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634B1 -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Google Patents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4634B1 KR101434634B1 KR1020140025786A KR20140025786A KR101434634B1 KR 101434634 B1 KR101434634 B1 KR 101434634B1 KR 1020140025786 A KR1020140025786 A KR 1020140025786A KR 20140025786 A KR20140025786 A KR 20140025786A KR 101434634 B1 KR101434634 B1 KR 101434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ff
- heat
- elastic member
- thermoelectric element
- vib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watches or other mechanically-driven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spreading already applied pai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8—Cooling arrangements using the Peltier effect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45D2200/155—Heating or cooling means, i.e. for storing or applying cosmetic product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에 별도의 퍼프부재가 결합된 퍼프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하부에 탄력부재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배터리를 삽입하고 상기 몸체와 탄력부재의 사이에는 진동모터가 내장된 방열체와 방열팬을 삽입 형성하며, 상기 탄력부재의 하부에는 퍼프부재 및 열전소자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퍼프부재가 선택적으로 발열 혹은 냉각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피부 특성이나 사용 환경 또는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발열 혹은 냉각 상태의 퍼프부재를 이용하여 가장 최선의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고, 하절기 혹은 동절기에는 냉각 혹은 발열 상태의 퍼프부재를 통해 더욱 만족스러운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무수한 진동이 작용하는 퍼프부재를 통해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밀착감있는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퍼프부재가 선택적으로 발열 혹은 냉각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피부 특성이나 사용 환경 또는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발열 혹은 냉각 상태의 퍼프부재를 이용하여 가장 최선의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고, 하절기 혹은 동절기에는 냉각 혹은 발열 상태의 퍼프부재를 통해 더욱 만족스러운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무수한 진동이 작용하는 퍼프부재를 통해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밀착감있는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몸체에 별도의 퍼프부재가 결합된 퍼프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내부에 배터리 및 열전소자와 진동모터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의 열전소자로부터 몸체에 결합된 퍼프부재로 냉기 또는 열기가 전달되는 동시에 진동모터에 의해 퍼프부재에 무수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 환경 또는 화장품의 특성에 따라 냉각 상태의 퍼프 또는 발열 상태의 퍼프를 진동과 함께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더욱 효율적인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이나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의 잡티나 기미 등을 자연스럽게 가리거나 깨끗하고 화사한 피부 또는 맑고 뽀송거리는 피부를 갖고자할 때 파운데이션이나 스킨 커버 또는 트윈 케익, 파우더 팩트, 스킨 커버, BB크림, 리퀴드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용 파우더(이하 "화장품" 이라 한다)를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화장품은 대부분 오일리 한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 제형을 내부접시 내에 주입한 후 이를 프레스에 의해 가압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부분 고형으로 압축되어 생산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파우더 원료는 일반적으로 탈크, 이산화티탄, 마이카, 실리카, 나일론 분말, 폴리메칠매타크릴레이크, 세리사이트, 카올린, 이연화, 옥시염화비스머스 등과 같은 기재에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색소 및 상기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바인더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인더는 실리콘계 오일류, 탄화수소계 오일류, 고급 지방산계 오일류, 고급 알코올계 오일류, 에스테르계 오일류, 글리세라이드계 오일류, 라놀린계 오일류, 동물성 오일류, 식물성 오일류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의 화장품들은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발라야 함은 물론 감성적 사용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터치하여 화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화장용 퍼프이다.
