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228B1 -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228B1
KR101223228B1 KR1020120074301A KR20120074301A KR101223228B1 KR 101223228 B1 KR101223228 B1 KR 101223228B1 KR 1020120074301 A KR1020120074301 A KR 1020120074301A KR 20120074301 A KR20120074301 A KR 20120074301A KR 101223228 B1 KR101223228 B1 KR 101223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information
behavior pattern
time information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스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스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스콥
Priority to KR1020120074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는 방사선에 노출되어 작업하는 작업자의 방사선 노출과 관련된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작업자가 작업하는 주위의 방사선 조사선량을 감지하는 조사선량 센서부; 상기 조사선량 센서부에서 감지된 방사선 조사선량과 상기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작업자에 대응하는 작업시간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작업시간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A portable apparatus providing information of working hours for work associated with radiation}
본 발명은 방사선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방사선 관련 작업의 수행을 위한 맞춤형의 방사선 작업시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비파괴 검사기를 사용해 검사 대상 물체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행하거나, 방사선이 노출되는 지역에서 방사선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항상 방사선에 오염 및 피폭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런데,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성을 갖는 작업은 작업 환경이 불규칙적인 조건 하에서 반복됨으로 인해, 불규칙적인 조건의 작업 환경에 따른 방사선 피폭으로부터 작업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피폭 예방을 위한 조치에 어려움이 있다. 즉, 각 작업자마다 나이, 신체조건, 이전의 피폭량 등에 대한 여건이 상이함으로 인해, 동일한 방사선량이 감지되는 작업공간에서도 작업자에 따라서,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으로 인해 방사선에 심각하게 노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의 나이, 이전의 픽폭량, 신체지수, 평균작업시간, 작업 빈도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입력받고,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행동패턴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작업자에 대한 방사선 관련 작업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는 방사선에 노출되어 작업하는 작업자의 방사선 노출과 관련된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작업자가 작업하는 주위의 방사선 조사선량을 감지하는 조사선량 센서부; 상기 조사선량 센서부에서 감지된 방사선 조사선량과 상기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작업자에 대응하는 작업시간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작업시간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는 상기 작업자의 나이, 신체지수, 이전 피폭량, 평균 작업시간 및 작업 빈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행동패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에 대응하는 행동패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행동패턴에 따른 예측 결과와 상기 감지된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라 상기 작업시간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행동패턴 위험도을 산출하기 위해 상기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에 대응하는 행동패턴 위험도 점수의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산출된 행동패턴 위험도 및 상기 감지된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상기 작업시간정보의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나이, 이전의 픽폭량, 신체지수, 평균작업시간, 작업 빈도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입력받고,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행동패턴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작업자에 대한 방사선 관련 작업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방사선 작업을 위한 맞춤형의 시간정보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개인간의 작업 조건 차이에 따른 방사선 피폭의 위험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참조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메모리(110), 조사선량 센서부(120), 제어부(130), 정보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방사선에 노출되어 작업하는 작업자의 방사선 노출과 관련된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는 작업자의 나이, 신체지수(예를 들어, 신장 또는 체중 등), 이전 피폭량, 평균 작업시간 및 작업 빈도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참조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작업자의 나이, 신체지수, 이전 피폭량, 평균작업시간, 작업 빈도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작업자가 입력 키(자판)를 이용하여 각각의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입력된 각각의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메모리(110)으로 전달한다.
메모리(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제공된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저장한다. 그 후, 메모리(110)는 제어부(130)의 액세스 요청에 따라,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조사선량 센서부(120)는 작업자가 작업하는 주위의 방사선 조사선량을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조사선량 센서부(120)의 일 예로서 가어거뮐러(GM) 계수관식에 의해 알파선, 베타선, 양성자선 등의 대전입자선 이외에 감마선을 감지한다.
제어부(130)는 조사선량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방사선 조사선량과 메모리(110)에 저장된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분석하여 작업자에 대응하는 작업시간정보를 산출한다.
조사선량 센서부(12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방사선 조사선량을 임시 버퍼(미도시)에 저장해 놓는다. 그 후, 제어부(130)는 행동패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에 대응하는 행동패턴 위험도를 산출한다. 그 후, 제어부(130)는 검출된 행동패턴 위험도 및 상기 감지된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시간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행동패턴 위험도는 작업자가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경우에 인체에 미치는 위험한 정도를 의미한다. 작업자의 행동패턴 위험도를 산출하기 위해, 다음의 표 1 내지 5와 같은 테이블 정보를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있다.
표 1은 작업자의 나이에 따른 행동패턴 위험도를 점수화한 표이다.
