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110B1 -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110B1
KR101223110B1 KR1020100134229A KR20100134229A KR101223110B1 KR 101223110 B1 KR101223110 B1 KR 101223110B1 KR 1020100134229 A KR1020100134229 A KR 1020100134229A KR 20100134229 A KR20100134229 A KR 20100134229A KR 101223110 B1 KR101223110 B1 KR 101223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height
fastening
support frame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468A (ko
Inventor
박동석
문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3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1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6Charging or discharging machines on travelling carri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27D2007/023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결대차에 장입되는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기봉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결대차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통기봉이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 방향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판을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판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을 통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복수개의 상기 베이스판 각각은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합원료의 층후 변화에 따라 통기봉의 높낮이를 적정하게 조절하여 하부의 흡입 팬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업 관리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HEIGHT OF VENTILATING BAR}
본 발명은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합원료의 층후 변화에 따라 통기봉의 높낮이를 적정하게 조절하여 하부의 흡입 팬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철광석의 괴상화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빈(1)에 저장된 주원료인 8㎜ 이하의 분철광석과 부원료인 석회석, 규사, 사문암, 생석회 등의 융제와 연료인 분코크스, 무연탄 등을 콘베어(2)로 이송하여 드럼믹서(3)에서 일정한 비율로 수분을 첨가하여 배합 및 조립 후 드럼믹서(4)를 거쳐 배합원료 저장조(5)에 장입하며, 상기 저장조(5) 하부에 위치한 드럼형 배출기(6)로 경사판 상부에서 수직 편석을 유도하여 소결대차(7) 내에 배합원료를 장입한 다음 1200℃ 온도의 점화로(8)에서 착화하며 소결대차(7)가 유효 화상거리를 진행하는 동안 대형 흡입 팬(9)에 의해 에어를 하방으로 흡입하여 배합원료 내 연료인 코크스를 연소시켜 소결 배합원료를 소성시키고 소성 완료된 소결광을 배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소결대차(7)에 배합원료가 쌓이는 두께를 층후라고 한다. 이때, 층후가 두꺼울수록 흡입 팬(9)으로 흡입 시 압력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기봉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통기봉은 통상 120㎜ 전, 후의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종래에는 층후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고정된 형태로 통기봉이 설치되었다.
하지만, 조업과정에서 배합원료의 표층부와 최상단 통기봉의 간격이 너무 가까워지면, 통기봉이 없는 부분에서는 표층부의 무너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제조되는 소결광의 품질이 매우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상단 통기봉을 취외하게 되면, 그 아래 통기봉과 배합원료의 표층부 간의 간격이 너무 벌어지게 되어 압력이 급속히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결 생산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합원료의 층후 변화에 따라 통기봉의 높낮이를 적정하게 조절하여 하부의 흡입 팬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결대차에 장입되는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기봉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결대차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통기봉이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 방향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판을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판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을 통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복수개의 상기 베이스판 각각은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최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홈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핀의 체결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체결핀의 체결 위치를 가변시키는 상기 체결홈의 가변 폭은 하단 상기 체결홈에서 상단 상기 체결홈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합원료의 층후 변화에 따라 통기봉의 높낮이를 적정하게 조절하여 하부의 흡입 팬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업 관리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결광비 증가에 따라 고로 노황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가광 사용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판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프레임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된 소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100)는 배합원료의 층후에 따라 통기봉(50)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흡입 팬(도 1의 9)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 베이스판(110) 및 서포트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베이스판(110)은 바 형태의 통기봉(50)을 고정하여 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소결대차(7)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막대형의 베이스판(110)에는 복수개의 통기봉(50)이 가로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때, 바 형태의 통기봉(50)은 베이스판(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그 단부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베이스판(110)은 복수개로 구비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단의 베이스판(110a)를 기준으로, 그 상부로 5개의 베이스판(110b 내지 110f)이 차례로 배치된다. 이때, 최하단의 베이스판(110a)을 제외한 나머지 베이스판(110b 내지 110f)은 각각 세로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각각의 베이스판(110)의 양단부에는 체결핀(111)이 형성된다.