상기의 화장품들을 취하는 화장용 퍼프는 일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밴드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화장품을 취한 면을 화장부위에 대고 두드리면서 화장품을 펴 바를 수 있도록 된 일반적인 형태의 퍼프가 있고,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의 손가락 삽입밴드를 제외하여 된 비교적 소형의 퍼프로 구분 생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통상의 퍼프는 손가락을 끼우거나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인위적인 힘으로 두드리면서 고르게 화장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퍼프는 스펀지나 부드러운 연질의 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피부에 대한 촉감이 뛰어나면서도 파우더 화장품이 잘 묻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피부에 파우더가 효과적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퍼프가 기존의 화장품 용기에 수납되는 형태가 아닌 별도의 화장 도구로서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얇고 납작한 형태가 아닌 두툼하고 충분한 쿠션감을 갖도록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이고, 화장 도중 파우더가 손가락 등에 묻는 것을 방지하고자 별도의 손잡이 또는 몸체를 구비하여 이들 손잡이나 몸체로부터 별도의 퍼프부재를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구조의 퍼프 용구는 다양한 크기 및 모양과 형태를 갖는 퍼프부재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편리하게 쥐고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오염되거나 훼손된 퍼프부재의 교체 사용으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퍼프는 오일리 한 상태의 파우더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취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는 물품의 특성상 항상 많은 량의 파우더 화장품을 머금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의 퍼프는 늘 축축한 느낌을 갖고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통상의 퍼프는 최초 구매시에는 매우 건조한 스펀지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를 수회 사용하고 난 이후에는 오일리 한 상태의 파우더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무겁고 축축한 상태가 되어 사용자는 이에 대한 사용을 기피하게 되므로 제품 자체의 수명에 비하여 실질적인 사용 수명이 지극히 짧은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 중인 상태의 퍼프는 다량의 오일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겨울철이나 야외에서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차가워진 오일이 피부에 직접 닿으면서 상당한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고, 차가워진 상태의 퍼프가 피부에 닿으면 순간적으로 모공 축소 현상이 발생하면서 초기 화장 부위와 나중 화장 부위의 파우더 밀착감이 서로 달라지는 현상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가워진 상태의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되면 초기 화장 부위에 대한 덧 화장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므로 파우더 화장품이 얼굴 전체에 고르게 도포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 과도한 파우더 화장품의 사용으로 인해 화장품 자체의 품질에 대한 오해를 사게 되는 것은 물론 경제적인 손실과 시간적인 손실 역시 상당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파우더 화장품을 구성하기 위한 중요 원료인 바인더로서 대부분 오일이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의 오일 대부분은 저온 상태에서는 경화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회 사용된 상태의 퍼프는 저온 상태에서 상당히 단단한 상태를 연출하고 있어 부드럽고 밀착감 있는 상태로의 초기 화장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고, 경화된 상태의 오일로 인해 퍼프 자체가 단단해져 있어 피부에 대한 이물감이 매우 높아 사용시의 불쾌감을 초래하는 것이다.
반면에 하절기 또는 실내 기온이 높은 상태에서 화장을 하고자 하는 경우 높은 주위 온도로 인해 사용자의 모공이 넓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모공이 넓어진 상태에서는 피부에 대한 화장품의 밀착감이 떨어져 화장이 들뜨거나 번들거리는 느낌을 받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에는 별도로 모공을 축소시키는 고가의 화장품을 사용하거나 모공 축소를 위한 미스트 등을 얼굴에 뿌린 상태에서 화장을 하게 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대부분 오일리한 화장품은 하절기와 같이 피지와 유분이 많은 피부 상태에서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화장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고, 이로 인해 화장을 새로 하거나 고치는데 상당한 시간과 정성을 기울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 10-1307889호와 같이, 퍼프부재가 결합되는 몸체의 내부에 열전소자 및 배터리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의 열전소자는 퍼프부재에 밀착되어 열전소자의 발열 혹은 냉각작용을 통해 상기의 퍼프부재가 발열 혹은 냉각되게 하되, 몸체의 내부에 노출되어 있는 전원스위치 혹은 전환스위치를 통해 퍼프부재에 작용하는 발열 또는 냉각작용이 자유롭게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 환경이나 실내 온도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발열 및 냉각 상태가 이루어지는 퍼프부재를 통해 최적의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퍼프용구는 단순히 퍼프부재에 대한 냉각 또는 가열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으로 퍼프부재를 피부에 두드리면서 화장을 하게 되면 화장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화장을 자주하지 않거나 화장이 서툰 사람은 두드리는 힘이 일정하지 못하여 화장이 들뜨는 경우가 있으며 손으로 두드리는 속도에 한계가 있어 신속하게 화장을 할 수가 없었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내부에 