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093B1 -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 Google Patents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093B1
KR101177093B1 KR1020120039774A KR20120039774A KR101177093B1 KR 101177093 B1 KR101177093 B1 KR 101177093B1 KR 1020120039774 A KR1020120039774 A KR 1020120039774A KR 20120039774 A KR20120039774 A KR 20120039774A KR 101177093 B1 KR101177093 B1 KR 101177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switch
vibrator
batter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Priority to KR1020120039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나 파운데이션 같은 색조화장품을 피부에 고르게 펴서 밀착감있게 바를 수 있도록 한 진동퍼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퍼프본체에는 별도의 작동몸체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작동몸체의 하부에는 탄발스프링의 선단을 고정하며, 상기 탄발스프링의 하단에는 퍼프부재가 결합되는 연결구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의 내부에는 진동자가 고정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퍼프부재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가압시 진동자를 포함한 연결구가 상승하며 스위치가 작동되게 함에 따라 상기의 퍼프부재 및 진동자에 대한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양손을 사용하여 외부의 버튼 스위치나 회전식 접점 스위치를 작동하지 않고 진동퍼프의 퍼프부재를 피부에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진동퍼프가 작동하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고, 진동퍼프의 외부로 스위치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부로부터의 불필요한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진동퍼프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노출 스위치가 작동하여 발생하는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가 없는 것이며, 외부로 드러나는 스위치가 없으므로 더욱 미려하고 간결하면서도 고급스러운 외장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Vibration puff}
본 발명은 콤팩트나 파운데이션 같은 색조화장품을 피부에 고르게 펴서 밀착감있게 바를 수 있도록 한 진동퍼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퍼프본체에 결합된 작동본체를 통해 탄발스프링과 결합된 퍼프브재를 피부 등에 가압 터치하는 동작으로도 퍼프부재와 연결된 진동자가 작동되도록 함에 따라 진동퍼프에 대한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동시에 더욱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진동퍼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의 잡티나 기미 등을 자연스럽게 가리거나 깨끗하고 화사한 피부 또는 맑고 보송거리는 피부를 갖고자 할 때 파운데이션이나 스킨커버 또는 트윈케익과 같은 화장용 파우더(이하, 화장품이라 한다)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의 화장품은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발라야 함은 물론 감성적 사용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터치하여 화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화장용 퍼프이다.
상기의 화장품을 취하는 화장용 퍼프는 일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밴드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화장품을 취한 면을 화장부위에 대고 가볍게 두드리면서 화장품을 펴 바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형태의 퍼프가 있고, 퍼프를 자동으로 두드리면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된 진동퍼프가 있다.
상기의 퍼프 중 손가락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퍼프는 인위적인 힘으로 퍼프를 피부에 두드리면서 화장을 하는 것이어서 화장을 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을 자주하지 않거나 화장이 서툰 사람은 두드리는 힘이 일정하지 못하여 화장이 들뜨는 경우가 있으며 손으로 두드리는 속도에 한계가 있어 신속하게 화장을 할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내부에 배터리와 스위치가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및 스위치와 연결된 진동자가 내재된 퍼프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진동퍼프가 안출되어 상기와 같은 진동퍼프로부터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진동퍼프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를 작동시켜 내부의 진동자가 작동을 하게 되면 상기 진동자의 진동이 퍼프부재에 전달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인위적인 힘으로 퍼프를 피부에 터치하지 않더라고 빠르고 고른 상태로의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어 소비자로부터 매우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동퍼프는 내부의 진동자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구조가 버튼식 또는 슬라이드 또는 회전식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버튼식 스위치 구조를 갖고 있는 진동퍼프는 진동퍼프의 몸체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을 가압함에 따라 내장된 스위치가 작동하여 진동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슬라이드 스위치 구조를 갖고 있는 진동퍼프는 진동퍼프의 몸체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드 스위치를 작동시켜 진동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식 스위치 구조는 몸체와 연결부재를 각기 구분 형성한 후 이들의 결합 및 상호 간의 회전을 통해 내부의 접점이 단락되도록 함에 따라 진동자에 대한 전원의 단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버튼식 또는 회전식 스위치 구조를 갖고 있는 종래의 진동퍼프에 있어, 버튼식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 구조의 진동퍼프는 전원을 단속 또는 진동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가 반드시 몸체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어야 하는 당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양손을 동시에 사용하여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고, 외관상으로도 상기의 전원버튼으로 인해 미려한 디자인적 개념의 설계에 많은 제약이 뒤따르는 동시에 돌출된 전원버튼이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눌려 불필요한 작동은 물론 배터리의 소모로 인해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매우 큰 것이다.
