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478B1 -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 Google Patents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478B1
KR101221478B1 KR1020120127126A KR20120127126A KR101221478B1 KR 101221478 B1 KR101221478 B1 KR 101221478B1 KR 1020120127126 A KR1020120127126 A KR 1020120127126A KR 20120127126 A KR20120127126 A KR 20120127126A KR 101221478 B1 KR101221478 B1 KR 101221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light emitting
circuit board
batter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Priority to KR102012012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85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medic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45D2200/155Heating or cooling means, i.e. for storing or applying cosmetic product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나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파우더 화장품을 피부에 신속하고 밀착감 있게 바를 수 있도록 한 진동 퍼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부를 갖는 몸체에 진동자 및 별도의 퍼프부재가 결합된 진동 퍼프에 있어, 상기의 몸체 내에 배터리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의 퍼프부재를 향하여 별도의 점등발열소자가 위치되게 하여, 별도의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의 퍼프부재가 가열 및 진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내장된 점등발열소자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여 동절기 혹은 야외에서 퍼프를 따듯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퍼프부재가 피부온도와 유사한 온도로 가열되어 피부에 대한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저온에서 경화 특성을 갖는 파우더 화장품 및 퍼프부재에 대한 경화를 방지하여 보다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로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진동으로 인해 오일리 한 상태의 파우더 화장품이 고르게 퍼져 더욱 밀착감이 뛰어나도록 피부에 도포될 수 있으므로 화장이 더욱 효과적이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점등발열소자의 고온으로 인해 퍼프부재 내부의 세균 및 미생물 등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세균이나 미생물로 인한 피부 트러블이나 자극 또는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Vibration puff having Sterilization and heating}
본 발명은 콤팩트나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파우더 화장품을 피부에 신속하고 밀착감 있게 바를 수 있도록 한 진동 퍼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부를 갖는 몸체에 진동자를 갖는 퍼프부재가 결합된 진동 퍼프에 있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터리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 퍼프부재의 내부에는 별도의 점등발열소자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의 배터리와 점등발열소자가 스위치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에 따라, 진동 퍼프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전원이 인가된 점등발열소자의 발열에 의해 퍼프부재가 가열 및 살균되도록 하여 보다 밀착감 있는 화장은 물론 피부에 대한 이물감과 오염을 저하시켜 사용상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이나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의 잡티나 기미 등을 자연스럽게 가리거나 깨끗하고 화사한 피부 또는 맑고 뽀송거리는 피부를 갖고자할 때 파운데이션이나 스킨 커버 또는 트윈 케익, 파우더 팩트, 스킨 커버, BB크림, 리퀴드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용 파우더(이하 "화장품" 이라 한다)를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화장품은 대부분 오일리 한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 제형을 내부접시 내에 주입한 후 이를 프레스에 의해 가압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부분 고형으로 압축되어 생산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파우더 원료는 일반적으로 탈크, 이산화티탄, 마이카, 실리카, 나일론 분말, 폴리메칠매타크릴레이크, 세리사이트, 카올린, 이연화, 옥시염화비스머스 등과 같은 기재에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색소 및 상기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바인더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인더는 실리콘계 오일류, 탄화수소계 오일류, 고급 지방산계 오일류, 고급 알코올계 오일류, 에스테르계 오일류, 글리세라이드계 오일류, 라놀린계 오일류, 동물성 오일류, 식물성 오일류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의 화장품들은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발라야 함은 물론 감성적 사용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터치하여 화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화장용 퍼프이다.
상기의 화장품들을 취하는 화장용 퍼프는 일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밴드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화장품을 취한 면을 화장부위에 대고 두드리면서 화장품을 펴 바를 수 있도록 된 일반적인 형태의 퍼프가 있고,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의 손가락 삽입밴드를 제외하여 된 비교적 소형의 퍼프로 구분 생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통상의 퍼프는 손가락을 끼우거나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인위적인 힘으로 두드리면서 고르게 화장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퍼프는 스펀지나 부드러운 연질의 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피부에 대한 촉감이 뛰어나면서도 파우더 화장품이 잘 묻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피부에 파우더가 효과적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퍼프가 기존의 화장품 용기에 수납되는 형태가 아닌 별도의 화장 도구로서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얇고 납작한 형태가 아닌 두툼하고 충분한 쿠션감을 갖도록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이고, 화장 도중 파우더가 손가락 등에 묻는 것을 방지하고자 별도의 손잡이 또는 몸체를 구비하여 이들 손잡이나 몸체로부터 별도의 퍼프부재를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구조의 퍼프 용구는 다양한 크기 및 모양과 형태를 갖는 퍼프부재로의 교체 사용이 가능한 것을 물론 편리하게 쥐고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오염되거나 훼손된 퍼프부재의 교체 사용으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 들어 각광받고 있는 진동 퍼프는 몸체의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게 하고 상기의 배터리는 별도의 진동자와 연결되도록 함에 따라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배터리의 전원이 진동자에 인가되게 하면 진동자에 의한 진동력이 퍼프부재에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인위적인 힘으로 퍼프를 피부에 터치하지 않더라도 빠르고 고른 상태로의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출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진동 퍼프는 대부분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하는 진동자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몸체 혹은 별도의 연결구에 결합되어 있는 별도의 탄력부재 내에 상기의 진동자를 내재시키고, 상기의 탄력부재의 말단에 별도의 퍼프부재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진동자의 진동력이 탄력부재를 통해 증대된 상태로 퍼프부재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우수한 진동력으로부터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퍼프는 오일리 한 상태의 파우더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취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는 물품의 특성상 항상 많은 량의 파우더 화장품을 머금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의 퍼프는 늘 축축한 느낌을 갖고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통상의 퍼프는 최초 구매시에는 매우 건조한 스펀지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를 수회 사용하고 난 이후에는 오일리 한 상태의 파우더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무겁고 축축한 상태가 되어 사용자는 이에 대한 사용을 기피하게 되므로 제품 자체의 수명에 비하여 실질적인 사용 수명이 지극히 짧은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 중인 상태의 퍼프는 다량의 오일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겨울철이나 야외에서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차가워진 오일이 피부에 직접 닿으면서 상당한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고, 차가워진 상태의 퍼프가 피부에 닿으면 순간적으로 모공 축소 현상이 발생하면서 초기 화장 부위와 나중 화장 부위의 파우더 밀착감이 서로 달라지는 현상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가워진 상태의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되면 초기 화장 부위에 대한 덧 화장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므로 파우더 화장품이 얼굴 전체에 고르게 도포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 과도한 파우더 화장품의 사용으로 인해 화장품 자체의 품질에 대한 오해를 사게 되는 것은 물론 경제적인 손실과 시간적인 손실 역시 상당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파우더 화장품을 구성하기 위한 중요 원료인 바인더로서 대부분 오일이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의 오일 대부분은 저온 상태에서는 경화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회 사용된 상태의 퍼프는 저온 상태에서 상당히 단단한 상태를 연출하고 있어 부드럽고 밀착감 있는 상태로의 초기 화장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고, 경화된 상태의 오일로 인해 퍼프 자체가 단단해져 있어 피부에 대한 이물감이 매우 높아 사용시의 불쾌감을 초래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퍼프는 미세한 다공질의 조직 구조를 갖고 있어 통기성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에서 피부 또는 공기 중의 유해한 세균으로부터 오염된 경우에는 다습한 환경으로 인해 세균의 번식이나 부패가 쉽게 이루어지므로 이와 같은 상태의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피부를 손상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손잡이부를 갖는 몸체에 진동자 및 별도의 퍼프부재가 결합된 진동 퍼프에 있어, 상기의 몸체 내에 배터리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의 퍼프부재를 향하여 별도의 점등발열소자가 위치되게 하여, 별도의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의 퍼프부재가 가열 및 진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점등발열소자의 발열작용을 통해 온도가 상승되는 퍼프부재로 인해 초기 사용시 따듯한 감촉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인체 온도와 유사한 발열온도를 유지시켜 사용시 이물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퍼프부재가 머금고 있는 화장품의 경화 방지는 물론 점등발열소자의 발열로 인해 퍼프부재를 살균할 수 있어 세균이나 미생물로 인한 피부 트러블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진동자의 우수한 진동력으로부터 보다 빠르고 밀착감이 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에 배터리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별도의 퍼프부재를 갖는 연결구가 결합되며, 상기 퍼프부재를 향해서는 별도의 점등발열소자가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구에는 스위치를 갖는 별도의 회로기판이 고정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진동자가 삽입된 탄력부재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와 진동자에 인가되면 상기의 퍼프부재가 점등발열소자의 열기를 전달받아 온도 상승하며 진동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내장된 점등발열소자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여 동절기 혹은 야외에서 퍼프를 따듯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퍼프부재가 피부온도와 유사한 온도로 가열되어 피부에 대한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저온에서 경화 특성을 갖는 파우더 화장품 및 퍼프부재에 대한 경화를 방지하여 보다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로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진동으로 인해 오일리 한 상태의 파우더 화장품이 고르게 퍼져 더욱 밀착감이 뛰어나도록 피부에 도포될 수 있으므로 화장이 더욱 효과적이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점등발열소자의 고온으로 인해 퍼프부재 내부의 세균 및 미생물 등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세균이나 미생물로 인한 피부 트러블이나 자극 또는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탄력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점등발열소자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점등발열소자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스위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스위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의 스위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퍼프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퍼프 용구는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몸체(10) 내부에 배터리(20)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개방된 하측으로는 별도의 