배터리와 스위치가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및 스위치와 연결된 진동자가 내재된 퍼프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진동퍼프가 안출되어 상기와 같은 진동퍼프로부터 빠르고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진동퍼프는 퍼프부재에 대한 냉각 또는 발열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이들을 함께 적용하는데 곤란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몸체의 하부에 탄력부재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배터리를 삽입하고 상기 몸체와 탄력부재의 사이에는 진동모터가 내장된 방열체와 방열팬을 삽입 형성하며, 상기 탄력부재의 하부에는 퍼프부재 및 열전소자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퍼프부재에 대한 냉각 혹은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진동모터의 진동력이 탄력부재를 통해 퍼프부재에 전달되도록 하여 더욱 밀착감있고 편리한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의 일측에 퍼프부재를 갖는 탄력부재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몸체에는 배터리와 스위치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탄력부재에는 열전소자와 진동모터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열전소자는 퍼프부재를 향해 발열 또는 냉각되게 하고, 상기 진동모터는 탄력부재를 진동시켜 상기 퍼프부재가 진동되게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퍼프부재가 선택적으로 발열 혹은 냉각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피부 특성이나 사용 환경 또는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발열 혹은 냉각 상태의 퍼프부재를 이용하여 가장 최선의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고, 하절기 혹은 동절기에는 냉각 혹은 발열 상태의 퍼프부재를 통해 더욱 만족스러운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무수한 진동이 작용하는 퍼프부재를 통해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밀착감있는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또 다른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전체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요부 확대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배터리 충전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또 다른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전체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요부 확대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배터리 충전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또 다른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전체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의 요부 확대 분리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프용구는, 몸체(110)와 퍼프부재(120) 및 배터리(130)와 열전소자(140) 그리고 스위치(150)와 방열체(160) 및 회로기판(180)과 열확산판(190) 그리고 진동모터(210) 등에 의해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몸체(110)는 단일 개체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몸체(110)를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이를 양분함에 따라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분할된 몸체(110)의 내부에 다양한 구성품을 용이하게 삽입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몸체(110)의 상부는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별도의 뚜껑(112)을 통해 개방된 선단이 밀폐되도록 한 것이고, 몸체(110)의 하부에는 퍼프부재(120)를 갖는 별도의 탄력부재(200)를 결합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퍼프부재(120)는 연질 탄력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화장품이 피부에 잘 밀착 도포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전기한 탄력부재(200)의 하단으로는 퍼프부재(120)를 감싸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체결부속을 통해 이들 퍼프부재(120)와 탄력부재(200)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배터리(130)는 단독의 개체로 몸체(11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사용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2개체 내지 4개체의 배터리(130)를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배터리홀더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의 배터리(130)를 충전지로 구성하여 외부 전원에 의해 상기와 같은 충전 배터리를 연속 반복적으로 충전 및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배터리(1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열전소자(140)는 배터리(130)로부터 작용하는 직류의 극성에 따라 일면이 냉각되거나 발열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흔히 펠티어 소자라고 불리고 있는 열전소자(熱電素子;Thermoelectric Module)는 전자가 전위차가 있는 두 금속 사이를 움직이기 위해서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여기에 필요한 에너지를 금속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서 빼앗아가는 것을 기본원리로 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1834년 프랑스 J.C.A.Peltier가 발견한 현상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소자 양단에 직류 전압을 가하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한쪽 면에서는 흡열을 하고 반대 면에서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을 펠티어 효과라고 한다.
