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826B1 - 폐쇄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폐쇄기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7826B1 KR101837826B1 KR1020160027333A KR20160027333A KR101837826B1 KR 101837826 B1 KR101837826 B1 KR 101837826B1 KR 1020160027333 A KR1020160027333 A KR 1020160027333A KR 20160027333 A KR20160027333 A KR 20160027333A KR 101837826 B1 KR101837826 B1 KR 1018378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sure
- unit
- coupled
- moving lever
- clo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02—Block action, i.e. the main breech opening movement being transverse to the barrel axis
- F41A3/10—Block action, i.e. the main breech opening movement being transverse to the barrel axis with sliding breech-block, e.g. vertical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64—Mounting of breech-blocks; Accessories for breech-blocks or breech-block mount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64—Mounting of breech-blocks; Accessories for breech-blocks or breech-block mountings
- F41A3/66—Breech housings or frames; Recei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64—Mounting of breech-blocks; Accessories for breech-blocks or breech-block mountings
- F41A3/78—Bolt buffer or recuperator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7/00—Auxiliary mechanisms for bringing the breech-block or bolt or the barrel to the starting position before automatic firing; Drives for externally-powered guns; Remote-controlled gun chargers
- F41A7/08—Drives for externally-powered guns, i.e. drives for moving the breech-block or bolt by an external force during automatic fi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폐쇄기 개폐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폐쇄기 개폐장치는, 포신을 개폐하는 폐쇄기가 수용되며, 주퇴복좌 이동하는 포신조립체와, 포신 또는 포신이 장착되는 포가대와 결합되는 고정부와, 포신조립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폐쇄기에 연결되어, 이동 시 폐쇄기가 포신을 개폐하도록 하는 폐쇄기작동부와, 고정부에 결합되고, 포신조립체의 복좌 시 폐쇄기작동부와 간섭되는 제1위치와, 포신조립체의 복좌 시 폐쇄기작동부와 간섭되지 않는 제2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전환부와,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시 작동전환부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위치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쇄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퇴복좌(駐退復座) 방식으로 작동하는 화포에서 복좌 시 폐쇄기의 개폐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폐쇄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05mm 전차포 등에 사용되는 폐쇄기는 주퇴복좌 방식으로 이동하면서 폐쇄기가 개방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주퇴복좌 방식으로 운용되는 화포의 경우 복좌 시 폐쇄기가 약실을 자동 개방하므로 포탄의 장전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폐쇄기 개폐장치는 폐쇄기의 개폐 여부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NBC(Nuclear, Biological and Chemical) 상황에서도 약실이 개방되며, 약실을 통하여 외부의 유해가스 등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등록특허공보 제1473519호(2014.12.10 등록, 발명의 명칭: 화포의 안전장전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좌 시 폐쇄기의 개폐 여부를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는 폐쇄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는: 포신을 개폐하는 폐쇄기가 수용되며, 주퇴복좌 이동하는 포신조립체; 상기 포신, 또는 상기 포신이 장착되는 포가대와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포신조립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폐쇄기에 연결되어, 이동 시 상기 폐쇄기가 상기 포신을 개폐하도록 하는 폐쇄기작동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포신조립체의 복좌 시 상기 폐쇄기작동부와 간섭되는 제1위치와, 상기 포신조립체의 복좌 시 상기 폐쇄기작동부와 간섭되지 않는 제2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전환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시 상기 작동전환부를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위치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폐쇄기작동부는, 상기 폐쇄기와 연결되어 상기 폐쇄기를 이동시키는 크랭크부; 및 상기 크랭크부에 결합되고, 상기 포신조립체의 복좌 시 상기 작동전환부에 간섭되면 이동되어 상기 크랭크부를 회전시키는 크랭크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전환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전환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레버부; 및 상기 이동레버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전환부에 접하여, 상기 이동레버부의 회전 시 상기 작동전환부의 위치를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전환하는 이동레버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레버가압부는, 상기 이동레버부에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레버가압부는, 상기 이동레버부에 나사 결합되는 가압부레버결합부; 및 상기 가압부레버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전환부에 접하는 전환부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레버가압부는 상기 이동레버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작동전환부에는 가압부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버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작동전환부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레버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삽입홈에서 벗어나면 상기 작동전환부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전환부는,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이동레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레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이동레버부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제한돌출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제한돌출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제한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돌출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는, 이동레버부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포신조립체의 복좌 시 포신의 개폐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화포의 운용자가 신속하게 폐쇄기 개폐 여부를 전환할 수 있는바, 장치의 운용이 용이하고, 화생방 전 등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가 장착된 화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에서 제1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에서 제1위치인 경우 화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에서 제2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에서 제2위치인 경우 화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에서 제1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에서 제1위치인 경우 화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에서 제2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에서 제2위치인 경우 화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가 장착된 화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1)는 포신조립체(100), 고정부(200), 폐쇄기작동부(300), 작동전환부(400) 및 위치전환부(500)를 포함한다.
