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833B1 - 스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스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833B1
KR101219833B1 KR1020110008442A KR20110008442A KR101219833B1 KR 101219833 B1 KR101219833 B1 KR 101219833B1 KR 1020110008442 A KR1020110008442 A KR 1020110008442A KR 20110008442 A KR20110008442 A KR 20110008442A KR 101219833 B1 KR101219833 B1 KR 10121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blade
treatment tank
water treatment
tr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017A (ko
Inventor
박석조
문근식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8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83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조 상에서 수처리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수 상의 스컴을 밀어내는 탄성재질의 스컴 블레이드 및 수처리조의 길이방향 양쪽 중 적어도 한쪽에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을 배출하는 스컴 트러프를 포함하며, 스컴 블레이드는 하단의 양쪽 끝을 제외한 중앙부의 전체가 오목하도록 형성되어 하단의 양쪽 끝에 돌출부가 각각 마련되고, 비치에는 돌출부와 대응하는 형상이면서 스컴 블레이드의 이동방향 양쪽인 전후가 개방된 구조의 홈부가 각각 마련된 스컴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컴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Scum}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에서 수면 상의 스컴(scum)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시설은 침전조와 같은 수처리조를 포함하여, 이 수처리조에서는 하수와 같은 원수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고, 이 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원수 속의 현탁물질은 가벼운 비중, 기포가 밀어 올리는 점 등에 의하여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며, 이렇게 부상한 스컴은 전용의 제거장치에 의하여 제거된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스컴 제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컴 제거장치는 스크레이퍼(scraper)(100)와 트러프(trough)(200)를 포함한다.
도 3은 스크레이퍼(100)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100)는 수처리조(2) 상에 이 수처리조(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주행대차(110) 및 이 주행대차(110)의 하측에 승강기구(140)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된 고무재의 블레이드(blade)(120)를 포함한다.
주행대차(110)의 정확한 이동을 위하여, 수처리조(2)의 좌우(즉, 수처리조의 폭방향 양쪽) 측벽(2L,2R)에는 레일(rail)(132)이 각각 설치되고, 주행대차(110)에는 이 주행대차(110)가 레일(1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휠(wheel)(134)들이 장착된다. 이 때, 휠(134)은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레이드(120)는 기다란 사각평판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수처리조(2)의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블레이드(120)는, 평상시에는 상승되어 원수의 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스컴 제거 시에는 하강되어 원수 속에 하단부(날 부분)이 잠긴다. 이러한 블레이드(120)는 그 길이가 수처리조(2)의 폭보다 약간 길어서, 블레이드(120)의 양단부는 스컴 제거 시에 수처리조(2)의 좌우 측벽(2L,2R)에 각각 접촉된다.
도 4는 트러프(200)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2 및 4를 참조하면, 트러프(200)는 수처리조(2)의 길이방향 양쪽 중 적어도 한쪽에 수처리조(2)의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트러프(200)는 트러프 바디(trough body)(210)와 비치(beach)(220)를 포함한다. 트러프 바디(210)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배출로를 형성하고, 비치(220)는 스컴이 이 트러프 바디(210)의 내부(배출로)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비치(220)는 트러프 바디(210)의 개방된 상부(즉, 입구)에서 스크레이퍼(100)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스컴 제거 시, 승강기구(140)는 블레이드(120)의 하단부가 원수 속에 잠기도록 블레이드(120)를 하강시키고, 구동수단은 휠(134)을 회전시켜, 주행대차(110)는 레일(132)을 따라 트러프(200) 측으로 이동되고, 블레이드(120)는 주행대차(110)와 함께 이동하면서 원수 상의 스컴을 밀어낸다. 이 때, 블레이드(120)의 양단부는 이동방향의 후방으로 구부러지면서 수처리조(2)의 측벽(2L,2R)에 각각 접촉된다.
다음, 도 2와 같이, 이동하는 블레이드(120)는 하단부가 비치(220)에 접촉되면서 이동방향의 후방으로 구부러진다. 그리고, 블레이드(120)가 더욱 이동하여 비치(220)를 벗어나면, 블레이드(120)가 밀어내는 스컴은 트러프 바디(2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트러프 바디(210)의 내부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트러프 바디(210)에 유입되는 스컴은 트러프 바디(210)를 따라 흐르는 물과 함께 배출된다.
