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907B1 -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 - Google Patents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907B1
KR101219907B1 KR1020100084491A KR20100084491A KR101219907B1 KR 101219907 B1 KR101219907 B1 KR 101219907B1 KR 1020100084491 A KR1020100084491 A KR 1020100084491A KR 20100084491 A KR20100084491 A KR 20100084491A KR 101219907 B1 KR101219907 B1 KR 101219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boiler
hot water
wat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834A (ko
Inventor
유옌
Original Assignee
유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옌 filed Critical 유옌
Priority to KR1020100084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9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22B35/06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for 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2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 F22B37/44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of safe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16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with water tube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he boiler furnace, fire tubes, or flue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스팀 보일러에 있어서 보일러 가열실로 공급된 물이 히터로 가열 증발 되면서 가열실의 수위가 낮아져 물이 급수될 때, 스팀탱크의 온도와 압력이 낮아지지 않도록 고온 스팀을 재활용하여 소형 스팀 저장실에서 열교환 방식으로 가열된 온수를 보일러에 공급 함과 동시에 본체 외부에 2중 탱크방식으로 온수실을 설치하고, 보일러 본체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만들어서 스팀뿐만이 아니라 온수도 사용할 수 있게 한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가열 히터 개수마다 따로 개별 제어 시스템을 채용하여 히터 고장이 있을 때에도 보일러의 정상 운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며, 과압 방지를 위해 압력 편차를 두고 압력 제어 컨트롤러 2개를 설치하여 압력에 이상이 있어 압력이 계속 상승할 때 히터를 가열하는 3상 메인 전기를 차단할 수 있게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 {ELETRIC STEAM, HOT-WATER BOILOR}
본 발명은 전기 스팀 보일러에 있어서 보일러 가열실로 공급된 물이 히터로 가열 증발하면서 가열실의 수위가 낮아져 물이 급수될 때 스팀 탱크의 온도와 압력이 낮아지지 않도록 고온 스팀으로 가열된 온수를 보일러로 공급함과 동시에 보일러 본체의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온수까지 사용할 수 있게 한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또한, 히터의 개수마다 따로 개별 제어 시스템을 설정하여 여러 개의 히터 중 한 두 개의 고장이 있을 때도 나머지 히터로 보일러의 정상 운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스팀 사용량에 따라 가열 히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보일러의 과압 방지를 위해 히터 가열하는 동력 3상(380V) 메인 전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과압 전기 차단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전기 스팀 보일러는 탱크 내에 물이 담겨지는 하부 가열실과 상측 스팀실이 구비되고 하부 가열실에는 전기 히터가 내장되어 전기 히터로 물을 가열시켜 상측 스팀실에서 발생된 스팀을 스팀 출구로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보일러에서 하부 가열실에 담겨 지는 물은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킨 상태로 가열될 수 있도록 수위 감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그 수위 감지 수단에 의해 하부 가열실의 물이 줄어든 상태가 감지되면 외부의 수돗물이 급수 펌프를 통해서 물을 보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부 가열실의 물이 부족한 경우 이를 보충하기 위해 외부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차가운 상태 임으로 보일러 하부 가열실의 가열된 물과는 많은 온도 편차가 있기 때문에 보충되는 물에 의해 보일러 하부 가열실내의 물의 온도 및 보일러내의 팽창 압력을 급격하게 떨어뜨려서 스팀실내의 온도와 압력이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점에 