퍼프부재(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퍼프부재(30)를 향해서는 별도의 점등발열소자(53)가 위치하고 있고,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는 별도의 스위치(60)를 통해 상기의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의 단속이 이루어져 점등과 동시에 발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몸체(10)는 상기와 같은 배터리(20)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퍼프부재(30)를 연결하여 고정함에 따라 퍼프 용구를 쥐고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로서의 역할을 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배터리(20)는 점등발열소자(53)에 대하여 충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일반적인 AA형 배터리 또는 AAA형 배터리의 단수 혹은 복수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수은 전지의 적용도 가능할 것이며, 복수의 배터리를 적용하기 위해 별도의 배터리 홀더 혹은 그와 유사한 개체 및 몸체(10)에 대한 일체의 배터리 삽입구에 대한 형성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퍼프부재(30)는 통상적으로 스펀지 재질이 가장 일반적일 것으로 고탄성의 우레탄 혹은 실리콘 재질의 퍼프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고, 원형이나 사각 또는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갖출 수 있을 것이고, 하부가 평평하거나 불룩 혹은 오목한 형태여도 무방하고, 선단의 경우 다양한 절개선 혹은 홈부 등을 형성함에 따라 몸체(10) 혹은 몸체(10)에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나 고정구에 결합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엘이디(LED)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칩 형태의 엘이디 혹은 램프 형태의 엘이디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이들 엘이디에 의한 점등발열소자(53)는 엘이디의 특성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점등과 동시에 자체의 열기의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위치(60) 역시 버튼식 혹은 감압식이나 터치식 혹은 슬라이드 방식의 스위치가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고, 구성 요건에 따라 회전에 의한 접점 방식의 스위치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별도의 회로기판(70)이 필요에 따라 적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가 칩 형태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이들 점등발열소자(53)를 별도의 소자기판(50)에 솔더링하여 이를 하나의 유닛화 된 개체로서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가 엘이디 램프의 형태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이들 엘이디 램프 형태의 점등발열소자(53)를 별도의 회로기판(70)에 연결 형성하여 몸체(10) 등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가 소자기판(50)에 솔더링되어 있는 상태라 할지라도 상기의 소자기판(50)과는 별도로 회로기판(70)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그 회로기판(70)으로부터 상기의 소자기판(50)에 전원이 공급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회로기판(70) 혹은 소자기판(50)에는 배터리(20)의 전원으로부터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가 안정적으로 점등 및 그 점등 열에 의해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전기 및 전자 부품이 집적될 수 있을 것으로, 상기와 같은 점등발열소자(53)에 의한 열기는 퍼프부재(30)에 대한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할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여야 할 것이고, 사용자의 민감한 피부 부위에 열상을 가하지 않을 정도의 온도를 방출하여야 할 것이며, 이와 같은 온도의 조절 및 세팅은 상기의 회로기판(70) 또는 소자기판(50)에 다양한 형태로 집적 혹은 배치 가능한 소자에 의해 기 공지된 기술로서 능히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진동자(300)는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무수한 자체의 떨림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휴대폰의 진동수단으로 적용되거나 상기와 같은 진동 퍼프의 진동 발생수단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는 통상의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스위치(60)를 조작하여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 및 진동자(300)로 인가되게 하면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빛은 퍼프부재(30)를 통과하며 은은하게 비쳐보일 것이고, 점등발열소자(53)의 열기는 퍼프부재(30)로 전달되면서 퍼프부재(30)에 대한 온도 상승이 연출되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은 퍼프부재(30)로 전달되면서, 퍼프 본연의 작용 이외에도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 용구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프 용구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퍼프 용구는 하부가 개방된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내장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10)와 체결하기 위한 제1걸림부(41)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걸림부(41)의 하측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커버체(200)와 결합되기 위한 제2걸림부(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들 몸체(10)와 커버체(200)는 각기 내측에 결합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각기 연결구(40)에 간단하게 체결될 수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회전에 의한 결합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이들 몸체(10)와 연결구(40) 및 커버체(200)에 대한 개별적인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상부에는 별도의 회로기판(70)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회로기판(70)에는 별도의 탄력부재(301)가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력부재(301)의 선단이 회로기판(7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됨에 따라 상호 간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탄력부재(301)는 상기의 회로기판(70)을 상향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한 탄지고정구(30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탄지고정구(302)의 하측에는 회로기판(7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 지지날개(303)가 확장 형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301)의 탄지고정구(302)를 회로기판(7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도면에서는 미도시함)으로 강하게 밀어넣으면 상측의 탄지고정구(302)와 하측의 지지날개(303)에 의해 상,하부가 구속되면서 회로기판(70)에 대하여 탄력부재(301)의 견고한 고정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301)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하측 저면에는 플랜지 형태로 된 끼움부(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끼움부(43)를 통해 별도로 구비된 퍼프부재(3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퍼프부재(30)는 다양한 두께와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퍼프부재(30)의 상측에 끼움홈부 또는 절개홈 등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끼움부(43)에 대하여 퍼프부재(30)의 간편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저면에는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가 솔더링 된 형태의 소자기판(50)을 접착 혹은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부착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소자기판(50)과 배터리(20)는 별도로 구비된 스위치(60)를 통해 상호 전기적인 단속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저면에 대하여 상기의 소자기판(50)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소자기판(50) 상의 점등발열소자(53)는 퍼프부재(30)의 내측에 위치하여 퍼프부재(30)를 향하고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동작시켜 배터리(20)의 전원이 소자기판(50)에 인가되게 하면 소자기판(50) 내의 점등발열소자(53)가 점등하는 동시에 발열을 하게 될 것이므로 점등 빛은 다공질의 퍼프부재(30)를 통과하여 외부에서 마치 퍼프부재(30)가 점등된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은 퍼프부재(30)로 전도되면서 퍼프부재(30) 자체가 온도 상승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탄력부재(301)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탄력부재(301)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탄력부재(301)의 하단은 소자기판(50)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여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탄력부재(301)를 통해 소자기판(50)으로 전달되게 하고 상기 소자기판(50)의 진동력이 퍼프부재(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탄력부재(301)의 하단이 소자기판(50)을 관통하여 퍼프부재(30)에 직접 맞닿게 함에 따라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탄력부재(301)를 통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됨에 따라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2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퍼프 용구는 하부가 개방된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내장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10)와 체결하기 위한 제1걸림부(41)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걸림부(41)의 하측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커버체(200)와 결합되기 위한 제2걸림부(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들 몸체(10)와 커버체(200)는 각기 내측에 결합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각기 연결구(40)에 간단하게 체결될 수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회전에 의한 결합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이들 몸체(10)와 연결구(40) 및 커버체(200)에 대한 개별적인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상부에는 별도의 회로기판(70)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회로기판(70)에는 별도의 탄력부재(301)가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력부재(301)의 선단이 회로기판(7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됨에 따라 상호 간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탄력부재(301)는 상기의 회로기판(70)을 상향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한 탄지고정구(30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탄지고정구(302)의 하측에는 회로기판(7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 지지날개(303)가 확장 형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301)의 탄지고정구(302)를 회로기판(7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도면에서는 미도시함)으로 강하게 밀어넣으면 상측의 탄지고정구(302)와 하측의 지지날개(303)에 의해 상,하부가 구속되면서 회로기판(70)에 대하여 탄력부재(301)의 견고한 고정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301)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하측 저면에는 플랜지 형태로 된 끼움부(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끼움부(43)를 통해 별도로 구비된 퍼프부재(3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퍼프부재(30)는 다양한 두께와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퍼프부재(30)의 상측에 끼움홈부 또는 절개홈 등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끼움부(43)에 대하여 퍼프부재(30)의 간편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가 솔더링 된 형태의 소자기판(50)을 삽입 안치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소자기판(50)과 배터리(20)는 별도로 구비된 스위치(60)를 통해 상호 전기적인 단속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내측으로부터 연결구(40)의 하부를 관통하여 노출된 점등발열소자(53)는 퍼프부재(30)를 향하고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동작시켜 배터리(20)의 전원이 소자기판(50)에 인가되게 하면 소자기판(50) 내의 점등발열소자(53)가 점등하는 동시에 발열을 하게 될 것이므로 점등 빛은 다공질의 퍼프부재(30)를 통과하여 외부에서 마치 퍼프부재(30)가 점등된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은 퍼프부재(30)로 전도되면서 퍼프부재(30) 자체가 온도 상승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탄력부재(301)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탄력부재(301)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탄력부재(301) 하단이 소자기판(50)을 관통하여 퍼프부재(30)에 직접 맞닿게 함에 따라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탄력부재(301)를 통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됨에 따라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3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퍼프 용구는 하부가 개방된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내장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10)와 체결하기 위한 제1걸림부(41)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걸림부(41)의 하측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커버체(200)와 결합되기 위한 