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462B1 -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 - Google Patents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462B1
KR101222462B1 KR1020100072588A KR20100072588A KR101222462B1 KR 101222462 B1 KR101222462 B1 KR 101222462B1 KR 1020100072588 A KR1020100072588 A KR 1020100072588A KR 20100072588 A KR20100072588 A KR 20100072588A KR 101222462 B1 KR101222462 B1 KR 101222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housing
closing device
rotating part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911A (ko
Inventor
안상태
강국정
한태호
전천곤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072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4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46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신의 약실을 여닫는 폐쇄기와 연결되고 상기 폐쇄기를 개폐하도록 회전되는 캠종동자와, 브래킷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플런저와, 상기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상기 제1플런저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유닛과,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고 상기 캠종동자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상태와 상기 캠종동자의 이동경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제2상태 사이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개방캠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제1플런저를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가압유닛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플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BREECH MECHANISM AND CANN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쇄기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에 관한 것이다.
화포는 한쪽을 막은 관 속에서 화약을 폭발시켜 발생하는 가스의 힘으로 포탄을 발사하는 대형 화기를 말한다. 화포의 포신부는 포신과 포미장치로 이루어진다. 포미장치는 폐쇄기와 폐쇄기를 수용하는 포미환으로 이루어진다.
폐쇄기는 화포의 포탄 발사 시에 약실 뒤쪽을 밀폐해서 화약의 연소 가스가 약실 뒤쪽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폐쇄기는 탄약을 장전하기 위하여 포신의 약실 뒤쪽을 여닫도록 이루어진다.
화생방전시 포신으로부터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격 후 폐쇄기의 폐쇄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폐쇄기의 개방을 방지하는 폐쇄 모드에서 폐쇄기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개방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한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격 후 폐쇄기의 폐쇄가 유지될 수 있는 폐쇄기 개폐 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작동될 수 있는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폐쇄기 개폐장치는 포신의 약실을 여닫는 폐쇄기와 연결되고 상기 폐쇄기를 개폐하도록 회전되는 캠종동자와, 브래킷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플런저와, 상기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상기 제1플런저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유닛과,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고 상기 캠종동자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상태와 상기 캠종동자의 이동경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제2상태 사이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개방캠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제1플런저를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가압유닛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플런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폐쇄기 개폐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제2플런저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플런저의 이동 방향은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과 수직이 되고, 상기 제2플런저의 이동 방향은 상기 제1플런저의 이동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유닛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제1플런저의 일면은 반구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폐쇄기 개폐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런저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유닛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플런저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플런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촉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약이 발사되는 포신과, 상기 탄약을 장전하기 위하여 상기 포신의 약실을 여닫는 폐쇄기와, 상기 포신이 장착되고 상기 포신이 특정된 발사방향을 향하도록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포가대, 및 개방캠이 캠종동자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상태와 상기 캠종동자의 이동경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제2상태 사이에서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폐쇄기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화포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개방캠이 캠종동자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캠종동자의 이동경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제2플런저가 가압유닛을 지지하도록 하우징에 삽입된다. 따라서 사격 후 폐쇄기의 폐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폐쇄기의 개폐 장치는 폐쇄기의 폐쇄 모드에서 회전부의 회전 즉, 가압유닛의 이동만으로 폐쇄기의 개방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을 통한 작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포를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캠종동자가 개방캠과 맞닿아 폐쇄기가 개방되는 모습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폐쇄기 개폐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폐쇄기의 개방 모드에서 도 4의 A-A 선에 따른 폐쇄기 개폐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폐쇄기의 폐쇄 모드에서 도 4의 A-A 선에 따른 폐쇄기 개폐 장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포(1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포(10)는 포신(20), 포미장치, 포가대(50) 및 폐쇄기 개폐 장치(100)를 포함한다. 화포(10)는 예를 들어, 전차포 또는 기관포가 될 수 있다.
포신(20)은 탄약이 특정된 발사방향을 따라 발사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포신(20)의 내부에는 강선이 형성된다.
포미장치는 폐쇄기(30)와 폐쇄기(30)를 수용하는 포미환(40)으로 이루어진다. 폐쇄기(30)는 탄약을 장전하기 위하여 포신(20)의 약실 뒤쪽을 여닫도록 이루어진다. 포미환(40)은 포신(20)의 후단과 폐쇄기(30)를 수용하며, 포신(20)에 대하여 구속된 상태로 주퇴(후진) 및 복좌(전진)된다.