대해서,실용 신안 등록 제20-0419111호로 선등록 되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실용 신한 등록 제20-0419111호 청구항(6)에서 히터로 예열하는 방식은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 등록 된 실용 신안 등록 제20-0442500호 청구항(1)번에서도 보일러 본체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예열된 물이 보일러에 급수될 수 있도록 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기 스팀 보일러들은 단순히 스팀만 사용할 수 있고 온수를 같이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일러 하부 가열실에 설치된 히터들은 개개의 것들이 따로 제어되지 않고 있어서 필요한 스팀량에 따라 가열 히터를 선택적으로 사용 못하고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과 여러 개의 히터봉 중 한 개 또는 두 개의 히터봉이 고장 나는 경우에도 메인 누전 차단기가 내려가서 보일러 전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 스팀 보일러의 안전 차단 장치는 제① 누전 전기 차단기,제② 압력 차단 스위치, 제③ 과열 차단 장치, 제④ 안전변 이 네 가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제① 누전 차단기는 보일러 히터에 누전상황이 있을 때누전 차단기가 작동하여 전기를 차단한다. 제② 압력 차단 스위치는 보일러를 정상 운전할 때 필요한 압력을 설정하여, 삼상 가열히터를 제어하는 3상 마그네트 스위치가 전기를 통하게 하거나 차단하는 220V 조작 전기 신호를 해주는 일을 한다.그런데 상기 압력 차단 스위치나 히터를 제어하는 3상 마그네트 스위치가 고장이 나서 전기가 계속 붙고 차단이 안 되는 경우 보일러 내부 온도와 압력이 계속 상승 되고 보일러 본체의 온도가 높아질 때, 이때 제③ 안전 전기 차단 장치인 과열방지가 작동한다.과열 방지는 220V조작 전기 메인에서 220V전기를 차단하는 특징으로 되어 있다.그러나 220V조작 전기 차단할 때, 전기 차단할 명령을 3상 히터의 가열을 제어하는 3상 마그네트 스위치한테 보내도 그 3상 마그네트 스위치가 계속 붙고 삼상 전기가 차단 안되는 고장이 생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보일러 내부 온도와 압력이 계속 상승되고,이런 상황이 되면 과열 방지는 동력 3상(380V)전기가 차단 안 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 신안 등록제 20-0419111 실용 신안 등록제 20-044250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 보일러 스팀 출구에 소형 스팀 저장실을 설치하여, 보일러에 공급되는 물이 소형 스팀 저장실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형 동관을 통과하면서 소형 스팀 저장실의 고온 스팀과 열 교환이 이루어져 가열되어 보일러에 가열된 온수를 공급하여 보일러 본체 스팀 탱크 내부 온도와 압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 급수 예열 장치로서 열 효율성을 높이고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일러 본체 고온의 열을 재활용하여 본체 스팀 탱크 외부에 이중 탱크 방식 온수실을 설치하고, 보일러 본체 스팀 탱크 외벽에서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만들어 부분적으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보일러 스팀 가열실에 있는 히터봉이 고장 나는 경우 히터봉 마다 따로 개별적으로 제어 되는 시스템을 채용하여 보일러를 정상 사용함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스팀 사용량에 따라 가열 히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보일러 과압 방지를 위해 압력 제어 컨트롤러 2개를 설치하여 제1컨트롤러는 정상 사용하는 압력을 설정하고, 제2컨트롤러는 제1 컨트롤러에 설정된 압력보다 높은 범위로 설정하여, 보일러 압력에 이상이 있어 압력이 계속 상승할 때 제2컨트롤러로 히터를 가열하는 3상(380V)메인 전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1) 보일러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펌프와 보일러 가열실 사이에서 보일러 스팀 출구 쪽으로 소형 스팀 저장실을 만들고 그 내부에 코일형으로 동관을 감은 다음, 소형 스팀 저장실 외부에서 코일형 동관 입구 부분에 전자 밸브와 반 체크 밸브를 설치하고 출구 부분에도 반 체크 밸브를 설치한다. 보일러 스팀 출구를 나온 고온의 스팀은 소형 스팀 저장실을 통과하여 배출되고, 이때 소형 스팀 저장실 내부 코일형 동관을 통해 보일러에 공급되던 물이 고온 스팀을 이용 열 교환이 이루어져 가열되어 보일러에 예열 된 물을 공급한다.
(2) 보일러 본체 스팀 탱크 외표면에 이중의 탱크를 설치하여 보일러 본체 스팀 탱크와 일체형이 되는 온수 저장실을 만들고 하부 수도(직수관) 입구에서 감압 밸브와 반 체크 밸브를 설치하고 온수 출구에 안전변을 설치한다. 보일러 스팀 가열실 외벽에 온도 감지기를 설치하여 스팀을 사용하지 않을 때, 스팀.온수 2단 전환 스위치를 온수 스위치 쪽으로 돌림으로서 온도 감지기로 히터에 가열하거나 정지 명령을 내려 외부 온수실에 있는 물이 보일러 본체 외벽에서 열을 받고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3) 또한 저수위가 감지되면 히터를 제어하는 압력 감지 컨트롤러와 히터 사이에서 개개의 히터마다 220V조작 스위치와 3상 분기 마그네트를 설치하여 히터봉 마다 개별적으로 제어 할 수 있도록 한다.
