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257B1 -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 Google Patents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257B1
KR101223257B1 KR1020120115522A KR20120115522A KR101223257B1 KR 101223257 B1 KR101223257 B1 KR 101223257B1 KR 1020120115522 A KR1020120115522 A KR 1020120115522A KR 20120115522 A KR20120115522 A KR 20120115522A KR 101223257 B1 KR101223257 B1 KR 101223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lm
magnetic body
fixing
actu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혁
Original Assignee
나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5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2Magnetic work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4Holders for X-ray fil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40Imaging
    • G01N2223/415Imaging radiographic film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틱 바디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별도의 분리 이격 수단을 통해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사선 촬영이 완료된 후 마그네틱 척 및 필름을 피검사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고, 이러한 분리 제거 작업 중 피검사체 표면 또는 필름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리 이격 수단에 대해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방식으로 단순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Magnetic Chuck for Attaching Film of Radiation Transmission Insp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틱 바디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별도의 분리 이격 수단을 통해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사선 촬영이 완료된 후 마그네틱 척 및 필름을 피검사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고, 이러한 분리 제거 작업 중 피검사체 표면 또는 필름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리 이격 수단에 대해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방식으로 단순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의 발견 이래 가장 많은 이용이 이루어지는 분야는 방사선 투과 영상을 얻어 대상물을 검사하는 투과 검사 분야이다. 의료 분야에서 X선 촬영 기술이 먼저 보급되었고, 최근에는 일반 산업 분야에서도 피검사체에 대한 내부 결함이나 구조 등을 검사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방사선 투과 검사는 금속 또는 기타 재질의 피검사체에 대해 방사선 및 필름을 이용하여 피검사체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 등을 검출하는 데 적용하는 비파괴검사 방법의 일종이다. 이러한 방사선 투과 검사는 거의 모든 재질을 검사할 수 있으며 그 검사 결과를 필름에 영구적으로 남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사선 투과 검사의 주요한 목적은 피검사체 내에 존재하는 결함 등을 검출하는 것으로 검사방법이 적절해야 이와 같은 검사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방사선 투과 검사 방법의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기본적으로 피검사체에 따라 방사선원과 필름을 선정한 뒤에 적절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투과사진의 감도를 높이고 효율적인 검사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때 투과사진의 감도는 방사선원의 종류, 필름의 종류, 선원-필름 사이의 거리, 노출조건, 현상 등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투과사진의 감도를 높게하기 위한 일반적인 촬영원칙으로, 방사선원의 에너지를 피검사체의 재질과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야 하며 선원-필름 사이의 거리는 되도록 길게 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효율적인 검사는 촬영기법에 따라 달라지는 데 이는 피검사체의 형태, 검사조건 등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이러한 방사선 투과검사를 보다 정밀하게 하기 위해서는 필름이 피검사체 상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방사선원으로부터 방사선이 피검사체를 투과하여 필름으로 조사되는 동안 필름이 흔들리거나 피검사체로부터 이탈되게 되면 필름에 정확한 상이 투상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사선 투과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필름을 피검사체에 고정 부착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마그네틱 척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고정 바디(100)와, 고정 바디(100)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 바디(200)와, 고정 바디(100)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자석(310)이 삽입되는 마그네틱 바디(300)로 구성된다.
따라서, 필름(F)을 피검사체의 검사 위치에 올려 놓은 후, 마그네틱 바디(300)의 자석(310)을 이용하여 피검사체의 표면에 마그네틱 바디(300)를 부착시키고 고정 바디(100)에 결합된 탄성 바디(200)가 필름(F)을 밀착 가압시키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때, 피검사체의 표면이 평면이 아닌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고정 바디(100)와 마그네틱 바디(300)는 힌지축(11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탄성 바디(200)의 내부에는 탄성 변형량의 증가를 위해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마그네틱 척을 이용하여 필름(F)을 피검사체에 고정 부착시킨 상태로 방사선 투과 검사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필름(F)이 피검사체에 완벽하게 고정되어야 하므로, 필름(F)에 대한 고정력 향상을 위해 마그네틱 바디(300)의 자석(310)은 그 자기력이 매우 강한 종류로 적용된다.