제2걸림부(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들 몸체(10)와 커버체(200)는 각기 내측에 결합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각기 연결구(40)에 간단하게 체결될 수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회전에 의한 결합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이들 몸체(10)와 연결구(40) 및 커버체(200)에 대한 개별적인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상부에는 별도의 회로기판(70)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회로기판(70)에는 별도의 탄력부재(301)가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력부재(301)의 선단이 회로기판(7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됨에 따라 상호 간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탄력부재(301)는 상기의 회로기판(70)을 상향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한 탄지고정구(30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탄지고정구(302)의 하측에는 회로기판(7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 지지날개(303)가 확장 형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301)의 탄지고정구(302)를 회로기판(7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도면에서는 미도시함)으로 강하게 밀어넣으면 상측의 탄지고정구(302)와 하측의 지지날개(303)에 의해 상,하부가 구속되면서 회로기판(70)에 대하여 탄력부재(301)의 견고한 고정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301)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하측 저면에는 플랜지 형태로 된 끼움부(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끼움부(43)를 통해 별도로 구비된 퍼프부재(3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퍼프부재(30)는 다양한 두께와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퍼프부재(30)의 상측에 끼움홈부 또는 절개홈 등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끼움부(43)에 대하여 퍼프부재(30)의 간편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끼움부(43)에는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를 고정 형성하여 된 것으로서, 램프 형태로 된 점등발열소자(53)를 연결구(40)의 저면에 대하여 각기 관통하여 삽입 고정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점등발열소자(53)와 배터리(20)는 별도로 구비된 스위치(60)를 통해 상호 전기적인 단속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끼움부(43)에 위치하는 점등발열소자(53)는 퍼프부재(30)를 향하고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동작시켜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되게 하면 점등발열소자(53)가 점등하는 동시에 발열을 하게 될 것이므로 점등 빛은 다공질의 퍼프부재(30)를 통과하여 외부에서 마치 퍼프부재(30)가 점등된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은 퍼프부재(30)로 전도되면서 퍼프부재(30) 자체가 온도 상승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탄력부재(301)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탄력부재(301)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탄력부재(301) 하단이 연결구(40)을 관통하여 퍼프부재(30)에 직접 맞닿게 함에 따라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탄력부재(301)를 통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됨에 따라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4
도 6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퍼프 용구는 하부가 개방된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내장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10)와 체결하기 위한 제1걸림부(41)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걸림부(41)의 하측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커버체(200)와 결합되기 위한 제2걸림부(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들 몸체(10)와 커버체(200)는 각기 내측에 결합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각기 연결구(40)에 간단하게 체결될 수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회전에 의한 결합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이들 몸체(10)와 연결구(40) 및 커버체(200)에 대한 개별적인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상부에는 별도의 회로기판(70)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회로기판(70)에는 별도의 탄력부재(301)가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력부재(301)의 선단이 회로기판(7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됨에 따라 상호 간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탄력부재(301)는 상기의 회로기판(70)을 상향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한 탄지고정구(30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탄지고정구(302)의 하측에는 회로기판(7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 지지날개(303)가 확장 형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301)의 탄지고정구(302)를 회로기판(7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도면에서는 미도시함)으로 강하게 밀어넣으면 상측의 탄지고정구(302)와 하측의 지지날개(303)에 의해 상,하부가 구속되면서 회로기판(70)에 대하여 탄력부재(301)의 견고한 고정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301)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하측 저면에는 플랜지 형태로 된 끼움부(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끼움부(43)를 통해 별도로 구비된 퍼프부재(3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퍼프부재(30)는 다양한 두께와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퍼프부재(30)의 상측에 끼움홈부 또는 절개홈 등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끼움부(43)에 대하여 퍼프부재(30)의 간편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하측 저면에는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를 연결구(40)의 내측으로부터 연결구(40)의 저면이 관통되도록 고정 형성하여 된 것으로서, 램프 형태로 된 점등발열소자(53)를 연결구(40)의 저면에 대하여 각기 관통하여 삽입 고정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점등발열소자(53)와 배터리(20)는 별도로 구비된 스위치(60)를 통해 상호 전기적인 단속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점등발열소자(53)는 퍼프부재(30)를 향하고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동작시켜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되게 하면 점등발열소자(53)가 점등하는 동시에 발열을 하게 될 것이므로 점등 빛은 다공질의 퍼프부재(30)를 통과하여 외부에서 마치 퍼프부재(30)가 점등된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은 퍼프부재(30)로 전도되면서 퍼프부재(30) 자체가 온도 상승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탄력부재(301)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탄력부재(301)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탄력부재(301) 하단이 연결구(40)을 관통하여 퍼프부재(30)에 직접 맞닿게 함에 따라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탄력부재(301)를 통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됨에 따라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5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퍼프 용구는 하부가 개방된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내장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10)와 체결하기 위한 제1걸림부(41)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걸림부(41)의 하측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커버체(200)와 결합되기 위한 제2걸림부(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들 몸체(10)와 커버체(200)는 각기 내측에 결합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각기 연결구(40)에 간단하게 체결될 수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회전에 의한 결합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이들 몸체(10)와 연결구(40) 및 커버체(200)에 대한 개별적인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내측에는 별도의 회로기판(70)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회로기판(70)에는 별도의 탄력부재(301)가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력부재(301)의 선단이 회로기판(7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됨에 따라 상호 간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탄력부재(301)는 상기의 회로기판(70)을 상향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한 탄지고정구(30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탄지고정구(302)의 하측에는 회로기판(7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 지지날개(303)가 확장 형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301)의 탄지고정구(302)를 회로기판(7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도면에서는 미도시함)으로 강하게 밀어넣으면 상측의 탄지고정구(302)와 하측의 지지날개(303)에 의해 상,하부가 구속되면서 회로기판(70)에 대하여 탄력부재(301)의 견고한 고정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301)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하측 저면에는 플랜지 형태로 된 끼움부(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끼움부(43)를 통해 별도로 구비된 퍼프부재(3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퍼프부재(30)는 다양한 두께와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퍼프부재(30)의 상측에 끼움홈부 또는 절개홈 등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끼움부(43)에 대하여 퍼프부재(30)의 간편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저면에는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가 솔더링 된 형태의 소자기판(50)을 접착 혹은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부착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소자기판(50)과 배터리(20)는 별도로 구비된 스위치(60)를 통해 상호 전기적인 단속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구(40)의 저면에 대하여 상기의 소자기판(50)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소자기판(50) 상의 점등발열소자(53)는 퍼프부재(30)의 내측에 위치하여 퍼프부재(30)를 향하고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동작시켜 배터리(20)의 전원이 소자기판(50)에 인가되게 하면 소자기판(50) 내의 점등발열소자(53)가 점등하는 동시에 발열을 하게 될 것이므로 점등 빛은 다공질의 퍼프부재(30)를 통과하여 외부에서 마치 퍼프부재(30)가 점등된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은 퍼프부재(30)로 전도되면서 퍼프부재(30) 자체가 온도 상승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탄력부재(301)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탄력부재(301)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탄력부재(301)의 하단은 소자기판(50)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여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탄력부재(301)를 통해 소자기판(50)으로 전달되게 하여 상기 소자기판(50)의 진동력이 퍼프부재(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6
도 8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하며, 상기의 연결구(40)에는 경질 혹은 연질의 퍼프지지구(8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연결구(40)의 상부에는 회로기판(70)을 고정 형성하고, 상기 퍼프지지구(80)의 하부에는 퍼프부재(30)를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지지구(80)은 선단이 연결구(40)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되, 단단한 경질 합성수지재 보다는 부드럽고 탄성이 강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이 적합한 것으로, 퍼프지지구(80)의 선단이 연결구(40)를 관통하여 확장되도록 한 플랜지의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연결구(40)의 상부에 회로기판(70)을 밀착하여 고정함에 따라 상기 연결구(40)와 퍼프지지구(8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퍼프지지구(80)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퍼프지지구(80)의 하단에는 전기한 퍼프부재(30)를 결합 형성하되, 퍼프지지구(80)의 하단 역시 플랜지와 같이 넓은 형태로 구성하여 그 하단부에 퍼프부재(30)의 상부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의 퍼프지지구(80)의 저면에는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가 솔더링된 형태의 소자기판(50)을 밀착하여 접착 혹은 부착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가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위치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60)와 배터리(20) 및 회로기판(70)과 소자기판(50)을 서로 연결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눌러 작동시키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회로기판(70)을 통해 소자기판(50) 및 점등발열소자(53)로 전달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살균 및 점등과 동시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퍼프지지구(80)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퍼프지지구(80)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퍼프지지구(80)의 하단은 소자기판(50)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여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퍼프지지구(80)를 통해 소자기판(50)으로 전달되게 하여 상기 소자기판(50)의 진동력이 퍼프부재(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부재(30)는 퍼프지지구(8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퍼프지지구(80)가 탄력 유동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화장 각도 및 얼굴의 윤곽선 또는 사용자의 퍼프 파지 각도에 퍼프부재(30)의 각도가 탄력적으로 변경되면서 보다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7