포신조립체(100)에는 포신(30)을 개폐하는 폐쇄기(50)가 수용되며, 주퇴복좌 이동한다. 포신(30)은 포탄이 특정된 발사방향을 따라 발사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포신(30)의 내부에는 복수의 강선이 형성되어 포탄이 회전되면서 발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 3 내지 5를 참조하면, 고정부(200)는 포신(30), 또는 포신(30)이 장착되는 포가대(70)와 결합되며, 작동전환부(400), 위치전환부(500) 등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200)는 포신(30)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 밴딩(bending) 가공 등의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200)의 형상, 구조, 크기, 재질 등은 포신(30), 포신조립체(100)의 구조, 형상,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폐쇄기작동부(300)는 포신조립체(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폐쇄기(50)에 연결되어, 이동에 따라 폐쇄기(50)를 이동시켜, 폐쇄기(50)가 포신(30)을 개폐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폐쇄기작동부(300)는 크랭크부(330) 및 크랭크회전부(350)를 포함한다.
크랭크부(330)는 포신조립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폐쇄기(50)와 연결되어 회전에 따라 폐쇄기(50)를 이동시킴으로써 포신(30)의 내부 약실이 개폐되도록 한다.
크랭크회전부(350)는 크랭크부(330)에 결합되고, 포신조립체(100)의 복좌(전진)시 작동전환부(400)에 간섭되면 회전되어 크랭크부(330)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크랭크회전부(350)는 크랭크부(330)의 일단부에 용접,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크랭크부(330)와 일체로서 형성되며, 크랭크부(330)의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 위치하는 크랭크회전돌기(351)가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크랭크회전돌기(351)는 포신조립체(100)의 복좌 시 제1위치에 있는 작동전환부(400)와 간섭되어 회전되며, 크랭크회전돌기(351)의 회전에 따라 크랭크부(330)가 회전되어 폐쇄기(50)를 개방시키게 된다.
작동전환부(400)는 고정부(200)에 결합되고, 포신조립체(100)의 복좌 시 폐쇄기작동부(300)와 간섭되는 제1위치와, 포신조립체(100)의 복좌 시 폐쇄기작동부(300)와 간섭되지 않는 제2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전환부(400)는 전환회전축(410)을 포함하고, 전환회전축(410)에 의하여 고정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작동전환부(400)는 위치전환부(500)의 이동에 연동되어 전환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일단부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포신조립체(100)의 복좌 시 크랭크회전부(350), 구체적으로 크랭크회전돌기(351)와 간섭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위치전환부(500)는 고정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에 따라 작동전환부(400)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전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전환부(500)는 이동레버부(510) 및 이동레버가압부(530)를 포함한다.