(4) 보일러 가열실 히터의 분기 마그네트가 전기 차단 신호가 들어오는 경우에도 계속 붙고 전기가 차단되지 않거나, 마그네트에 전기 차단 신호를 해주는 압력 차단 스위치가 전기 차단하는 신호를 보낼 수 없는 고장이 나면서 보일러 내부 압력이 계속 상승 하는 경우, 과압 방지를 위해서 본 발명은 가열 히터의 3상 분기 마그네트를 제어하는 압력 감지 컨트롤러인 압력 차단 스위치를 2개 설치하여(제1 컨트롤러와 제2 컨트롤러) 제2 컨트롤러는 보일러에 정상 설정된 압력(제1 컨트롤러)보다 높은 범위로 설정을 하고, 보일러 가열 히터의 3상 마그네트 앞에 메인 3상 마그네트를 한 개를 더 설치하여 보일러를 운전할 때 압력에 이상이 있어 정상 압력 보다 높아지면 제2 컨트롤러가 과압 감지 신호를 메인 마그네트에 보내고 보일러의 메인 3상(380V) 전기를 메인 마그네트로 메인에서 차단하여 스팀 보일러의 과압을 차단하는 동시에 과압 알람 부저가 자동 울리게 한다. 또한, A/S 받기 전까지 보일러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과압 부저 스위치를 끄면 제2 컨트롤러로 제1 컨트롤러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가진 과압 차단 장치이다.
에너지 절약과 재활용을 위해 고온 스팀을 사용하여 보일러에 공급할 물의 예열 온도를 높임으로서 보일러 내부의 일정한 온도와 압력이 유지되면서 전기를 절약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보일러 본체 고열을 재활용하여 스팀뿐만이 아니라 온수도 사용할 수 있게 하며,히터의 개별 제어 시스템 설정하여 히터 고장시에도 고장난 히터만 잠그고 남은 히터만으로도 보일러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일러의 압력이 계속 상승되는 경우 동력전기(380V)메인에서 전체를 전기 차단하여 과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과압 차단 장치 제2 컨트롤러는 제1 컨트롤러대신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보일러 탱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면의 단면도
제2도는 보일러 탱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의 단면도
제3도는 보일러 탱크의 입체도
제4도는 본 발명 실시 예에서 보일러 급수 예열 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실시 예에서 히터 개별 제어 전기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 실시 예에서 과압방지 메인(3상 380V) 전기 차단 방법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기 스팀 보일러 본체 스팀 탱크(1)내에 물이 담겨지는 하부 가열실(2)과 상측 스팀실(3)로 구비되고 하부 가열실(2)은 전기 히터(8H)가 내장되어 전기 히터(8H)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상측 스팀실(3)에서 발생된 스팀을 보일러 스팀 출구(28)쪽에 설치된 급수 예열 장치인 소형 스팀 저장실(4)을 통해서 배출한다. 즉, 상기 보일러 스팀 출구(28)쪽에 메인 스팀 밸브(36)와 소형 스팀 저장실(4)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코일형으로 동관(27)을 감은 다음, 소형 스팀 저장실(4) 외부에 코일형 동관(27) 입구(22)와 급수 펌프(7)사이에서 전자 밸브(14)와 반 체크 밸브(13)를 설치하며, 출구(23)부분과 보일러 가열실(2)의 급수구(29)사이에 반 체크 밸브(15)를 설치하며, 보일러 출구(28)를 나온 고온 스팀은 소형 스팀 저장실(4)을 통과하여 배출되고, 그러면서 보일러 본체 스팀 탱크(1) 내부의 줄어든 물이 공급될 때, 이때 스팀 저장실(4) 내부 코일형 동관(27)을 통해 보일러에 공급되던 물이 고온 스팀을 이용하여 열 교환 방식으로 가열 되어져 보일러에 예열된 물을 공급한다.
