질병에 한해서 의료진과의 1:1 대화(상담)를 통해 저가의 진료비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원격진료 서비스는 도 2에서 비보험 진료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 사 보험 자체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 또는 사 보험에 가입하였지만 병원을 방문할 시간이 여의치 않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웹사이트(200) 상에서 원격진료 서비스가 선택되면,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해당 사용자가 원격진료가 가능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수행한다(S210).
설문조사의 내용으로는 사용자가 환자 본인인지 여부, 사용자의 질병이 원격진료가 가능한 질병인지 여부 등을 확인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가 원격진료 가능한 사용자임을 확인하면, 원격진료를 제공하는 의료진의 프로필을 표시한다(S230).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의료진이 선택되면(또는 미리 설정된 의료진), 사용자가 원격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해당 의료진의 의료진 단말(400)과 사용자 단말(300)을 연결한다(S232).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의료진이 의료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료를 한 후에 의료진 단말(400)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진료 내용을 저장한다(S234).
저장되는 내용에는 사용자의 진단 병명, 진료 일시, 처방 내용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더불어, 사용자의 질병이 경중한 질병으로 의심되어 상세한 검사가 필요하다고 진단될 경우, 진료 의뢰 내용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300)로 원격진료 내용에 따른 처방전(용법 및 부작용 설명 포함) 또는 진료 의뢰서를 제공하고(S236), 필요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에서 근접한 약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238).
상술한 바와 같은 원격진료 서비스는 국내에만 제한되지 않고, 다른 국가에서 접속한 사용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으며, 나아가, 약국 정보 대신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과 사전에 계약된 약국에서 처방전에 대한 약품을 택배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한 의료정보 제공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 진단주기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진단주기 관리 서비스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질병 진단주기에 따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사 등의 이유로 해당 병원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도 사용자가 만성 질환 등의 장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질병을 관리하는데에 편의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웹사이트(200) 상에서 진단주기 관리 서비스가 선택되면(S300),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300)로 진료 병원의 변경여부를 묻는다(S310).
사용자가 진료 병원의 변경을 원치 않고, 단순히 진단주기의 변경만을 원할 경우,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질병을 직접 입력받거나 선택받고(S320), 해당 질병에 대한 진단주기(예컨대, 고혈압은 1개월 주기, 치아 스케일링은 6개월 주기, 보톡스는 6개월 주기)를 설정받는다(S322).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설정된 진단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로 진료 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알리는 진단 권유 메시지를 전송한다(S340).
진단 권유 메시지는 전화, SMS, MMS, 이메일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만약, 단계 S310에서, 사용자가 진료 병원의 변경을 원할 경우,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질병을 직접 입력받거나 선택받고(S330), 해당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검색하여 병원 정보를 표시한다(S332).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소정의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의료진의 권고에 따른 진단주기를 설정받으면(S334), 설정된 진단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로 진료 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알리는 진단 권유 메시지를 전송한다(S34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110 정보 저장부
112 병원 정보 DB
114 보험사 정보 DB
116 사용정보 DB
120 제 1 병원 검색부
130 제 2 병원 검색부
140 병원 정보 표시부
150 경로 안내부
160 광고 형태 설정부
170 원격진료 제공부
180 진단주기 관리부
190 열람발생 알림부
200 의료정보 제공 웹사이트
300 사용자 단말
400 병원 서버
500 보험사 서버
600 의료진 단말

Claims (13)

  1. 복수의 병원 서버 및 복수의 보험사 서버로부터 상기 병원 정보 및 보험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보험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험상품을 취급하는 보험사와 계약된 병원을 검색하는 제 1 병원검색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의 질병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질병을 치료가능한 병원을 검색하는 제 2 병원검색부; 및
    상기 제 1 병원검색부 및 상기 제 2 병원검색부에서 공통으로 검색된 병원에 대한 병원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는 병원 정보 표시부; 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병원 정보 표시부는 공통으로 검색된 병원이 없는 경우 상기 제 2 병원검색부에서 검색된 병원에 대한 병원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정보 표시부는,
    상기 정렬 조건이 현재위치 기준 정렬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근접한 지역에 위치한 순으로 상기 병원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정보 표시부는,
    상기 정렬 조건이 지역별 정렬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병원의 상기 병원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정보 표시부는,
    상기 정렬 조건이 진료비순 정렬일 경우,
    질병의 진료비가 낮은 순서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정보 표시부는,
    상기 병원에 소속된 의료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병원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에서 선택된 병원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병원 서버 및 보험사 서버로부터 요청받은 광고 게시형태에 따라 광고를 설정하는 광고 형태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서로 계약이 체결된 병원 및 보험사에 대한 상기 병원 정보 및 상기 보험사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정보는,
    적어도 병원 위치 및 비보험 진료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험사 정보는,
    적어도 보험상품별 보험적용 가능한 질병 범위 및 지급 가능 보험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원격진료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미리 설정된 의료진의 의료진 단말을 연결하는 원격진료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정된 질병 진단주기에 따라 진료 알림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진단주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보험정보 열람이 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열람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열람발생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10028047A 2011-03-29 2011-03-29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KR101223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047A KR101223493B1 (ko) 2011-03-29 2011-03-29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047A KR101223493B1 (ko) 2011-03-29 2011-03-29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87A KR20120110287A (ko) 2012-10-10
KR101223493B1 true KR101223493B1 (ko) 2013-01-17

