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644B1 - 영상 정보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정보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644B1
KR101221644B1 KR1020110003689A KR20110003689A KR101221644B1 KR 101221644 B1 KR101221644 B1 KR 101221644B1 KR 1020110003689 A KR1020110003689 A KR 1020110003689A KR 20110003689 A KR20110003689 A KR 20110003689A KR 101221644 B1 KR101221644 B1 KR 10122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upied
arbitrary
state
image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935A (ko
Inventor
임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ublication of KR20120053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40Analysis of tex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checking presence/abs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7Scene chan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매장 관리 시스템이 매장을 관리하기 위하여 매장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영상 정보 수집 수단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집한다. 이렇게 수집된 영상 정보를 토대로 임의의 테이블이 점유 상태인지 비점유 상태인지 판단하고, 임의의 테이블의 상태가 비점유이면, 테이블 정리가 필요한지 판단한다. 만약 임의의 테이블이 테이블 정리가 필요하면, 임의의 테이블에 대한 테이블 번호를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영상 정보를 확인하지 않더라고 매장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영상 정보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floor using image information}
본 발명은 영상 정보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패스트푸드점과 같은 매장을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매장 내에 설치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폐쇄 회로 TV)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난 등 매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들을 관리한다. 또는 매장을 관리하는 점원을 별도로 두어 매장을 관리하고 있다. 이때, CCTV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 정보를 매장의 매니저나 점원이 직접 눈으로 확인하여 좌석 유무, 매장 청결도 및 테이블 이동 등을 판단하고, 점원은 매장 곳곳을 이동하면서 매장을 관리한다.
이 경우, 손님이 많은 시간에는 점원 또는 매니저가 CCTV를 일일이 확인하기에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여러 층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영상 정보를 확인하지 않을 경우, 매장 내로 이동하지 않는 한 매장 내 상황에 대해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CCTV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 정보를 매번 확인하지 않고도 매장 내 상황을 파악하여 매장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매장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영상 정보 수집 수단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 정보 수집부; 매장 관리를 위한 기본 정보 및 테이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영상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영상 정보 및 상기 정보 저장부가 저장한 기본 정보와 테이블 상태 정보를 토대로 매장 관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 테이블 번호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매장 관리 시스템이 매장을 관리하는 방법은,
매장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영상 정보 수집 수단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토대로 임의의 테이블이 점유 상태인지 비점유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상태가 비점유이면, 테이블 정리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테이블이 테이블 정리가 필요하면, 상기 임의의 테이블에 대한 테이블 번호를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일이 CCTV의 영상을 확인하지 않거나 매장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영상 정보를 토대로 매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시스템이 구현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시스템이 구현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 내에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와 같이 매장 상황을 영상 정보로 수집할 수 있는 영상 정보 수집 수단(100)이 설치되어 있고, 영상 정보 수집 수단이 수집한 영상 정보는 매장 관리 시스템(200)으로 전달되어 매장 관리 시스템(200)이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매장 내 또는 매장 밖에 상주하고 있는 점원(이하 사용자라 지칭함)에게 매장 내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매장 관리 시스템(200)의 구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 관리 시스템(200)은 영상 정보 수집부(210), 판단부(220), 정보 저장부(230), 정보 제공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한다.
영상 정보 수집부(210)는 매장 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영상 정보 수집 수단(100)으로부터 수집된 영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로 전달받는다.
판단부(220)는 영상 정보 수집부(210)가 수집한 영상 정보로부터 고객이 테이블을 점유하고 있는지, 점유하고 있지 않다면 테이블의 청결도 등을 판단한다. 이를 위해 판단부(220)는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 테이블 영역 내부 변화 판단부(222) 및 테이블 영역 외부 변화 판단부(223)를 포함한다.
먼저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는 영상 정보 중 테이블의 에지가 일부분 변해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테이블 번호도 함께 수집한다. 이를 위해 기본 테이블 에지에 대한 기본 위치 값이 미리 정보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어,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가 판단한 테이블 에지 위치 값과 기본 위치 값을 비교하여 움직임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테이블 에지 위치 값과 기본 위치 값이 다를 경우, 해당 테이블이 고객에 의해 선점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고객에 의해 선점된 것으로 판단한 테이블이 이전에 수집된 영상에서도 쭉 선점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즉, 영상 정보를 통해 수집한 테이블의 번호의 좌석 점유 상태가 정보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좌석 점유 상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영상 정보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수집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만약 좌석 점유 상태가 변화가 있다면 정보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갱신하고, 디스플레이부(250)로 좌석이 추가로 점유되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반대로 이전에 점유되어 있던 좌석이 비점유 상태로 변경되면 좌석이 비점유되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디스플레이부(250)로 전송한다.
한편 좌석 점유/비점유 상태에 변화가 없으면 디스플레이부로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테이블이 비점유 상태라면, 테이블 영역 내부 변화 판단부(222) 및 테이블 영역 외부 변화 판단부(223)로 해당 테이블이 정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알린다.
