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945B1 - 컬럼 샤프트 - Google Patents

컬럼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945B1
KR101219945B1 KR1020060020503A KR20060020503A KR101219945B1 KR 101219945 B1 KR101219945 B1 KR 101219945B1 KR 1020060020503 A KR1020060020503 A KR 1020060020503A KR 20060020503 A KR20060020503 A KR 20060020503A KR 101219945 B1 KR101219945 B1 KR 101219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teering wheel
column
pi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594A (ko
Inventor
김성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945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Abstract

본 발명은 컬럼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틸트 및 텔리스코픽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차량의 충돌시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컬럼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컬럼 샤프트는,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을 지지하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력을 휠 측으로 전달하는 컬럼 샤프트로서,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한 중공의 제 2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샤프트에서 상기 제 2 샤프트 측에 삽입되는 단부는, 상기 제 2 샤프트 측을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소정 기울기를 가지며, 원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개의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에서 상기 제 1 샤프트가 삽입되는 측의 내부에는 소정 높이 돌출된 수개의 스토퍼가 구비되어, 틸트 및 텔리스코픽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차량의 충돌시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컬럼 샤프트{COLUMN SHAFT}
도 1은 종래의 틸트 기능만 가진 컬럼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틸트 및 텔리스코픽 기능을 모두 가진 컬럼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컬럼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컬럼 샤프트에서 스토퍼와 가이드 레일의 결합관계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토퍼와 핀 등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샤프트 12 : 가이드 레일
14 : 핀 삽입홀 14a : 측벽
20 : 제 2 샤프트 21 : 관통홀
22 : 스토퍼 24 : 핀
본 발명은 컬럼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틸트 및 텔리스코픽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차량의 충돌시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컬럼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틸트(tilt) 및 텔레스코픽(telescopic) 스티어링 장치는 가변 스티어링 휠의 일종으로서, 틸트 기능은 스티어링 휠 각도를 가변시켜 운전자의 체격 및 운전자의 자세에 맞도록 하는 기능이고, 텔레스코픽 기능은 스티어링 샤프트(컬럼 샤프트)를 2중으로 하여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틸트 및 텔레스코픽 기능을 종래엔 틸트 작동 및 텔레스코픽 작동으로 개별 작동 방식으로 별개 구동을 수행하였으나, 작동상 번거러움이 있어 일체 구동 방식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리고 차량의 충돌 사고시에, 운전자의 머리 등 신체가 스티어링 휠에 부딪치면서 부상의 정도가 심해지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고, 이를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몰딩핀(124; 도 1 참조) 등의 구성을 부가하여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틸트(tilt) 기능만을 가진 컬럼 샤프트의 경우에는, 제 1 샤프트(110)가 제 2 샤프트(120)에 삽입되어 서로 중첩되는 곳에 몰딩핀(124)이 구비된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 등이 발생할 때, 운전자의 머리 등 신체로부터 스티어링 휠에 강하게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몰딩핀(124)이 파단되면서 제 1 샤프트(110)가 제 2 샤프트(12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운전자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도 2를 참고하면, 종래의 틸티 및 텔리스코픽 기능을 모두 가진 컬럼 샤프트의 경우에는, 제 1 샤프트(210)가 제 2 샤프트(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텔리스코픽(telescopic) 기능이 수행하기 위하여, 제 1 샤프트(210)와 제 2 샤프트(220)가 결합되는 부위에 기어(2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기어(230)의 구조 때문에, 도 1과 같이 몰딩핀(124)의 구성을 구비할 수 없어서 운전자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어려운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토퍼와 가이드 레일, 그리고 핀과 핀 삽입홀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틸트 및 텔리스코픽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차량의 충돌시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컬럼 샤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을 지지하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력을 휠 측으로 전달하는 컬럼 샤프트로서,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한 중공의 제 2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샤프트에서 상기 제 2 샤프트 측에 삽입되는 단부는, 상기 제 2 샤프트 측을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소정 기울기를 가지며, 원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개의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에서 상기 제 1 샤프트가 삽입되는 측의 내부에는 소정 높이 돌출된 수개의 스토퍼가 구비되어, 틸트 및 텔리스코픽 기능을 수행 함과 동시에, 차량의 충돌시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샤프트의 상기 수개의 스토퍼는, 소정 높이 돌출되며 소정 충격이 가해질 경우 파단될 수 있는 핀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샤프트의 상기 수개의 가이드 레일에는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핀 삽입홀이 구비되어, 텔리스코픽 기능이 가능하고, 상기 핀이 파단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여 그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 레일 간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충격 에너지가 흡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컬럼 샤프트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컬럼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컬럼 샤프트는 제 1 샤프트(10)와 제 2 샤프트(20)로 이루어진다. 제 2 샤프트(20)는 제 1 샤프트(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에 관통홀(21)이 형성된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도 1에서는 스티어링 휠(미도시) 측에 제 2 샤프트(20)가 설치되어 있으나, 제 1 샤프트(10) 또는 제 2 샤프트(20)는 스티어링 휠 측 혹은 휠(미도시) 측에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충격 흡수를 위하여, 제 1 샤프트(10)에서 제 2 샤프트(20)로 삽입되 는 측의 단부는, 제 2 샤프트(20) 측을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이며, 소정 길이 오목하게 형성된 원주면에는 샤프트 축 방향으로 수개의 가이드 레일(12)을 구비한다. 또 이에 대응하여, 제 2 샤프트(20)에서 제 1 샤프트(10)가 삽입되는 측의 내부에는 소정 높이 돌출된 수개의 스토퍼(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스토퍼(22)의 형상은 대략 반구 형상으로 구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가이드 레일(12)의 단면 형상도 반원 형상으로, 제 2 샤프트(20) 측을 향하면서 그 단면이 점차 증대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 1 샤프트(10)의 수개의 가이드 레일(12)마다 소정 깊이 함몰된 형상의 핀 삽입홀(14)이 각각 구비된다. 핀 삽입홀(14)의 깊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핀(24)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형성될 정도가 적절하고, 핀 삽입홀(14)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 1 샤프트(10)가 제 2 샤프트(20)에 대하여 텔리스코픽 이동하기 위한 길이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이 핀 삽입홀(14)에 삽입될 수 있는 핀(24)이 제 2 샤프트(20)의 수개의 스토퍼(22) 상에 각각 형성된다. 핀(24)은 각각의 스토퍼(22)로부터 제 2 샤프트(20) 관통홀(21)의 원주 중심 방향을 향하여 소정 높이 돌출된 형상으로, 제 1 샤프트(10) 및 제 2 샤프트(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샤프트(10)가 운전자의 충격 등에 의하여 제 2 샤프트(20)의 관통홀(21) 내부로 순간적으로 삽입되는 경우, 그 충격 에너지에 의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어서, 운전자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컬럼 샤프트에서 스토퍼와 가이드 레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토퍼와 핀 등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컬럼 샤프트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샤프트(10)의 핀 삽입홀(14)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핀(24)은 이 핀 삽입홀(14)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이 상태로 핀(24)이 핀 삽입홀(14)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샤프트(20)가 제 1 샤프트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텔리스코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충돌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의 머리 등 신체가 스티어링 휠(미도시)로부터 제 2 샤프트(20)에 부딪치면서, 그 충격 에너지로 인하여 제 2 샤프트(20)가 전방(제 1 샤프트가 위치한 방향) 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도 6과 같이 스토퍼(22)에 형성된 핀(24)이 핀 삽입홀(14) 내에 위치하다가, 전방 측으로 이동하면서 핀 삽입홀(14)의 측벽(14a)에 맞닿게 된다. 제 2 샤프트(20)에 가해진 충격이 큰 경우, 제 2 샤프트(20)는 계속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이 힘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핀(24)이 핀 삽입홀(14)의 측벽(14a)에 의하여 파단되면서, 충격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게 된다.
핀(24)이 파단된 후에도 제 2 샤프트(20)는 계속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핀(24)이 파단된 후에는 스토퍼(22)와 가이드 레일(12)이 충격 흡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스토퍼(22)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레일(12)도 이에 대 응하여 단면이 반원 형상이며, 가이드 레일(12)은 제 2 샤프트(20) 방향으로 소정 기울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스토퍼(22)가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다가 소정 시점에서 스토퍼(22)와 가이드 레일(12)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스토퍼(22)는 가이드 레일(12)의 일측에서 이동을 중단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20)도 이동을 중단하게 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스토퍼(22)와 가이드 레일(12)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충격 에너지가 흡수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컬럼 샤프트는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틸트 및 텔리스코픽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차량의 충돌시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을 지지하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력을 휠 측으로 전달하는 컬럼 샤프트로서,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한 중공의 제 2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샤프트에서 상기 제 2 샤프트 측에 삽입되는 단부는, 상기 제 2 샤프트 측을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소정 기울기를 가지며, 원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개의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에서 상기 제 1 샤프트가 삽입되는 측의 내부에는 소정 높이 돌출된 수개의 스토퍼가 구비되되;
    상기 제 2 샤프트의 상기 수개의 스토퍼는, 소정 높이 돌출되며 소정 충격이 가해질 경우 파단될 수 있는 핀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샤프트의 상기 수개의 가이드 레일에는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핀 삽입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샤프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여 그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샤프트.
KR1020060020503A 2006-03-03 2006-03-03 컬럼 샤프트 KR10121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503A KR101219945B1 (ko) 2006-03-03 2006-03-03 컬럼 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503A KR101219945B1 (ko) 2006-03-03 2006-03-03 컬럼 샤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594A KR20070090594A (ko) 2007-09-06
KR101219945B1 true KR101219945B1 (ko) 2013-01-08

