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479B1 - 교류 발광다이오드 램프 - Google Patents

교류 발광다이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479B1
KR101221479B1 KR1020110004350A KR20110004350A KR101221479B1 KR 101221479 B1 KR101221479 B1 KR 101221479B1 KR 1020110004350 A KR1020110004350 A KR 1020110004350A KR 20110004350 A KR20110004350 A KR 20110004350A KR 101221479 B1 KR101221479 B1 KR 10122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led
electrically connected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897A (ko
Inventor
아렉스 홍
청-켄 쳉
치-훙 쿠오
콴-인 후
Original Assignee
선온웰스 일렉트릭 머신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온웰스 일렉트릭 머신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온웰스 일렉트릭 머신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85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95Linear regul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2Antiparallel configu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 LED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제1 교류 전원 말단, 제2 교류 전원 말단, 발광 모듈 및 직류 전원 출력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모듈은 제1말단, 제2말단 및 적어도 하나의 LED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말단은 제1 교류 전원 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LED 유닛은 연속되게 연결된 1개 이상의 LED를 구비한다.
상기 직류 전원 출력 회로는 발광 모듈의 제2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말단과, 제2 교류 전원 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말단과 직류 출력면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교류 발광다이오드 램프{AC LED LAMP}
본 발명은 교류 발광다이오드 램프(이하 "교류 LED 램프" 라고 한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를 구비하는 교류 LED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발광다이오드를 "LED"라고 약칭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교류 LED 램프는 두개의 교류 전원 말단(P1, P2)들과 발광 모듈(9)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교류 전원 말단(P1, P2)들은 교류 전원을 발광 모듈(9)에 바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 모듈(9)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 모듈(9)은 제1 LED 유닛(91)과 제2 LED 유닛(9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LED 유닛(91)과 제2 LED 유닛(92)들은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한다.
상기 제1 LED 유닛(91)과 제2 LED 유닛(92)들은 병열로 반대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발광 모듈(9)은 교류 전원이 양극 전압과 음극 전압 사이클을 번갈아 반복하는 것을 따라서 제1 LED 유닛(91)과 제2 LED 유닛(92)들이 번갈아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교류 전원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류 LED 램프에는 전기가 공급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구비하는 발광 모듈의 냉각을 위한 냉각기구(8)가 필요하다. 상기 냉각기구(8)는 일반적으로 냉각팬, 냉각모듈 또는 냉각칩과 같은 직류기구 이다.
따라서, 종래의 교류 LED 램프에는 냉각기구(8)를 위해 직류 전원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여분의 전원 공급 회로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의 교류 LED 램프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교류 전원과 냉각기구(8) 사이에 위치하는 전원 변환기(7)를 필요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 변환기(7)는 변압기(71)와 정류 및 여과 회로(72)를 구비한다.
교류 전압이 전압 변환을 거친 후에는 정류 및 조정 공정이 변압기(71)과 정류 및 여과 회로(72)에 의해 수행되고, 안정적인 직류 전원이 냉각기구(8)로 공급되어 진다.