이와 같은 펠티어 소자는 고체 구조로 되어 있어 높은 신뢰성을 갖고 있는 것이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하나의 열전소자를 통해 가열과 냉각의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연출하는 동시에 냉각의 경우 주위의 온도(환경 온도)보다 더 낮게 냉각이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스위치(150)는 몸체(110)의 일측부로 노출되도록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150)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130)의 전원이 열전소자(140)로 인가되거나 단락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스위치(150)는 배터리(130)의 전원이 열전소자(140) 및 진동모터(210)에 전달되게 하는 것은 물론 열전소자(140)에 인가되는 직류 극성을 전환시켜주는 용도로도 사용됨에 따라 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열전소자(140)의 일면으로부터 냉각 또는 발열 상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열전소자(140)의 상부에는 별도의 방열체(160)가 밀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열전소자(140)의 상면으로부터 고온의 열기가 발생하는 경우 그 열기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율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방열체(160)로 빠르게 흡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방열체(160)의 상측에는 별도의 냉각팬(162)을 밀착 형성하여 배터리(130)의 전원으로부터 상기의 냉각팬(162)이 작동하면서 외기를 방열체(160)로 지속 공급시켜주어 상기의 방열체(160)에 의한 방열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몸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냉각팬(162)으로부터 몸체(110)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흡,배기공(164)(164')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냉각팬(162)으로부터 흡,배기공(164)(164')을 통해 몸체(110) 외부의 공기에 대한 유입과 몸체(110) 내부의 공기에 대한 배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방열체(160)의 내부에는 별도의 진동모터(21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130)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진동모터(210)는 방열체(160)를 통해 탄력부재(200) 및 퍼프부재(120)에 진동을 전달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방열체(160)의 상측에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삽입홈(161)을 하향 형성하고 이와 같은 삽입홈(161)의 내측 하단에는 코인 형태의 진동모터(210)를 삽입 형성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삽입홈(161)의 내측으로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끼움홈(241)을 갖는 별도의 소음방지구(240)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소음방지구(240)의 끼움홈(241)으로 전기한 진동모터(21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의 소음방지구(240)를 방열체(160)의 삽입홈(161)에 억지로 끼워 조립하게 되면 진동모터(210)의 작동에 의한 진동력은 방열체(160)로 그대로 전달되면서도 진동모터(210)의 작동시 방열체(160)와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소음방지구(24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진동모터(210)가 소음방지구(240)의 끼움홈(241)에 억지 끼움 형태로 조립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의 소음방지구(240) 역시 방열체(160)의 삽입홈(161)으로 억지 끼움 형태로 조립되게 함으로서 방열체(16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자성체로 구성된 모터에 직접 전달되어 진동모터(210)의 성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진동의 효과적인 전달 및 상호 간의 간섭에 의한 소음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방열체(160) 및 냉각팬(162)은 몸체(110)에 직접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나, 방열체(160)는 내장된 진동모터(210)의 작동시 그 진동력을 탄력부재(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여야 할 것이므로 몸체(110)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보다는 소정의 간극을 갖고 조립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이를 실현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연질 탄력재로 된 별도의 진동지지부재(230)를 구비하여 이를 몸체(110)의 내부에 고정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진동지지부재(230)의 하부 내측으로 냉각팬(162)을 결합한 후 냉각팬(162)의 하부에 방열체(160)를 밀착시키고 방열체(160)의 하측에는 몸체(110)와 결합된 탄력부재(2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결국 진동모터(210)의 작동에 의한 진동력은 몸체(110)로는 전달되지 않고 탄력부재(200)를 향해서만 온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몸체(110)의 내측 하부에는 진동지지부재(230)가 고정되어 있고 몸체(110)의 하단에는 탄력부재(200)의 