그러나, 살펴본 바와 같은 스컴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스컴 제거 시, 블레이드(120)의 양단부가 수처리조(2)의 측벽(2L,2R)과 각각 접촉되면서 블레이드(120)의 이동방향 후방으로 구부러지고, 블레이드(120)의 하단부가 비치(220)와 접촉되면서 블레이드(120)의 이동방향 후방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블레이드(120)가 비치(220)에 접촉된 때 블레이드(120)의 하단 양쪽 모서리 부분이 꺾이면서 이 모서리 부분이 없어지므로 블레이드(120)의 하단 양쪽과 수처리조(2)의 측벽(2L,2R) 및 블레이드(120)의 하단 양쪽과 비치(220) 사이에 자연히 큰 틈새가 생기고, 이 틈새들을 통하여 블레이드(120)에 밀리는 스컴의 일부가 트러프 바디(210)로 유입되지 않고 유실되고는 하였다.
아울러, 이렇게 스컴을 제거할 때마다 블레이드(120)의 하단 양쪽 모서리 부분이 반복적으로 꺾임에 따라 이 모서리 부분이 찢어지는 등 손상이 유발되고는 하였다.
이상의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하여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습득한 기술을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 일반 공중에 공개된 기술이라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컴 제거를 위하여 스컴을 블레이드로 밀어내어 트러프에 유입 시 스컴이 유실(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가 반복적인 꺾임현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위 과제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들은 통상의 기술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조 상에 상기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가 상기 수처리조의 폭보다 길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처리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수 상의 스컴을 밀어내는 탄성재질의 스컴 블레이드와; 상기 수처리조의 길이방향 양쪽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을 받아서 배출하는 스컴 트러프를 포함하되, 상기 스컴 트러프는, 상부가 개방된 스컴 배출로를 마련하는 트러프 바디와; 상기 트러프 바디의 개방된 상부 측에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하단부인 날 부분과 접촉하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이 상기 스컴 배출로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컴 블레이드는 하단의 양단부(날 부분의 양쪽 말단)를 제외한 중앙부의 전체가 오목하도록 형성되어 하단의 양단부(날 부분의 양쪽 말단)에 돌출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비치에는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돌출부와 접촉하는 홈부가 패인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스컴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홈부의 바닥면은 평면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홈부는 상기 경사져서 높낮이가 다를 수밖에 없는 비치에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러프 바디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양쪽에 각각 세워진 두 측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컴 배출로는 U자형 구조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비치는 상기 트러프 바디의 두 측판 중 상기 스컴 블레이드 측 측판 상단에서 일체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컴 제거장치는 상기 스컴 배출로에 스컴 배출수를 자연유하 방식으로 공급하는 급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조 상에 상기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가 상기 수처리조의 폭보다 길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처리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수 상의 스컴을 밀어내는 탄성재질의 스컴 블레이드와; 상기 수처리조의 길이방향 양쪽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을 받아서 배출하는 스컴 트러프를 포함하되, 상기 스컴 트러프는, 상부가 개방된 스컴 배출로를 마련하는 트러프 바디와; 상기 트러프 바디의 개방된 상부 측에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하단부인 날 부분과 접촉하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이 상기 스컴 배출로에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컴 블레이드는 하단의 양단부(날 부분의 양쪽 말단)를 제외한 중앙부의 전체가 오목하도록 형성된 스컴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조 상에 상기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가 상기 수처리조의 폭보다 길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처리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수 상의 스컴을 밀어내는 탄성재질의 스컴 블레이드와; 상기 수처리조의 길이방향 양쪽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을 