방사선 촬영이 완료된 이후에는 필름(F)을 피검사체로 분리 제거해야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310)의 자기력이 매우 강해 마그네틱 척을 피검사체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고정 바디(100) 및 탄성 바디(200)가 일정 정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별도의 손잡이도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 부위를 손으로 잡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마그네틱 척을 피검사체로부터 분리하기도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마그네틱 척을 피검사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마그네틱 척을 이리저리 비틀거나 피검사체 표면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등의 힘든 작업을 해야하며, 이 과정에서 피검사체 표면 또는 필름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그네틱 바디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별도의 분리 이격 수단을 통해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사선 촬영이 완료된 후 마그네틱 척 및 필름을 피검사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고, 이러한 분리 제거 작업 중 피검사체 표면 또는 필름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그네틱 바디를 피검사체로부터 분리 이격시키는 분리 이격 수단을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방식으로 단순하게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여 더욱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필름을 피검사체의 표면에 고정 부착시키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 바디; 상기 필름을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에 가압 밀착시킬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바디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탄성 바디; 상기 고정 바디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자석이 삽입되어 자기력에 의해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마그네틱 바디; 및 상기 마그네틱 바디가 자기력에 의해 상기 피검사체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틱 바디를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으로부터 분리 이격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분리 이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분리 이격 수단은 상기 마그네틱 바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레버; 및 상기 작동 레버가 일측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 바디의 상기 피검사체에 대한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마그네틱 바디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 바디는 상기 작동 돌기가 돌출됨에 따라 상기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분리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바디에는 상기 작동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 돌기는 상기 돌기 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 레버의 일측 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마그네틱 바디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직선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돌기는 별도의 탄성 스프링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바디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레버는 일단부가 상기 마그네틱 바디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일단부의 외주면 둘레에는 일측 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작동 돌기와 맞물림되어 상기 작동 돌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캠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레버의 타단부에는 절곡된 형상의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돌기의 돌출 끝단에는 탄성 재질의 탄성 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틱 바디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별도의 분리 이격 수단을 통해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사선 촬영이 완료된 후 마그네틱 척 및 필름을 피검사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고, 이러한 분리 제거 작업 중 피검사체 표면 또는 필름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그네틱 바디를 피검사체로부터 분리 이격시키는 분리 이격 수단에 대해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작동 레버와 이에 연동하여 돌출 및 돌출 해제되는 작동 돌기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단순하게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마그네틱 바디를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에 대한 작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 및 도 5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에 대한 작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은 피검사체로부터 마그네틱 척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고정 바디(100)와, 탄성 바디(200)와, 마그네틱 바디(300)와, 분리 이격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바디(100), 탄성 바디(200) 및 마그네틱 바디(300)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마그네틱 척의 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고정 바디(1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 범위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고정 바디(100)의 양단부에는 별도의 힌지축(110)이 결합된다.