상기된 스팀 보일러에 있어서 보일러 스팀 출구(28)쪽 소형 스팀 저장실(4)내의 코일형 동관 출구(23)와 보일러 하부 급수구(29) 사이에 반 체크 밸브(15) 설치하여 보일러 내 가열실(2)에 있는 물이 역류 되지 않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있고, 보일러 급수펌프(7)와 소형 스팀 저장실(4) 내부 코일형 동관(27) 입구(22) 사이에 전자 밸브(14) 설정하여 코일형 동관(27) 내부에 있는 물이 급수펌프(7) 쪽으로 역류 않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소형 스팀 저장실(4)은 보일러 스팀 출구쪽에 설치하여, 코일형 동관(27) 내부에 있는 물이 고온 스팀으로 가열 되면서 물의 온도가 상승하고 압력이 높아지면 반 체크 밸브(15)가 열리면서 보일러 본체 스팀 탱크(1) 하부의 가열실(2)로 예열된 물이 분출 되도록 한다. 또한, 본체 스팀 탱크의 외부에 설치된 수위 감지실(5)은 내부 수위 감지를 위해 감지봉 길이가 다른 저(5C), 중(5B), 고(5A) 수위봉이 구비되고, 수위 감지실(5) 상측 본체 스팀 탱크의 스팀실(3)과 스팀 배관이 연결되고 하부는 본체 스팀 탱크의 가열실(2)과 같이 스팀 배관으로 연결하여 수평 원리로 본체 스팀 탱크(1)내의 물이 설정된 적정 수위가 유지 되도록 감지하게 한다. 상기 저(5C), 중(5B), 고(5A) 수위 감지봉에서 본체 스팀 탱크(1) 내부 수위를 감지하여 저 수위 감지봉(5C) 적정치에 도달되면 가열 히터(8H)가 작동 하고, 고 수위 감지봉(5A) 적정치에 도달되면 급수펌프를 정지시켜 급수를 차단 한다. 중 수위 감지봉(5B)적정치 수위가 낮아지면 급수 펌프(7)를 작동시켜 본체 스팀 탱크(1)로 물을 급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는 보일러 본체 스팀 탱크(1) 하부 가열실에 있는 물이 히터(8H)로 가열되면서 줄어 들어간 물이 수위 감지 수단(5)에 의해 일정 수위를 유지하고 보일러 상측 스팀실(3)에서 발생된 스팀이 스팀 출구(28)에 있는 소형 스팀 저장실(4)을 통해서 배출 된다.
이렇게 보일러 스팀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보일러에 보충되는 물은 보일러 외부에 일정한 수위로 조정되어 물통(6)에 있던 물이 펌프(7)를 통해서 스팀 출구(28)쪽 소형 스팀 저장실(4) 내부에 있는 코일형 동관(27) 통과하며 본체 스팀 탱크에서 나온 고온 스팀으로 가열 된 다음 보일러 가열실(2)에 공급하여 보일러 내부의 온도와 압력이 떨어지지 않고 동시에 전기를 절약 할 수 있게 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 보일러에 있어서 도면2에서 보일러 탱크 본체(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눕힌 T자형이 되니 즉, 하부는 원형 파이프를 수평으로 제작하고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파이프로 위에 수직으로 올리고 연결부분을 용접처리 하여 내부통을 만들어 보일러 본체(1) 하부에 히터(8H)가 내장되어 하부 가열실(2)과 상부 스팀실(3)로 되는 구성으로 전기 스팀 저장 탱크가 되는 상태에서 저장 탱크(1) 하부 파이프와 상부 작은 파이프 연결 용접한 부위에서부터 위까지 외부에 하부원형 파이프와 같은 치수의 파이프를 세워서 이중 탱크 방식으로 제작하여(도면3) 내부는 스팀 보일러의 본체(1)가 되고 외부는 온수실(26)이 되게 일체형으로 구성한다.상기 이중 탱크의 온수실(26)을 도면1에서 살펴보면, 하부직수입구(18) 감압밸브(17)와 반 체크 밸브(16)를 통해서 들어온 물이 온수실(26)에 잔류하면서 보일러 본체(1)에서 고온의 열을 받고 가열된 다음, 위 부분에 있는 온수 출구(20)에서 온수로 배출한다.