테이블 영역 내부 변화 판단부(222)는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에서 임의의 테이블이 비선점 테이블임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테이블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비선점된 테이블의 내부(즉, 테이블 상부) 부분에 대한 값과 정보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 내부 기본 값을 비교하여 정리되지 않은 테이블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정리되지 않은 테이블이 있다면, 정보 제공부(240)를 통해 사용자에게 테이블 번호가 제공되어 정리될 수 있도록 한다.
테이블 영역 외부 변화 판단부(223)는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와는 다르게, 테이블 또는 의자가 이동하여 다른 영역으로 옮겨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는 해당 테이블이 점유되어 있는지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이나, 테이블 영역 외부 변화 판단부(223)는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에서 임의의 테이블이 비선점 테이블임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테이블 또는 의자가 지정된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옮겨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보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 기본 영역 값과 현재 테이블 영역의 값을 비교하여 이동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테이블이나 의자가 이동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해당 테이블의 번호를 정보 제공부(2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정리될 수 있도록 한다.
정보 저장부(230)는 판단부(220)에서 테이블이 점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테이블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인지 판단하거나, 테이블 또는 의자가 이동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기본 정보를 저장한 후 판단부(220)로 제공한다. 여기서 기본 정보라 함은 테이블 기본 위치 값, 테이블 기본 영역 값 및 테이블 내부 기본 값을 의미한다.
또한,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에서 테이블의 상태가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전에 저장되어 갱신된 테이블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테이블 상태 정보는 테이블 번호에 따라 각각 갱신되며, 테이블 번호는 영상 정보 수집부(210)에서 영상 정보를 수집하면 판단부(220)의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가 테이블 번호를 수집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정보 제공부(240)는 판단부(220)에서 판단한 정보를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에 제공한다. 즉, 테이블 영역 내부 변화 판단부(222) 및 테이블 영역 외부 변화 판단부(223)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예를 들어, 관리자 모니터링 장치 등)로 제공하여 테이블이 정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테이블 번호 정보가 함께 전달되어 정돈이 필요한 테이블의 위치를 사용자가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로부터 전달되는 점유 또는 비점유 수를 카운트하여, 점유/비점유 좌석 수를 고객 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매장 관리 시스템을 통해 매장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정보 수집부(210)가 매장 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영상 정보 수집 수단(100)으로부터 수집된 영상 정보를 수집하면(S100), 판단부는 영상 정보로부터 좌석이 점유되어 있는지, 테이블 정리가 필요한지 또는 테이블이 이동되어 정돈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는 테이블 에지가 일부분만 변화되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좌석이 고객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만약 점유되어 있다면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는 정보 저장부(230)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해당 테이블의 이전 상태와 S1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
즉, S110 단계에서 좌석이 고객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 테이블이 이전에 점유된 상태였는지 혹은 비점유 상태였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비점유 상태에서 점유 상태로 테이블 상태가 변경되었다면 좌석이 점유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를 수신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점유 좌석수를 하나 카운트하여 고객 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S112). 그러나 이전에도 점유된 상태였었다면 디스플레이부(250)에 이를 알리지 않고 S100 단계 이후의 절차를 시행한다. 이와 반대로 S110 단계에서 테이블이 비점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해도 S110 단계 이후의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S110 단계에서 좌석이 점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는 테이블 영역 내부 변화 판단부(222) 및 테이블 영역 외부 변화 판단부(223)로 해당 테이블에 대한 영역 내부 또는 외부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알린다.
즉, 테이블 영역 내부 변화 판단부(222)는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를 통해 해당 테이블이 비점유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S100 단계에서 영상 정보 수집부(210)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테이블이 정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만약 정리가 필요한 테이블이라면 테이블 영역 내부 변화 판단부(222)는 테이블 번호를 정보 제공부(240)로 전달하여, 해당 테이블에 정리가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S121). 그러나, 정리가 필요한 테이블이 아니라면 추후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에서 비점유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또한, 테이블 영역 외부 변화 판단부(223)는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를 통해 해당 테이블이 비점유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S100 단계에서 영상 정보 수집부(210)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테이블 또는 의자가 원래의 위치에서 이동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만약 테이블이나 의자가 이동된 상태라면 테이블 영역 외부 변화 판단부(223)는 테이블 번호를 정보 제공부(240)로 전달하여, 해당 테이블에 정리가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S131). 그러나, 정리가 필요한 테이블이 아니라면 추후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221)에서 비점유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될 때 까지 대기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매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매장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영상 정보 수집 수단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 정보 수집부;
    매장 관리를 위한 기본 정보 및 테이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영상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영상 정보 및 상기 정보 저장부가 저장한 기본 정보와 테이블 상태 정보를 토대로 매장 관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 테이블 번호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임의의 테이블에 대한 영상 정보와 상기 기본 정보 및 테이블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임의의 테이블이 점유 상태인지 비점유 상태인지 판단하는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
    상기 임의의 테이블이 비점유 상태이면, 상기 기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상단이 정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역 내부 변화 판단부; 및
    상기 임의의 테이블이 비점유 상태이면, 상기 기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위치가 변경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테이블 영역 외부 변화 판단부하는 매장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테이블 에지 변화 판단부에서 판단한 테이블의 점유/비점유 상태를 토대로 고객 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점유/비점유 좌석 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매장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는 상기 임의의 테이블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위치 정보인 테이블 기본 위치 값, 상기 테이블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테이블 기본 영역 값 및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테이블의 상부 부분에 대한 값인 테이블 내부 기본 값을 포함하는 매장 관리 시스템.