마그네틱 바디(300)는 이러한 힌지축(110)을 통해 회전 가능한 형태로 고정 바디(100)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자석(310)이 삽입 결합되어 자석(310)의 자기력에 의해 피검사체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마그네틱 바디(300)가 고정 바디(100)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피검사체의 표면이 평평한 면이 아니더라도 힌지축(110)을 중심으로 마그네틱 바디(30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여 원활하게 피검사체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바디(300)는 피검사체의 표면에 접촉 부착되는 접촉면이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피검사체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 바디(20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고정 바디(100)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며, 마그네틱 바디(300)가 피검사체에 부착됨에 따라 탄성 바디(200)의 일측면이 피검사체에 밀착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피검사체의 검사 대상 부위의 표면에 필름(F)을 올려 놓은 후, 탄성 바디(200)가 필름(F)을 가압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마그네틱 바디(300)를 피검사체에 부착시키면, 탄성 바디(200)가 필름(F)을 가압하며 피검사체의 표면에 필름(F)을 고정 부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탄성 바디(200)는 필름(F)에 대한 탄성 압착력 및 탄성 변형량 향상을 위해 중간 부위에 관통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척은 이상에서 설명한 고정 바디(100), 탄성 바디(200) 및 마그네틱 바디(300)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마그네틱 바디(300)를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분리 이격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분리 이격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리 이격 수단(400)은 마그네틱 바디(300)가 자석(310)의 자기력에 의해 피검사체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마그네틱 바디(300)를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분리 이격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바디(300)의 자석(310)은 필름(F)에 대한 고정력 향상을 위해 자기력이 매우 강한 종류가 적용되므로, 방사선 촬영이 완료된 후 마그네틱 바디(300)를 피검사체로부터 분리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척은 이러한 마그네틱 바디(300)의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분리 이격 수단(400)이 구비되며, 이를 통해 촬영이 완료된 후, 마그네틱 척 및 필름의 분리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마그네틱 바디(300)를 피검사체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검사체 표면 또는 필름(F)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한 방사선 투과 검사가 가능하다.
분리 이격 수단(40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형태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그네틱 바디(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레버(410)와, 작동 레버(410)가 일측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마그네틱 바디(300)의 피검사체에 대한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그네틱 바디(30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돌기(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틱 바디(300)는 작동 돌기(420)가 마그네틱 바디(300)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분리 이격된다.
즉, 지렛대 원리로 작동하는 작동 레버(410)를 사용자가 회전 조작함으로써, 별도의 작동 돌기(420)가 마그네틱 바디(300)로부터 피검사체를 향해 외부 돌출되고, 이러한 작동 돌기(420)의 돌출에 의해 마그네틱 바디(300)가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분리 이격된다. 이와 같이 마그네틱 바디(300)가 분리 이격되면, 상대적으로 자석(310)의 자기력에 의한 부착력이 약화되므로, 마그네틱 바디(300)를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작동 레버(410)는 지렛대 원리로 작동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부가 힌지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축(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바디(300)가 고정 바디(100)에 결합되는 힌지축(110)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레버(410)는 사용자에 의한 회동 조작이 용이하도록 작동 레버(410)의 타단부에 절곡된 형상의 손잡이부(4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손잡이부(411)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작동 레버(410)의 손잡이부(411)에 작용하는 조작력 방향에 따라 작동 레버(410)의 회전 중심에 대한 모멘트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더욱 작은 힘으로 작동 레버(4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용이하게 마그네틱 바디(300)를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분리 이격시킬 수 있다.