또한, 회전식 스위치 구조를 갖고 있는 진동퍼프 역시 반드시 양손을 다 사용하여야 전원의 공급이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고, 회전식 접점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몸체와 연결체를 반드시 독립적으로 구성한 후 이들을 회전 가능한 구조로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진동퍼프가 길어지거나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의도하지 않은 회전으로 인해 불필요한 작동 및 배터리의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퍼프본체에는 별도의 작동몸체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작동몸체의 하부에는 탄발스프링의 선단을 고정하며, 상기 탄발스프링의 하단에는 퍼프부재가 결합되는 연결구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의 내부에는 진동자가 고정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퍼프부재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가압시 진동자를 포함한 연결구가 상승하며 스위치가 작동되게 함에 따라 상기의 퍼프부재 및 진동자에 대한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피부에 퍼프부재를 대고 가압하기만 하면 진동퍼프가 작동하므로 진동퍼프에 대한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동시에 불필요한 배터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외부로 별도의 스위치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관이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특징이 있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퍼프본체에는 작동본체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작동본체에는 별도의 탄발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탄발스프링에는 진동자가 내재된 별도의 연결구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에는 별도의 퍼프부재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퍼프본체와 작동본체에는 배터리와 스위치가 내장되게 하여 퍼프부재에 작용하는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연결구가 상승하며 상기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진동자가 자동으로 작동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양손을 사용하여 외부의 버튼 스위치나 회전식 접점 스위치를 작동하지 않고 진동퍼프의 퍼프부재를 피부에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진동퍼프가 작동하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고, 진동퍼프의 외부로 스위치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부로부터의 불필요한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진동퍼프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노출 스위치가 작동하여 발생하는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가 없는 것이며, 외부로 드러나는 스위치가 없으므로 더욱 미려하고 간결하면서도 고급스러운 외장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전체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는, 손잡이 역할을 하면서도 배터리 및 스위치 등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퍼프본체(10)와, 상기 퍼프본체(10)에 결합되는 작동본체(20)와, 상기 작동본체(20)에 결합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진동자(40)의 진폭을 확대시키기 위한 탄발스프링(30)과, 상기 탄발스프링(30)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구(50)와, 상기 연결구(50)에 결합되어 피부에 대고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퍼프부재(60)와, 필요에 따라 퍼프본체(10)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되는 커버(10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퍼프본체(10)의 하부에 작동본체(2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퍼프본체(10)와 작동본체(20)의 내부에는 배터리(70)와 스위치(8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의 작동본체(20)의 하측으로 탄발스프링(30)의 선단을 결합 형성하며, 탄발스프링(30)의 하단에는 퍼프부재(60)가 교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연결구(5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연결구(50) 내부에는 진동자(40)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스위치(80)는 상기와 같은 진동자(4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진동퍼프를 사용하기 위해 퍼프부재(60)를 피부에 밀착시켜 가압하는 경우 상기의 압력은 탄발스프링(30)으로 전달될 것이고 탄발스프링(30)이 압축되면서 연결구(50)가 상승력을 받게 되면서 연결구(5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진동자(40)의 선단이 상측의 스위치(80)와 접촉하면서 스위치(80)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스위치(80)가 작동됨에 따라 배터리(70)의 전원이 상기 진동자(40)로 인가되므로 진동자(40)의 