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333B1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333B1
KR101220333B1 KR1020100044945A KR20100044945A KR101220333B1 KR 101220333 B1 KR101220333 B1 KR 101220333B1 KR 1020100044945 A KR1020100044945 A KR 1020100044945A KR 20100044945 A KR20100044945 A KR 20100044945A KR 101220333 B1 KR101220333 B1 KR 101220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utton
pixels
tim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425A (ko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4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33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승장버튼이 호출되는 단계,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장버튼과 연동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승장버튼이 눌려지는 제1 시간에 상기 승강장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시간에서 기준 시간 경과된 제2 시간에 상기 승강장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에 촬영된 제1 영상 이미지를 제1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시간에 촬영된 제2 영상 이미지를 제2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도 영상 데이터 중 얼굴 영역의 피부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제1 픽셀 개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제2 채도 영상 데이터 중 상기 피부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제2 픽셀 개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제1 픽셀 개수와 상기 제2 픽셀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멈춤/지나침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엘리베이터를 멈추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운행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의 외부의 승장버튼이 눌려 있으면 엘리베이터 앞에 사람이 없더라도 엘리베이터가 승장버튼이 눌려진 층에 멈추고 승장도어가 열린다.
특히 아파트와 같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에서 누군가가 고의적으로 모든 층의 승장버튼을 호출하였다면, 엘리베이터는 사람의 존재 유무와 관계없이 무조건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 멈춘다.
사람의 존재 유무와 관계없이 무조건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멈춤, 승장도어의 오픈으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고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이는 엘리베이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앞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만 엘리베이터를 멈추고 승장도어를 오픈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운행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승장버튼;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장버튼과 연동되어 상기 승장버튼이 눌려지는 제1 시간에 상기 승강장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시간에서 기준 시간 경과된 제2 시간에 상기 승강장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제1 시간에 촬영된 제1 영상 이미지를 제1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시간에 촬영된 제2 영상 이미지를 제2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채도 변환부; 상기 제1 채도 영상 데이터 중 얼굴 영역의 피부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제1 픽셀 개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제2 채도 영상 데이터 중 상기 피부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제2 픽셀 개수를 카운팅하는 픽셀 개수 카운팅부; 및 상기 제1 픽셀 개수가 기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일 경우를 전제로, 상기 제1 픽셀 개수와 상기 제2 픽셀 개수를 비교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멈춤/지나침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상기 제2 픽셀 개수가 상기 제1 픽셀 개수 이상이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멈춤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픽셀 개수가 상기 제1 픽셀 개수 미만이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지나침을 결정하는 운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승장버튼이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단계; 카메라부가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장버튼과 연동되어 상기 승장버튼이 눌려지는 제1 시간에 상기 승강장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시간에서 기준 시간 경과된 제2 시간에 상기 승강장을 촬영하는 단계; 채도 변환부가 상기 제1 시간에 촬영된 제1 영상 이미지를 제1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시간에 촬영된 제2 영상 이미지를 제2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픽셀 개수 카운팅부가 상기 제1 채도 영상 데이터 중 얼굴 영역의 피부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제1 픽셀 개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제2 채도 영상 데이터 중 상기 피부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제2 픽셀 개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운전 제어부가 상기 제1 픽셀 개수가 기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일 경우를 전제로, 상기 제1 픽셀 개수와 상기 제2 픽셀 개수를 비교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멈춤/지나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전 제어부가 상기 제2 픽셀 개수가 상기 제1 픽셀 개수 이상이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멈춤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픽셀 개수가 상기 제1 픽셀 개수 미만이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지나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통해 사람이 승강장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멈춤/지나침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엘리베이터를 멈추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운행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엘리베이터를 멈추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운행시간 낭비를 줄임으로써, 엘리베이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피부색의 분포를 2변수 정규 분포로 모델링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크게 엘리베이터(10) 및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0)로 구성된다.
엘리베이터(10)는 승장버튼(11), 승장도어(12) 및 카메라부(13)를 포함하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0)는 채도 변환부(21), 픽셀 개수 카운팅부(22), 운전 제어부(13), 운전 구동부(14)를 포함한다.
승장버튼(11)은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호출되었을 때 호출 유무를 나타낼 수 있는 램프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승장버튼(11)을 누르면 램프는 온되고, 사용자가 온된 상태의 승장버튼(11)을 다시 누르면 승장버튼(11)의 램프는 오프된다.
카메라부(13)는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설치되어 승장버튼(11)과 연동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3)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카메라부(13)는 승장버튼(11)이 눌려지는 제1 시간(t)에 승강장을 촬영하고, 제1 시간에서 기준 시간(n) 경과된 제2 시간(t+n)에 승강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채도 변환부(21)로 출력한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0)의 채도 변환부(21)는 제1 시간에 촬영된 제1 영상 이미지를 제1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2 시간에 촬영된 제2 영상 이미지를 제2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채도 영상 데이터는 YCbCr 신호 중 색상 성분인 Cb, Cr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영상 이미지를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영상 이미지를 RGB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 RGB 영상 데이터를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도 있다.