받아서 배출하는 스컴 트러프를 포함하되, 상기 스컴 트러프는, 상부가 개방된 스컴 배출로를 마련하는 트러프 바디와; 상기 트러프 바디의 개방된 상부 측에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하단부인 날 부분과 접촉하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이 상기 스컴 배출로에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비치를 포함하며, 상기 비치에는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하단 양단부인 날 부분의 양단부와 접촉하는 패인 형상의 홈부가 각각 마련된 스컴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컴을 제거할 때에 블레이드의 하단 양쪽 모서리 부분이 꺾임으로써 블레이드와 수처리조의 측벽 및 블레이드와 비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스컴이 트러프에 유입되지 않고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아울러 블레이드의 하단 양쪽 모서리 부분이 반복적으로 꺾임에 따른 블레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2는 일반적인 스컴 제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2에 도시된 스크레이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2에 도시된 트러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컴 제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 6에 도시된 스크레이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 6에 도시된 트러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 9에 도시된 블레이드와 트러프 간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스컴 제거장치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컴 제거장치는 수처리조(2) 상에서 원수 상의 스컴을 밀어내는 스컴 블레이드(12)를 갖춘 스크레이퍼(10) 및 이 스크레이퍼(10)의 스컴 블레이드(12)가 밀어내는 스컴을 받아서 목적하는 곳으로의 배출을 안내하는 스컴 트러프(2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크레이퍼(10)는 수처리조(2) 상에 수처리조(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주행대차(11)를 포함하는데, 주행대차(11)의 하측에는 스컴 블레이드(12)가 블레이드 승강기구(14)에 의하여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수처리조(2)의 좌측벽(2L) 및 우측벽(2R) 상에는 안내레일(13-1)이 수처리조(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주행대차(11)의 좌우 양쪽에는 이 안내레일(13-1)을 따라 주행대차(11)가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다수 개의 휠(13-2) 및 이 휠(13-2)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므로, 주행대차(11)는 휠 구동수단에 의하여 휠(13-2)을 회전시키면 안내레일(13-1)을 따라 이동한다.
스컴 블레이드(12)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스컴 블레이드(12)의 재질은 고무일 수 있는 것이다. 스컴 블레이드(12)는, 평상시에는 블레이드 승강기구(14)에 의하여 상승되어 원수의 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스컴 제거 시에는 블레이드 승강기구(14)에 의하여 하강되어 원수 속에 하단부인 날 부분이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스컴 블레이드(12)는 수처리조(2)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한편, 그 길이가 수처리조(2)의 폭에 비하여 길어서 스컴 제거 시에 그 양단부가 수처리조(2)의 좌, 우측벽(2L,2R)에 각각 접촉된다. 스컴 블레이드(12)의 하단은 좌우의 양단부를 제외한 중앙부의 전체가 오목하게 사각으로 패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스컴 블레이드(12)의 하단 좌우 양단부에는 돌출부(12a)가 각각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2a)는 사각형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인 도시는 없으나, 블레이드 승강기구(14)는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실린더일 수 있다. 또는, 블레이드 승강기구(14)는 모터 및 이 모터의 회전력을 스컴 블레이드(12)에 전달하여 이 스컴 블레이드(12)를 승강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타입일 수 있다.
도 5, 6 및 9를 참조하면, 스컴 트러프(20)는 수처리조(2)의 길이방향 양쪽, 바람직하게는 양단 측 중 적어도 한쪽에 수처리조(2)의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스컴 트러프(20)는 트러프 바디(21) 및 비치(22)를 포함한다.
트러프 바디(21)는 상부가 개방되어 이 개방된 상부를 스컴이 유입되는 스컴 유입구로 하는 스컴 배출로를 수처리조(2)의 폭방향으로 마련한다. 이것을 위하여, 트러프 바디(21)는 평평한 바닥판(21a) 및 이 바닥판(21a)의 양쪽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두 측판(21b,21c)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트러프 바디(21)는 내부공간을 스컴 배출로로 하고, 이 스컴 배출로는 그 횡단면이 대략 U자형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트러프 바디(21)는 스컴 유입구의 높이가 원수의 수면보다 약간 높도록 배치된다.