  5. 매장 관리 시스템이 매장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장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영상 정보 수집 수단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토대로 임의의 테이블이 점유 상태인지 비점유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상태가 비점유이면,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테이블 상단의 정리가 필요한지,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파악하여 테이블 정리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테이블이 테이블 정리가 필요하면, 상기 임의의 테이블에 대한 테이블 번호를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테이블 상태가 점유 상태이면,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번호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임의의 테이블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태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임의의 테이블이 점유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점유/비점유 좌석 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테이블에 구비된 좌석의 상태가 비점유 상태이면,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번호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임의의 테이블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태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임의의 테이블이 비점유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점유/비점유 좌석 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정리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상부 부분에 대한 값을 추출하는 단계;
    미리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 내부 기본 값과 상기 추출한 상기 상부 부분에 대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상단 정리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정리가 필요하면 상기 임의의 테이블에 대한 테이블 번호를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정리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테이블 영역 값을 추출하는 단계;
    미리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테이블 기본 영역 값과 상기 추출한 상기 테이블 영역 값을 비교하여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상단 정리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테이블의 위치가 변경되어 있다면, 상기 임의의 테이블에 대한 테이블 번호를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방법.
KR1020110003689A 2010-11-18 2011-01-13 영상 정보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21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5176 2010-11-18
KR1020100115176 2010-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935A KR20120053935A (ko) 2012-05-29
KR101221644B1 true KR101221644B1 (ko) 2013-01-14

Family

ID=4626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689A KR101221644B1 (ko) 2010-11-18 2011-01-13 영상 정보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460B1 (ko) 2019-12-24 2021-04-30 유한회사 하존솔루션 빅데이터 기반 구매 이력 영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10B1 (ko) * 2018-10-18 2020-11-05 윤완식 주문 자동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363143B1 (ko) * 2019-07-16 2022-02-15 조강훈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49387B1 (ko) * 2021-04-23 2022-01-12 주식회사 엘젠아이씨티 식당 예약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1403A (ja) * 1994-12-09 1996-06-21 Sharp Corp 客席管理posシステム
JP2000194943A (ja) 1998-12-25 2000-07-14 Toshiba Tec Corp 空席管理装置
JP2000194781A (ja) 1998-12-25 2000-07-14 Toshiba Tec Corp 空席管理装置
KR100924784B1 (ko) 2007-12-27 2009-11-03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카운트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주차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1403A (ja) * 1994-12-09 1996-06-21 Sharp Corp 客席管理posシステム
JP2000194943A (ja) 1998-12-25 2000-07-14 Toshiba Tec Corp 空席管理装置
JP2000194781A (ja) 1998-12-25 2000-07-14 Toshiba Tec Corp 空席管理装置
KR100924784B1 (ko) 2007-12-27 2009-11-03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카운트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주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460B1 (ko) 2019-12-24 2021-04-30 유한회사 하존솔루션 빅데이터 기반 구매 이력 영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935A (ko) 201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70304A1 (en) Information Remin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Terminal
KR101221644B1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728868B2 (en)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ver wireless nodes in a wirelessly connected environment
EP2985723A1 (en) Method for adding application superscript and device and device thereof
CN108650503A (zh) 摄像头故障确定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2467800A (zh) 一种入侵检测报警系统
CN107678631A (zh) 侧边菜单显示方法、装置和终端
EP2897329A1 (en) Ser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device
JP5391224B2 (ja) 映像付加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CN107848740B (zh) 电梯的楼层的内容信息
CN107329761A (zh) 一种消息的提示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04754505B (zh) 一种号码信息推送方法、快速拨号方法以及装置和系统
KR101179917B1 (ko) 시간-위치공간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2260110A (ja) 在席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13269828B (zh) 物品查找方法、装置、空调设备和存储介质
US20210055902A1 (en) Wirelessly connected environment of wireless nodes
CN112185059B (zh) 一种提醒用户的方法、装置
WO2018020609A1 (ja) 空席管理システム、空席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67011B1 (ko) 메타 데이터 기반의 이벤트 알림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US11540350B2 (en) Proxy nodes for expanding the functionality of nodes in a wirelessly connected environment
US9344764B1 (en) Facilitating communication actions in accordance with cable attributes
JP2011039574A (ja) 混雑状況配信システム及び混雑状況配信方法
EP2373024A2 (en) Intelligent camera display based on selective searching
JP6005693B2 (ja) 情報通知装置、情報通知方法、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システム、自動車、及び、プログラム
CN105357395A (zh) 清理应用通知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