픽셀 개수 카운팅부(22)는 채도 영상 데이터 중 지정된 특정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픽셀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이때, 특정 색역은 특정 채도 범위 또는 특정 휘도 범위로서, 피부색, 머리색, 적색, 녹색, 청색 등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얼굴 영역의 피부색을 특정 색역으로 설정한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특정 색역을 피부 색역으로 대표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피부색의 분포를 2변수 정규 분포로 모델링한 그래프로서, X축은 Cb 색차 신호의 값이고 Y축은 Cr 색차 신호의 값이다.
도 2의 피부 색역은 대한민국 사람들의 피부색을 통계적으로 조사하여 추출된 색역으로, 나라, 인종에 따라 피부 색역은 다르게 추출될 수 있다.
픽셀 개수 카운팅부(22)는 제1 채도 영상 데이터 중 특정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제1 픽셀 개수를 카운팅하고, 제2 채도 영상 데이터 중 특정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제2 픽셀 개수를 카운팅한다.
여기서, 특정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픽셀의 개수는 얼굴 영역 픽셀의 개수로서, 운전 제어부(23)는 제1 픽셀 개수가 기설정된 기준 개수 미만이면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바로 "엘리베이터 멈춤"을 결정한다.
그러나, 운전 제어부(23)는 제1 픽셀 개수가 기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제1 픽셀 개수와 제2 픽셀 개수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전 제어부(23)는 제1 픽셀 개수가 기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제1 픽셀 개수와 제2 픽셀 개수를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사람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제1 픽셀 개수가 기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 상태에서, 제2 픽셀 개수가 제1 픽셀 개수 이상이면, 운전 제어부(23)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멈춤"을 결정한다. 엘리베이터 멈춤이 결정되면, 운전 제어부(23)는 운전 구동부(24)로 엘리베이터 멈춤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운전 구동부(24)는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 엘리베이터를 멈추고 승장도어(12)를 오픈한다.
반대로, 제1 픽셀 개수가 기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 상태에서, 제2 픽셀 개수가 제1 픽셀 개수 미만이면, 운전 제어부(23)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지나침"을 결정한다. 엘리베이터 지나침이 결정되면, 운전 제어부(23)는 운전 구동부(24)로 엘리베이터 지나침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승장버튼(11)의 램프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운전 구동부(24)는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 엘리베이터를 멈추지 않고 지나치면서 승장버튼(11)의 램프를 오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부(13)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통해 사람이 승강장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멈춤/지나침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엘리베이터를 멈추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운행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장버튼(11)이 호출되면(S301), 카메라부(13)는 승강장을 촬영한다(S302).
그리고, 승장버튼(11)이 호출된 제1 시간에서 기준 시간이 경과된 제2 시간에 다시 승강장을 촬영한다(S303).
채도 변환부(21)는 제1 시간에 촬영된 제1 영상 이미지를 제1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2 시간에 촬영된 제2 영상 이미지를 제2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S304).
그리고, 픽셀 개수 카운팅부(22)는 채도 변환부(21)에서 변환된 제1 채도 영상 데이터 중 지정된 특정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픽셀 수인 제1 픽셀 개수를 카운팅하고, 제2 채도 영상 데이터 중 특정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픽셀 수인 제2 픽셀 개수를 카운팅한다(S305).
우선, 운전 제어부(23)는 제1 픽셀 개수가 기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06).
제1 픽셀 개수가 기준 개수 미만이면, 운전 제어부(23)는 승강장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지나침을 결정한다(S307).
그러나, 제1 픽셀 개수가 기준 개수 이상이면, 운전 제어부(23)는 제1 픽셀 개수와 제2 픽셀 개수를 비교한다(S308).
제2 픽셀 개수가 제1 픽셀 개수 이상이면, 운전 제어부(23)는 승장버튼(11)이 호출된 층에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멈춤을 결정한다(S309).
그러나, 제2 픽셀 개수가 제1 픽셀 개수 미만이면, 운전 제어부(23)는 승강버튼(11)이 호출된 층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지나침을 결정한다(S310).
그리고, 운전 제어부(23)는 승장버튼(11)이 호출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지나침을 결정한 경우, 승장버튼(11)의 램프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운전 구동부(24)로 출력한다.