도 9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하며, 상기의 연결구(40)에는 경질 혹은 연질의 퍼프지지구(8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연결구(40)의 상부에는 회로기판(70)을 고정 형성하고, 상기 퍼프지지구(80)의 하부에는 퍼프부재(30)를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지지구(80)은 선단이 연결구(40)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되, 단단한 경질 합성수지재 보다는 부드럽고 탄성이 강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이 적합한 것으로, 퍼프지지구(80)의 선단이 연결구(40)를 관통하여 확장되도록 한 플랜지의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연결구(40)의 상부에 회로기판(70)을 밀착하여 고정함에 따라 상기 연결구(40)와 퍼프지지구(8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퍼프지지구(80)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퍼프지지구(80)의 하단에는 전기한 퍼프부재(3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상부에 합성수지 등에 의해 사출 성형된 별도의 끼움링(31)을 접착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끼움링(31)의 내측으로 퍼프지지구(80)의 하단을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함에 따라 상호 간의 간편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끼움링(31)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퍼프부재(30)의 외경이나 두께를 다양하게 설정 및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최선의 퍼프를 선택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퍼프지지구(80)의 저면에는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가 솔더링된 형태의 소자기판(50)을 밀착하여 접착 혹은 부착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가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위치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60)와 배터리(20) 및 회로기판(70)과 소자기판(50)을 서로 연결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눌러 작동시키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회로기판(70)을 통해 소자기판(50) 및 점등발열소자(53)로 전달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살균 및 점등과 동시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퍼프지지구(80)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퍼프지지구(80)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퍼프지지구(80)의 하단은 소자기판(50)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여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퍼프지지구(80)를 통해 소자기판(50)으로 전달되게 하여 상기 소자기판(50)의 진동력이 퍼프부재(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부재(30)는 퍼프지지구(8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퍼프지지구(80)가 탄력 유동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화장 각도 및 얼굴의 윤곽선 또는 사용자의 퍼프 파지 각도에 퍼프부재(30)의 각도가 탄력적으로 변경되면서 보다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8
도 10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하며, 상기의 연결구(40)에는 경질 혹은 연질의 퍼프지지구(8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연결구(40)의 상부에는 회로기판(70)을 고정 형성하고, 상기 퍼프지지구(80)의 하부에는 퍼프부재(30)를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지지구(80)는 선단이 연결구(40)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되, 단단한 경질 합성수지재 보다는 부드럽고 탄성이 강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이 적합한 것으로, 퍼프지지구(80)의 선단이 연결구(40)를 관통하여 확장되도록 한 플랜지의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연결구(40)의 상부에 회로기판(70)을 밀착하여 고정함에 따라 상기 연결구(40)와 퍼프지지구(8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퍼프지지구(80)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퍼프지지구(80)의 하단에는 전기한 퍼프부재(30)를 결합 형성하되, 퍼프지지구(80)의 하단 역시 플랜지와 같이 넓은 형태로 구성하여 그 하단부에 퍼프부재(30)의 상부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의 퍼프지지구(80)의 저면에는 퍼프지지구(80)의 내측으로 통해 외부로 관통 및 노출되도록 고정 형성한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가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위치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60)와 배터리(20) 및 회로기판(70)과 점등발열소자(53)를 서로 연결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눌러 작동시키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회로기판(70)을 통해 점등발열소자(53)로 전달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살균 및 점등과 동시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퍼프지지구(80)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퍼프지지구(80)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퍼프지지구(80)의 하단은 퍼프부재(3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부재(30)는 퍼프지지구(8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퍼프지지구(80)가 탄력 유동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화장 각도 및 얼굴의 윤곽선 또는 사용자의 퍼프 파지 각도에 퍼프부재(30)의 각도가 탄력적으로 변경되면서 보다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9
도 11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하며, 상기의 연결구(40)에는 경질 혹은 연질의 퍼프지지구(8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연결구(40)의 상부에는 회로기판(70)을 고정 형성하고, 상기 퍼프지지구(80)의 하부에는 퍼프부재(30)를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지지구(80)는 선단이 연결구(40)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되, 단단한 경질 합성수지재 보다는 부드럽고 탄성이 강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이 적합한 것으로, 퍼프지지구(80)의 선단이 연결구(40)를 관통하여 확장되도록 한 플랜지의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연결구(40)의 상부에 회로기판(70)을 밀착하여 고정함에 따라 상기 연결구(40)와 퍼프지지구(8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퍼프지지구(80)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퍼프지지구(80)의 하단에는 전기한 퍼프부재(3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상부에 합성수지 등에 의해 사출 성형된 별도의 끼움링(31)을 접착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끼움링(31)의 내측으로 퍼프지지구(80)의 하단을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함에 따라 상호 간의 간편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끼움링(31)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퍼프부재(30)의 외경이나 두께를 다양하게 설정 및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최선의 퍼프를 선택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지지구(80)의 저면에는 퍼프지지구(80)의 내측으로 통해 외부로 관통 및 노출되도록 고정 형성한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가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위치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60)와 배터리(20) 및 회로기판(70)과 점등발열소자(53)를 서로 연결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눌러 작동시키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회로기판(70)을 통해 점등발열소자(53)로 전달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살균 및 점등과 동시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퍼프지지구(80)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퍼프지지구(80)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퍼프지지구(80)의 하단은 퍼프부재(3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부재(30)는 퍼프지지구(8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퍼프지지구(80)가 탄력 유동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화장 각도 및 얼굴의 윤곽선 또는 사용자의 퍼프 파지 각도에 퍼프부재(30)의 각도가 탄력적으로 변경되면서 보다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10
도 12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하며, 상기의 연결구(40) 상부에는 회로기판(70)을 고정 형성하고, 연결구(40)의 하부에는 별도의 스프링지지구(90)를 고정 형성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스프링지지구(90)의 하부에는 플랜지 형태로 된 별도의 끼움판(91)을 고정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끼움판(91) 저면에는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가 솔더링 된 소자기판(50)을 밀착 형성한 상태에서 별도의 퍼프부재(30)를 상기의 끼움판(91)에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와 같은 끼움판(91)의 상부에는 스프링지지구(9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도 배터리(20)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별도의 진동자(300)를 고정 형성하여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진동자(300)는 상기와 같은 끼움판(91)에 별도의 홀더 형태를 일체로 성형하고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고, 본드나 접착 등에 의한 방법을 통해 끼움판(91)의 상면에 직접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스프링지지구(90)의 선단은 연결구(40)의 저면에 직접 고정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연결구(40)를 관통하여 회로기판(70)에 납땜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실제 제작 단계에서 제조공정상 편의성에 의거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60)와 배터리(20) 및 회로기판(70)과 소자기판(50)을 서로 연결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눌러 작동시키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회로기판(70)을 통해 소자기판(50)으로 전달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살균 및 점등과 동시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스프링지지구(90)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소자기판(50)을 통해 끼움판(91)으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스프링지지구(90) 하단의 끼움판(91)은 소자기판(50)에 밀착되어 있어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의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스프링지지구(90)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판(91)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스프링지지구(90)가 탄력 유동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화장 각도 및 얼굴의 윤곽선 또는 사용자의 퍼프 파지 각도에 퍼프부재(30)의 각도가 탄력적으로 변경되면서 보다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11