그러나, 종래의 교류 LED 램프는 몇가지의 단점들을 갖고있다. 예를 들어 냉각기구(8)의 제곱 평균 전압(Root mean squared voltage : VRMS)이 교류 전원의 제곱 평균 전압(VRMS)보다 통상적으로 적기 때문에, 교류 전원을 냉각기구(8)에 적합하도록 보다 적은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해서 변압기(71)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변압(71)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 교류 LED 램프의 제조원가, 부피 및 무게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냉각기구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생산하기 위해서 교류 LED 램프의 어느 접속점에 연결된 직류 전원 출력 회로를 구비하여 변환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교류 LED 램프를 제공하여 교류 전원 램프의 부피 및 무게를 경감하고 제조비용도 절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1 교류 전원 말단, 제2 교류 전원 말단, 발광 모듈 및 직류 전원 공급 회로를 구비하는 교류 LED 램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ⅰ) 제1 교류 전원 말단: (ⅱ) 제2 교류 전원 말단: (ⅲ) 제1 교류 전원 말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 모듈의 제1말단, 직류 전원 출력 회로의 제1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 모듈의 제2말단 및 1개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ED) 유닛을 구비하는 발광 모듈 : 및 (ⅳ) 발광 모듈의 제2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의 제1말단, 제2 교류 전원 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의 제2말단 및 직류 출력면을 구비하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교류 LED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제1 교류 전원 말단 : (ⅱ) 제2 교류 전원 말단 : (ⅲ) 연속되게 연결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 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ED) 유닛과, 제1 교류 전원 말단 및 제2 교류 전원 말단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모듈의 제1말단 및 발광 모듈의 제2말단을 구비하는 발광 모듈 : 및 (ⅳ) 상기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들 중 적어도 한개의 발광다이오드(LED)와 병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직류 출력면을 구비하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교류 LED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 변압기 대신에 직류 전원 공급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교류 LED 램프의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교류 LED 램프의 부피 및 무게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냉각기구를 갖는 종래 교류 LED 램프의 회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첫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류 LED 램프의 회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첫번째 구현예에 따른 또 다른 교류 LED 램프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두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류 LED 램프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류 LED 램프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네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류 LED 램프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섯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류 LED 램프의 회로도
상기 도면들에서 같은 부호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에는 본 발명의 첫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류 LED 램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교류 LED 램프는 제1 교류 전원 말단(AC1), 제2 교류 전원 말단(AC2), 발광 모듈(1) 및 직류 전원 출력 회로(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교류 전원 말단(AC1)과 제2 교류 전원 말단(AC2)들은 교류 전원에 연결되어 진다.
상기 발광 모듈(1)은 제1말단(V1)과 제2말단(V2)을 갖고, 상기 발광 모듈(1)의 제1말단(V1)은 제1 교류 전원 말단(AC1)에 연결되어 진다.
상기 직류 전원 출력 회로(2)는 제1말단(V3)과 제2말단(V4)을 갖고, 상기 제2말단(V4)은 제2 교류 전원 말단(AC2)에 연결되어 진다.
상기 발광 모듈(1)의 제2말단(V2)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2)의 제1말단(V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직류 전원 출력 회로(2)는 냉각팬, 냉각 모듈 또는 냉각칩 등과 같은 냉각기구(8)에 연결되어 있는 직류 출력면(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광 모듈(1) 및 교류 전원 출력 회로(2)는 교류 전기를 받을 수 있어서 발광 모듈(1)이 광을 발산할 수 있게 되고, 교류 전원 출력 회로(2)는 직류 출력면(20)에서 냉각기구(8)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 모듈(1)은 제1 LED 유닛(11)과 제2 LED 유닛(12)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LED 유닛(11)과 제2 LED 유닛(12) 모두는 적어도 1개의 LED를 구비한다.
상기 제1 LED 유닛(11)과 제2 LED 유닛(12)들은 발광 모듈의 제1 말단(V1)과 발광 모듈의 제2말단(V2) 사이에 병렬로 반대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직류 전원 출력 회로(2)는 정류 유닛(21)과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22)들을 포함한다. 상기 정류 유닛(21)과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22)들은 발광 모듈(1)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교류 전원 말단(AC1)에 연결된 발광 모듈(1)과 제2 교류 전원 말단(AC2)에 연결된 직류 전원 출력 회로(2)들은 연속된 고리 형태를 형성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 유닛(21)은 다이오드(Diode)를 갖는 반파(half-wave) 정류 회로로 이행되어 진다.
상기 다이오드는 제1말단(V3)에 연결된 하나의 양극(Anode)을 구비하고, 제1 LED 유닛(11) 또는 제2 LED 유닛(12)의 LED와 같은 방향으로 연결되어 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다이오드가 제1 LED 유닛(11)의 LED와 같은 방향으로 연결된 경우 제1 LED 유닛(11)은 교류 전원의 양극 전압 사이클 동안에 켜지게 되며, 상기 다이오드가 제2 LED 유닛(12)의 LED와 같은 방향으로 연결된 경우 제2 LED 유닛(12)은 교류 전원의 음극 전압 사이클 동안에 켜지게 된다.