진동으로부터 연결구(50)를 포함한 퍼프부재(60)의 무수한 떨림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스위치(80)는 터치시마다 진동자(40)의 전원이 단속 형태로 작동되게 회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스위치(80)의 터치시 정해진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진동자(40)에 전원이 공급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회로 구성 및 프로그래밍에 의해 진동자(40)가 간헐 작동되게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된 퍼프본체(10)의 내면 하단에 확장 내경 형태로 된 안치턱(11)을 형성하고, 상기 안치턱(11)의 내면으로는 조립돌기(12)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퍼프본체(10)에 결합되는 작동본체(20)의 외면에는 "ㄴ"자 형태로 된 조립홈부(22)를 형성하여 상기의 작동본체(20)가 퍼프본체(10)의 안치턱(11)으로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퍼프본체(10)와 작동본체(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의 조립돌기(12)가 조립홈부(22)로 삽입 및 계지되면서 상호 간의 견고한 결합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본체(20)의 저면에는 탄발스프링(30)의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21)를 하향 돌출 형성하여, 탄발스프링(30)의 선단이 상기의 걸림돌기(21)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작동본체(20)의 중앙부에는 관통의 통공(23)을 형성하여 작동본체(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스위치(80)가 상기 통공(23)을 통해 하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탄발스프링(30)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구(5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원형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탄발스프링(30)의 하단이 탄력적으로 결합 계지될 수 있도록 한 결합돌기(51)를 돌출 형성한 것이고, 탄발스프링(30)의 내측에 별도의 진동자(4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연결구(50)의 내측에는 일체 성형의 진동자끼움부(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자끼움부(52)에 진동자(40)를 삽입한 상태에서 작동본체(20)와 연결구(50)에 대하여 탄발스프링(30)의 선단 및 하단을 각기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진동자(40)와 스위치(80)는 서로 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일 것이고, 상기 스위치(80)와 배터리(70) 역시 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기의 배터리(70)는 작동본체(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수용부(7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연결구(50)에 퍼프부재(60)를 결합 형성한 상태에서 화장을 하기 위해 퍼프부재(60)를 얼굴 등의 피부에 대고 지긋이 가압하게 되면 가압력에 의해 퍼프부재(60) 및 연결구(50)가 탄발스프링(30)을 압축하며 퍼프본체(10)를 향하여 상승하게 될 것이고, 연결구(50)가 상승함에 따라 연결구(50) 내의 진동자(40) 선단이 스위치(80)와 접촉되면서 스위치(80)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진동자(40)는 전기적인 회로 구성에 의해 스위치(80)를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버튼식 또는 접점식 스위치(80)를 눌러 작동되게 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스위치(80)의 작동에 의해 배터리(70)의 전원이 진동자(40)로 인가되면서 진동자(40)의 무수한 진동이 연결구(50)를 통해 퍼프부재(60)에 전달되면서 진동에 의해 효과적인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퍼프본체(10)의 내면 하단에는 확장 내경 형태로 된 승강홈(13)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홈(13)의 하단에는 내향 돌출된 결합턱(14)을 형성하되, 상기 승강홈(13)의 높이는 작동본체(20)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하여, 상기 승강홈(13)의 내측으로 작동본체(20)를 억지끼움 형태로 삽입하면 상기의 작동본체(20)는 결합턱(14)에 의해 외부로 분리되지는 않으면서도 승강홈(13)의 내부로부터 상,하 승강이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퍼프본체(10)와 작동본체(20)의 사이에 작동스프링(90)을 삽입하여 상기의 작동본체(20)가 작동스프링(90)의 반력에 의해 탄력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작동본체(20)에 결합된 탄발스프링(30)에 퍼프부재(60)의 가압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의 작동본체(20)가 작동스프링(90)을 압축시키면서 상승될 것이고, 작동본체(20)의 상승에 따라 작동본체(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스위치(80)가 눌려지면서 배터리(70)의 전원이 진동자(40)에 인가되게 하는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의 스위치(80)와 배터리(70)는 필요에 따라 혹은 디자인의 변경과 다양성을 위해 퍼프본체(10) 혹은 작동본체(2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인데, 도 5의 도시와 같이 작동본체(20)의 저면에 스위치(80)를 직접 고정 형성하여 상승되는 진동자(40)에 의해 스위치(80)가 