Family

ID=47281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047A KR101223493B1 (ko) 2011-03-29 2011-03-29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726B1 (ko) * 2014-11-26 2016-12-30 주식회사 규성애드컴 병원 정보 제공 장치
WO2016127134A1 (en) * 2015-02-05 2016-08-11 Sensentia, Inc. Automatically handling natural-language patient inquiries about health insurance information
KR102281874B1 (ko) * 2019-08-07 2021-07-27 솔루투스 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 보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27137B1 (ko) * 2021-06-07 2024-01-23 (주)비바이노베이션 의료 기록에 기초한 진료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461301B1 (ko) * 2022-01-07 2022-10-28 ㈜웰니스컴퍼니올리브 암 발생 위험도 스크리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627A (ja) * 1996-05-20 1997-11-28 Fujitsu General Ltd 病院検索システム
JP2002092235A (ja) * 2000-09-20 2002-03-29 Yozan Inc 医療機関紹介システムと方法
KR20020034346A (ko) * 2000-11-01 2002-05-09 나도진 의료 및 보험관리 통합시스템
JP2006099623A (ja) * 2004-09-30 2006-04-13 Nittetsu Elex Co Ltd 医療保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627A (ja) * 1996-05-20 1997-11-28 Fujitsu General Ltd 病院検索システム
JP2002092235A (ja) * 2000-09-20 2002-03-29 Yozan Inc 医療機関紹介システムと方法
KR20020034346A (ko) * 2000-11-01 2002-05-09 나도진 의료 및 보험관리 통합시스템
JP2006099623A (ja) * 2004-09-30 2006-04-13 Nittetsu Elex Co Ltd 医療保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87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sai et al. Offering a price transparency tool did not reduce overall spending among California public employees and retirees
Kleij et al. Patients’ preferences for primary health care–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discrete choice experiments
Rahman et al. High-cost patients had substantial rates of leaving Medicare Advantage and joining traditional Medicare
US8380540B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pharmaceutical benefit plans and for providing member specific advice, optionally including lower cost pharmaceutical alternatives
Shah et al. Comparing private sector family planning services to government and NGO services in Ethiopia and Pakistan: how do social franchises compare across quality, equity and cost?
US20130226608A1 (en) System for identifying, monitoring, influencing and rewarding healthcare behavior
Marzilli Ericson et al. Nudging leads consumers in Colorado to shop but not switch ACA marketplace plans
Wright et al. Federally qualified health center use among dual eligibles: rates of hospitalizations an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Chisholm-Burns et al. Evaluation of racial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medication pricing and pharmacy access and services
US20160321412A1 (en) Cost, Quality and Distance Based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Care Referrals
US201503397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verse auctioning or bidding on healthcare services
KR101223493B1 (ko)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Cepeda et al. Doctor shopping for medications used in the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hoppers often pay in cash and cross state lines
KR20180023183A (ko) 의료 관광 서비스 온라인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acobsen et al. Considerations in the selection of healthcare providers for mothers and children in Bo, Sierra Leone: reputation, cost and location
Qu et al. Knowledg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pharmacists regarding generic substitution in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Hsu et al. Patient population loss at a large Pioneer accountable care organization and implications for refining the program
US2013004655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atient order management
Skopec et al. Home Health Use In Medicare Advantage Compared To Use In Traditional Medicare: Study compares home health use in Medicare Advantage and traditional Medicare by beneficiary cost sharing, prior authorization requirement, and plan type.
US10074059B1 (en) Medical treatment application for optimizing medical patient visits based on known preferences and other selection criteria
Temkin-Greener et al. End-Of-Life Care In Assisted Living Communities: Race And Ethnicity, Dual Enrollment Status, And State Regulations: Study examines end-of-life care in assisted living communities.
Gold Medicare's Private Plans: A Report Card On Medicare Advantage: MA has brought much more choice but also added complexity, higher costs, no apparent quality gains, and uneven benefits.
Scott et al. Physician competition and low-value health care
Oladimeji et al. The bypassing of healthcare facilities amo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cheme enrollees in Ibadan, Nigeria
Faherty et al. Pediatric price transparency: still opaque with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