비치(22)는 트러프 바디(21)의 두 측판(21b,21c) 중 스컴 블레이드(12) 측에 위치하는 측판(21c)의 상단에서 스컴 블레이드(12) 측으로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일체로 연장되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하단부가 원수 속에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치(22)의 상단 좌우 양단부에는 스컴 블레이드(12)의 좌우 두 돌출부(12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부(22a)가 각각 형성된다. 즉, 비치(22)의 상단 양단부에 두 돌출부(12a)와 접촉하는 홈부(22a)가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홈부(22a)의 바닥면은 평면의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도 5와 도 6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30은 스컴 배출로에 스컴 배출수를 자연유하 방식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다. 여기에서의 자연유하 방식이라 함은 이 급수관(30)을 단지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급수원(예를 들어, 물탱크)에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스컴 제거 시, 블레이드 승강기구(14)는 스컴 블레이드(12)의 하단부가 원수 속에 잠기도록 스컴 블레이드(12)를 하강시키고, 휠 구동수단은 휠(13-2)을 회전시키므로, 주행대차(11)는 안내레일(13-1)을 따라 스컴 트러프(20) 측으로 이동되고, 스컴 블레이드(12)는 주행대차(11)와 함께 이동하면서 원수 상의 스컴을 스컴 트러프(20) 측으 밀어낸다. 이 때, 스컴 블레이드(12)의 양단부는 도 7에서처럼 이동방향의 후방으로 구부러지면서 수처리조(2)의 측벽(2L,2R)에 각각 접촉된다.
다음, 이동하는 스컴 블레이드(12)는 그 하단부가 비치(22)에 접촉되면서 도 6에서처럼 이동방향의 후방으로 구부러진다. 이 과정에서, 스컴 블레이드(12)의 돌출부(12a)는 비치(22)의 경사면과 접촉하다가, 구부러짐이 최고조에 달하는 지점인 비치(22)의 상단부에서 상대적으로 오목한 데다, 바닥이 스컴 블레이드(12)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홈부(22a)와 접촉되므로, 스컴 블레이드(12)는 하단 양쪽 모서리 부분의 꺾임이 적게 발생된다. 따라서, 스컴 블레이드(12)는 그 하단 양쪽 모서리 부분과 수처리조(2)의 측벽(2L,2R), 그 하단 양쪽 모서리 부분과 비치(22)(즉, 홈부) 사이에 틈새 발생을 최소화한 상태로 접촉된다. 물론, 꺾임이 적음에 따라 손상 유발 가능성이 낮다.
그 다음, 스컴 블레이드(12)가 더욱 이동하여 비치(22)를 벗어나면, 스컴 블레이드(12)가 밀어내는 스컴은 트러프 바디(21)의 스컴 유입구를 통하여 트러프 바디(21)의 내부인 스컴 배출로에 유실이 최소화된 상태로 유입된다. 이 때, 스컴 배출로에 유입되는 스컴은 스컴 배출로에 자연유하 방식으로 공급되어 스컴 배출로를 따라 흐르는 급수관(30)으로부터의 스컴 배출수와 함께 배출되고, 이후 스컴 트러프(20)에 연결된 최종 배출라인(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목적하는 곳으로 최종 배출된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2 : 수처리조 12 : 스컴 블레이드
12a : 돌출부 20 : 스컴 트러프
21 : 트러프 바디 22 : 비치
22a : 홈부 30 : 급수관

Claims (7)

  1. 수처리조 상에 상기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가 상기 수처리조의 폭보다 길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처리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수 상의 스컴을 밀어내는 탄성재질의 스컴 블레이드와;
    상기 수처리조의 길이방향 양쪽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을 받아서 배출하는 스컴 트러프를 포함하되,
    상기 스컴 트러프는,
    상부가 개방된 스컴 배출로를 마련하는 트러프 바디와;
    상기 트러프 바디의 개방된 상부 측에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하단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이 상기 스컴 배출로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컴 블레이드는 하단의 양단부를 제외한 중앙부 전체가 오목하도록 형성되어 하단의 양단부에 돌출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비치에는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돌출부와 접촉하는 홈부가 패인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스컴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바닥면은 평면의 구조로 형성된 스컴 제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경사져서 높낮이가 다른 비치에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상단부에 배치된 스컴 제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러프 바디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양쪽에 각각 세워진 두 측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컴 배출로는 U자형 구조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비치는 상기 트러프 바디의 두 측판 중 상기 스컴 블레이드 측 측판 상단에서 일체형으로 연장된 스컴 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컴 배출로에 스컴 배출수를 자연유하 방식으로 공급하는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스컴 제거장치.