눌려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70)가 삽입되는 배터리수용부(71)는 작동본체(20)의 상부면에 형성하여 퍼프본체(10)에 의해 은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의 도시와 같이 스위치(80)를 작동본체(20)의 상부면에 고정 형성하여 통공(23)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게 하고, 배터리수용부(71)는 퍼프본체(10)의 내측 선단에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도 8의 도시와 같이 스위치(80)는 작동본체(20)의 저면에 형성하고 배터리수용부(71)는 퍼프본체(10)의 내측 선단에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의 도시와 같이 작동본체(20)의 상부에 배터리수용부(71)를 형성하되, 상기 배터리수용부(71)가 형성된 작동본체(20)에는 수직 관통의 배터리끼움공(72)을 형성하여 상기 작동본체(20)의 저면으로부터 배터리끼움공(72)을 통해 배터리(7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의 실시예는 상기 작동본체(20)를 퍼프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아도 배터리(70)의 교환이 가능한 구조로서 배터리(70)의 전원에 의해 진동자(40)가 작동되게 하는 본 발명의 진동퍼프는 배터리(70)의 소모시 교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배터리끼움공(72)을 형성함에 따라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배터리(70)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로 된 본 발명의 진동퍼프는, 연결구(50)의 하부에 결합되는 퍼프부재(60)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것인데 대표적으로는 연결구(50)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 결합공(61)이 형성된 합성수지재 결합구(62)를 포함하고 있는 퍼프부재(60)가 가장 일반적인 구성일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결합구(62)를 갖는 퍼프부재(60)는 동일 규격의 결합구(62)로부터 다양한 재질 및 크기의 퍼프부재(60)를 부착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가장 최선의 형태를 갖고 있는 퍼프부재(60)를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퍼프부재(60)의 소모시 새로운 퍼프부재(60)로 교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연결구(50)의 하단에 확장 외경 형태로 된 확장플랜지부(53)를 형성하고, 상기의 퍼프부재(60) 외면에는 퍼프 재질로 된 표피재(63)를 감싸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확장플랜지부(53)가 퍼프부재(60)와 표피재(63)의 사이로 끼워지도록 하여 이들 연결구(50)와 퍼프부재(6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연결구(50) 및 퍼프부재(60)는 퍼프부재(60)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소비자 역시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된 퍼프부재(60)에 대한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여 효율성의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퍼프본체(10)와 작동본체(20)에 대한 결합구조로서 다양한 형태의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인데, 도 10의 도시와 같이 퍼프본체(10)의 내측 선단에는 하향의 결합보스(15)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작동본체(2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보스(15)를 향하는 나사삽입부(25)를 형성함에 따라, 퍼프본체(10)의 안치턱(11)에 작동본체(2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작동본체(20)의 나사삽입부(25)로부터 별도의 체결나사(91)를 삽입하여 상기의 체결나사(91)가 결합보스(15)에 나사 결합되게 하면 상기 퍼프본체(10)와 작동본체(20)에 대한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필요에 의해 배터리(7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체결나사(91)를 풀어 퍼프본체(10)로부터 작동본체(20)를 분리시켜 간편하게 배터리(70)를 교환한 후 체결나사(91)를 이용하여 재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의 도시와 같이 퍼프본체(10)의 내측 선단에 하향의 걸림구(16)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걸림구(16)와 일치하는 위치의 작동본체(20)에는 수직 관통의 걸림공(26)을 형성함에 따라 퍼프본체(10)의 안치턱(11)에 작동본체(20)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의 걸림구(16)가 걸림공(26)의 일측단과 간섭하며 일시적으로 외향 절곡되었다가 걸림구(16)의 끝단이 상기 걸림공(26)을 관통하면서 작동본체(20)의 저면에 계지될 것이므로 이와 같은 걸림구(16)에 의한 계지력을 통해 상기 퍼프본체(10)와 작동본체(20)의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별도로 구비되는 커버(90) 역시 상기 퍼프본체(10)로부터 나사 결합 또는 록킹 결합이나 억지 끼움 등의 형태로 조립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퍼프본체 11 : 안치턱
12 : 조립돌기 13 : 승강홈
14 : 결합턱 15 : 결합보스
16 : 걸림구
20 : 작동본체 21 : 걸림돌기
22 : 조립홈부 23 : 통공
25 : 나사삽입부 26 : 걸림공
30 : 탄발스프링
40 : 진동자
50 : 연결구 51 : 결합돌기
52 : 진동자끼움부 53 : 확장플랜지부
60 : 퍼프부재 61 : 결합공
62 : 결합구 63 : 표피재
70 : 배터리 71 : 배터리수용부
72 : 배터리끼움공