마그네틱 바디(300)에는 작동 돌기(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 삽입홀(302)이 형성되며, 작동 돌기(420)는 이러한 돌기 삽입홀(302)에 관통 삽입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작동 돌기(420)는 자중에 의해 돌기 삽입홀(302)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단턱부(421)가 형성되어 직선 이동이 구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작동 돌기(420)는 돌기 삽입홀(302)에 단순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이에 따라 자중에 의해 마그네틱 바디(300)로부터 하향 돌출되지만, 마그네틱 바디(300)가 피검사체 표면에 접촉하게 되면, 피검사체 표면에 의해 가압되며 다시 돌기 삽입홀(302)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자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작동 돌기(4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돌기 삽입홀(302)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자유 이동할 수 있는데, 상향 이동한 경우에는 작동 레버(410)의 일단부에 맞물림될 수 있도록 돌기 삽입홀(302)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바디(300)가 자기력에 의해 피검사체의 표면에 부착되면, 작동 돌기(420)는 피검사체 표면과 접촉하며 상향 이동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작동 레버(410)는 작동 돌기(420)의 상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마그네틱 바디(300)에는 작동 레버(410)가 삽입 수용되도록 수용홈(301)이 형성되고, 작동 레버(41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작된 상태에서 마그네틱 바디(300)의 수용홈(301)에 삽입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그네틱 바디(300)가 피검사체 표면에 부착되면, 탄성 바디(200)에 의해 필름(F)이 가압되어 피검사체 표면에 고정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촬영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4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한다. 즉, 작동 레버(410)를 마그네틱 바디(300)의 수용홈(301)으로부터 인출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한다. 이에 따라 작동 레버(410)의 일단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돌기(420)의 상단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 돌기(420)는 마그네틱 바디(300)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된다. 작동 돌기(420)가 하향 돌출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바디(300)가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분리 이격되므로, 이후 마그네틱 바디(300)를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작동 레버(41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함에 따라 작동 레버(410)의 일단부가 작동 돌기(4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작동 레버(410)의 일단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캠 경로(4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캠 경로(412)는 작동 레버(41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작동 돌기(420)와 맞물림되어 작동 돌기(4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 경우 작동 돌기(420)는 별도의 탄성 스프링(500)에 의해 마그네틱 바디(300)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 해제되는 방향으로, 즉, 작동 레버(410)를 향해 상향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돌기(420)는 탄성 스프링(500)에 의해 상향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이에 따라 작동 돌기(420)의 상단은 항상 작동 레버(410)의 일단부 캠 경로(412)에 맞물림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4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작동 돌기(420)는 캠 경로(412)를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된다. 즉, 마그네틱 바디(30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 해제되어 돌기 삽입홀(30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4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작동 돌기(420)는 캠 경로(412)를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마그네틱 바디(300)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된다. 작동 돌기(420)가 하향 돌출되면, 마그네틱 바디(300)는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분리 이격된다.
한편, 작동 돌기(420)가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피검사체 표면에 가압 접촉하게 되므로, 작동 돌기(420)에 의해 피검사체 표면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돌기(420)의 돌출 끝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별도의 탄성 커버(4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정 바디 110: 힌지축
200: 탄성 바디 300: 마그네틱 바디
302: 돌기 삽입홀 310: 자석
400: 분리 이격 수단 410: 작동 레버
411: 손잡이부 412: 캠 경로
420: 작동 돌기 430: 탄성 커버
500: 탄성 스프링

Claims (7)

  1. 필름을 피검사체의 표면에 고정 부착시키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 바디;
    상기 필름을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에 가압 밀착시킬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바디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탄성 바디;
    상기 고정 바디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자석이 삽입되어 자기력에 의해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마그네틱 바디; 및
    상기 마그네틱 바디가 자기력에 의해 상기 피검사체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틱 바디를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으로부터 분리 이격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분리 이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 이격 수단은,