이동레버부(510)는 고정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레버부(51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핀, 부시 등으로 예시되는 레버회전축(511)을 포함하여 고정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레버부(510)의 일단부에는 이동레버가압부(530)가 형성되어 이동에 따라 작동전환부(400)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전환하며, 타단부에는 화포(10)의 운용자가 이동레버부(5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이동레버가압부(530)는 이동레버부(5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작동전환부(400)에 접하여, 이동레버부(510)의 회전에 따라 작동전환부(400)의 위치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레버가압부(530)는 이동레버부(510)에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작동전환부(400)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전환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폐쇄기 개폐장치(1)는 이동레버가압부(530)가 이동레버부(510)에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 가능하므로, 상당한 진동이 작용하는 화포(10)의 운용 중, 이동레버부(510) 또는 작동전환부(400)의 위치 이동 발생 시에도,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제1위치 및 제2위치 전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레버가압부(530)는 가압부레버결합부(531) 및 전환부접촉부(533)를 포함한다. 가압부레버결합부(531)는 이동레버부(510)에 나사 결합되므로, 나사 결합의 정도 또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일단부에 결합된 전환부접촉부(533)가 이동레버부(510)에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레버결합부(531)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이동레버부(510)와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끼움 결합 방식, 핀 결합 방식, 후크 결합 방식 등으로, 그 체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환부접촉부(533)는 가압부레버결합부(531)에 결합되고, 작동전환부(400)에 접하여 작동전환부(400)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환부접촉부(533)는 작동전환부(400)와의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이동 시 마찰력, 소음의 발생 등을 줄이고,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레버가압부(530)는 이동레버부(510)에서 돌출 형성되며, 작동전환부(400)에는 가압부삽입홈(430)이 형성된다. 이로써, 이동레버가압부(530)가 가압부삽입홈(430)에 삽입되면, 이동레버가압부(530)가 작동전환부(400)를 가압하는 정도가 감소하여 작동전환부(400)는 전환회전축(410)을 중심으로 일단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반면, 이동레버부(510)의 회전에 따라 이동레버가압부(530)가 가압부삽입홈(430)에서 벗어나면 이동레버가압부(530)가 작동전환부(400)를 가압하는 정도가 증가하여, 작동전환부(400)는 전환회전축(410)을 중심으로 일단부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결국, 이동레버부(51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작동전환부(400)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화포(10)의 운용자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복좌 시 폐쇄기(50)의 포신(30) 개폐 여부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전환부(500)는 이동제한부(550)를 더 포함한다. 이동제한부(550)는 고정부(200) 또는 이동레버부(510)에 결합되고, 이동레버부(510)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부(550)는 이동제한돌출부(551) 및 돌출부고정부(553)를 포함한다.
이동제한돌출부(551)는 이동레버부(510)에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돌출부(551)는 이동레버부(510)에 결합된 하우징 등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동레버부(510)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한돌출스프링(552)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돌출부고정부(553)는 고정부(200)에 결합되고, 이동레버부(510)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제한돌출부(551)의 이동경로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부(554)가 형성되어, 이동제한돌출부(551)의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이동레버부(510)의 이동 간 유동 등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부(550)는 제한돌출부고정부(556)를 더 포함한다. 제한돌출부고정부(556)는 가이드홈부(554)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가이드홈부(554)가 오목하게 들어간 깊이보다 더욱 깊게 형성되거나, 가이드홈부(554)의 폭보다 좁은 턱 등이 형성된다.
이로써, 제한돌출부고정부(556)는 이동제한돌출부(551)에 일정 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이동제한돌출부(551)가 이동 또는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포(10)의 운용 중 이동레버부(510)가 운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용자가 이동레버부(510)의 회전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고 이동레버부(510)에 결합된 이동제한돌출부(551)가 제한돌출부고정부(556)에 안착되었는지를 촉감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레버부(510)가 설정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포(10)의 운용자가 최초 폐쇄기(50)를 개방한 이후 포탄을 약실에 장전하면, 포탄에 갈퀴 등이 걸리면서 폐쇄기(50)가 이동되어 약실이 폐쇄된다.
