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502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502B1
KR101219502B1 KR1020120010143A KR20120010143A KR101219502B1 KR 101219502 B1 KR101219502 B1 KR 101219502B1 KR 1020120010143 A KR1020120010143 A KR 1020120010143A KR 20120010143 A KR20120010143 A KR 20120010143A KR 101219502 B1 KR101219502 B1 KR 10121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onnector
plug connector
supported
receptac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964A (ko
Inventor
다카히로 야마지
가즈시 가마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47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with a fastener through a screw hole in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는, 기판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기판과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분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측부를 구비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분리할 때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측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피고정부로서,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피고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셉터클 커넥터가 기판(基板)에 탑재되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가 그 기판과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분리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 조립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67977호 공보의 도8 내지 도11에 나타나 있는 것이 있다(종래의 예1). 또한 본 명세서의 일부는 당해 공보의 내용을 참조하였다. 종래의 예1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는 길이방향 양단의 후단(後端)에 조작부재(操作部材)를 부착하고, 조작부재를 후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록부(lock portion)에 의한 록(lock)을 해제하는 것이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67977호 공보의 도1 내지 도5에는 금속제(金屬製)의 조작부재(풀 바(pull bar))를 사용한 록 기구(lock 機構)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종래의 예2). 또한 동일한 종류의 록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112700호 공보에도 개시되어 있다(종래의 예3). 다만 종래의 예2나 종래의 예3과 같이 금속제의 조작부재를 사용한 록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는, 기판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분리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예1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에 지지된 케이블이 흔들리게 되었을 경우 등에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케이블의 흔들림 등에도 커넥터 사이의 결합상태가 강하게 지지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기판(基板)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와, 상기 기판과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분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를 제공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측부(側部)를 구비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분리할 때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측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guide portion)와,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피고정부(被固定部)로서,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부와 일체(一體)로 형성된 피고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의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의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다음의 최선 실시예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히 이해되고 또 그 구성에 대하여 더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의 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플러그 커넥터에 지지되어 있는 록 조작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도1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포함되는 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셀의 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100)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200)와, 이 플러그 커넥터(200)를 접속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300)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00)는 기판(基板)(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탑재되는 것이고, 플러그 커넥터(200)는 기판과 평행한 면 내(XY 평면 내)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300)와 결합·분리 가능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플러그 커넥터(200)는 X방향(제1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결합·분리 가능한 것이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는, 복수의 콘택트(contact)(210)와, 절연성(絶緣性)의 하우징(housing)(220)과, 측부(側部)(23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20)은 콘택트(210)를 지지한다. 콘택트(210)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부(結合部)(202)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300)와 접촉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하우징(220)에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220)의 후단측(後端側)에는 복수의 케이블(cable)(400)이 부착되어 있고, 케이블(400)의 신호선(信號線)은 하우징(220) 내에 있어서 콘택트(210)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220)은 Y방향(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측부(230)는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의 양단(兩端)에 구비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측부(230)에는, 측부(230)의 내면(內面)(232)으로부터 외면(外面)(234)까지 측부를 관통하도록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구멍(holding hole)(2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측부(230)의 내면(232)에는 캠부(cam portion)(238)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구멍(236)에는, 금속제(金屬製)의 막대를 절곡가공(折曲加工)하여 이루어지는 록 조작부재(lock 操作部材)(500)가 지지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조작부재(500)는, 예를 들면 천(cloth)으로 제작된 조작부(操作部)(600)가 부착되는 ㄷ자 모양의 주부(主部)(510)와, 주부(510)의 양단에 형성된 캠 팔로워부(cam follower portion)(520)와, 캠 팔로워부(520)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피지지부(被支持部)(530)를 구비하고 있고, 그 단부(端部)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부(lock portion)(540)로서 기능을 한다. 주부(510)의 X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측부(230)의 내면(232)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되어 있고, 그 결과로서 캠 팔로워부(520)는 조작부(600)(주부(510))의 조작에 따라 측부(230)의 캠부(238)에 가압(加壓)되어 캠부(238)에 따르게 된다. 