    상기 마그네틱 바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레버; 및 상기 작동 레버가 일측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 바디의 상기 피검사체에 대한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마그네틱 바디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 바디는 상기 작동 돌기가 돌출됨에 따라 상기 피검사체 표면으로부터 분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바디에는 상기 작동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 돌기는 상기 돌기 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 레버의 일측 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마그네틱 바디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돌기는 별도의 탄성 스프링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바디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일단부가 상기 마그네틱 바디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일단부의 외주면 둘레에는 일측 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작동 돌기와 맞물림되어 상기 작동 돌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캠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의 타단부에는 절곡된 형상의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7.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돌기의 돌출 끝단에는 탄성 재질의 탄성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KR1020120115522A 2012-10-17 2012-10-17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KR101223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22A KR101223257B1 (ko) 2012-10-17 2012-10-17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22A KR101223257B1 (ko) 2012-10-17 2012-10-17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257B1 true KR101223257B1 (ko) 2013-01-17

Family

ID=4784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522A KR101223257B1 (ko) 2012-10-17 2012-10-17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2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54Y1 (ko) * 2014-12-30 2015-03-03 (주)인스펙트 비파괴 검사용 검사필름 및 콜리메이터 부착장치
CN110625322A (zh) * 2019-08-23 2019-12-31 北京星航机电装备有限公司 一种快速定位复杂铸件内部缺陷部位及精准修复的方法
WO2021009069A1 (de) * 2019-07-12 2021-01-21 Manz Ag Werkstückträgersystem und fixierelement für ein werkstückträgersystem
KR102606032B1 (ko) 2022-10-31 2023-11-24 한국기계검사소이엔씨(주) 방사선 투과 검사용 필름 고정장치
KR102640932B1 (ko) 2023-10-20 2024-02-27 주식회사 한국공업엔지니어링 기능이 개선된 필름을 이용한 공기팬쿨러 열교환기 튜브시트 용접부의 방사선 투과 검사 방법
KR102662682B1 (ko) * 2023-12-01 2024-05-03 서울검사 주식회사 고무자석 마스크를 이용한 필름 판독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투과검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706Y1 (ko) * 2005-01-12 2005-04-14 서울검사 주식회사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부착용 마그네틱 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706Y1 (ko) * 2005-01-12 2005-04-14 서울검사 주식회사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부착용 마그네틱 척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54Y1 (ko) * 2014-12-30 2015-03-03 (주)인스펙트 비파괴 검사용 검사필름 및 콜리메이터 부착장치
WO2021009069A1 (de) * 2019-07-12 2021-01-21 Manz Ag Werkstückträgersystem und fixierelement für ein werkstückträgersystem
CN110625322A (zh) * 2019-08-23 2019-12-31 北京星航机电装备有限公司 一种快速定位复杂铸件内部缺陷部位及精准修复的方法
CN110625322B (zh) * 2019-08-23 2020-07-28 北京星航机电装备有限公司 一种快速定位复杂铸件内部缺陷部位及精准修复的方法
KR102606032B1 (ko) 2022-10-31 2023-11-24 한국기계검사소이엔씨(주) 방사선 투과 검사용 필름 고정장치
KR102640932B1 (ko) 2023-10-20 2024-02-27 주식회사 한국공업엔지니어링 기능이 개선된 필름을 이용한 공기팬쿨러 열교환기 튜브시트 용접부의 방사선 투과 검사 방법
KR102662682B1 (ko) * 2023-12-01 2024-05-03 서울검사 주식회사 고무자석 마스크를 이용한 필름 판독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투과검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257B1 (ko)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 고정용 마그네틱 척
CN105387809B (zh) 用于检测裂纹增长的系统和方法
US20190170668A1 (en) X-ray imaging system
RU2012156197A (ru) Способ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WO2009134849A2 (en) Handheld two-dimensional x-ray diffractometer
JP2008020446A5 (ko)
KR200476454Y1 (ko) 비파괴 검사용 검사필름 및 콜리메이터 부착장치
JP2011206436A (ja) 圧迫板、及び、x線撮像装置
JP6658426B2 (ja) X線ct分析用治具
KR102342860B1 (ko)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KR101409814B1 (ko) 균열 측정장치
JP7020085B2 (ja) X線撮影システム
JP2017123442A5 (ko)
KR101494830B1 (ko) 비파괴검사용 콜리메이터 장착 모듈, 이를 포함한 콜리메이터 장치
KR200381706Y1 (ko) 방사선 투과검사장치의 필름부착용 마그네틱 척
US20080247505A1 (en) Xray device for planar tomosynthesis
KR200476744Y1 (ko) 비파괴검사용 콜리메이터 및 이를 포함한 방사선원 장치
ITMI20081583A1 (it) Supporto per accogliere una sorgente di ultrasuoni
KR101449138B1 (ko) 선재코일 검사장치
TW201213814A (en) Inspection device with vertically moveable assembly
JP7138515B2 (ja) 検査装置
KR101650520B1 (ko) 검사용 푸셔장치
KR101579559B1 (ko) 비파괴 검사장치용 거치장치
CN111972703B (zh) 一种模块化烟支外观检测装置
CN203241362U (zh) 一种工业射线检测红外定位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