상기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22)은 전압 제한 전극(221)과 여과 축전기(222)들을 추가로 더 포함한다.
상기 전압 제한 전극(221)은 상기 여과 축전기(222)와 병열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압 제한 전극(221)과 여과 축전기(222)들은 정류 유닛(21)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압 제한 전극(221)과 여과 축전기(222)는 정류 유닛(21)내 다이오드의 음극과 연결되어진 일측 말단과 직류 전원 출력 회로의 제2말단(V4)과 연결된 다른 일측 말단을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전압 제한 전극(221) 및 여과 축전기(222)의 양측 말단들은 병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 출력면(20)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전압 제한 전극(221)은 직류 출력면(20)의 직류 전기를 미리 정해진 값으로 유지해준다.
전압 제한 전극(221)은 제너(Zener) 다이오드일 수도 있으나, 반드시 상기 제너 다이오드로 제안하는 것은 아니다.
여과 축전기(222) 역시 직류 전기의 여과를 위해 직류 출력면(20)과 병열로 배열된다.
도 2(b)에서는 정류 유닛(11')과 LED 유닛(12')을 구비하는 또 하나의 발광 모듈(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정류 유닛(11')은 전파 정류기(Full-wave rectifier)이고, 4개의 다이오드(111',112')를 구비한다.
2개의 다이오드(111')는 교류 전원의 양극 전압 사이클 하에서 켜지고, 다른 2개의 다이오드(112')는 교류 전원의 음극 전압 사이클 중에 켜진다.
상기 다이오드(111')중 1개의 다이오드는 상기의 또 다른 다이오드(112')의 음극과 연결된 양극을 가지며, 상기 다이오드(111')와 또 다른 다이오드(112')들이 연결되는 접속점에는 발광 모듈의 일측 말단(V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다이오드(111')들중 나머지 1개의 다이오드는 상기의 또 다른 다이오드(112')의 음극과 연결된 양극을 가지며, 상기 다이오드(111')와 또 다른 다이오드(112')들이 연결되는 접속점에는 발광 모듈의 또 다른 일측 말단(V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LED 유닛(12')은 적어도 한개의 LED를 구비한다.
상기 정류 유닛(11')은 LED 유닛(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파 정류 회로(Full-wave rectifying circuit)를 형성한다. 상기 직류 전원 출력 회로(2)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2)내 제1말단(V3)을 통해 발광 모듈(1')의 일측 말단(V2')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교류 LED 램프의 작동이 유용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두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류 LED 램프가 도시되어 있다.
첫번째 구현예와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두번째 구현예인 교류 LED 램프는 인버스 다이오드(Inverse diode:23)를 추가로 더 포함한다.
상기 인버스 다이오드(23)는 정류 유닛(21)과 연결된 일측 말단과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22)과 연결된 또 다른 일측 말단을 구비한다.
상기 인버스 다이오드(23)는 정류 유닛(21)의 다이오드와 반대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LED 램프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인버스 다이오드(23)는 교류 전원의 음극 전압 사이클하에서 작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2 LED 유닛(12)이 커지면서 빛을 발산하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세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류 LED 램프가 도시되어 있다.
첫번째 및 두번째 구현예와 비교해 보면, 상기 세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류 LED 램프는 정류 유닛(31)과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32)를 구비하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3)를 포함한다.
상기 정류 유닛(31)은 전파(Full-wave) 정류 회로이다.
상기 전파 정류 회로,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32) 및 발광 모듈(1)들은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32)의 연결 및 작동 방법은 첫번째 구현예 및 두번째 구현예에 있어서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22)의 연결 및 작동 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세번째 구현예는 전파 정류 회로가 정류된 파형이 발생되도록 교류 전원을 정류할 수 있으며,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32)이 정류된 파형의 잔파형 (Ripple)을 여과하는 점에서 첫번째 구현예 및 두번째 구현예와 상이하다.
그로 인해 안정된 직류 전원이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32)의 직류 출력면(30)에서 발생되어 진다.