또한 조작부(600)(주부(510))가 조작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록부(540)가 측부(230)의 외면(234)으로부터 Y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즉 록부(540)는, 주부(510)에 의하여 측부(230)의 외면(234)으로부터 Y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피지지부(530)는, 측부(230)에 형성된 지지구멍(236) 내에 있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또한 캠 팔로워부(520)에 있어서 캠부(238) 상의 이동에 따라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구멍(236)에 지지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00)는, X방향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부(202)를 받아들이는 본체부(本體部)(302)와, X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암부(arm portion)(30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302)와 암부(304)는, Z방향에서 본 경우에 ㄷ자 형상을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본체부(302)는 Y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그 양단에는 홈부(groove portion)(306)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306)는 Z방향으로 오목한 것으로서, X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암부(304)는 Y방향에 있어서 본체부(302)와의 사이에 홈부(306)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어 있다. 이 홈부(30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 조작부재(50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300)는, 금속제의 셀(shell)(310)과, 절연성의 하우징(320)과, 금속제의 가이드부(guide portion)(33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셀(310)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302)를 구성하는 셀 주부(shell 主部)(312)와 가이드부(330)를 일체(一體)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몰드 인 법(mold-in-place method)에 의하여 하우징(320) 형성 시에 하우징(320)에 구비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셀 주부(312)와 가이드부(330)를 별체(別體)로 하여도 좋다.
도2 및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330)는, 측부(230)의 상면(上面)(230a) 및 외면(234)을 가이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가이드부(330)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302)보다 X방향으로 돌출된 암부(304)에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X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가이드부(330)는,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XY 평면과 평행한 상벽부(上壁部)(332)와, 상벽부(332)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XZ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벽부(側壁部)(334)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부(334)에는,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결합되었을 때에 록부(540)가 결합하는 록 구멍(lock hole)(335)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암부(304)를 구성하는 하우징(320)의 일부에도 록 구멍(335)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1 및 도5 참조), 록부(540)가 록 구멍(335)을 통하여 측벽부(334)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다고 하더라도 암부(304)의 구멍에 수용할 수 있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각각의 측벽부(334)의 전단(前端)에는 유도부(誘導部)(336)가 형성되어 있다. 유도부(336)는 Y방향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도부(336)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결합할 때에 플러그 커넥터(200)의 측부(230)를 가이드부(330)로 향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측벽부(334)의 전단 근방에는 피고정부(被固定部)(338)가 형성되어 있고, 피고정부(338)는 리셉터클 커넥터(300)가 탑재되는 기판(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솔더링(solding) 등에 의하여 접속·고정된다. 또한 각각의 측벽부(334)의 후단(後端) 근방에는 피탑재부(被塔載部)(339)가 형성되고, 피탑재부(339)는 동(同) 기판에 탑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330)는 기판에 고정되는 피고정부(33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을 향하는 힘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강도(强度)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100)에 있어서는, X방향을 따라(-X방향을 향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부(202)를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본체부(302)에 삽입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결합시킨다. 이 때에 록 조작부재(500)는, 도1,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XY 평면과 평행이 되도록 눕혀져 있다.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30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조작부(600)를 Z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록 조작부재(500)를 일으켜 세운다. 이 조작에 의하여 록 조작부재(500)의 캠 팔로워부(520)는 측부(230)의 캠부(238)를 따라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록부(540)는 Y방향을 따라 측부(230)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어 록부(540)와 록 구멍(335)의 결합이 빠지게 된다. 또한 록 조작부재(500)를 플러그 커넥터(200)의 후방을 향하여 눕히면서 조작부(600)를 잡아당기면,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300)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 커넥터 조립체(100)에 의하면, 피고정부(338)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X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부(330)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의 측부(230)를 가이드 시키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00)의 후단에 부착된 케이블(400)이 흔들리게 되는 경우이더라도 가이드부(330)의 상벽부(332)에 의하여 측부(230)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300)로부터 갑자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0)에서는,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67977호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와는 달리, 금속제의 막대를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록 조작부재(500)의 단부를 구성하는 록부(540)와 가이드부(330)에 형성된 록 구멍(335)에 의한 록 기구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의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대한 결합상태를 록 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0)의 후단측에 록 기구용의 부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가이드부(330)의 X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길게 하였다고 하더라도 플러그 커넥터(200)의 X방향에 있어서의 크기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록 조작부재(500)의 주부(510)의 일부를 수용하는 홈부(306)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록 조작부재(500)를 XY 평면과 평행하게 될 때까지 눕힐 수 있으므로 커넥터 조립체(100)의 저배화(低背化)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에 고정되는 피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금속제의 가이드부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설치하고, 플러그 커넥터의 측부를 리셉터클 커넥터의 가이드부에 의하여 가이드 시킴으로써, 케이블의 흔들림 등에 강한 구조로 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부가 상벽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예1과 같은 록 기구에서는 플러그 커넥터를 대형화하지 않고는 측부를 크게 할 수 없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예1의 록 기구보다는 오히려 종래의 예2나 종래의 예3의 록 기구에 가까운 구조를 채용한 것이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를 대형화하지 않고 측부를 크게 할 수 있다.