  6. 수처리조 상에 상기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가 상기 수처리조의 폭보다 길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처리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수 상의 스컴을 밀어내는 탄성재질의 스컴 블레이드와;
    상기 수처리조의 길이방향 양쪽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을 받아서 배출하는 스컴 트러프를 포함하되,
    상기 스컴 트러프는,
    상부가 개방된 스컴 배출로를 마련하는 트러프 바디와;
    상기 트러프 바디의 개방된 상부 측에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하단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이 상기 스컴 배출로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컴 블레이드는 하단의 양단부를 제외한 중앙부 전체가 오목하도록 형성된 스컴 제거장치.
  7. 수처리조 상에 상기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가 상기 수처리조의 폭보다 길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처리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수 상의 스컴을 밀어내는 탄성재질의 스컴 블레이드와;
    상기 수처리조의 길이방향 양쪽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수처리조의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을 받아서 배출하는 스컴 트러프를 포함하되,
    상기 스컴 트러프는,
    상부가 개방된 스컴 배출로를 마련하는 트러프 바디와;
    상기 트러프 바디의 개방된 상부 측에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하단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스컴 블레이드가 밀어내는 스컴이 상기 스컴 배출로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비치를 포함하며,
    상기 비치에는 상기 스컴 블레이드의 하단 양단부와 접촉하는 홈부가 패인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스컴 제거장치.
KR1020110008442A 2011-01-27 2011-01-27 스컴 제거장치 KR10121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442A KR101219833B1 (ko) 2011-01-27 2011-01-27 스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442A KR101219833B1 (ko) 2011-01-27 2011-01-27 스컴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017A KR20120087017A (ko) 2012-08-06
KR101219833B1 true KR101219833B1 (ko) 2013-01-08

Family

ID=4687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442A KR101219833B1 (ko) 2011-01-27 2011-01-27 스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4928B (fi) * 2013-04-05 2015-03-31 Finnchain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intalietteen poistoon
CN117005521B (zh) * 2023-10-07 2024-01-12 临沂市园林环卫保障服务中心 一种园林绿化排水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220Y1 (ko) * 1997-01-03 1999-09-15 김학수 스컴제거기의 스컴제거판 체결구조
KR200157552Y1 (ko) * 1997-10-20 1999-10-01 강준 스컴 및 이끼제거수단이 구비된 슬러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220Y1 (ko) * 1997-01-03 1999-09-15 김학수 스컴제거기의 스컴제거판 체결구조
KR200157552Y1 (ko) * 1997-10-20 1999-10-01 강준 스컴 및 이끼제거수단이 구비된 슬러지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017A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023B1 (ko) 스컴 제거장치
KR100917956B1 (ko)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KR101247531B1 (ko) 침전지의 슬러지 및 스컴 제거 시스템과 이에 이용되는 스컴 스키머
KR101219833B1 (ko) 스컴 제거장치
KR20080008711A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0852459B1 (ko) 침전지 경사판 사이의 누적 이물질 및 슬러지 제거 청소장치
KR20090086183A (ko) 대차식 슬러지 수집장치
JP6547189B2 (ja) 汚泥掻寄装置
JP4522979B2 (ja) 堆積物及び浮上物の掻寄装置
KR101301837B1 (ko) 스컴 제거장치
CN105314813B (zh) 一种沥青污泥浓缩装置
JP2008114124A (ja) 汚泥掻寄装置
KR101445342B1 (ko)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
KR101642244B1 (ko) 슬러지 수집장치
JPH1057713A (ja) 汚泥掻寄せ装置
JP2008142619A (ja) 浮上物掻き寄せ装置
JP2012148261A (ja) 沈澱物除去装置
CN209507658U (zh) 一种污水处理水上浮泥刮除机构
KR101943559B1 (ko) 진흙소기기
KR200460499Y1 (ko)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KR20150052478A (ko) 다단의 스크래퍼가 구비된 대차 왕복이동식 슬러지 수집기
CN108970185B (zh) 一种设有升降刮板的沉淀池
KR102004886B1 (ko) 슬러지 수집기
KR101816904B1 (ko) 침사 및 부유물을 동시에 처리 가능한 대차형 침사처리장치
CN209068533U (zh) 一种刮板式出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