상기 감압 밸브(17)는 수압이 너무 센 경우 감압하고 나서 온수실(26)로 공급하여 온수 출구(20)에서 배출하는 과정 중 압력이 약해져 출구 쪽으로 천천히 배출하면서 보일러 본체(1) 내부의 온도와 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또 보일러 본체(1) 외벽에서 열을 받으면서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만약 온수를 사용하지 않아, 보일러 본체(1) 외벽에서 고온의 열을 계속 받고 온수실(26)에서 내부의 온도와 압력이 계속 상승하는 경우 안전밸브(19)가 자동 열리는 구성으로 하며 온수실(26) 하부 반체크 밸브는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이같이 본 발명은 보일러 본체(1)와 온수 가열실(26)이 일체형이 되는 특징을 가진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이며, 또한, 스팀을 사용하지 않아도 온수만 사용할 수 있게 보일러 전기 제어부분에서 스팀,온수 2단 전환 스위치(B)를 설정하여 온수만 사용할 때 온수로 스위치를 전환하고 온수실(26) 내부에 있는 물이 가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보일러 가열실(2) 외벽의 온도 감지 센서(9)를 60℃로 설정하여 가열 히터(8H)는 보일러 가열실(2)내부에 있는 물을 60℃까지 가열하고, 보일러 외벽은 이 온도를 온수실(26)에 전달하여 온수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상기 전기 스팀 보일러의 가열 히터가 작동할 때 필요한 3상 (380V) 전기는 배전판에서 보일러로 분기하여 메인 3상 전기 누전 차단기(A) 3상 메인 마그네트(M)와 히터를 제어하는 분기 마그네트(MS1~MS6)를 통과해서 보일러 가열실에 있는 가열 히터봉(8H)으로 보내진다. 그런데 보일러로 공급된 물 속의 광물질에 의해 히터의 부식 현상이 나타나면 그 히터는 누전되는 상황이 되어 메인 3상 누전 차단기(A)가 내려가고 보일러 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통상의 보일러의 가열 히터는 한개만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최소 두개 이상 설치하고, 보일러의 많은 히터 중 전부가 동시에 나가는 상황은 일반적으로 없고 파손도가 강한 히터가 먼저 나가는 것이 상식이기 때문에 그 고장난 히터를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를 잠그면 고장 나지 않고 남아 있는 히터만 사용해도 보일러를 정상 운전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 스팀량에 따라 가열 히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위 감지실(5) 내부의 저수위 감지센서(5C)가 저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가열 히터(8H)의 작동을 제어하는 압력 스위치(제1컨트롤러)(P10)와 가열 히터의 분기 마그네트 사이에 히터 개 개 마다 조작 스위치(S1~S6)를 설치하여 개개의 히터마다 따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시스템을 채용 하였다.
상기 현상을 도면1에서 설명하면 가열 히터(8H)가 6개 설치되고 도면5에서 보면 히터 개수마다 개별적으로 제어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면5의 아래쪽에는 히터1(8H1)에서 히터6(8H6)이 설치되고, 중앙 부분은 그 히터들을 제어하는 220V조작 스위치(S1~S6)와 분기 마그네트(MS1~MS6)가 가열 히터와 1:1 상태로 설치되어져 있다. 예를 들어, 보일러 사용 중 메인 전기 차단기(A)가 내려가는 경우가 있으면, 히터(8H1~8H6)를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S1~S6)를 전부 내리고 메인 차단기(A)를 다시 올린 다음 히터 스위치를 하나씩 순서대로 올리면 나간 스위치를 올리는 순간 메인 차단기(A)가 다시 내려가서 고장난 히터봉을 자연히 알 수 있게 된다. 그렇게 고장난 히터 스위치를 내리고 남은 히터를 사용하면 보일러 A/S하기 전까지 보일러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하고자 하는 스팀량이 소량이어서 가열 히터 한 두 개만 사용해도 스팀량이 충분할 경우 히터(8H1~8H6)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상기 전기 스팀 보일러의 가열 히터가 사용하는 3상 동력 전기는 배전판에서 들어와 3상 누전 차단기(A)와 메인 3상 마그네트(M)와 분기 마그네트(MS1~MS6)를 통과하여 히터(8H1~8H6)에 보내는 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압력 제어 장치인 압력 차단 스위치(P10)는 보일러 내부의 증기 압력을 감지하여 규정된 압력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설정치에 도달되면 가열 히터의 작동을 정지시켜 3상 분기 마그네트가 3상(380V)전기를 차단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압력 차단 스위치(P10)가 고장 나서 220V조작 전기 차단이 안 되는 경우와 분기 3상 마그네트(MS1~MS6) 한 두 개에 조작 전기가 안 들어와 마그네트가 계속 붙고 3상 전기 차단이 안 되는 경우에는 보일러 내부 온도와 압력이 계속 상승하면서 보일러 안전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본 발명은 압력 차단 스위치를 2개(제1 컨트롤러(P10)와 제2 컨트롤러(P11)) 설치하며, 이 두 개의 압력 차단기는 보일러 탱크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도록 스팀 탱크 압력 배관이 연결 설치되고, 여기서 제1 컨트롤러(P10)는 보일러의 정상 사용 압력4kg/㎠으로 설정되어, 스팀 탱크(1)의 내부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하면 가열 히터(8H)의 작동이 정지된다. 제2 컨트롤러(P11)는 5kg/㎠의 압력으로 설정되어 스팀 탱크의 내부 압력에 이상이 있어 압력이 계속 상승하여 제2 컨트롤러(P11)의 설정치에 도달하면, 상기한 메인 3상 마그네트(M)로 전기 차단 신호를 보내고 메인 마그네트(M)로 메인 3상 전기를 차단하게 한다.