선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진동지지부재(230)와 탄력부재(200)의 사이에는 방열체(160)와 냉각팬(162)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진동모터(210)는 방열체(16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61)으로 끼워짐에 따라 결국 상기와 같은 진동모터(210)의 위치는 탄력부재(200)의 하단과 가까운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진동모터(210)가 작동을 하게 되면 방열체(160)는 진동지지부재(230)에 의해 구속된 선단에 비하여 탄력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된 하단의 진동 폭이 더 클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선단이 몸체(110)에 고정된 탄력부재(200)의 하단은 방열체(160)의 하단 진동에 따라 그 하단부에서의 진동 폭이 상승 될 것이고 이와 함께 퍼프부재(120)의 진동 폭 역시 매우 큰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진동지지부재(230)와 탄력부재(200)는 진동모터(210)에 의한 방열체(160)의 진동력이 몸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퍼프부재(120)로는 진동력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하여 진동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탄력부재(200)의 하단 저면에는 별도의 열확산판(190)을 밀착 형성함에 따라 열전소자(140)의 냉각 또는 열기가 더욱 효율적으로 퍼프부재(12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열확산판(190)은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율이 우수한 소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탄력부재(200)와 퍼프부재(12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200)의 중앙부에는 상기의 열전소자(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관통의 소자삽입공(2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소자삽입공(201)으로 끼워진 상태의 열전소자(140)는 그 상면은 방열체(160)의 저면에 밀착되어 있고 열전소자(140)의 하면은 열확산판(190)에 밀착된 후 퍼프부재(120)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방열체(160)의 저면에는 열전소자(140)가 삽입되게 한 소자안치홈(165)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열전소자(140)의 발열 또는 냉각열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체(160)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시에 열전소자(140)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열확산판(190)은 탄력부재(200)와 퍼프부재(1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서, 결국 상기와 같은 열전소자(140)의 저면은 열확산판(19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연출하게 되므로 열전소자(140)의 발열 또는 냉각 작용은 열확산판(190) 전체로 빠르게 전도되면서 퍼프부재(120) 전체에 대한 가열 및 냉각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열전소자(140)는 탄력부재(200)의 소자삽입공(201)에 끼워진 상태에서 탄력부재(200)의 상측에는 방열체(160)가 위치하고 탄력부재(200)의 하측에는 열확산판(190)이 위치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방열체(160) 및 열확산판(190)은 상호 간의 단열이 이루어진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이로써, 열전소자(140)의 상면에 대한 발열이 일어나 방열체(160)가 가열되더라도 가열된 방열체(160)의 열기는 열확산판(190)으로 전달되지 아니하므로 열전소자(140) 하면의 냉기를 열확산판(190)이 효과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는 것이고, 반대로 열전소자(140)의 상면에 대한 냉각이 일어나 방열체(160)가 차가워지더라도 탄력부재(200)로 인해 방열체(160)와 열확산판(190)은 분리 및 단열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열확산판(190)이 가열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탄력부재(200)는 진동모터(210)에 의해 퍼프부재(120)가 무수히 진동되게 하는 진동 전달체로서의 역할과 동시에 열전소자(140)의 상,하부에서 각기 다르게 반응하는 냉기 혹은 열기가 상호 영향을 끼치지 못하도록 하는 단열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열확산판(190)은 탄력부재(200)에 대하여 별도의 상부링(220) 및 하부링(220')을 통해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는 것인데, 열확산판(190)의 외면에 플랜지부(191)가 외향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한 상태에서 상부링(220)을 탄력부재(200)의 하단으로부터 억지로 끼워 넣은 후 열확산판(190)을 탄력부재(200)의 저면에 밀착시키며 이어 하부링(220')을 상부링(220)과 견고하게 체결시키면 열확산판(190)의 플랜지부(191)가 이들 상부링(220)과 하부링(220')의 사이에 게재되면서 상호 간의 견고한 고정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열확산판(190)의 상면에는 전기한 바와 같이 열전소자(140)의 저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열전소자(140)에 의한 냉각 또는 발열 작용을 통해 상기와 같은 열확산판(190)은 전체가 빠르게 냉각 또는 가열되면서 퍼프부재(120)는 넓은 면이 동시에 냉각 혹은 발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위치(150)를 눌러 배터리(130)의 전원이 열전소자(140) 