탄약이 발사되는 포신(20)은 포가대(50)에 장착된다. 포가대(50)는 장착된 포신(20)이 기설정된 발사방향을 향하도록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폐쇄기 개폐 장치(100)는 폐쇄기(3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폐쇄기(30)를 개폐하도록 회전되는 캠종동자(33, 도 2a 참조) 및 캠종동자(33)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방캠(170, 도 2a 참조)의 메커니즘을 통하여 폐쇄기(30)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2a 및 도 2b는 캠종동자(33)가 개방캠(170)과 맞닿아 폐쇄기(30)가 개방되는 모습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2a는 사격 후 포신(20)이 주퇴(S1 방향)되어 캠종동자(33)가 개방캠(170)을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b는 포신(20)이 복좌(S2 방향)되는 과정에서 캠종동자(33)가 개방캠(170)과 맞닿아 슬라이딩되면서(S4 방향) 폐쇄기(30)가 개방되는(S3 방향) 것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포미용 크랭크(31)는 폐쇄기(30)와 연결되며, 포미용 크랭크(31)가 회전됨에 따라 폐쇄기(30)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포미용 크랭크(31)에는 개방용 크랭크(32)가 연결되고, 개방용 크랭크(32)에는 캠종동자(33)가 형성된다. 캠종동자(33)는 포신(20)의 복좌시 개방캠(170)과 맞닿아 회전된다. 포미환(40)과 이격되는 브래킷(110, 도 3 참조)에는 회전부(150, 도 3 참조)가 장착되며, 회전부(150)에는 개방캠(170)이 결합된다.
사격 후 포신(20)이 주퇴되는 과정에서 포신(20)과 연결되는 폐쇄기(30)는 포탄의 발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폐쇄기(30)와 연결되는 캠종동자(33)는 상기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개방캠(170)의 내측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지나간다.
포신(20)이 주퇴 후 복좌됨에 따라 캠종동자(33)는 폐쇄기(30)와 함께 포탄의 발사 방향을 향하여 이동된다. 캠종동자(33)는 상기 발사 방향을 향하여 이동되는 과정에서 개방캠(170)의 측면(본 도면에서, 곡선 형태의 외주 부분)에 걸리게 된다.
캠종동자(33)는 개방캠(170)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캠종동자(33)가 회전됨에 따라 포미용 크랭크(31)도 함께 회전된다. 포미용 크랭크(31)가 회전되면서 폐쇄기(30)는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방되고, 포신(20)의 약실이 열리게 된다. 탄피는 개방된 폐쇄기(30)를 통하여 외부로 추출된다.
이후 캠종동자(33)가 개방캠(170)의 슬라이딩 구간을 지나 개방캠(170)과의 접촉이 떨어지게 되면 캠종동자(33)는 개방캠(170)과 맞닿기 전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포미용 크랭크(31)의 회전에 의하여 폐쇄기(30)는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폐쇄되며, 포신(20)의 약실이 닫히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폐쇄기(30)는 캠종동자(33)와 개방캠(170)의 연동 관계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하에서는 폐쇄기 개폐 장치(100)의 구조 및 이에 의하여 폐쇄기(30)가 개방 및 폐쇄되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 장치(100)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폐쇄기 개폐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폐쇄기 개폐 장치(100)는 캠종동자(33), 하우징(120), 제1 및 제2플런저(130, 180), 회전부(150), 가압유닛(160), 개방캠(170) 및 제1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캠종동자(33)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포미용 크랭크(31)를 통하여 폐쇄기(30)와 연결되고, 폐쇄기(30)를 개폐하도록 회전된다.
브래킷(110)은 포미환(40)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브래킷(110)의 일단은 포가대(5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사격에 따른 포신(20)의 주퇴복좌 과정에서 캠종동자(33)와 브래킷(110)이 서로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브래킷(110)에는 하우징(120) 및 회전부(150)가 결합된다. 하우징(120)은 브래킷(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플런저(130, 도 5 참조)가 설치된다. 제1플런저(130)의 이동 방향은 예를 들어, 브래킷(110)과 수직이 될 수 있다.
브래킷(110)에는 회전부(150)가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부(150)의 회전축(151)은 브래킷(1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150)는 일단이 폐쇄기(3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부(150)는 브래킷(110)의 일부가 절개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부(150)의 일단에는 가압유닛(160)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개방캠(170)이 장착될 수 있다.