게다가 세번째 구현예에서는 전파(Full-wave) 형태의 교류 전원을 정류하기 위해서 전파 정류 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32)을 구성할 때 소용량의 여과 축전기(322)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네번재 구현예에 따른 교류 LED 램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네번째 구현예에서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4)는 앞쪽에 위치하는 포워드(Forward) 정류 다이오드 유닛(411)을 갖고, 발광 모듈(1)에 연속적으로 연결된 정류 유닛(41)을 포함한다.
상기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411)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다이오드들과, 직류 전원 출력 회로의 제1말단(V3) 및 직류 전원 회로의 제2말단(V4) 각각에 연결된 2개의 말단을 갖는다.
상기 직류 전원 출력 회로(4)는 상기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411)의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직류 출력면(40)을 포함한다.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411)의 다이오드 각각은 3V와 같은 정격 전압치 (Rate Voltage Value)를 갖는다. 그로 인해 직류 출력면(40)에 연결된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411)의 다이오드 개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직류 출력면(40)에서 직류 전원의 전압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직류 전원 출력 회로(4)는 직류 출력면(40)에 병열로 연결된 여과 축전기(42)를 더 포함한다.
이를 기초로, 직류 전원 출력 회로(4)에 의해 발생되는 직류 전원의 잔파형(Ripple)을 여과 축전기(42)로 여과할 수 있게 되어 냉각기구(8)로 안정된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네번째 구현예의 정류 유닛(41)은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411)과 병렬로 연결된 리버스(Reverse) 정류 다이오드 유닛(412)를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상기 리버스 정류 다이오드 유닛(412)은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411)의 다이오드 들과 반대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다이오드들을 구비한다.
그로 인해 리버스 정류 다이오드 유닛(412)은 교류 전원의 음극 전압 사이클 중에 작동하여서 제2 LED 유닛(12)이 구동되어 광을 발산하게 된다.
교류 전원의 양극 전압 사이클하에서 발광 모듈(1)을 통과한 전류가 교류 전원의 음극 전압 사이클하에서 발광 모듈(1)을 통과한 전류와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리버스 정류 다이오드 유닛(412)은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411)이 갖는 다이오드 개수와 동일한 갯수의 다이오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열에 의해 발광 모듈(1)의 휘도는 일정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섯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류 LED 램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첫번째 구현예 내지 네번째 구현예와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다섯번째 구현예에 따른 교류 LED 램프는 제1 LED 유닛(11) 및 제2 LED 유닛(12) 모두 다수개의 LED들을 구비하고, 제1 교류 전원 말단(AC1) 및 제2 교류 전원 말단(AC2)들은 전원 공급을 위해 발광 모듈의 제1말단(V1)과 제2말단(V2)와 각각 연결된다.
네번째 구현예와 비교시 상기 다섯번째 구현예의 직류 전원 출력 회로(5)는 제1 LED 유닛(11) 또는 제2 LED 유닛(12)의 적어도 하나의 LED와 병렬로 연결된 여과 축전기(51)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발광 모듈(1)내 LED 각각은 정격 전압치를 갖는다.
그로 인해, 여과 축전기(51)의 직류 출력면(50)에서 교류 전원의 전압치는 여과 축전기(51)를 적절한 개수의 LED들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전원 출력 회로(5)의 여과 축전기(51)는 직류 출력면(50)에서 6V 전압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제1 LED 유닛(11)의 2개 LED와 연결되어 진다.
이와 유사하게 직류 전원 출력 회로(5)의 여과 축전기(51)는 직류 출력면(50)에서 6V 전압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제2 LED 유닛(12)의 2개 LED와 연결될 수도 있다.
네번째 구현예와 비교시 다섯번재 구현예의 여과 축전기(51)는 발광 모듈(1)의 적어도 1개의 LED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교류 LED 램프의 회로 복잡성을 간소화 하기 위해 상기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411)과 리버스 정류 다이오드 유닛(412)을 생략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변압기(71)을 사용하지 않고도 직류 전원 출력 회로의 직류 출력면에서 냉각기구(8)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교류 LED 램프의 제조원가, 회로부피 및 무게가 절감된다.