나이 행동패턴 위험도 포인트
0 내지 10 1
11 내지 20 1.1
21 내지 30 1.2
31 내지 40 1.3
41 내지 50 1.5
51 내지 60 1.8
61 내지 70 2.2
71 내지 80 2.7
81 내지 90 3.3
91 이상 4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가 증가할수록 작업자의 행동패턴에 따른 위험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는 작업자의 신체지수(예를 들어, 체중)에 따른 행동패턴 위험도를 점수화한 표이다.
신체지수(체중[kg/중]) 행동패턴 위험도 포인트
0 내지 10 4
11 내지 20 3.3
21 내지 30 2.7
31 내지 40 2.2
41 내지 50 1.8
51 내지 60 1.5
61 내지 70 1.3
71 내지 80 1.2
81 내지 90 1.1
91 이상 1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이 증가할수록 작업자의 행동패턴에 따른 위험도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표 3은 작업자의 이전 피폭량에 따른 행동패턴 위험도를 점수화한 표이다.
이전 피폭량 [mSv] 행동패턴 위험도 포인트
0 내지 10 1
11 내지 20 1.1
21 내지 40 1.2
41 내지 70 1.3
71 내지 100 1.5
101 내지 150 1.8
151 내지 200 2.2
201 내지 250 2.7
251 내지 300 3.3
300 이상 4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피폭량이 증가할수록 작업자의 행동패턴에 따른 위험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피폭량 단위[mSv]가 맞는지 확인바랍니다)
표 4는 작업자의 평균작업시간에 따른 행동패턴 위험도를 점수화한 표이다.
평균 작업시간 [분] 행동패턴 위험도 포인트
0 내지 2 1
3 내지 5 1.1
6 내지 10 1.2
11 내지 15 1.3
16 내지 20 1.5
21 내지 30 1.8
31 내지 40 2.2
41 내지 50 2.7
51 내지 60 3.3
60 이상 4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작업시간이 증가할수록 작업자의 행동패턴에 따른 위험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5는 작업자가 일주일에 몇회의 작업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작업 빈도에 따른 행동패턴 위험도를 점수화한 표이다.
작업 빈도 [회/주] 행동패턴 위험도 포인트
1 1
2 1.1
3 1.2
4 1.3
5 1.5
6 1.8
7 2.2
8 2.7
9 3.3
10 이상 4
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빈도가 증가할수록 작업자의 행동패턴에 따른 위험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표 1 내지 5을 참조하여, 작업자의 개인별 방사능 피폭정보 즉, 나이, 신체지수, 이전 피폭량, 평균작업시간 및 작업 빈도에 따른 행동패턴 위험도 포인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행동패턴 위험도 포인트들을 각각 합산하여 작업자의 행동패턴 위험도를 산출한다.
그 후, 제어부(130)는 검출된 행동패턴 위험도 및 상기 감지된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시간정보를 산출하게 되는데, 다음의 수학식 1에 대응하는 작업시간정보를 산출한다.
Figure 112012054481841-pat00001
여기서, 행동패턴 위험도는 개인별 방사능 피폭정보에 대한 위험도 포인트들의 합산된 값을 의미하고, 방사선 조사선량 포인트는 다음의 표 6과 같이, 방사선 조사선량을 그 세기에 따라 점수화한 것이다.
방사선 조사선량 [C/kg] 조사선량 포인트
0 내지 1 1
1.1 내지 1.5 1.1
1.6 내지 2 1.2
2.1 내지 2.5 1.3
2.6 내지 3 1.5
3.1 내지 3.5 1.8
3.6 내지 4 2.2
4.1 내지 4.5 2.7
4.6 내지 5 3.3
5.1 이상 4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선량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조사선량 포인트가 증가한다. (표 6의 방사선 조사선량의 단위[C/kg]가 올바른지 확인바랍니다)
수학식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행동패턴 위험도와 방사선 조사선량 포인트의 합산된 값이 클수록 작업시간정보는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즉, 행동패턴 위험도가 증가하거나 방사선 조사선량이 증가하게 되면, 그만큼 작업자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러한 피폭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을 줄여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관관계를 다음의 표 7에서 나타낸다.