약실이 폐쇄되면, 화포(10)의 운용자는 이동레버부(510)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복좌 시 폐쇄기(50)의 개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에서 제1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에서 제1위치인 경우 화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이동레버가압부(530)가 가압부삽입홈(430)에 삽입되는 위치로 이동레버부(510)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는 작동전환부(400)의 일단부가 포신조립체(100)의 복좌 시 폐쇄기작동부(300)와 간섭되는 제1위치로 설정된다.
따라서 포신조립체(100)의 복좌 시 크랭크회전돌기(351)가 작동전환부(400)에 간섭되면서 회전되면, 크랭크회전돌기(351)와 연결된 크랭크회전부(350) 및 크랭크부(330)가 회전되면서 폐쇄기(50)를 개방하게 된다.
복좌 시 폐쇄기(50)가 개방되므로, 화포(10)의 운용자는 포탄의 발포 후 폐쇄기(50)를 수동으로 개방할 필요가 없는바, 포탄의 장전 등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화생방과 같은 상황에서는 포신(30)을 통해 외부의 유해가스 등이 진입될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 화포(10)의 운용자는 이동레버부(510)를 회전시켜 이동레버가압부(530)가 가압부삽입홈(430)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에서 제2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에서 제2위치인 경우 화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이동레버가압부(530)가 가압부삽입홈(430)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경우, 작동전환부(400)가 전환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작동전환부(400)의 일단부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전환된다. 작동전환부(400)의 일단부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전환되면 포신조립체(100)의 복좌 시 크랭크회전돌기(351)가 작동전환부(400)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크랭크부(330) 등의 회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크랭크부(330) 등의 회전이 발생되지 않으면 이와 연결된 폐쇄기(50) 역시 포신(30)의 내부 약실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결국, 포신조립체(100)의 복좌 시 폐쇄기(50)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된다. 이로써, 화생방과 같은 경우 포탄의 발사 등에 따라 포신(30)을 통하여 유해가스 등이 전차 내부 등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1)는, 이동레버부(51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복좌 시 폐쇄기(50)의 포신(30) 개폐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 개폐장치(1)는 화포(10)의 운용자가 신속하게 폐쇄기(50)의 포신(30) 개방, 폐쇄를 전환할 수 있는바, 장치의 운용이 용이하고, 화생방 전 등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폐쇄기 개폐장치 10: 화포
30: 포신 50: 폐쇄기
70: 포가대 100: 포신조립체
200: 고정부 300: 폐쇄기작동부
330: 크랭크부 350: 크랭크회전부
351: 크랭크회전돌기 400: 작동전환부
410: 전환회전축 430: 가압부삽입홈
500: 위치전환부 510: 이동레버부
511: 레버회전축 530: 이동레버가압부
531: 가압부레버결합부 533: 전환부접촉부
550: 이동제한부 551: 이동제한돌출부
553: 돌출부고정부 554: 가이드홈부
556: 제한돌출부고정부
30: 포신 50: 폐쇄기
70: 포가대 100: 포신조립체
200: 고정부 300: 폐쇄기작동부
330: 크랭크부 350: 크랭크회전부
351: 크랭크회전돌기 400: 작동전환부
410: 전환회전축 430: 가압부삽입홈
500: 위치전환부 510: 이동레버부
511: 레버회전축 530: 이동레버가압부
531: 가압부레버결합부 533: 전환부접촉부
550: 이동제한부 551: 이동제한돌출부
553: 돌출부고정부 554: 가이드홈부
556: 제한돌출부고정부
Claims (9)
- 포신을 개폐하는 폐쇄기가 수용되며, 주퇴복좌 이동하는 포신조립체;
상기 포신, 또는 상기 포신이 장착되는 포가대와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포신조립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폐쇄기에 연결되어, 이동 시 상기 폐쇄기가 상기 포신을 개폐하도록 하는 폐쇄기작동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포신조립체의 복좌 시 상기 폐쇄기작동부와 간섭되는 제1위치와, 상기 포신조립체의 복좌 시 상기 폐쇄기작동부와 간섭되지 않는 제2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전환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시 상기 작동전환부를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위치전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전환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레버부; 및
상기 이동레버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전환부에 접하여, 상기 이동레버부의 회전 시 상기 작동전환부의 위치를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전환하는 이동레버가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기작동부는,
상기 폐쇄기와 연결되어 상기 폐쇄기를 이동시키는 크랭크부; 및
상기 크랭크부에 결합되고, 상기 포신조립체의 복좌 시 상기 작동전환부에 간섭되면 이동되어 상기 크랭크부를 회전시키는 크랭크회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전환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버가압부는,