체결핀(111)은 대략 육면체 형태 즉,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후술될 서포트 프레임(12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21)에 상응되는 형상이다. 즉, 복수개의 베이스판(110b 내지 110f) 각각의 위치 조절은 체결핀(111)과 체결홈(121) 간의 체결을 통해 구현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각각의 베이스판(110)에 가로 방향으로 배열 및 체결되는 통기봉(50)은 전체적으로 벌집 형태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베이스판(11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6개의 베이스판(110)이 구비되면, 홀수층의 베이스판(110a, 110c 및 110e)에 체결되어 있는 통기봉(50)끼리 세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짝수층의 베이스판(110b, 110d 및 110f)에 체결되어 있는 통기봉(50)끼리 세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120)은 통기봉(50)이 체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베이스판(110)을 세로로 나란하게 배열 및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으로, 복수개의 베이스판(110)의 양단을 동시에 지지한다. 또한, 서포트 프레임(120)은 복수개의 베이스판(110)의 개별적으로 그 위치를 이동시켜 배합원료(10)의 층후 변화에 따라 복수개의 베이스판(110)이 장착하고 있는 통기봉(50)의 높낮이를 적정하게 조절하여 배합원료(10)의 표층부의 무너짐을 방지하고 하부의 흡입 팬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프레임(120)에는 세로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체결홈(121)에는 베이스판(110)의 체결핀(111)이 체결된다. 이때, 복수개의 체결홈(121)은 모두 다른 구조로 형성된다. 즉, 서포트 프레임(120)의 최하단에 형성되는 체결홈(121a)을 제외한 나머지 체결홈(121b 내지 121f)은 체결핀(111), 궁극적으로는 통기봉(50)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특히, 이러한 체결홈(121b 내지 121f)은 상단 체결홈(121)으로 갈수록 체결핀(111)의 체결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 폭이 단계적으로 증가되게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서포트 프레임(120)에는 고정되는 베이스판(110)의 수량에 맞게 6개의 체결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서포트 프레임(120)의 최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21a; 이하, 1층 체결홈이라 함)은 체결핀(111)과 대응되도록 사각형 홈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1층 체결홈(121a)에 체결핀(111)을 통해 체결되는 베이스판(110a)은 고정된 상태가 되며, 세로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된다. 여기서, 1층 체결홈(121a)은 소결대차(7)의 바닥면으로부터 예컨대, 230㎜ 높이에 형성되어, 그 높이에 1층 베이스판(110a)을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1층 체결홈(121a)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21b; 이하, 2층 체결홈이라 함)은 체결핀(111)과 대응되도록 사각형 홈으로 형성된다. 이때, 2층 체결홈(121b)는 세로로 배열되고 서로 연결된 2개의 사각형 홈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2층 체결홈(121b)에 체결되는 체결핀(111)은 아래쪽 사각형 홈에 체결되거나 배합원료(10)의 층후에 따라 위쪽 사각형 홈에 체결될 수 있다. 즉, 2층 체결홈(121b)은 이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2층 베이스판(110b)의 높낮이를 2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2층 체결홈(121b)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2층 베이스판(110b)은 소결대차(7)의 바닥면으로부터 1단계로 340㎜ 높이로 배치되거나 2단계로 450㎜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2층 체결홈(121b)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21c; 이하, 3층 체결홈이라 함)은 세로로 배열되고 서로 연결된 3개의 사각형 홈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에 체결되는 3층 베이스판(110c)은 그 높낮이를 3단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3층 체결홈(121c)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3층 베이스판(110c)은 소결대차(7)의 바닥면으로부터 최저 450㎜, 최고 570㎜로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3층 체결홈(121c)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21d; 이하, 4층 체결홈이라 함)은 세로로 배열되고 서로 연결된 4개의 사각형 홈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에 체결되는 4층 베이스판(110d)은 그 높낮이를 4단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4층 체결홈(121d)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4층 베이스판(110d)은 소결대차(7)의 바닥면으로부터 최저 560㎜, 최고 590㎜로 4단계로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4층 체결홈(121d)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21e; 이하, 5층 체결홈이라 함)은 세로로 배열되고 서로 연결된 5개의 사각형 홈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에 체결되는 5층 베이스판(110e)은 그 높낮이를 5단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5층 체결홈(121e)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5층 베이스판(110e)은 소결대차(7)의 바닥면으로부터 최저 670㎜, 최고 710㎜로 5단계로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5층 체결홈(121e) 바로 위에 형성되는 최상단 체결홈(121f)는 세로로 배열되고 서로 연결된 6개의 사각형 홈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에 체결되는 최상단 베이스판(110f)은 그 높낮이를 6단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최상단 체결홈(121f)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최상단 베이스판(110f)은 소결대차(7)의 바닥면으로부터 최저 780㎜, 최고 830㎜ 6단계로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최상단 베이스판(110f)의 통기봉(50)을 830㎜까지 높이면, 배합원료(10)의 층후는 950㎜까지 투입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합원료(10)의 층후 변화에 따라 베이스판(110)의 위치 변화를 통해 통기봉(50)의 높낮이를 적정하게 조절하여 하부의 흡입 팬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배합원료(10)의 표층부의 무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업 관리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소결광비 증가에 따라 고로 노황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저가광 사용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 110: 베이스판