도 13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하며, 상기의 연결구(40) 상부에는 회로기판(70)을 고정 형성하고, 연결구(40)의 하부에는 별도의 스프링지지구(90)를 고정 형성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스프링지지구(90)의 하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된 별도의 끼움구(92)을 고정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끼움구(92) 저면에는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가 솔더링 된 소자기판(50)을 밀착 형성한 상태에서 별도의 퍼프부재(30)를 상기의 끼움구(92)에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와 같은 끼움구(92)의 내부에는 스프링지지구(9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도 배터리(20)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별도의 진동자(300)를 고정 형성하여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진동자(300)는 상기와 같은 끼움구(92)에 별도의 홀더 형태를 일체로 성형하고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고, 본드나 접착 등에 의한 방법을 통해 끼움판(91)의 상면에 직접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스프링지지구(90)의 선단은 연결구(40)의 저면에 직접 고정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연결구(40)를 관통하여 회로기판(70)에 납땜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실제 제작 단계에서 제조공정상 편의성에 의거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끼움구(92)의 하부에는 전기한 퍼프부재(3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상부에 합성수지 등에 의해 사출 성형된 별도의 끼움링(31)을 접착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끼움링(31)의 내측으로 끼움구(92)의 하단을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함에 따라 상호 간의 간편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끼움링(31)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퍼프부재(30)의 외경이나 두께를 다양하게 설정 및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최선의 퍼프를 선택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60)와 배터리(20) 및 회로기판(70)과 소자기판(50)을 서로 연결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눌러 작동시키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회로기판(70)을 통해 소자기판(50)으로 전달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살균 및 점등과 동시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스프링지지구(90)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소자기판(50)으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스프링지지구(90) 하단의 끼움판(91)은 소자기판(50)에 밀착되어 있어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의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스프링지지구(90)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구(92)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스프링지지구(90)가 탄력 유동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화장 각도 및 얼굴의 윤곽선 또는 사용자의 퍼프 파지 각도에 퍼프부재(30)의 각도가 탄력적으로 변경되면서 보다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12
도 14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하며, 상기의 연결구(40) 상부에는 회로기판(70)을 고정 형성하고, 연결구(40)의 하부에는 별도의 스프링지지구(90)를 고정 형성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스프링지지구(90)의 하부에는 플랜지 형태로 된 별도의 끼움판(91)을 고정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끼움판(91)에는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를 상부로부터 하향 관통하여 고정 형성한 상태에서 별도의 퍼프부재(30)를 상기의 끼움판(91)에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와 같은 끼움판(91)의 상부에는 스프링지지구(9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도 배터리(20)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별도의 진동자(300)를 고정 형성하여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진동자(300)는 상기와 같은 끼움판(91)에 별도의 홀더 형태를 일체로 성형하고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고, 본드나 접착 등에 의한 방법을 통해 끼움판(91)의 상면에 직접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스프링지지구(90)의 선단은 연결구(40)의 저면에 직접 고정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연결구(40)를 관통하여 회로기판(70)에 납땜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실제 제작 단계에서 제조공정상 편의성에 의거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60)와 배터리(20) 및 회로기판(70)과 점등발열소자(53)를 서로 연결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눌러 작동시키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회로기판(70)을 통해 점등발열소자(53)으로 전달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살균 및 점등과 동시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스프링지지구(90)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끼움판(91)을 통해 퍼프부재(30)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스프링지지구(90) 하단의 끼움판(91)은 퍼프부재(3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스프링지지구(90)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판(91)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스프링지지구(90)가 탄력 유동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화장 각도 및 얼굴의 윤곽선 또는 사용자의 퍼프 파지 각도에 퍼프부재(30)의 각도가 탄력적으로 변경되면서 보다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13
도 15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하며, 상기의 연결구(40) 상부에는 회로기판(70)을 고정 형성하고, 연결구(40)의 하부에는 별도의 스프링지지구(90)를 고정 형성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스프링지지구(90)의 하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된 별도의 끼움구(92)을 고정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끼움구(92) 저면에는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를 상부로부터 하향 관통하여 고정 형성한 상태에서 별도의 퍼프부재(30)를 상기의 끼움구(92)에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와 같은 끼움구(92)의 내부에는 스프링지지구(9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도 배터리(20)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별도의 진동자(300)를 고정 형성하여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진동자(300)는 상기와 같은 끼움구(92)에 별도의 홀더 형태를 일체로 성형하고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고, 본드나 접착 등에 의한 방법을 통해 끼움판(91)의 상면에 직접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스프링지지구(90)의 선단은 연결구(40)의 저면에 직접 고정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연결구(40)를 관통하여 회로기판(70)에 납땜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실제 제작 단계에서 제조공정상 편의성에 의거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끼움구(92)의 하부에는 전기한 퍼프부재(3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상부에 합성수지 등에 의해 사출 성형된 별도의 끼움링(31)을 접착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끼움링(31)의 내측으로 끼움구(92)의 하단을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함에 따라 상호 간의 간편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끼움링(31)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퍼프부재(30)의 외경이나 두께를 다양하게 설정 및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최선의 퍼프를 선택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60)와 배터리(20) 및 회로기판(70)과 소자기판(50)을 서로 연결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눌러 작동시키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회로기판(70)을 통해 점등발열소자(53)로 전달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살균 및 점등과 동시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스프링지지구(90)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끼움구(92)를 통해 퍼프부재(30)에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스프링지지구(90) 하단의 끼움판(91)은 퍼프부재(3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스프링지지구(90)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구(92)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스프링지지구(90)가 탄력 유동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화장 각도 및 얼굴의 윤곽선 또는 사용자의 퍼프 파지 각도에 퍼프부재(30)의 각도가 탄력적으로 변경되면서 보다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14
도 16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 내측에는 별도의 회로기판(70)을 고정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로기판(70)을 이용하여 퍼프부재(30)를 갖는 별도의 퍼프고정구(10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퍼프고정구(100)는 선단에 회로기판(70)과 체결되기 위한 탄지결합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고정플랜지(1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퍼프고정구(100)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회로기판(70)을 몸체에 고정한 후, 상기의 회로기판(70)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공(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으로 연질 탄력재로 된 퍼프고정구(100)의 탄지결합부(101)를 억지로 끼워 조립하게 되면 회로기판(70)에 대한 퍼프고정구(10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퍼프고정구(10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플랜지(102)의 저면에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가 솔더링 된 상태의 소자기판(50)을 부착 혹은 밀착한 상태에서 별도로 구비된 퍼프부재(30)의 선단을 상기의 고정플랜지(102)에 감싸 결합하면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60)와 배터리(20) 및 회로기판(70)과 점등발열소자(53)를 서로 연결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눌러 작동시키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회로기판(70)을 통해 점등발열소자(53)를 갖는 소자기판(50)으로 전달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살균 및 점등과 동시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퍼프고정구(100)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소자기판(50)을 통해 퍼프부재(30)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퍼프고정구(100) 하단의 고정플랜지(102)는 소자기판(50)에 밀착되어 있어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소자기판(50)을 통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의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연질 탄력재로 이루어진 퍼프고정구(1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퍼프고정구(100)가 탄력 유동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화장 각도 및 얼굴의 윤곽선 또는 사용자의 퍼프 파지 각도에 퍼프부재(30)의 각도가 탄력적으로 변경되면서 보다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10) 내부의 배터리(2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몸체(10)로부터 회로기판(70)을 분리하면 배터리(20)의 인출이 가능할 것이므로 상기의 배터리(20)에 대한 간편한 교체 및 회로기판(70)에 대한 재조립을 통해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별도로 구비되는 커버체(200)를 상기의 몸체(10)에 직접 결합 및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퍼프의 구조를 더욱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15
도 17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 내측에는 별도의 회로기판(70)을 고정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로기판(70)을 이용하여 퍼프부재(30)를 갖는 별도의 퍼프고정구(10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퍼프고정구(100)는 선단에 회로기판(70)과 체결되기 위한 탄지결합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가 솔더링되어 있는 소자기판(50)이 부착 혹은 접착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퍼프고정구(100)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퍼프고정구(100)의 하부에는 전기한 퍼프부재(3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상부에 합성수지 등에 의해 사출 성형된 별도의 끼움링(31)을 접착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끼움링(31)의 내측으로 퍼프고정구(100)의 하단을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함에 따라 상호 간의 간편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끼움링(31)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퍼프부재(30)의 외경이나 두께를 다양하게 설정 및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최선의 퍼프를 선택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60)와 배터리(20) 및 회로기판(70)과 소자기판(50)을 서로 연결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눌러 작동시키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회로기판(70)을 통해 점등발열소자(53)을 갖는 소자기판(50)으로 전달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살균 및 점등과 동시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퍼프고정구(100)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퍼프고정구(100) 하단은 소자기판(50)에 밀착되어 있어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소자기판(50)을 통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의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연질 탄력재로 이루어진 퍼프고정구(1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퍼프고정구(100)가 탄력 유동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화장 각도 및 얼굴의 윤곽선 또는 사용자의 퍼프 파지 각도에 퍼프부재(30)의 각도가 탄력적으로 변경되면서 보다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10) 내부의 배터리(2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몸체(10)로부터 회로기판(70)을 분리하면 배터리(20)의 인출이 가능할 것이므로 상기의 배터리(20)에 대한 간편한 교체 및 회로기판(70)에 대한 재조립을 통해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별도로 구비되는 커버체(200)를 상기의 몸체(10)에 직접 결합 및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퍼프의 구조를 더욱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16