가압유닛(160)은 하우징(120)에 삽입되며, 회전부(150)의 회전시 제1플런저(130)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회전부(150)의 회전축(151)은 제1플런저(13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이 되어 가압유닛(160)의 가압 방향이 제1플런저(130)의 이동 방향과 수평이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개방캠(170)은 포신(20)의 주퇴시 캠종동자(33)가 개방캠(170)의 내측면을 슬라이딩하고, 포신(20)의 복좌시 캠종동자(33)가 개방캠(170)에 걸려 개방캠(170)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개방캠(170)은 회전부(150)의 회전에 의하여 캠종동자(3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상태(폐쇄기(30)의 개방 모드)와 캠종동자(33)의 이동경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제2상태(폐쇄기(30)의 폐쇄 모드)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탄성부재(140, 도 5 참조)는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가압유닛(160)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제1플런저(130)를 가압한다. 제1탄성부재(140)는 일단이 하우징(120)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플런저(13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탄성부재(140)로서, 스프링, 탄성고무 및 스펀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플런저(180)는 하우징(12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상태에서 가압유닛(160)을 지지하도록 가압유닛(160)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제2플런저(180)는 이동 방향이 제1플런저(13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20)에는 제2플런저(180)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90)는 일단이 하우징(120)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플런저(18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탄성부재(190)로서, 스프링, 탄성고무 및 스펀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폐쇄기(30)의 개방 모드에서 도 4의 A-A 선에 따른 폐쇄기 개폐 장치(100)의 단면도이며, 도 6은 폐쇄기(30)의 폐쇄 모드에서 도 4의 A-A 선에 따른 폐쇄기 개폐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하우징(120) 내부 공간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21)는 제1플런저(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제1플런저(130)가 이동될 때 발생되는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가압유닛(160)에 의하여 가압되는 제1플런저(130)의 일면은 반구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플런저(130)의 일면이 반구 형상을 가지는 경우, 가압유닛(160)은 제1플런저(130)와 점접촉을 하게 되므로, 제1플런저(130)와 가압유닛(160) 간의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가압유닛(160)에는 걸림홈(161)이 형성되며, 제2플런저(180)에는 걸림홈(161)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돌기(18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81)가 걸림홈(161)에 삽입됨으로써 제2플런저(180)가 가압유닛(16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2플런저(180)에는 돌출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82)는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하우징(120)에 접촉될 때 걸림돌기(181)가 걸림홈(161)에 걸림홈(16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플런저(180)가 하우징(120)에 접촉될 때까지 눌러서 걸림돌기(181)가 걸림홈(161)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90)의 일단은 돌출부(182)에 지지되고, 타단은 하우징(120) 또는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홈에 지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압유닛(160)은 제1플런저(130)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140)에 의하여 가압되어 하우징(120)의 일면에 접촉되어 있다. 회전부(150)를 통하여 가압유닛(160)과 연결되는 개방캠(170)은 포신(20)의 복좌시 캠종동자(33)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사격 후 포신(20)의 주퇴시 캠종동자(33)는 개방캠(170)의 내측면을 슬라이딩하게 된다. 슬라이딩 과정에서 캠종동자(33)가 개방캠(170)을 폐쇄기(30)로부터 멀어지게 바깥쪽으로 밀게 되므로, 회전부(150)가 회전하게 되고, 가압유닛(160)이 폐쇄기(30)와 가까워지도록 안쪽으로 이동되어 제1플런저(130)를 가압하게 된다.
캠종동자(33)가 개방캠(170)을 지나가게 되면 가압유닛(160)은 제1탄성부재(140)에 의하여 가압되어 캠종동자(33)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위치로 돌아간다.
포신(20)이 복좌되는 과정에서 캠종동자(33)는 개방캠(170)과 맞닿아 슬라이딩되면서 회전된다. 상기 회전으로 포미용 크랭크는 함께 회전되며, 이와 연결되는 폐쇄기(30)는 개방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폐쇄기(30)의 개방 모드에서는 개방캠(170)이 캠종동자(33)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격에 따른 포신(20)의 주퇴복좌에 의하여 폐쇄기(30)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압유닛(160)은 제1플런저(130)를 가압하고, 제2플런저(180)는 가압유닛(160)을 지지하도록 가압유닛(160)의 이동에 의하여 생기는 공간에 삽입된다.
가압유닛(160)이 제2플런저(180)에 의하여 이동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회전부(150)는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가 된다. 회전부(150)와 연결되는 개방캠(170)은 캠종동자(33)의 이동경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제2상태로 유지된다.
제2상태에서 포신(20)이 주퇴복좌되더라도 개방캠(170)은 캠종동자(33)와 맞닿지 않는다. 따라서 폐쇄기(30)는 사격 후에도 개방되지 않고 폐쇄된 상태가 유지된다.