Family

ID=3868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503A KR101219945B1 (ko) 2006-03-03 2006-03-03 컬럼 샤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9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421A (ko) * 2004-07-02 2006-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향축의 완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421A (ko) * 2004-07-02 2006-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향축의 완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594A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346B1 (ko) 차량용 조향 칼럼
KR101219945B1 (ko) 컬럼 샤프트
KR101138073B1 (ko) 와이어를 구비한 조향축의 충격 흡수 구조
KR101040017B1 (ko) 스티어링컬럼의 충격흡수 향상구조
KR20080095473A (ko)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을 구비한 조향 장치
KR101131283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KR100559904B1 (ko) 조향축의 완충구조
KR102321908B1 (ko) 차량의 충격 흡수식 스티어링 장치
KR100610104B1 (ko) 조향 칼럼의 완충장치
KR101142558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KR100984492B1 (ko) 조향장치의 마운팅 브라켓 충격흡수구조
KR100991454B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KR200192427Y1 (ko) 콜랩서블 스티어링 샤프트
KR100934871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EP2048059B1 (en) Automatically collapsible device for steering wheel
KR100794964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KR20070047582A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JP2563560Y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
KR101197369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KR19980054497U (ko)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KR100985501B1 (ko) 조향장치의 마운팅 브라켓 충격 흡수구조
KR100330901B1 (ko) 충격흡수용 스티어링컬럼 구조
KR100580038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20110064611A (ko) 자동차의 조향 칼럼 구조
KR20080008906A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