및 진동모터(210)에 인가되도록 하면 퍼프부재(120)를 향하고 있는 열전소자(140)의 일면이 냉각 또는 발열되면서 퍼프부재(120)가 냉각 또는 발열하는 동시에 진동하므로 이용하여 다양한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스위치(150)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냉각 혹은 발열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것은 물론 진동의 유무에 대한 선택도 가능하여 더욱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상기의 퍼프부재(120)를 냉각 상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열체(160)와 밀착된 열전소자(140)의 상면에는 발열상태가 이루어질 것이므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냉각팬(162)에 배터리(130)의 전원이 동시에 인가되면서 상기의 방열체(160)를 지속적으로 냉각시켜주어 퍼프부재(120)를 향하고 있는 열전소자(140)의 저면에 대한 냉각 작용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반면, 상기의 퍼프부재(120)를 발열 상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열전소자(140) 특성상 발열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의 냉각팬(162)을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일정 수준의 발열온도를 계속하여 유지하므로 이와 같은 열기는 열확산판(190)을 통해 퍼프부재(120)로 전달함에 따라 냉각 사용에 비하여 배터리(130)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퍼프용구는 반복적인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퍼프부재(120)에 대한 발열 또는 냉각 및 진동 작용이 모두 몸체(110) 내부의 배터리(130)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상기와 같은 배터리(130)는 기존의 알카라인 형태의 일회용이 아니라 리튬 폴리머 형태의 충전지를 사용함에 따라 이를 통해 배터리(130)의 반복적인 사용을 가능케 할 수 있는 것인데, 도 7의 도시와 같이 몸체(110)의 선단 혹은 측부에 별도의 충전커넥터(250)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의 충전커넥터(250)는 충전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130)와 연결되게 함에 따라 상기 충전커넥터(250)를 통한 반복적인 배터리(130)의 충전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충전커넥터(250)는 각종 스마트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마이크로 USB 5핀 단자와 동일한 형태가 가장 이상적일 것이나 표준 USB 단자 또는 일반 충전잭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퍼프용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퍼프부재(120)가 냉각 또는 발열되는 것과 동시에 진동되게 할 수 있어 이를 통해 화장품의 종류나 사용 환경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즉시 변경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은 물론 더욱 밀착감있는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몸체 112 : 뚜껑
120 : 퍼프부재
130 : 배터리
140 : 열전소자
150 : 스위치
160 : 방열체 161 : 삽입홈
162 : 냉각팬 164,164' : 흡,배기공
165 : 소자안치홈
180 : 회로기판
190 : 열확산판 191 : 플랜지부
200 : 탄력부재 201 : 소자삽입공
210 : 진동모터
220,220' : 상,하부링
230 : 진동지지부재
240 : 소음방지구 241 : 끼움홈
250 : 충전커넥터
120 : 퍼프부재
130 : 배터리
140 : 열전소자
150 : 스위치
160 : 방열체 161 : 삽입홈
162 : 냉각팬 164,164' : 흡,배기공
165 : 소자안치홈
180 : 회로기판
190 : 열확산판 191 : 플랜지부
200 : 탄력부재 201 : 소자삽입공
210 : 진동모터
220,220' : 상,하부링
230 : 진동지지부재
240 : 소음방지구 241 : 끼움홈
250 : 충전커넥터
Claims (10)
- 몸체(110)의 일측에 퍼프부재(120)를 갖는 탄력부재(200)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몸체(110)에는 배터리(130)와 스위치(15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탄력부재(200)에는 열전소자(140)와 진동모터(21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열전소자(140)는 퍼프부재(120)를 향해 발열 또는 냉각되게 하고, 상기 진동모터(210)는 탄력부재(200)를 진동시켜 상기 퍼프부재(120)가 진동되게 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200)의 상부 내측으로는 별도의 방열체(16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 방열체(160)의 상부에는 삽입홈(161)을 형성하여 전기한 진동모터(210)가 삽입홈(161) 내부로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 방열체(160)의 상측에는 별도의 냉각팬(162)이 밀착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별도의 진동지지부재(230)를 결합 고정하고, 상기 몸체(110)의 하측에는 탄력부재(200)의 선단이 결합 고정되게 하되, 상기 탄력부재(200)와 진동지지부재(230)의 사이에는 방열체(160)와 냉각팬(162)이 위치되게 하여, 방열체(160) 내부의 진동모터(210)에 의한 진동이 몸체(11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탄력부재(200)는 진동력이 증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210)는 상부가 개방된 끼움홈(241)을 갖는 별도의 소음방지구(240) 내에 삽입 형성되게 하고, 상기 소음방지구(240)는 방열체(160)에 형성된 삽입홈(161)으로 