80 : 스위치
90 : 작동스프링 91 : 체결나사
100 : 커버

Claims (14)

  1. 퍼프본체(10)에는 작동본체(20)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작동본체(20)에는 별도의 탄발스프링(30)이 결합되며, 상기 탄발스프링(30)에는 진동자(40)가 내재된 별도의 연결구(50)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50)에는 별도의 퍼프부재(6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퍼프본체(10)와 작동본체(20)에는 배터리(70)와 스위치(80)가 내장되게 하여 퍼프부재(60)에 작용하는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연결구(50)가 상승하며 상기의 스위치(80)를 작동시켜 배터리(7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진동자(40)가 자동으로 작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2. 제 1항에 있어서,
    작동본체(20)의 저면에는 탄발스프링(30)의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21)를 돌출 형성하고, 연결구(50)의 내측 상면에는 탄발스프링(30)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돌기(51)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3.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50)는 내측으로 진동자(40)가 삽입되게 하되, 상기 연결구(50)의 내부에는 진동자(40)가 삽입되기 위한 진동자끼움부(5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4. 제 1항에 있어서,
    퍼프본체(10)는 내측 하단에 작동본체(20)가 삽입되기 위한 안치턱(11)을 형성하고, 상기 안치턱(11)의 내면에는 조립돌기(12)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작동본체(20)의 외면에는 상기 조립돌기(12)가 삽입되기 위한 조립홈부(22)를 형성함에 따라, 퍼프본체(10)와 작동본체(20)가 조립돌기(12) 및 조립홈부(22)의 회전 결합을 통해 서로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5. 제 1항에 있어서,
    퍼프본체(10)의 내측 하단에는 작동본체(20)가 삽입 승강되게 하는 승강홈(13)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홈(13)의 하단에는 작동본체(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턱(14)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작동본체(20)가 승강홈(13)을 따라 상,하 승강되게 하되,
    상기 퍼프본체(10)와 작동본체(20)의 사이에는 작동스프링(90)을 삽입함에 따라 퍼프부재(60)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가압력이 탄발스프링(30)을 통해 작동본체(20)로 전달되고 가압 상태의 작동본체(20)는 작동스프링(90)을 압축하며 상승하여 스위치(80)를 작동시켜 배터리(7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진동자(40)가 자동으로 작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6. 제 1항에 있어서,
    작동본체(20)의 저면에 스위치(80)를 결합 형성하여,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진동자(40)가 상기의 스위치(8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7. 제 1항에 있어서,
    작동본체(20)의 상면에 스위치(8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스위치(80)가 결합된 작동본체(20)의 중앙에는 스위치(80)가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한 통공(23)을 형성하여,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진동자(40)가 상기의 스위치(8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8. 제 1항에 있어서,
    작동본체(20)의 상면에는 배터리(70)를 삽입하기 위한 배터리수용부(71)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9. 제 1항에 있어서,
    작동본체(20)의 상면에는 배터리수용부(71)를 형성하되, 상기 작동본체(20)에는 배터리수용부(71)와 연통되게 한 배터리끼움공(72)을 형성함에 따라 작동본체(20)의 저면으로부터 배터리(70)를 삽입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10. 제 1항에 있어서,
    퍼프본체(10)의 내측 선단에는 배터리(70)를 삽입하기 위한 배터리수용부(71)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11. 제 1항에 있어서,
    퍼프부재(60)의 상부에는 연결구(50)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의 결합공(61)을 갖는 결합구(62)를 고정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12.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50)의 하단에는 연결구(5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확장플랜지부(53)를 형성하고, 퍼프부재(60)에는 퍼프부재(60)를 감싸는 별도의 표피재(63)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의 확장플랜지부(53)가 퍼프부재(60)와 표피재(63)의 사이로 끼워지며 서로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13. 제 1항에 있어서,
    퍼프본체(10)는 내측 선단에 하향의 결합보스(15)를 돌출 형성하고, 작동본체(2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보스(15)를 향하는 나사삽입부(25)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나사삽입부(25)로 삽입되는 별도의 체결나사(91)가 결합보스(15)에 나사 결합되게 함에 따라 퍼프본체(10)와 작동본체(20)가 서로 결합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14. 제 1항에 있어서,