사격 후 폐쇄기(30)의 폐쇄가 유지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개방캠(170)에 장착된 손잡이(171)를 이용하여 개방캠(170)을 폐쇄기(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플런저(180)를 가압유닛(160)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제2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폐쇄기(30)의 폐쇄 모드로의 전환은 화생방전시 포신(20)으로부터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제2상태에서 개방캠(170)이 폐쇄기(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방캠(170)이 캠종동자(3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면 회전부(150)를 통하여 연결되는 가압유닛(160)은 제1플런지를 더 가압하게 된다. 제2플런지가 가압유닛(160)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제2플런지는 제2탄성부재(190)에 의하여 복원되어 가압유닛(160)의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 결과, 가압유닛(160)은 제1탄성부재(140)에 의하여 가압되어 복원된다. 즉, 폐쇄기 개폐 장치(100)는 폐쇄기(30)의 개방 모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는 개방캠(170)을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폐쇄기(30)의 폐쇄 모드에서 폐쇄기(30)의 개방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포신의 약실을 여닫는 폐쇄기와 연결되고, 상기 폐쇄기를 개폐하도록 회전되는 캠종동자;
    브래킷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플런저;
    상기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상기 제1플런저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유닛;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고, 상기 캠종동자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상태와 상기 캠종동자의 이동경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제2상태 사이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개방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제1플런저를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가압유닛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플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제2플런저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런저의 이동 방향은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과 수직이고,
    상기 제2플런저의 이동 방향은 상기 제1플런저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제1플런저의 일면은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런저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플런저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런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촉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 장치.
  8. 탄약이 발사되는 포신;
    상기 탄약을 장전하기 위하여 상기 포신의 약실을 여닫는 폐쇄기;
    상기 포신이 장착되고, 상기 포신이 특정된 발사방향을 향하도록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포가대; 및
    개방캠이 캠종동자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상태와 상기 캠종동자의 이동경로 상으로부터 벗어난 제2상태 사이에서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며,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폐쇄기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
KR1020100072588A 2010-07-27 2010-07-27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 KR101222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88A KR101222462B1 (ko) 2010-07-27 2010-07-27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88A KR101222462B1 (ko) 2010-07-27 2010-07-27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911A KR20120010911A (ko) 2012-02-06
KR101222462B1 true KR101222462B1 (ko) 2013-01-15

Family

ID=4583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588A KR101222462B1 (ko) 2010-07-27 2010-07-27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17B1 (ko) * 2018-10-30 2020-03-12 현대위아(주) 폐쇄기용 가변 완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2361A (en) * 1988-02-26 1991-08-27 Rheinmetall Gmbh Breechblock mechanism for a gun
KR100415049B1 (ko) 2001-07-02 2004-01-16 국방과학연구소 화포의 포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2361A (en) * 1988-02-26 1991-08-27 Rheinmetall Gmbh Breechblock mechanism for a gun
KR100415049B1 (ko) 2001-07-02 2004-01-16 국방과학연구소 화포의 포미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17B1 (ko) * 2018-10-30 2020-03-12 현대위아(주) 폐쇄기용 가변 완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911A (ko) 201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404B2 (en) Gun bolt locking mechanism
US20150292828A1 (en) Fire control system for firearms
US20130139424A1 (en) Multi Caliber Quickly Reconfigurable Automatic Machine Gun
US10145647B2 (en) Multi-bullet shooting electric gun
US20150330736A1 (en) Semiautomatic pistol
US3791256A (en) Machine gun
KR101222462B1 (ko)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
US10041751B2 (en) Rotary lockup action
KR101837826B1 (ko) 폐쇄기 개폐장치
US3447527A (en) Cartridge for missiles of weapons
CN108463686B (zh) 子弹装填系统
US10584932B2 (en) Trigger-lock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miautomatic firearms
US10895423B2 (en) Firearm
US20220163276A1 (en) Multifunctional slide cover plate
KR101956108B1 (ko) 반자동 공기총
KR101722133B1 (ko) 완구총기용 급탄장치
EP2369289A1 (en) Short recoil fire-arm
KR102068417B1 (ko) 장난감 총용 탄환
US8555767B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n empty cartridge and cannon having the same
CN112469955B (zh) 用于装载子弹的系统
US8549977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breech block and cannon having the same
EP2610572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breech block and cannon having the same
KR20120010909A (ko) 래치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장치
EP2653822B1 (en) Soft recoil system and cannon having the same
KR20220048989A (ko) 브리치블록 및 브리치블록을 갖는 무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