가압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200)의 하부에는 관통의 소자삽입공(201)을 형성하여 전기한 열전소자(140)가 소자삽입공(201)으로 끼워져 열전소자(140)의 저면은 탄력부재(200)의 외면으로 노출되고 열전소자(140)의 상면은 탄력부재(200) 상측의 방열체(160) 저면에 밀착되게 하되, 상기 방열체(160)의 저면에는 소자안치홈(165)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소자(140)의 상면이 소자안치홈(165)에 밀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5786A KR101434634B1 (ko) | 2014-03-05 | 2014-03-05 |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PCT/KR2014/001826 WO2014137165A1 (ko) | 2013-03-07 | 2014-03-06 |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5786A KR101434634B1 (ko) | 2014-03-05 | 2014-03-05 |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4634B1 true KR101434634B1 (ko) | 2014-09-02 |
Family
ID=5175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5786A KR101434634B1 (ko) | 2013-03-07 | 2014-03-05 |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463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94993A (ko) * | 2016-02-12 | 2017-08-22 | (주)아모레퍼시픽 | 열전달부가 형성된 화장도구 |
KR20190131928A (ko) * | 2018-05-18 | 2019-11-27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화장품용 열전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
KR102090315B1 (ko) * | 2019-05-16 | 2020-03-18 | 이기수 | 냉온 기능이 구비된 콤팩트 용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2643B1 (ko) | 2012-11-12 | 2013-03-19 |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 발열수단을 갖는 진동 퍼프 |
KR101307889B1 (ko) | 2013-03-07 | 2013-09-13 |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
2014
- 2014-03-05 KR KR1020140025786A patent/KR1014346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2643B1 (ko) | 2012-11-12 | 2013-03-19 |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 발열수단을 갖는 진동 퍼프 |
KR101307889B1 (ko) | 2013-03-07 | 2013-09-13 |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94993A (ko) * | 2016-02-12 | 2017-08-22 | (주)아모레퍼시픽 | 열전달부가 형성된 화장도구 |
KR102371223B1 (ko) | 2016-02-12 | 2022-03-07 | (주)아모레퍼시픽 | 열전달부가 형성된 화장도구 |
KR20190131928A (ko) * | 2018-05-18 | 2019-11-27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화장품용 열전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
KR102127124B1 (ko) * | 2018-05-18 | 2020-06-26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화장품용 열전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
KR102090315B1 (ko) * | 2019-05-16 | 2020-03-18 | 이기수 | 냉온 기능이 구비된 콤팩트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4634B1 (ko) |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
KR101985569B1 (ko) | 미용 기구 | |
KR101366126B1 (ko) | 손잡이형 피부미용기 | |
US10292476B2 (en) | Nail care device | |
KR101142078B1 (ko) | 화장용 퍼프 장치 | |
BRPI0621497A2 (pt) | embalagem de máscara com corpo de aquecimento | |
CN108471875A (zh) | 用于头皮护理的多功能梳子 | |
CN101444447A (zh) | 冷热敷保健装置 | |
KR20170003668U (ko) | 복합 미용기기 | |
KR101242643B1 (ko) | 발열수단을 갖는 진동 퍼프 | |
US5136850A (en) | Thermoelectric paint color changing apparatus | |
KR101221480B1 (ko) |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퍼프 용구 | |
CA3160814A1 (en) | Cold temperature hair brush | |
JP2015097923A (ja) | 美容器具 | |
KR101221478B1 (ko) |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진동 퍼프 | |
US20130056017A1 (en) | Portable Hair Styling Kit | |
KR101307889B1 (ko) |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 |
JP5995369B2 (ja) | 美容器具 | |
KR20170073884A (ko) | 다리미 겸용 고데기 | |
KR20010016582A (ko) | 냉온조절되는 피부미용기 | |
GB2565139A (en) | Cryotherapy device | |
JP6095451B2 (ja) | 美容器具 | |
KR200477178Y1 (ko) | 모브러쉬와 실리콘브러쉬가 결합된 히팅 마스카라 | |
CN207886421U (zh) | 美容器 | |
KR101241995B1 (ko) | 발열수단을 갖는 퍼프 용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