스팀탱크에 수용된 물을 제1 컨트롤러(P10)로 제어한 가열히터(8H)로 가열하므로 스팀이 생성되면서 내부의 온도와 압력이 점차 상승하고 이때 스팀탱크(1)의 압력이 제1컨트롤러(P10)에 설정된 압력(4㎏/㎠)에 도달하면 제1컨트롤러(P10)에서 가열히터(8H)정지시키고, 스팀탱크의 압력이 고압으로 유지될 수 있게 스팀탱크 출구(28)에서 스팀 배출하면서 탱크 내부의 압력이 점차 낮아지고, 이때 다시 제1 컨트롤러(P10)의 제어로 가열히터(8H)가 작동하여 가열하므로 스팀탱크(1)의 압력이 다시 고압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컨트롤러(P11)에 설정된 스팀 탱크의 압력(5㎏/㎠)이 제1컨트롤러(P10)에 설정된 압력(4㎏/㎠)보다 높은 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팀탱크의 압력에 이상이 있어 압력이 설정 범위 이상 상승하면서 5㎏/㎠에 도달하는 경우 과압 알림 부저(34)가 울리며 과압 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제2 컨트롤러(P11)가 3상 메인 마그네트 스위치(M)로 전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과압 차단 장치는 제1 컨트롤러(P10)가 고장 났을 때 보일러 압력이 제2 컨트롤러(P11)의 설정된 압력까지 올라가면서 메인 전기를 차단하는 순간 과압 부저(34)가 울리면서, 제1 컨트롤러(P10)나 히터(8H) 제어하는 분기 3상 마그네트에 문제가 있음을 알려주고, 그 부저스위치(35)를 잠그면 제2 컨트롤러(P11)는 제1 컨트롤러(P10)를 대신 사용해도 된다는 또 한가지의 특징이 있다.
1: 보일러 본체 A: 누전 차단기
2: 가열실 B: 스팀,온수 2단 전환 스위치
3: 스팀실 C: 온도 감지기
4: 급수 예열 장치(소형 스팀 저장실)
5: 수위 감지실
5A: 고 수위 감지봉
5B: 중 수위 감지봉
5C: 저 수위 감지봉
6: 물통
7: 급수 펌프
8H(H1~H6): 가열 히터
9: 온도 감지기
P10: 제1 컨트롤러
P11: 제2 컨트롤러
12: 압력 게이지
13: 반 체크 밸브
14: 전자 밸브
15: 반 체크 밸브
16: 반 체크 밸브
17: 감압 밸브
18: 직수 입구
19: 안전변
20: 온수 출구
21: 스팀 출구
22: 코일형 동관의 직수 입구
23: 코일형 동관의 온수 출구
24: 급수 예열 장치의 스팀 입구
25: 급수 예열 장치의 스팀 출구
26: 온수실
27: 코일형 동관
28: 보일러 스팀 출구
29: 보일러 급수구
30: 보일러 받침대
31: 안전변
32: 배수구
33: 릴레이
34: 과압 알림 부저
35: 과압 알림 부저의 스위치
36: 메인 스팀 밸브
M: 메인 3상 마그네트
MS1~MS6: 분기 마그네트
S1~S6: 히터 조작 스위치

Claims (5)

  1. 스팀 탱크와, 상기 스팀 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복수의 가열 히터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가열 히터를 통해 상기 스팀 탱크에 저장된 물을 기화시켜 고온의 스팀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스팀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전기 스팀 보일러에는,
    상기 복수의 가열 히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가열 히터에 각각 구비되는 조작스위치와;
    상기 스팀 탱크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가열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컨트롤러;
    가 구비되고,
    상기 스팀 탱크의 외주면에는 이중 탱크 방식으로 상기 스팀 탱크의 외벽을 둘러싸며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팀 탱크와의 열교환을 통해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실이 형성되고,
    상기 스팀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스팀이 유동하는 배관 라인에는 열교환을 통해 상기 스팀 탱크에 공급되는 물을 예열하기 위한 스팀저장실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저장실의 내부에는,
    상기 스팀 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이 코일형 동관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코일형 동관의 입구 측에는,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 및 전자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실에 물을 공급하는 입구 측에는,
    상기 온수실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와,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온수실로부터 온수가 배출되는 출구 측에는,