직류 전원 출력 회로(2,3,4 또는 5)가 도 2b의 발광 모듈(1')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 처럼 본 발명과 유사한 변경들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므로 본원발명에서는 본 발명과 유사한 변경 내용들은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한정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당업자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등과 같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AC1 : 제1 교류 전원 말단 AC2 : 제2 교류 전원 말단
V1 : 발광 모듈의 제1말단 V2 : 발광 모듈의 제2말단
V1', V2' : 발광 모듈의 말단 V3 : 직류 전원 출력 회로의 제1말단
V4 : 직류 전원 출력 회로의 제2말단
1,1' : 발광 모듈 11 : 제1 LED 유닛
11' : 정류 유닛 111',112' : 다이오드
12 : 제2 LED 유닛 12' : LED 유닛
2 : 직류 전원 출력 회로 20 : 직류 출력면
21 : 정류 유닛 22 :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
221 : 전압 제한 전극 222 : 여과 축전기
23 : 인버스 다이오드 3 : 직류 전원 출력 회로
30 : 직류 출력면 31 : 정류 유닛
32 :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 322 : 여과 축전기
4 : 직류 전원 출력 회로 40 : 직류 출력면
411 :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 412 : 리버스 정류 다이오드 유닛
42 : 여과 축전기 5 : 직류 전원 출력 회로
50 : 직류 출력면 51 : 여과 축전기
P1, P2 : 교류 전원 말단
7 : 변환기(Converter) 71 : 변압기
72 : 정류 및 여과 회로 8 : 냉각기구
9 : 발광 모듈 91 : 제1 LED 유닛
92 : 제2 LED 유닛

Claims (20)

  1. (ⅰ) 제1 교류 전원 말단:
    (ⅱ) 제2 교류 전원 말단:
    (ⅲ) 제1 교류 전원 말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 모듈의 제1말단, 직류 전원 출력 회로의 제1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 모듈의 제2말단 및 1개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ED) 유닛을 구비하는 발광 모듈 : 및
    (ⅳ) 발광 모듈의 제2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의 제1말단, 제2 교류 전원 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의 제2말단 및 냉각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직류 출력면을 구비하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 출력 회로는 정류 유닛과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정류 유닛과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들은 발광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속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유닛은 다이오드를 갖는 전파(Full-wave) 정류 회로이고, 상기 발광 모듈의 발광다이오드(LED) 유닛은 2개의 발광다이오드(LED)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정류 유닛의 다이오드는 2개의 발광다이오드(LED) 유닛들 중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ED) 유닛내에 구비된 1개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은 전압 제한 전극 및 상기 전압 제한 전극과 병열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여과 축전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은 정류 유닛과 연속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전압 제한 전극 및 여과 축전기의 양측 말단들은 병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 출력면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 출력 회로는 정류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측 말단과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또 다른 일측 말단을 갖는 인버스 다이오드(Inverse diode)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 출력 회로는 정류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측 말단과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또 다른 일측 말단을 갖는 인버스 다이오드(Inverse diode)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스 다이오드는 정류 유닛의 다이오드와 반대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유닛은 전파(Full-wave) 정류 회로이고, 상기 전파 정류회로,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 및 발광 모듈들은 연속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은 전압 제한 전극 및 상기 전압 제한 전극과 병열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여과 축전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제한 및 여과 유닛은 정류 유닛과 연속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11. 제1항에 있어서, 직류 전원 출력 회로는 정류 유닛과 여과 축전기를 구비하며, 상기 정류 유닛은 발광 모듈과 연속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포워드(Forward) 정류 다이오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은 연속되게 연결된 다수개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 축전기는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와 병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은 직류 전원 출력 회로의 제1말단 및 제2말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2개의 말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유닛은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에 병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포워드 정류 다이오드 유닛의 다이오드들과 반대방향으로 연속되게 연결된 다수개의 다이오드들을 구비하는 리버스(Reverse) 정류 다이오드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냉각기구는 냉각팬, 냉각모듈 및 냉각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16. (ⅰ) 제1 교류 전원 말단 :