    퍼프본체(10)는 내측 선단에 하향의 걸림구(16)를 돌출 형성하고, 작동본체(20)에는 상기 걸림구(16)가 삽입되게 하는 걸림공(26)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 작동본체(20)의 걸림공(26)으로 퍼프본체(10)의 걸림구(16)가 관통하여 계지되며 퍼프본체(10)와 작동본체(20)가 서로 결합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KR1020120039774A 2012-04-17 2012-04-17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KR101177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774A KR101177093B1 (ko) 2012-04-17 2012-04-17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774A KR101177093B1 (ko) 2012-04-17 2012-04-17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093B1 true KR101177093B1 (ko) 2012-08-24

Family

ID=4688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774A KR101177093B1 (ko) 2012-04-17 2012-04-17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0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78B1 (ko) 2012-11-12 2013-01-14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KR101221480B1 (ko) 2012-11-12 2013-01-14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퍼프 용구
KR101242643B1 (ko) 2012-11-12 2013-03-1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발열수단을 갖는 진동 퍼프
KR20150109137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KR200491820Y1 (ko) * 2019-03-26 2020-06-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버튼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002B1 (ko) 2011-04-05 2012-01-18 배명근 진동수단이 내장된 손잡이 퍼프
KR101106787B1 (ko) 2011-07-20 2012-01-18 배명근 탄력유동구가 내재된 분리형 진동퍼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002B1 (ko) 2011-04-05 2012-01-18 배명근 진동수단이 내장된 손잡이 퍼프
KR101106787B1 (ko) 2011-07-20 2012-01-18 배명근 탄력유동구가 내재된 분리형 진동퍼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78B1 (ko) 2012-11-12 2013-01-14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KR101221480B1 (ko) 2012-11-12 2013-01-14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퍼프 용구
KR101242643B1 (ko) 2012-11-12 2013-03-1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발열수단을 갖는 진동 퍼프
WO2014073942A1 (ko) * 2012-11-12 2014-05-15 ㈜한국피앤피 발열수단을 갖는 진동 퍼프
KR20150109137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KR101588227B1 (ko) 2014-03-19 2016-01-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KR200491820Y1 (ko) * 2019-03-26 2020-06-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버튼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093B1 (ko)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KR101106787B1 (ko) 탄력유동구가 내재된 분리형 진동퍼프
JP4408887B2 (ja) パウダー吐出が容易な化粧品容器
KR101107002B1 (ko) 진동수단이 내장된 손잡이 퍼프
KR101106788B1 (ko) 퍼프부재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진동퍼프장치
KR101160257B1 (ko)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US8485997B2 (en) Vibrating massager
CN106998887B (zh) 在其盖中形成有开闭按钮的粉盒化妆品容器
KR101058359B1 (ko) 진동수단이 내장된 화장용 퍼프
JP2017512538A (ja) ゴム排出パッド付き化粧品容器
KR101242637B1 (ko) 출몰식 진동 퍼프를 갖는 콤팩트
US20150133833A1 (en) Vibrator
CN104980871B (zh) 具有电池抽屉的助听器装置
KR20110078516A (ko) 전동퍼프
CN104432543A (zh) 电子烟电池装置及其电子烟
JP2016531526A (ja) モバイル端末の防水プラグ
KR101116739B1 (ko) 스틱형 진동퍼프
WO2006129948A1 (en) Brush for make-up
WO2016011964A1 (zh) 连杆可转动的耳机式 mp3 或耳机
KR101257229B1 (ko) 진동 기능을 갖는 진동퍼프장치
KR200388097Y1 (ko) 콤팩트 리필 구조
US20080189893A1 (en) Air-Injection Type Tool For Scrubbing Off The Dirt On A Body
KR101255602B1 (ko) 진동 파운데이션
CN216122826U (zh) 智能监测运动效果可无线充电的运动耳机
CN216818148U (zh) 一种半球形按钮及带有半球形按钮的微动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