    상기 온수실의 온도 및 압력 상승시 자동으로 개방되는 안전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스팀 탱크의 내부 압력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가열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스팀 탱크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스팀 탱크의 내부 압력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큰 값으로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에 도달하는 경우, 2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가열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스팀 탱크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
KR1020100084491A 2010-08-27 2010-08-27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 KR10121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491A KR101219907B1 (ko) 2010-08-27 2010-08-27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491A KR101219907B1 (ko) 2010-08-27 2010-08-27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834A KR20120041834A (ko) 2012-05-03
KR101219907B1 true KR101219907B1 (ko) 2013-01-08

Family

ID=4626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491A KR101219907B1 (ko) 2010-08-27 2010-08-27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710B1 (ko) 2015-09-15 2015-11-06 최홍석 탄소 발열체 복사열을 이용한 온수보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6916A (zh) * 2018-07-05 2018-09-07 江苏啄木鸟节能科技有限公司 内置式电磁测温蒸汽锅炉
CN116592412B (zh) * 2023-07-18 2023-09-22 济宁金能热力有限公司 一种工业园区供热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800Y1 (ko) * 2001-04-16 2001-10-31 연 일 성 증기보일러의 디지털 안전제어장치
KR100857526B1 (ko) * 2008-03-24 2008-09-08 황성호 떡시루 스팀기의 예열장치
KR20100000952U (ko) * 2008-07-19 2010-01-28 진정식 전기식 스팀 보일러의 보충수 가열장치
KR20100002901U (ko) * 2008-09-03 2010-03-11 박병옥 전기스팀보일러의 과열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800Y1 (ko) * 2001-04-16 2001-10-31 연 일 성 증기보일러의 디지털 안전제어장치
KR100857526B1 (ko) * 2008-03-24 2008-09-08 황성호 떡시루 스팀기의 예열장치
KR20100000952U (ko) * 2008-07-19 2010-01-28 진정식 전기식 스팀 보일러의 보충수 가열장치
KR20100002901U (ko) * 2008-09-03 2010-03-11 박병옥 전기스팀보일러의 과열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710B1 (ko) 2015-09-15 2015-11-06 최홍석 탄소 발열체 복사열을 이용한 온수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834A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795B1 (ko) 절전형 자동제어 전기온수기
CN105972814B (zh) 燃气壁挂炉及补水控制方法、控制装置、控制系统
KR101219907B1 (ko) 온수 겸용 전기 스팀 보일러
CN201184680Y (zh) 燃气热水器
CN204460730U (zh) 一种热水胆装置及多功能电加热装置
JP2011149673A (ja) 太陽熱給湯システム
EP2730853B1 (en) Thermal storage with external instant heater
CN207515028U (zh) 一种供暖和生活热水集成的中央热水装置
KR101187929B1 (ko) 스팀보일러
CN104873102A (zh) 具有自动补水饮水系统及其安全控制方法
KR102160305B1 (ko) 급탕라인을 열원으로하는 급탕 난방 통합 배관시스템
CN104848383A (zh) 自适应智能型节能换热站
KR101320871B1 (ko) 축열탱크 자동급수 시스템
CN102162683A (zh) 水循环系统的缺水保护装置
KR20170068763A (ko) 순간식 보일러의 절수 장치
KR20110137619A (ko)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CN205299844U (zh) 一种空调热水三联供控制器
CN210220200U (zh) 压力启动循环的壁挂式燃气热水炉
JP2011149656A (ja) 貯湯式給湯システム
RU2652541C1 (ru) Система теплоснабжения с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ой тепловой сети при возникновении аварийных утечек на тепловой сети
CN202973355U (zh) 一种家庭自主供暖和生活热水供应控制系统
KR101376058B1 (ko) 자연순환형 태양열 온수시스템
CN102980291A (zh) 一种热能二次再循环的快热式电加热器
JP2017089903A (ja) 給湯システム
JP5061153B2 (ja) 貯湯式給湯システムと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