추가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는 록 기구의 일부(록 구멍)와 가이드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증가시키거나 리셉터클 커넥터를 불필요하게 대형화하거나 하지 않고 결합상태의 지지능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2009년 1월 22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9-012408호에 의거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일부는 그 내용을 참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기판(基板)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와,
    상기 기판과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제1방향을 따라 결합·분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로서, 측부(側部)를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분리할 때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측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guide portion)와,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피고정부(被固定部)로서,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부와 일체(一體)로 형성된 피고정부를
    구비하고,
    록부(lock portion)를 구비하는 록 조작부재(lock 操作部材)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의 각각에는 대응하는 상기 록부가 결합할 수 있는 록 구멍(lock hole)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 조작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측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록 조작부재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록부가 상기 록 구멍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되어 상기 록 구멍과 결합/비결합 하는 것으로서,
    상기 측부의 각각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의 내면(內面) 및 외면(外面)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내면으로부터 상기 외면까지 관통하는 지지구멍(holding hole)을 구비하고,
    상기 록 조작부재는, 피지지부(被支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지지부의 각각의 단부(端部)는 상기 록부로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또한 상기 지지구멍 내에 있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측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록부는, 상기 측부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가압(加壓)되어 있고,
    상기 록 구멍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록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각각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기 기판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과 평행이 되는 상벽부(上壁部)와,
    상기 상벽부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벽부(側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 구멍은,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각각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할 때에 상기 측부를 유도하는 유도부(誘導部)를 상기 측벽부의 전단(前端)에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결합부(結合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결합부를 받아들이는 본체부(本體部)와,
    상기 본체부와 함께 ㄷ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암부(arm portion)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암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의 각각은, 상기 내면에 형성된 캠부(cam portion)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 조작부재는, 주부(主部)와, 상기 주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캠부에서 가압되는 캠 팔로워부(cam follower portion)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캠 팔로워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캠 팔로워부가 상기 캠부 상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측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주부는, 상기 록부를 상기 측부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가압(加壓)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금속제(金屬製)의 셀(shell)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셀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록 구멍을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탑재되는 기판과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제1방향을 따라서 결합·분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로서,
    측부와, 록부를 구비하는 록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 조작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측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측부의 각각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의 내면 및 외면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내면으로부터 상기 외면까지 관통하는 지지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록 조작부재는, 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지지부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록부로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또한 상기 지지구멍 내에 있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측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록부는, 상기 측부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있고,
    상기 록 조작부재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록부가 상기 록 구멍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되어 상기 록 구멍과 결합/비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8. 기판에 탑재됨과 아울러 제7항의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분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상기 기판과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분리할 때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측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피고정부로서,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피고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록부를 수납할 수 있는 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의 각각은, 상면(上面)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측부의 상기 상면 및 상기 외면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20010143A 2009-01-22 2012-02-01 커넥터 조립체 KR101219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12408A JP4678887B2 (ja) 2009-01-22 2009-01-22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09-012408 2009-01-2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740A Division KR20100086437A (ko) 2009-01-22 2010-01-21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964A KR20120031964A (ko) 2012-04-04