행동패턴 위험도 + 방사선 조사선량 포인트 작업시간정보 [분]
0 내지 2 41 내지 60
3 내지 4 31 내지 40
5 내지 7 21 내지 30
8 내지 10 16 내지 20
11 내지 13 11 내지 15
14 내지 16 8 내지 10
17 내지 20 6 내지 7
21 내지 25 3 내지 5
26 내지 30 1 내지 2
31 이상 0
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시간정보는 행동패턴 위험도와 방사선 조사선량 포인트의 합산값이 증가할수록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작업시간정보의 산출을 위해, 표 6 및 7의 테이블 정보를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산출된 작업시간정보를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방사선 조사선량에 의해, 작업자가 피폭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정보 출력부(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정보 출력부(14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작업자에게 가능한 작업시간정보를 출력한다. 정보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작업시간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오디오 신호를 통해 작업시간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140)는 제어부(130)의 경고신호 출력 요청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0: 메모리
120: 조사선량 센서부
130: 제어부
140: 정보 출력부

Claims (5)

  1. 방사선에 노출되어 작업하는 작업자의 방사선 노출과 관련된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작업자가 작업하는 주위의 방사선 조사선량을 감지하는 조사선량 센서부;
    상기 조사선량 센서부에서 감지된 방사선 조사선량과 상기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작업자에 대응하는 작업시간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작업시간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행동패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에 대응하는 행동패턴 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행동패턴 위험도 및 상기 감지된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라 상기 작업시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행동패턴 위험도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에 대응하는 행동패턴 위험도 점수의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산출된 행동패턴 위험도 및 상기 감지된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상기 작업시간정보의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 방사선 피폭정보는 상기 작업자의 나이, 신체지수, 이전 피폭량, 평균 작업시간 및 작업 빈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
KR1020120074301A 2012-07-09 2012-07-09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 KR101223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301A KR101223228B1 (ko) 2012-07-09 2012-07-09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301A KR101223228B1 (ko) 2012-07-09 2012-07-09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228B1 true KR101223228B1 (ko) 2013-01-21

Family

ID=4784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301A KR101223228B1 (ko) 2012-07-09 2012-07-09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2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361A (ko) * 2014-09-23 2016-03-31 전자부품연구원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KR101607829B1 (ko) * 2015-07-31 2016-04-01 (주)Ehs기술연구소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기반으로 실내의 라돈 저감 수준을 예측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여 라돈을 자동으로 저감하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698B1 (ko) * 1987-02-02 1996-08-07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휴대용 선량계 및 그의 선량계를 사용한 피폭집중관리장치
JP2000162368A (ja) * 1998-11-26 2000-06-16 Hitachi Ltd 作業計画支援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698B1 (ko) * 1987-02-02 1996-08-07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휴대용 선량계 및 그의 선량계를 사용한 피폭집중관리장치
JP2000162368A (ja) * 1998-11-26 2000-06-16 Hitachi Ltd 作業計画支援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361A (ko) * 2014-09-23 2016-03-31 전자부품연구원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WO2016047854A1 (ko) * 2014-09-23 2016-03-31 전자부품연구원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KR101675733B1 (ko) * 2014-09-23 2016-11-14 전자부품연구원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KR101607829B1 (ko) * 2015-07-31 2016-04-01 (주)Ehs기술연구소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기반으로 실내의 라돈 저감 수준을 예측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여 라돈을 자동으로 저감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3573B2 (ja) 線源画像面間距離取得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放射線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74451B2 (ja) 放射能3次元測定装置、放射線取扱作業管理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取扱作業管理方法
JP6321294B2 (ja) X線散乱放射線から人を保護するための保護システム
KR101223228B1 (ko) 방사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작업시간정보 제공장치
US10231688B2 (en) Radiation image analysis device, method, and program
RU201315261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менения энергии
Fuangrod et al. A method for evaluating treatment quality using in vivo EPID dosimetry and statistical process control in radiation therapy
JP2007225507A (ja) 放射能検査方法および装置
Beinke et al. A case report: cytogenetic dosimetry after accidental radiation exposure during 192Ir industrial radiography testing
JP2010169645A (ja) 放射線量測定方法と放射線量測定装置
US20160097868A1 (en) Radiation surveying
CN111551570A (zh) 一种辐射防护门屏蔽性能检测方法及系统
Howlett et al. Selective in vivo dosimetry in radiotherapy using p-type semiconductor diodes: A reliable quality assurance procedure
JP6925842B2 (ja) 放射能測定装置及び放射能測定方法
US9689991B2 (en) Radiation probe system and method
JP7399031B2 (ja) 線量推定装置、線量推定方法および線量推定プログラム
JP7378069B2 (ja) 放射能評価方法、放射能評価プログラム及び放射能評価装置
WO2023012871A1 (ja) 線量表示装置および線量表示プログラム
Hsu et al. Dose inspection and risk assessment on radiation safety for the use of non-medical X-ray machines in Taiwan
JP4608410B2 (ja) 放射線測定装置
Szumska et al. Implementation of eye-lens dosimetry in Poland
JP4087274B2 (ja) X線厚さ測定装置
KR20150062752A (ko) 원자력발전소의 시설 해체를 위한 인적오류확률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CN118114433A (zh) 一种适用于加速器机房的辐射防护最优化评价方法
KR20150016807A (ko) 방사선원항의 방출량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