    (ⅱ) 제2 교류 전원 말단 :
    (ⅲ) 연속되게 연결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 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ED) 유닛과, 제1 교류 전원 말단 및 제2 교류 전원 말단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모듈의 제1말단 및 발광 모듈의 제2말단을 구비하는 발광 모듈 : 및
    (ⅳ) 상기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들 중 적어도 한개의 발광다이오드(LED)와 병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냉각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직류 출력면을 구비하는 직류 전원 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직류 전원 출력 회로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ED)와 병열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여과 축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축전기는 직류 출력면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양측 말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19. 삭제
  20. 제16항에 있어서, 냉각기구는 냉각팬, 냉각모듈 및 냉각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KR1020110004350A 2010-01-20 2011-01-17 교류 발광다이오드 램프 KR101221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101555A TWI419605B (zh) 2010-01-20 2010-01-20 交流led燈具
TW099101555 2010-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897A KR20110085897A (ko) 2011-07-27
KR101221479B1 true KR101221479B1 (ko) 2013-01-14

Family

ID=4399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350A KR101221479B1 (ko) 2010-01-20 2011-01-17 교류 발광다이오드 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791643B2 (ko)
EP (1) EP2348794B1 (ko)
JP (1) JP5331095B2 (ko)
KR (1) KR101221479B1 (ko)
TW (1) TWI4196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551B1 (ko) * 2015-10-28 2017-09-04 장경삼 교류를 사용하는 led 타입의 uv 램프가 설치된 공기살균소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042B1 (ko) * 2008-11-19 2015-09-0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교류 발광장치와 그의 구동장치 및 그에 따른 구동방법
CN102364218B (zh) * 2011-11-30 2014-03-26 徐慧 一种可直接代替荧光灯使用的led日光灯
TWM441986U (en) * 2012-07-16 2012-11-21 Sunon Electronics Foshan Co Ltd Lamp circuit
KR20140036750A (ko) * 2012-09-18 2014-03-26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적응형 액티브 쿨러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교류 엘이디 구동 아이씨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US20150345768A1 (en) * 2014-06-02 2015-12-03 American Bright Lighting, Inc. Led lighting fixtures
CN105511538A (zh) * 2015-12-02 2016-04-20 上海小糸车灯有限公司 一种led车灯用散热风扇的驱动电路
US10270359B2 (en) 2016-03-25 2019-04-23 New Energies & Alternative Technologies, Inc. Multi-use driver circuits
US9681511B1 (en) 2016-03-25 2017-06-13 New Energies & Alternative Technologies, Inc. LED driver circuits
US9681504B1 (en) * 2016-06-14 2017-06-13 New Energies & Alternative Technologies, Inc. Driver circuits with multiple rectifiers
TWI661744B (zh) 2018-01-19 2019-06-01 集邦聯合製造股份有限公司 交流發光二極體照明系統
US20200228025A1 (en) * 2019-01-14 2020-07-16 Fluence Bioengineer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ow Voltage Power Distribution
CN113465556B (zh) * 2020-06-15 2023-11-03 中铁路安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多功能装配式建筑工程质量检测装置的应用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6290A (ja) * 2000-06-28 2002-01-1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光源装置
KR20090043052A (ko) * 2007-10-29 2009-05-06 이범진 충전기를 가지는 스위치
KR20090051328A (ko) * 2007-11-19 2009-05-22 이범진 다이오드를 가지는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9426A (en) * 1987-03-19 1990-07-03 United States Of America Light emitting diode array
JPH0352525A (ja) * 1989-07-19 1991-03-06 Fujitsu Ltd 直流給電回路