111: 체결핀 120: 서포트 프레임
121: 체결홈 50: 통기봉

Claims (3)

  1. 소결대차에 장입되는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기봉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결대차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6개의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 각각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연장 돌출 형성된 체결핀(111)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길이 방향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판을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120)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핀(111)이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홈(121)으로서, 하나의 사각형 홈인 1층 체결홈(121a) 으로부터 상단 체결홈으로 갈수록 세로로 배열된 서로 연결된 사각형 홈이 하나씩 증가되어, 최상단 체결홈(121f)은 세로로 배열되고 서로 연결된 6개의 사각형 홈으로 형성되어, 모두 다른 6가지 구조로 형성되는 체결홈(121)과;
    상기 베이스판(110) 각각에 가로 방향으로 배열 및 체결되는 통기봉(50)으로서, 홀수층의 베이스판(110a, 110c 및 110e)에 체결되는 통기봉(50)끼리 세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짝수층의 베이스판(110b, 110d 및 110f)에 체결되는 통기봉(50)끼리 세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통기봉(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10) 각각은 해당 베이스판(110)에 고정된 상기 통기봉(50)과 함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00134229A 2010-12-24 2010-12-24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 KR101223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229A KR101223110B1 (ko) 2010-12-24 2010-12-24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229A KR101223110B1 (ko) 2010-12-24 2010-12-24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468A KR20120072468A (ko) 2012-07-04
KR101223110B1 true KR101223110B1 (ko) 2013-01-17

Family

ID=4670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229A KR101223110B1 (ko) 2010-12-24 2010-12-24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464B1 (ko) * 2012-12-03 2014-08-26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 대차용 통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134B1 (ko) * 1998-12-16 2003-11-28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의통기성향상장치및그방법
KR100854846B1 (ko) * 2006-11-20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선반의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134B1 (ko) * 1998-12-16 2003-11-28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의통기성향상장치및그방법
KR100854846B1 (ko) * 2006-11-20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선반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468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913B1 (ko) 원료의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
CN107109518A (zh) 烧结机和烧结方法
KR101223110B1 (ko) 통기봉 높낮이 조절장치
JP6003254B2 (ja) 焼結機における点火炉の撤去方法及び点火炉の設置方法
JP5703715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KR101131100B1 (ko) 소결용 그레이트바
KR101796084B1 (ko) 공극 형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 설비
JP5488209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シンターケーキ支持スタンドの設計方法及び原料充填層の層厚決定方法
KR100843912B1 (ko) 폭 확장부에서의 풍량을 증대시킨 철광석 소결대차
JP5464807B2 (ja) 焼結機パレットおよびグレートバー押え方法
JP4932970B2 (ja) 焼結パレット台車、それを備えた焼結機及び焼結鉱の製造方法
KR101445704B1 (ko) 원료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CN101694349B (zh) 烧结料层减荷装置、使用该装置的烧结机和烧结方法
KR101293544B1 (ko) 소결광 통기장치
JPH094981A (ja) シンターケーキ支持スタンド及び焼結パレット
KR100920591B1 (ko) 소결대차의 원료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
CN217383771U (zh) 一种抑制烧结机边缘效应的篦条
JPH04168234A (ja) 焼結用パレット
CN201779986U (zh) 一种可控制铺底料的布料形态的装置
JPS589185Y2 (ja) 焼結機の燃焼装置
JP3573078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2009030853A (ja) ドワイトロイド式焼結機の床敷き鉱装入装置および焼結鉱の製造方法
JP4639436B2 (ja) 焼結機用パレット
KR101431464B1 (ko) 소결기 대차용 통기장치
JP2582711B2 (ja) 焼結層の通気度改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