도 18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 내측에는 별도의 회로기판(70)을 고정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로기판(70)을 이용하여 퍼프부재(30)를 갖는 별도의 퍼프고정구(10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퍼프고정구(100)는 선단에 회로기판(70)과 체결되기 위한 탄지결합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고정플랜지(1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퍼프고정구(100)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회로기판(70)을 몸체에 고정한 후, 상기의 회로기판(70)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공(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으로 연질 탄력재로 된 퍼프고정구(100)의 탄지결합부(101)를 억지로 끼워 조립하게 되면 회로기판(70)에 대한 퍼프고정구(10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퍼프고정구(100)의 내측으로부터 관통하여 노출되게 하거나 상기의 고정플랜지(102)를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를 고정 형성한 상태에서 별도로 구비된 퍼프부재(30)의 선단을 상기의 고정플랜지(102)에 감싸 결합하면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60)와 배터리(20) 및 회로기판(70)과 점등발열소자(53)를 서로 연결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눌러 작동시키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회로기판(70)을 통해 점등발열소자(53)로 전달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살균 및 점등과 동시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퍼프고정구(100)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하부 고정플랜지(102)를 통해 퍼프부재(30)로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퍼프고정구(100) 하단의 고정플랜지(102)는 퍼프부재(30)에 밀착되어 있어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의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연질 탄력재로 이루어진 퍼프고정구(1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퍼프고정구(100)가 탄력 유동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화장 각도 및 얼굴의 윤곽선 또는 사용자의 퍼프 파지 각도에 퍼프부재(30)의 각도가 탄력적으로 변경되면서 보다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10) 내부의 배터리(2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몸체(10)로부터 회로기판(70)을 분리하면 배터리(20)의 인출이 가능할 것이므로 상기의 배터리(20)에 대한 간편한 교체 및 회로기판(70)에 대한 재조립을 통해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별도로 구비되는 커버체(200)를 상기의 몸체(10)에 직접 결합 및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퍼프의 구조를 더욱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 실시예 17
도 19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하부 내측에는 별도의 회로기판(70)을 고정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로기판(70)을 이용하여 퍼프부재(30)를 갖는 별도의 퍼프고정구(10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퍼프고정구(100)는 선단에 회로기판(70)과 체결되기 위한 탄지결합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퍼프고정구(100)의 하부에는 퍼프고정구(100)의 내측으로부터 하향 관통되게 고정된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퍼프고정구(100)의 내부에는 전기한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3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퍼프고정구(100)의 하부에는 전기한 퍼프부재(3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상부에 합성수지 등에 의해 사출 성형된 별도의 끼움링(31)을 접착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끼움링(31)의 내측으로 퍼프고정구(100)의 하단을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함에 따라 상호 간의 간편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끼움링(31)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퍼프부재(30)의 외경이나 두께를 다양하게 설정 및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최선의 퍼프를 선택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60)와 배터리(20) 및 회로기판(70)과 점등발열소자(53)를 서로 연결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스위치(60)를 눌러 작동시키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회로기판(70)을 통해 점등발열소자(53)로 전달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살균 및 점등과 동시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퍼프고정구(100) 내부의 진동자(300)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진동자(300)에 의하여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떨림은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되면서 결국 상기의 퍼프부재(30)에 대한 무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퍼프고정구(100) 하단은 퍼프부재(30)에 밀착되어 있어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력이 퍼프부재(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의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로 인해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어 퍼프부재(30) 내에 혹은 표면의 세균이나 미생물은 고온의 열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온도 상승된 상태의 퍼프부재(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됨에 따라 더욱 부드럽고 따듯한 상태로의 화장이 밀착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진동자(300)에 의해 무수히 발생하는 진동력으로부터 더욱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퍼프부재(30)는 연질 탄력재로 이루어진 퍼프고정구(1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퍼프고정구(100)가 탄력 유동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화장 각도 및 얼굴의 윤곽선 또는 사용자의 퍼프 파지 각도에 퍼프부재(30)의 각도가 탄력적으로 변경되면서 보다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10) 내부의 배터리(2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몸체(10)로부터 회로기판(70)을 분리하면 배터리(20)의 인출이 가능할 것이므로 상기의 배터리(20)에 대한 간편한 교체 및 회로기판(70)에 대한 재조립을 통해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별도로 구비되는 커버체(200)를 상기의 몸체(10)에 직접 결합 및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퍼프의 구조를 더욱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별도로 구비되는 자외선점등소자(54)를 함께 배치 및 고정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로 인하여 퍼프부재(30) 내의 세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외선점등소자(54)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태로의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에너지로 인해 세균 및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배터리(20)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으로부터 점등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자외선점등소자(54)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점등발열소자(53)의 중앙부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외선점등소자(54)의 용량이나 크기 등은 자외선에 의해 퍼프부재(30) 내의 살균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동일한 카테고리 내에서 다양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퍼프 용구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진일보된 작용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20의 도시와 같이 점등발열소자(53)의 저면 즉, 퍼프부재(30)를 향하고 있는 점등발열소자(53)의 하부에 대하여 별도의 열확산판(51)을 밀착 형성함에 따라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기가 열확산판(51)을 통해 빠르고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열확산판(51)과 접촉하는 퍼프부재(30)가 더욱 빠르고 고르게 온도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의 열확산판(51)은 바람직하게는 박판으로 된 금속소재로서, 예컨데 알루미늄이나 구리 혹은 동과 같은 재질과 같이 열전도율이 우수한 소재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이 별도의 표면 처리가 없어도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소재가 이에 속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열확산판(51)은 타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평평한 박판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점등발열소자(53)와 간섭되는 부분에 대하여 타공이 이루어진 형태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21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에 대하여 상부 즉, 몸체(10)를 향하고 있는 점등발열소자(53)의 일측에는 별도의 열차단판(52)을 부착 형성함에 따라 점등발열소자(53)에 의한 고온의 열기가 불필요하게 몸체(10)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퍼프 용구는 비교적 소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관계로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를 줄여야 그 사용 수명의 연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열차단판(52)의 부착을 통해 점등발열소자(53)의 열기가 온전하게 퍼프부재(30)를 향하도록 함에 따라 열효율의 향상은 물론 배터리(20)의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열차단판(52)은 부직포 혹은 섬유지와 같이 열전도율이 지극히 낮은 재질의 것이 적합할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합성수지재 혹은 금속재 반사 필름 등을 이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점등발열소자(53)에 대하여 퍼프부재(30)를 향하는 일면에는 열확산판(51)을 형성하고 몸체(10)를 향하는 일면에는 열차단판(52)을 적용함에 따라 점등발열소자(53)에 대한 우수한 열확산 작용과 함께 불필요한 열손실로 인해 배터리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터리(20)의 전원을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 혹은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치(60)는 이상적인 위치로서 도 22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중간부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이는 사용자가 상기의 몸체(10)를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상기의 스위치(60)를 손쉽게 조작하여 점등 및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점등 및 발열이 없는 상태로의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도 23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에 내장된 배터리(20)와 연결구(40)이 고정된 회로기판(70)의 사이에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접점 형태의 스위치(60)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몸체(10)와 연결구(40)의 상호 회전 작용을 통해 배터리(20)와 회로기판(70)의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때의 회로기판(70)은 상기와 같은 몸체(1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몸체(10)와 회전 결합이 이루어지는 연결구(40)에 결합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스위치(60)의 일단을 배터리(20)와 연결 고정 형성한 상태에서, 스위치(60)의 타단은 회로기판(70)과 접지되게 한 상태에서, 몸체(10) 혹은 연결구(4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의 배터리(20)와 회로기판(70)을 연결하고 있던 스위치(60)의 이동으로 인해 스위치(60)와 회로기판(70) 상의 접점이 서로 단락되면서 전원이 차단되는 것이고, 계속하여 회전 또는 반대로의 원상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다시 접점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장형 스위치 구조를 갖는 퍼프 용구는 외부로 별도의 스위치가 드러나지 아니하므로 외관이 한결 간결해지면서도 노출형 스위치가 갖는 의도하지 않은 간섭이나 접촉에 의해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특징을 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위치(60)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의 스위치(60)를 도 24의 도시와 같이 연결구(40)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삽입 형성하고, 상기의 스위치(60)는 연결구(40)에 결합되는 커버체(200)와의 간섭으로 인해 작동되도록 함에 따라 본 발명의 퍼프 용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커버체(200)를 분리시키면 스위치(60)가 작동하여 자동으로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것이고, 퍼프 용구의 사용이 종료된 후 커버체(200)를 연결구(40)에 결합하면 스위치(60)가 커버체(200)와의 간섭으로 눌리면서 점등발열소자(53)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체(200)에 