그러면, 운전 구동부(24)는 승장버튼(11)의 램프를 오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엘리베이터 지나침이 결정되면 승장버튼(11)을 오프시켜, 이전 호출을 자동으로 취소하여 엘리베이터가 다음 호출을 대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부(13)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통해 사람이 승강장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멈춤/지나침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엘리베이터를 멈추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운행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엘리베이터
11: 승장버튼
13: 카메라부
21: 채도 변환부
22: 픽셀 개수 카운팅부
23: 운전 제어부
24: 운전 구동부

Claims (15)

  1.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승장버튼;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장버튼과 연동되어 상기 승장버튼이 눌려지는 제1 시간에 상기 승강장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시간에서 기준 시간 경과된 제2 시간에 상기 승강장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제1 시간에 촬영된 제1 영상 이미지를 제1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시간에 촬영된 제2 영상 이미지를 제2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채도 변환부;
    상기 제1 채도 영상 데이터 중 얼굴 영역의 피부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제1 픽셀 개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제2 채도 영상 데이터 중 상기 피부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제2 픽셀 개수를 카운팅하는 픽셀 개수 카운팅부; 및
    상기 제1 픽셀 개수가 기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일 경우를 전제로, 상기 제1 픽셀 개수와 상기 제2 픽셀 개수를 비교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멈춤/지나침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상기 제2 픽셀 개수가 상기 제1 픽셀 개수 이상이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멈춤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픽셀 개수가 상기 제1 픽셀 개수 미만이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지나침을 결정하는 운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부는,
    상기 제1 픽셀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 미만이면, 엘리베이터 지나침을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 멈추거나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을 지나치게 동작시키는 운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구동부는,
    상기 운전 제어부에서 엘리베이터 멈춤이 결정되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를 오픈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장버튼은 호출 유무를 나타내는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는 호출시 온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부는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지나침이 결정되면, 상기 승장버튼의 램프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색역의 채도 범위는 다수 인물의 피부색을 2변수 정규 분포로 조사하여 추출된 범위이며, 인종에 따라 변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0. 승장버튼이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단계;
    카메라부가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장버튼과 연동되어 상기 승장버튼이 눌려지는 제1 시간에 상기 승강장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시간에서 기준 시간 경과된 제2 시간에 상기 승강장을 촬영하는 단계;
    채도 변환부가 상기 제1 시간에 촬영된 제1 영상 이미지를 제1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시간에 촬영된 제2 영상 이미지를 제2 채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픽셀 개수 카운팅부가 상기 제1 채도 영상 데이터 중 얼굴 영역의 피부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제1 픽셀 개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제2 채도 영상 데이터 중 상기 피부 색역의 채도 범위에 포함되는 제2 픽셀 개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운전 제어부가 상기 제1 픽셀 개수가 기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일 경우를 전제로, 상기 제1 픽셀 개수와 상기 제2 픽셀 개수를 비교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멈춤/지나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 제어부가 상기 제2 픽셀 개수가 상기 제1 픽셀 개수 이상이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멈춤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픽셀 개수가 상기 제1 픽셀 개수 미만이면 상기 승장버튼이 호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지나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장버튼은 호출 유무를 나타내는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는 호출시 온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멈춤/지나침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 이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지나침이 결정되면, 상기 승장버튼의 램프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색역의 채도 범위는 다수 인물의 피부색을 2변수 정규 분포로 조사하여 추출된 범위이며, 인종에 따라 변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KR1020100044945A 2010-05-13 2010-05-13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1220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945A KR101220333B1 (ko) 2010-05-13 2010-05-13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945A KR101220333B1 (ko) 2010-05-13 2010-05-13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425A KR20110125425A (ko) 2011-11-21
KR101220333B1 true KR101220333B1 (ko) 2013-01-09

Family

ID=4539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945A KR101220333B1 (ko) 2010-05-13 2010-05-13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726B1 (ko) 2013-04-01 2014-10-13 주식회사 제론헬스케어 카메라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행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967A (ko) * 1994-10-10 1996-05-22 이희종 엘리베이터의 대기승객수 검출방법
JP2008195468A (ja) * 2007-02-09 2008-08-2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100903816B1 (ko) * 2007-12-21 2009-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정지영상에서의 얼굴추출시스템과 그 방법
JP2010111444A (ja) 2008-11-04 2010-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かごの乗場呼び登録管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967A (ko) * 1994-10-10 1996-05-22 이희종 엘리베이터의 대기승객수 검출방법
JP2008195468A (ja) * 2007-02-09 2008-08-2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100903816B1 (ko) * 2007-12-21 2009-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정지영상에서의 얼굴추출시스템과 그 방법
JP2010111444A (ja) 2008-11-04 2010-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かごの乗場呼び登録管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726B1 (ko) 2013-04-01 2014-10-13 주식회사 제론헬스케어 카메라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행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425A (ko)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1868B1 (en) Elevator controller
CN105129547A (zh) 电梯控制方法和系统
JP2017100839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2008195468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101220333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JP2007031086A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545851B1 (ja) 2方向エレベータおよび2方向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00211833A (ja) エレベ―タ装置
JP2007112575A (ja)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JP2019137508A (ja) 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615158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0577121B (zh) 电梯系统及电梯的群管理控制方法
JP2016016976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6833960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08037542A (ja) エレベータ
CN204369332U (zh) 一种对讲联动式电梯控制系统
JPH11286377A (ja) エレベータ制御方法及び装置
JP2019210136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方法
JP2007308220A (ja) エレベータ
WO2024069710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4810140B2 (ja)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6961766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5578860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2197170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20100137761A (ko) 엘리베이터 호출신호 제어방법 및, 그 엘리베이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