KR101219502B1 true KR101219502B1 (ko) 2013-01-11

Family

ID=423373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740A KR20100086437A (ko) 2009-01-22 2010-01-21 커넥터 조립체
KR1020120010143A KR101219502B1 (ko) 2009-01-22 2012-02-01 커넥터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740A KR20100086437A (ko) 2009-01-22 2010-01-21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47269B2 (ko)
JP (1) JP4678887B2 (ko)
KR (2) KR20100086437A (ko)
CN (1) CN1017895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3757B2 (ja) * 2010-12-22 2013-1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655207B1 (ko) * 2012-03-27 2016-09-0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전선 대 기판 커넥터
CN104051873B (zh) * 2013-03-15 2017-11-07 北卡罗来纳康姆斯科普公司 柔性开关组件
JP6249676B2 (ja) * 2013-08-21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JP6156641B2 (ja) * 2013-09-03 2017-07-05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6260364B2 (ja) * 2014-03-11 2018-01-17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299733B2 (ja) 2015-11-18 2018-03-2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2295070B1 (ko) * 2017-03-10 2021-08-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콘택트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 제조 방법
JP6658798B2 (ja) 2018-06-05 2020-03-0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10611221B (zh) * 2018-06-14 2021-02-26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锁固结构及采用该锁固结构的线缆接头组件
US11205876B1 (en) * 2020-06-23 2021-12-21 Aces Electronics Co., Ltd. Lock structure of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0444A (ja) * 2000-09-22 2002-04-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5267977A (ja) 2004-03-17 2005-09-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装置
JP2006147365A (ja) * 2004-11-19 2006-06-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8112700A (ja) 2006-10-31 2008-05-15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9861A (ja) * 1997-10-09 1999-04-30 Molex Inc イジェクト機構付き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168519A (ja) * 2001-11-30 2003-06-1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KR100600221B1 (ko) 2003-04-23 2006-07-1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자기 실드 및 그라운드 접속의 양 기능을 향상시킨 전기커넥터
JP3837123B2 (ja) * 2003-04-23 2006-10-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773938Y (zh) * 2004-10-19 2006-04-19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欧式连接器
JP4723308B2 (ja) * 2005-08-04 2011-07-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1041840Y (zh) * 2007-03-09 2008-03-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JP4482041B2 (ja) * 2008-01-16 2010-06-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対
JP4704477B2 (ja) * 2009-02-19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4792517B2 (ja) * 2009-07-07 2011-10-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0444A (ja) * 2000-09-22 2002-04-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5267977A (ja) 2004-03-17 2005-09-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装置
JP2006147365A (ja) * 2004-11-19 2006-06-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8112700A (ja) 2006-10-31 2008-05-15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89556A (zh) 2010-07-28
US20100184337A1 (en) 2010-07-22
KR20120031964A (ko) 2012-04-04
JP2010170843A (ja) 2010-08-05
CN101789556B (zh) 2012-07-18
KR20100086437A (ko) 2010-07-30
US8147269B2 (en) 2012-04-03
JP4678887B2 (ja)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502B1 (ko) 커넥터 조립체
TWI536682B (zh) 纜線組件之閂鎖
US8764312B2 (en) Optical connector plug having improved latching mechanism
JP2013030323A (ja) コネクタ
JP2011134656A (ja) 電気的接続器具のロック用カバー
JP2007157378A (ja) コネクタ用シールドケース
US11817651B2 (en) Cable connector
CN101488624B (zh) 连接器组件
JP2006079100A (ja) プラグ型光送受信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
JP2009222932A (ja) コネクタ
KR20160118145A (ko) 전기 커넥터
CN201397956Y (zh) 电连接器组件
JP6840634B2 (ja) コネクタ
JP2018081767A (ja) 光トランシーバの挿抜機構
US9337579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mproved latch member
JP2009158272A (ja) コネクタ
JP2016225257A (ja) コネクタ
CN103579848B (zh) 连接器
JP2008097955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KR100593824B1 (ko) 분리를 위한 조작 부재가 잠금 기구로 사용되는 커넥터
KR20140044742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5500744B1 (ja) コネクタ
JP2011238403A (ja) コネクタ装置
CN109888562B (zh) 一种高频连接器
JP7028024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