의한 스위치(60)의 조작 구조는 사용자가 스위치(60)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물론 스위치(60)가 사용자 조작 이외의 충격이나 간섭 등으로 임의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점등발열소자(53)가 작동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작동표시등(11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인데, 도 25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별도의 작동표시등(110)을 고정 형성하고, 상기의 작동표시등(110)은 점등발열소자(53)와 함께 전원이 인가 또는 차단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퍼프 용구의 사용으로 인해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공급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의 작동표시등(110)이 점등하여 발열 및 살균 상태임을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표시등(110)은 배터리(20)의 완전 소진으로 인해 점등발열소자(53)의 작동이 불능인 경우 상기의 작동표시등(110)이 점등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배터리(20)의 교체 시기를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겸하게 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작동표시등(110)의 점등 색을 이용하여 배터리(20)의 잔량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어 사용자가 작동표시등(110)의 색상을 보고 배터리(20)의 교환시기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의 작동표시등(110)을 이용하여 점등발열소자(53)에 의한 퍼프부재(30)의 예열 중인 상태 또는 예열이 종료된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별도의 스위치(60)를 조작하여 상기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상기의 작동표시등(110)이 대략 15초가량 점멸되면서 예열중임을 표시하도록 하고, 예열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지속적인 점등이 이루어지면서 사용이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대략 3분 가량의 점등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자동으로 작동표시등(110)이 소등되면서 자동으로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로 공급되지 않게 함에 따라 과도한 전원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점등발열소자(53)에 의한 고온의 열기를 퍼프부재(30)로 전달되게 함에 있어 점등발열소자(53)에 의한 고온의 열기로 인해 자칫 불필요한 과열이 발생하는 것이나 스위치의 불필요한 조작으로 인해 배터리(20)의 방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6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타이머(71)를 내장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타이머(71)는 물리적인 수단으로서 몸체(10)의 내부에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고 회로적인 구성을 통해 회로기판(70)에 적용함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만 점등발열소자(53)에 대한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점등발열소자(53)에 대한 전원의 단속이 일정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한함에 따라 과열 및 배터리의 과도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몸체
20 : 배터리
30 : 퍼프부재 31 : 끼움링
40 : 연결구 41 : 제1걸림부
42 : 제2걸림부 43 : 끼움부
50 : 소자기판 51 : 열확산판
52 : 열차단판 53 : 점등발열소자
54 : 자외선점등소자
60 : 스위치
70 : 회로기판 71 : 타이머
80 : 퍼프지지구
90 : 스프링지지구 91 : 끼움판
92 : 끼움구
100 : 퍼프고정구 101 : 탄지결합부
102 : 고정플랜지
110 : 작동표시등
200 : 커버체
300 : 진동자 301 : 탄력부재
302 : 탄지고정구 303 : 지지날개

Claims (36)

  1.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별도의 퍼프부재(30)를 갖는 연결구(40)가 결합되며, 상기 퍼프부재(30)를 향해서는 별도의 점등발열소자(53)가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구(40)에는 스위치(60)를 갖는 별도의 회로기판(70)이 고정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70)에는 진동자(300)가 삽입된 탄력부재(301)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와 진동자(300)에 인가되면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점등발열소자(53)의 열기를 전달받아 온도 상승하며 진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2. 제 1항에 있어서,
    점등발열소자(53)는 별도의 소자기판(50)에 부착 형성되어, 상기의 소자기판(50)이 연결구(40)의 저면에 밀착되게 구성함에 따라, 점등발열소자(53)가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3. 제 2항에 있어서,
    소자기판(50)의 중앙으로는 탄력부재(301)가 하향 관통되어 상기의 탄력부재(301)가 퍼프부재(30)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을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4. 제 1항에 있어서,
    점등발열소자(53)는 별도의 소자기판(50)에 부착 형성되어, 상기의 소자기판(50)이 연결구(40)의 내면에 고정되게 구성하되,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가 연결구(40)를 관통하여 퍼프부재(30)를 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5. 제 4항에 있어서,
    소자기판(50)의 중앙으로는 탄력부재(301)가 하향 관통되어 상기의 탄력부재(301)가 퍼프부재(30)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을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6. 제 1항에 있어서,
    점등발열소자(53)는 연결구(40)의 내면으로부터 외향 관통되도록 고정 형성하여, 연결구(40)를 관통하여 노출된 점등발열소자(53)가 퍼프부재(30)를 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7.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40)는, 외면에 몸체(10)와 결합 고정되기 위한 제1걸림부(41)와 별도의 커버체(200)가 결합 고정되기 위한 제2걸림부(42)가 상,하로 형성되고, 제2걸림부(42)의 하측으로는 퍼프부재(30)를 결합하기 위한 끼움부(43)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8. 제 1항에 있어서,
    탄력부재(301)는 선단에 회로기판(70)을 관통하여 체결되기 위한 탄지고정구(302)가 형성되고, 탄지고정구(302)의 하측으로는 회로기판(70)의 저면에 밀착되는 지지날개(303)가 돌출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9.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별도의 퍼프부재(30)를 갖는 연결구(40)가 결합되며, 상기 퍼프부재(30)를 향해서는 별도의 점등발열소자(53)가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몸체(10)에는 스위치(60)를 갖는 별도의 회로기판(70)이 고정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70)에는 진동자(300)가 삽입된 탄력부재(301)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와 진동자(300)에 인가되면 상기의 퍼프부재(30)가 점등발열소자(53)의 열기를 전달받아 온도 상승하며 진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10. 제 9항에 있어서,
    점등발열소자(53)는 별도의 소자기판(50)에 부착 형성되어, 상기의 소자기판(50)이 연결구(40)의 저면에 밀착되게 구성함에 따라, 점등발열소자(53)가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11. 제 10항에 있어서,
    소자기판(50)의 중앙으로는 탄력부재(301)가 하향 관통되어 상기의 탄력부재(301)가 퍼프부재(30)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을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12. 제 9항에 있어서,
    점등발열소자(53)는 별도의 소자기판(50)에 부착 형성되어, 상기의 소자기판(50)이 연결구(40)의 내면에 고정되게 구성하되, 상기의 점등발열소자(53)가 연결구(40)를 관통하여 퍼프부재(30)를 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13. 제 12항에 있어서,
    소자기판(50)의 중앙으로는 탄력부재(301)가 하향 관통되어 상기의 탄력부재(301)가 퍼프부재(30)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을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14. 제 9항에 있어서,
    점등발열소자(53)는 연결구(40)의 내면으로부터 외향 관통되도록 고정 형성하여, 연결구(40)를 관통하여 노출된 점등발열소자(53)가 퍼프부재(30)를 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15. 제 9항에 있어서,
    연결구(40)는, 외면에 몸체(10)와 결합 고정되기 위한 제1걸림부(41)와 별도의 커버체(200)가 결합 고정되기 위한 제2걸림부(42)가 상,하로 형성되고, 제2걸림부(42)의 하측으로는 퍼프부재(30)를 결합하기 위한 끼움부(43)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16.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스위치(60)를 갖는 회로기판(70)이 결합된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40)에는 퍼프부재(30)가 결합된 별도의 퍼프지지구(80)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퍼프지지구(80)의 저면에는 점등발열소자(53)를 갖는 소자기판(50)을 부착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6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로 인해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퍼프지지구(80)의 선단은 연결구(40)를 관통하여 연결구(40)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회로기판(70)에 의해 가압 고정되게 하고, 퍼프지지구(80)의 하단에는 퍼프부재(30)의 선단이 결합됨에 따라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점등발열소자(53)가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퍼프지지구(8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인가받는 진동자(300)를 삽입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17.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스위치(60)를 갖는 회로기판(70)이 결합된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40)에는 퍼프부재(30)가 결합된 별도의 퍼프지지구(80)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퍼프지지구(80)의 저면에는 점등발열소자(53)를 갖는 소자기판(50)을 부착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6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로 인해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퍼프지지구(80)의 선단은 연결구(40)를 관통하여 연결구(40)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회로기판(70)에 의해 가압 고정되게 하고, 퍼프지지구(8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진동자(300)를 삽입 형성하며, 퍼프부재(30)의 상부에는 퍼프지지구(80)의 하단이 삽입되게 한 끼움링(31)을 고정 형성하여, 상기 퍼프지지구(80)의 하단에 퍼프부재(30)의 끼움링(31)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점등발열소자(53)가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18.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스위치(60)를 갖는 회로기판(70)이 결합된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40)에는 퍼프부재(30)가 결합된 별도의 퍼프지지구(80)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퍼프지지구(80)의 하부에는 퍼프지지구(80)의 내측으로부터 외향 관통하여 고정된 점등발열소자(53)를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6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로 인해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퍼프지지구(80)의 선단은 연결구(40)를 관통하여 연결구(40)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회로기판(70)에 의해 가압 고정되게 하고, 퍼프지지구(80)의 하단에는 퍼프부재(30)의 선단이 결합됨에 따라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점등발열소자(53)가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퍼프지지구(8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인가받는 진동자(300)를 삽입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19.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스위치(60)를 갖는 회로기판(70)이 결합된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40)에는 퍼프부재(30)가 결합된 별도의 퍼프지지구(80)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퍼프지지구(80)의 하부에는 퍼프지지구(80)의 내측으로부터 외향 관통하여 고정된 점등발열소자(53)를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6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로 인해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퍼프지지구(80)의 선단은 연결구(40)를 관통하여 연결구(40)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회로기판(70)에 의해 가압 고정되게 하고, 퍼프지지구(8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진동자(300)를 삽입 형성하며, 퍼프부재(30)의 상부에는 퍼프지지구(80)의 하단이 삽입되게 한 끼움링(31)을 고정 형성하여, 상기 퍼프지지구(80)의 하단에 퍼프부재(30)의 끼움링(31)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점등발열소자(53)가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20.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스위치(60)를 갖는 회로기판(70)이 결합된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40)에는 하부에 형성된 끼움판(91)에 퍼프부재(30)가 결합된 별도의 스프링지지구(90)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지지구(90)의 끼움판(91) 저면에는 점등발열소자(53)를 갖는 소자기판(50)을 부착 형성하되,