JPH07272584A (ja) * 1994-03-29 1995-10-20 Chino Corp 人体検知スイッチ装置
US6285140B1 (en) * 1999-04-21 2001-09-04 Pharos Innovations Inc. Variable-effect lighting system
DE10350044A1 (de) * 2003-10-27 2005-05-2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Buten
WO2005067066A1 (ja) 2004-01-07 2005-07-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ed照明光源
JP2007005743A (ja) * 2005-06-24 2007-01-11 Core Technology:Kk Led照明用電源装置
CN101865375B (zh) * 2005-06-28 2013-03-13 首尔Opto仪器股份有限公司 发光装置
US7868292B2 (en) 2005-06-29 2011-01-11 Robert Stephen Hayes Thermal infrared image detector
CN1917729A (zh) * 2005-08-16 2007-02-21 法洛斯创新公司 可变效果照明系统
JP2007142055A (ja) * 2005-11-16 2007-06-07 Rohm Co Ltd 発光装置
EP1977630A4 (en) * 2006-01-25 2012-02-15 Cree Inc CIRCUIT FOR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LIGHTING
US7501772B2 (en) * 2006-12-29 2009-03-10 Excellence Opto. Inc. LED lighting string employing rectified and filtered device
CN101408300B (zh) 2007-10-10 2011-06-08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散热结构的发光二极管灯具
CN101566325B (zh) 2008-04-23 2013-06-05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灯具
US8330388B2 (en) * 2008-12-12 2012-12-11 O2Micro,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driving light sources
EP2214456A1 (en) * 2009-01-22 2010-08-04 Nanker(Guang Zhou)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rp. LED lamp circuit
US20100238691A1 (en) * 2009-03-23 2010-09-23 Tsung-Ein Tsai Ac-to-dc power supply circuit
TWM368011U (en) * 2009-05-27 2009-11-01 Ting Shen Wang Ind Co Ltd LED (light emitting diode) la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6290A (ja) * 2000-06-28 2002-01-1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光源装置
KR20090043052A (ko) * 2007-10-29 2009-05-06 이범진 충전기를 가지는 스위치
KR100920294B1 (ko) 2007-10-29 2009-10-08 이범진 충전기를 가지는 스위치
KR20090051328A (ko) * 2007-11-19 2009-05-22 이범진 다이오드를 가지는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551B1 (ko) * 2015-10-28 2017-09-04 장경삼 교류를 사용하는 led 타입의 uv 램프가 설치된 공기살균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51010A (ja) 2011-08-04
US8791643B2 (en) 2014-07-29
JP5331095B2 (ja) 2013-10-30
EP2348794B1 (en) 2014-05-07
TWI419605B (zh) 2013-12-11
EP2348794A3 (en) 2012-05-30
TW201127191A (en) 2011-08-01
KR20110085897A (ko) 2011-07-27
US20110175537A1 (en) 2011-07-21
US20140210347A1 (en) 2014-07-31
EP2348794A2 (en)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479B1 (ko) 교류 발광다이오드 램프
JP5715059B2 (ja) 電源アダプタに関する改良
JP6396336B2 (ja) 発光ダイオードの点滅周波数を変換する電源回路
JP2008263203A (ja) 高効率acled駆動回路
JP2014524102A5 (ko)
US10299331B2 (en) LED retrofit driver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30307427A1 (en) Current balancing led driver circuit and method therof
RU2584822C2 (ru) Схема, адаптированная для подачи напряжения к электронному устройству,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CN103546027A (zh) 电源装置、固体发光元件点灯装置及照明装置
TWI450640B (zh) 雙向電能阻抗分壓之led單向驅動電路
US9445472B2 (en) Method and circuit for driving light-emitting diodes from three-phase power source
CA2899390C (en) Alternating current rectifying circuit and alternating current rectifying method for driving led module
JPH10321914A (ja) 発光装置及びこの発光装置を使用した照明装置
KR20110102523A (ko) 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
EP2410818A2 (en) Direct current driving circuit of a light emitting device
CN102147053B (zh) 交流led灯具
JP2011171116A (ja) 照明装置
CN108124346B (zh) 发光二极管驱动装置以及使用了该发光二极管驱动装置的照明、渔灯
CN218634337U (zh) 一种开关无极调光电路
Awad et al. Universal Input Voltage Electrolytic Capacitor-less LED driver with Multi-channel Output
CN215379289U (zh) 一种吸收模块、调光电路及发光装置
CN110996446B (zh) 一种交流驱动的led器件及其在交流电电源下的发光方法
JP5658503B2 (ja) 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備えた照明装置
Yang et al. An efficient driver for dimmable LED lighting
JP2017216188A (ja) Ledを用いた照明装置、ledを用いた照明装置の駆動回路及びledを用いた照明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