상기 이동레버부에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버가압부는,
상기 이동레버부에 나사 결합되는 가압부레버결합부; 및
상기 가압부레버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전환부에 접하는 전환부접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버가압부는 상기 이동레버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작동전환부에는 가압부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버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작동전환부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레버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삽입홈에서 벗어나면 상기 작동전환부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전환부는,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이동레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레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이동레버부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제한돌출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제한돌출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제한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돌출부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7333A KR101837826B1 (ko) | 2016-03-07 | 2016-03-07 | 폐쇄기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7333A KR101837826B1 (ko) | 2016-03-07 | 2016-03-07 | 폐쇄기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4344A KR20170104344A (ko) | 2017-09-15 |
KR101837826B1 true KR101837826B1 (ko) | 2018-03-12 |
Family
ID=5992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7333A KR101837826B1 (ko) | 2016-03-07 | 2016-03-07 | 폐쇄기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78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8317B1 (ko) | 2018-10-30 | 2020-03-12 | 현대위아(주) | 폐쇄기용 가변 완충기 |
CN109827463B (zh) * | 2018-11-27 | 2024-01-12 |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 一种火炮炮闩 |
KR102510437B1 (ko) * | 2022-11-09 | 2023-03-15 | 국방과학연구소 | 추진 장약 폭발 환경 특성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열 내주면 코팅층의 건전성 평가 방법 |
-
2016
- 2016-03-07 KR KR1020160027333A patent/KR10183782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4344A (ko) | 2017-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7826B1 (ko) | 폐쇄기 개폐장치 | |
US11331779B2 (en) | Driving machine | |
US9383153B2 (en) | Fire control system for firearms | |
KR920704086A (ko) | 개선된 안전 반자동 화기 | |
US9194639B1 (en) | Dual sear trigger assembly with centered interlock | |
US10767949B2 (en) | Two-stage safety selectors for firearms | |
US10041751B2 (en) | Rotary lockup action | |
US11346627B1 (en) | Forced reset semiautomatic trigger with sliding blocking bar | |
US2023041750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 linear trigger assembly | |
US6393961B1 (en) | Straight-pull breechblock with rotating boss locking mechanism for repeating weapons | |
US11326848B2 (en) | Fire control/trigger mechanism | |
US6450708B1 (en) | Barrier-attached camera | |
US8464456B2 (en) | Cocking and uncocking mechanism for a firearm | |
US5332140A (en) | Apparatus for applying fixing elements, with plunger, plunger return catch and pivoting plug guide | |
EP0145671A2 (en) | Revolver | |
KR102096882B1 (ko) | 자체 억류되는 멈춤쇠 메커니즘 | |
EP0772022A1 (en) | Air pressure operated toy gun | |
US4548121A (en) | Breech mechanism with a mushroom head packing | |
US6131325A (en) | Safety mechanism for rifles with a cylindrical breech | |
KR101222462B1 (ko) | 폐쇄기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 | |
EP0555617B1 (en) | Tripping mechanism for semiautomatic and automatic firearms | |
CA2007043C (en) | "automatic safety device for fire arms" | |
EP0052083B1 (en) | Safety device for the trigger mechanism of a gas-operated shotgun | |
US3998126A (en) | Delayed bolt action for firearm | |
KR20030003449A (ko) | 화포의 포미 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