    상기 끼움판(91)의 상부에는 스프링지지구(9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인가받는 진동자(300)를 고정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6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 및 진동자(300)에 인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로 인한 퍼프부재(30)의 온도 상승과 동시에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21.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스위치(60)를 갖는 회로기판(70)이 결합된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40)에는 하부에 형성된 끼움구(92)에 퍼프부재(30)가 결합된 별도의 스프링지지구(90)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지지구(90)의 끼움구(92) 저면에는 점등발열소자(53)를 갖는 소자기판(50)을 부착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6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로 인해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끼움구(92)의 내측 상부에는 스프링지지구(9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인가받는 진동자(300)를 고정 형성하고, 상기 퍼프부재(30)의 상부에는 끼움구(92)가 삽입 고정되게 한 별도의 끼움링(31)을 고정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지지구(90)의 끼움구(92) 하단에 퍼프부재(30)의 끼움링(31)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점등발열소자(53)가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22.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스위치(60)를 갖는 회로기판(70)이 결합된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40)에는 하부에 형성된 끼움판(91)에 퍼프부재(30)가 결합된 별도의 스프링지지구(90)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지지구(90)의 끼움판(91)에는 별도의 점등발열소자(53)가 끼움판(91)를 관통하여 퍼프부재(30)를 향하도록 고정 형성하되,
    상기 끼움판(91)의 상부에는 스프링지지구(9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인가받는 진동자(300)를 고정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6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 및 진동자(300)에 인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로 인해 퍼프부재(30)의 온도 상승 및 진동자(300)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23. 몸체(10)의 내부에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스위치(60)를 갖는 회로기판(70)이 결합된 별도의 연결구(4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40)에는 하부에 형성된 끼움구(92)에 퍼프부재(30)가 결합된 별도의 스프링지지구(90)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지지구(90)의 끼움구(92)에는 별도의 점등발열소자(53)가 끼움구(92)를 관통하여 퍼프부재(30)를 향하도록 고정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6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로 인해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끼움구(92)의 내측 상부에는 스프링지지구(9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회로기판(70)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인가받는 진동자(300)를 고정 형성하고, 상기 퍼프부재(30)의 상부에는 끼움구(92)가 삽입 고정되게 한 끼움링(31)을 고정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24. 몸체(10)의 내부에 스위치(60)를 갖는 회로기판(70)과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회로기판(70)에는 퍼프부재(30)가 결합된 별도의 퍼프고정구(100)가 고정되며, 상기 퍼프고정구(100)의 하측에는 점등발열소자(53)를 갖는 소자기판(50)을 부착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6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로 인해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도록 구성하되,
    퍼프고정구(100)는 선단에 회로기판(70)과 고정되게 한 탄지결합부(101)를 형성하고 퍼프고정구(100)의 하단에는 퍼프부재(30)의 선단이 삽입 고정되게 한 고정플랜지(102)를 형성하며, 퍼프고정구(10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70)으로부터 배터리(20)의 전원을 인가받는 진동자(30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 고정플랜지(102)의 저면에는 점등발열소자(53)가 퍼프부재(30)를 향하도록 소자기판(50)을 부착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25. 몸체(10)의 내부에 스위치(60)를 갖는 회로기판(70)과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회로기판(70)에는 퍼프부재(30)가 결합된 별도의 퍼프고정구(100)가 고정되며, 상기 퍼프고정구(100)의 하측에는 점등발열소자(53)를 갖는 소자기판(50)을 부착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6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로 인해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도록 구성하되,
    퍼프고정구(100)는 선단에 회로기판(70)과 고정되게 한 탄지결합부(101)를 형성하고, 퍼프부재(30)는 상부에 퍼프고정구(100)의 하단이 삽입되게 한 끼움링(31)을 고정 형성하며, 상기 퍼프고정구(10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70)으로부터 배터리(20)의 전원을 인가받는 진동자(300)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퍼프고정구(100)의 하단에 퍼프부재(30)의 끼움링(31)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점등발열소자(53)가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26. 몸체(10)의 내부에 스위치(60)를 갖는 회로기판(70)과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회로기판(70)에는 퍼프부재(30)가 결합된 별도의 퍼프고정구(100)가 고정되며, 상기 퍼프고정구(100)의 하측에는 별도의 점등발열소자(53)를 퍼프고정구(100)의 내측으로부터 외향 관통되도록 고정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6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로 인해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도록 구성하되,
    퍼프고정구(100)는 선단에 회로기판(70)과 고정되게 한 탄지결합부(101)를 형성하고 퍼프고정구(100)의 하단에는 퍼프부재(30)의 선단이 삽입 고정되게 한 고정플랜지(102)를 형성하며, 상기 퍼프고정구(10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70)으로부터 배터리(20)의 전원을 인가받는 진동자(300)를 삽입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27. 몸체(10)의 내부에 스위치(60)를 갖는 회로기판(70)과 배터리(20)가 삽입되고, 상기 회로기판(70)에는 퍼프부재(30)가 결합된 별도의 퍼프고정구(100)가 고정되며, 상기 퍼프고정구(100)의 하측에는 점등발열소자(53)를 퍼프고정구(100)의 내측으로부터 외향 관통되도록 고정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6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점등발열소자(53)에 인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점등발열소자(53)의 점등 열로 인해 퍼프부재(30)가 온도 상승되도록 구성하되,
    퍼프고정구(100)는 선단에 회로기판(70)과 고정되게 한 탄지결합부(101)를 형성하고, 퍼프부재(30)는 상부에 퍼프고정구(100)의 하단이 삽입되게 한 끼움링(31)을 고정 형성하며, 상기 퍼프고정구(10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70)으로부터 배터리(20)의 전원을 인가받는 진동자(300)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퍼프고정구(100)의 하단에 퍼프부재(30)의 상기의 끼움링(31)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퍼프부재(30)를 향하여 점등발열소자(53)가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28. 제 1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등발열소자(53)는 별도의 자외선점등소자(54)와 함께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29. 제 1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퍼프부재(30)를 향하는 점등발열소자(53)의 하측에는 별도의 열확산판(51)을 더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30. 제 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등발열소자(53)의 상측에는 별도의 열차단판(52)을 더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31. 제 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퍼프부재(30)를 향하는 점등발열소자(53)의 하측에는 열확산판(51)을 더 형성하고, 점등발열소자(53)의 상측에는 열차단판(52)을 더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32. 제 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위치(60)는 몸체(10)의 측부로 노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33. 제 1항 내지 제8항과 제1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위치(60)는 몸체(10) 내부의 배터리(20)와 연결구(40) 내부의 회로기판(70) 간에 탄력 형성되게 하되, 상기 몸체(10)와 연결구(40)의 상호 회전에 따라 스위치(60)에 의한 배터리(20)와 회로기판(70) 간의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34. 제 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위치(60)는 별도의 커버체(200)가 결합되기 위한 연결구(40)의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 형성함에 따라, 상기 커버체(200)와 연결구(40)의 결합에 따라 점등발열소자(53)의 전원에 대한 단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35. 제 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10)에는 점등발열소자(53)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점등되게 한 작동표시등(110)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36. 제 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등발열소자(53)에는 점등발열소자(53)의 작동시단을 제어하는 타이머(71)가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KR1020120127126A 2012-11-12 2012-11-12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KR101221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126A KR101221478B1 (ko) 2012-11-12 2012-11-12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126A KR101221478B1 (ko) 2012-11-12 2012-11-12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478B1 true KR101221478B1 (ko) 2013-01-14

Family

ID=4784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126A KR101221478B1 (ko) 2012-11-12 2012-11-12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4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800B1 (ko) * 2013-05-15 2014-11-04 이석우 화장품 용기
CN105533992A (zh) * 2016-01-28 2016-05-04 邢皓宇 一种粉扑器
WO2017128208A1 (zh) * 2016-01-28 2017-08-03 邢皓宇 一种粉扑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550Y1 (ko) 2006-09-18 2006-12-11 (주)아모레퍼시픽 발열퍼프
KR101106788B1 (ko) 2011-10-31 2012-01-1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부재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진동퍼프장치
KR101177093B1 (ko) 2012-04-17 2012-08-24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KR101194121B1 (ko) 2010-03-16 2012-10-24 황원우 발열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550Y1 (ko) 2006-09-18 2006-12-11 (주)아모레퍼시픽 발열퍼프
KR101194121B1 (ko) 2010-03-16 2012-10-24 황원우 발열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KR101106788B1 (ko) 2011-10-31 2012-01-1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부재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진동퍼프장치
KR101177093B1 (ko) 2012-04-17 2012-08-24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800B1 (ko) * 2013-05-15 2014-11-04 이석우 화장품 용기
CN105533992A (zh) * 2016-01-28 2016-05-04 邢皓宇 一种粉扑器
WO2017128208A1 (zh) * 2016-01-28 2017-08-03 邢皓宇 一种粉扑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2065B (zh) 多功能護膚美容儀
KR101221480B1 (ko)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퍼프 용구
US8257416B2 (en) Therapeutic devices and methods for applying therapy
US20130253458A1 (en) Sperm collector with squeezing function
CN109549831B (zh) 具有美容配件的多功能美容仪
KR101221478B1 (ko)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KR101242643B1 (ko) 발열수단을 갖는 진동 퍼프
JP2018518260A (ja) 低電力usbによって電源供給されるワックス加温器
KR101194121B1 (ko) 발열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KR102118572B1 (ko) 살균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화장용 퍼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101434634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KR101241995B1 (ko) 발열수단을 갖는 퍼프 용구
CN208641015U (zh) 一种脸部按摩仪
CN209770842U (zh) 具有美容配件的多功能美容仪
US20040181255A1 (en) Disposable tweezers with built-in illumination source for personal hygiene, cosmetic and medical applications
JP5739049B2 (ja) 美容器具
JP5739050B2 (ja) 美容器具
KR101307889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JP3119513U (ja) 携帯式光子照射装置
JP5925520B2 (ja) 美容器具
JP2004057453A (ja) 生体刺激用導子
JP5893446B2 (ja) 美容器具
CN209019493U (zh) 牙刷消毒器
RU2811650C9 (ru)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и способы применения
RU2811650C2 (ru)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и способы примен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